카테고리 없음

이야기한자성어2311-2340

ria530 2013. 1. 9. 14:27

[2311] 取 捨 選 擇 (취사선택)한자취할 취 / 버릴 사 / 가릴 선 / 가릴 택의미취하고 버리고, 뽑고 가린다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서 쓸 것은 쓰고 버릴 것은 버린다는 의미.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내버리거나 내버려두다는 의미. '()'는 발음 요소. () 물건을 갖추어서[()] 보낸다[]는 의미에서 가리다’, ‘뽑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으로도 사용됨. () 손으로 가려 선택한다는 의미.

[2312] 炊 沙 成 飯 (취사성반)한자불땔 취 / 모래 사 / 이룰 성 / 밥 반의미모래를 때어 밥을 짓는다는 뜻으로, 헛된 수고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徒勞無益 (도로무익) : 헛되이 수고만 하고 이익이 없음.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보통 물[]이 줄어들면[] 모래가 드러난다는 의미에서 '모래'의 의미를 생성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먹는 밥의 의미로 만듦. ‘()’은 발음.

[2313] 醉 生 夢 死 (취생몽사)한자취할 취 / 날 생 / 꿈 몽 / 죽을 사의미취해서 꿈속에서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아무 의미 없이 한 평행을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이르는 말유의어長醉不醒 (장취불성) : 오래도록 취해서 깨어나지 못함.연관어無爲徒食 (무위도식) : 하는 일 없이 한갓 먹기만 함.字意()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취사선택, 취사성반, 취생몽사 - 교본파일(77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14] 取 食 之 計 (취식지계)한자취할 취 / 버릴 사 / 가릴 선 / 가릴 택의미밥을 취할 정도의 계책이라는 뜻으로, 겨우 밥이나 얻어먹고 살아가려는 꾀를 이르는 말.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숫자의 완성인 을 놓고 말한다[]’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2315] 醉 如 泥 (취여니)한자취할 취 / 같을 여 / 진흙 니의미취하여 ()’와 같다는 뜻으로, 남해에서 나는 뼈없는 벌레 처럼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취하여 고주망태가 됨을 이르는 말.연관어】▶ 醉眼朦朧 (취안몽롱) : 술에 취하여 눈이 흐려 앞이 똑바로 보이지 않는 상태.字意()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질척질척한 흙인 진흙의 의미. ‘()’는 발음.

[2316] 炊 玉 焚 桂 (취옥분계)한자불땔 취 / 구슬 옥 / 불사를 분 / 계수나무 계의미옥을 불때고 계수나무를 불사른다는 뜻으로, 물가(物價)가 매우 비쌈을 비유하거나, 물건이 매우 귀중함의 비유로 사용하는 말.유의어食玉炊桂 (식옥취계) :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땜.米珠薪桂 (미주신계) : 쌀은 구슬 같고 땔감은 계수나무 같이 비쌈.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숲에 불을 놓아 사냥한다는 의미에서 불사르다는 의미 파생. () 계수나무의 의미. ‘()’는 발음 역할.취식지계, 취여니, 취옥분계 - 교본파일(77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17] 取 而 不 貪 (취이불탐)한자취할 취 / 말이을 이 / 아니 불 / 탐할 탐의미취하지만 탐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필요한 것을 취해서 얻고 탐욕을 내지 않는 욕심을 갖지 않는다는 의미.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지금 보다도 과도하게 욕심을 낸다는 의미에서 '탐내다'는 뜻을 생성함. '(:가난하다)'과 자형 구별에 유의.

[2318] 取 適 非 取 魚 (취적비취어)한자취할 취 / 갈 적 / 아닐 비 / 취할 취 / 물고기 어의미마땅함을 취하지 물고기를 취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낚시에는 즐거움을 취하는 것이지 물고기 자체에 의미를 두지 않는 것처럼 어떤 행동에 목적을 그곳에 두지 않고 다른 데에 있음을 의미.字義()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필요한 곳으로 나아가다는 의미에서 가다마땅하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를 만듦.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2319] 聚 精 會 神 (취정회신)한자모일 취 / 정신 정 / 모일 회 / 귀신 신의미정신을 모은다는 뜻으로, 정신을 한 곳으로 집중한다는 의미, 혹은 군신(君臣)의 마음이 일치함을 의미함.유의어】▶ 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일도하사불성): 정신을 하나로 집중하면 어떤 일이 이루어지지 않겠는가?字意()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쌀을 찧어서 좁게 한다는 의미에서 정밀하다’, ‘자세하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 뚜껑 있는 그릇에 음식이 담겨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이다는 의미 생성. () 가 하늘에서 보여주는 현상의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하늘의 신과 같이 불가사의한 것의 의미에서 후에 정신이나 ’, ‘마음등의 뜻을 파생함. 은 발음. 취이불탐, 취적비취어, 취정회신 - 교본파일(77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0] 醉 中 無 天 子 (취중무천자)한자취할 취 / 가운데 중 / 없을 무 / 하늘 천 / 아들 자의미취해있는 동안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으로, 취중에는 천하에 두려울 것이 없다는 의미.字義()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를 만듦.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2321] 取 轄 投 井 (취할투정)한자취할 취 / 비녀장 할 / 던질 투 / 우물 정의미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준말】▶ 投轄 (투할)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수레의 바퀴가 벗어나지 못하게 굴대머리 구멍에 끼는 큰 못인 비녀장의 의미. ‘()’는 발음 요소. () 손으로 물건을 던지다는 의미. ‘()치다의 반의어. () ‘자 모양의 우물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마을의미도 있음.

[2322] 取 禍 之 本 (취화지본)한자취할 취 / 재앙 화 / 어조사 지 / 근본 본의미재앙을 취하는 근본이라는 뜻으로, 재앙을 가져오는 근본이 되는 것을 의미함.관련어】▶ 積惡餘殃 (적악여앙) : 악을 쌓아 재앙을 남김.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는 초인간적인 하늘의 상징 표현이고, 오른쪽 모양은 ()’의 변형으로 잔해만 남았다는 의미에서 재앙의 뜻 생성. () 나무의 아래쪽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근본'의 의미 파생. 취중무천자, 취할투정, 취화지본- 교본파일(77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3] 側 目 重 足 (측목중족)한자기울 측 / 눈 목 / 무거울 중 / 발 족의미곁눈질하며 발을 모은다는 뜻으로, 눈을 바로 보지 못하며 두려워서 몸을 움츠린다는 의미.[= 重足側目 ]유의어】▶ 輾轉反側 (전전반측) : 매우 두려워 벌벌 떠는 모양.구별어】▶ 側目視之 (측목시지) : 곁눈질하여 봄.字意()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을 나타냄. ‘()’은 발음 요소. ()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등의 의미로 활용됨. ‘()’보는 행위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 사람이 짐을 메고 가는 모양에서 무겁다는 의미 생성. 후에 거듭의 의미 파생. ‘()’ 부수는 자형분류임. () 발 모양의 ()’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를 함께 본뜬 글자로, ‘을 의미함. 후에 만족하다는 의미로 확대됨.

[2324] 側 席 而 坐 (측석이좌)한자기울 측 / 자리 석 / 말이을 이 / 앉을 좌의미자리를 비켜서 옆으로 앉는다는 뜻으로, 마음속에 근심이 있어 앉은 자리가 편하지 않음을 일컫는 말.준말】▶ 側席 (측석)字意()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을 나타냄. ‘()’은 발음 요소. () [()]을 이용해 바닥에 까는 자리의 의미를 생성하고, 후에 지위의 의미까지 확대됨.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사람이 서로 마주 앉은 모양에서 앉다는 의미 생성

[2325] 惻 隱 之 心 (측은지심)한자슬퍼할 측 / 숨을 은 / 어조사 지 / 마음 심의미불쌍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惻隱之心은 인()의 단서(端緖)가 된다는 맹자(孟子)의 사단(四端) 중 하나.관련어】▶ 四端 : 惻隱之心, 羞惡之心, 辭讓之心, 是非之心 (--,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字意() 가엽게여겨 슬퍼하다는 의미에서 측은하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언덕 뒤에 숨어 가리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부분은 발음.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미로 활용됨.측목중족, 측석이좌, 측은지심 - 교본파일(77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6] 層 生 疊 出 (층생첩출)한자층 층 / 날 생 / 겹쳐질 첩 / 날 출의미층층이 생기고 첩첩이 나온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잇달아 자꾸 일어남을 이르는 말.字意() 뚜껑 위에 지붕을 더해 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본래 ()+()의 결합에서 으로 변화됨. 사흘 동안 심사숙고해서 결정한 것에서 겹치다는 뜻 생성. ()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등의 의미 파생.

[2327] 層 巖 絶 壁 (층암절벽)한자층 층 / 바위 암 / 끊을 절 / 벽 벽의미겹겹의 바위가 쌓인 깎아지른 낭떠러지라는 뜻으로, 몹시 험한 바위가 겹겹으로 쌓인 낭떠러지의 의미.관련어】▶ 奇巖絶壁 (기암절벽) : 기이한 바위와 깎아지른 낭떠러지.字意() 뚜껑 위에 지붕을 더해 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큰 돌의 의미. ()은 발음 작용. () 실타래를 끊는다는 의미에서 끊다는 뜻 생성. 후에 뛰어나다는 의미 파생. () 울타리나 바람벽의 의미

[2328] 層 層 侍 下 (층층시하)한자층 층 / 층 층 / 모실 시 / 아래 하의미층층이 모시고 산다는 뜻으로, 부모와 조부모를 다 모시고 있는 처지나 받들어야 할 윗사람이 층층으로 있는 형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연관어】▶ 嚴妻侍下 (엄처시하) : 엄한 아내를 모시고 삶. 공처가.字意() 뚜껑 위에 지붕을 더해 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받들어 모신다는 의미. ‘()’는 발음 역할.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층생첩출, 층암절벽, 층층시하 - 교본파일(77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9] 治 國 平 天 下(치국평천하)한자다스릴 치 / 나라 국 / 평평할 평 / 하늘 천 / 아래 하의미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화롭게 한다는 뜻으로,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 내용.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영역을 무기[]를 들고 지키는 상황을 표현해 영토를 지닌 국가의 개념을 만듦. () 기운이 위로 퍼져 올라가면서 나뉘어[()] 평평하게 퍼져 깔린다는 의미에서 평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아니다는 의미 도출.

[2330] 治 亂 興 亡 (치란흥망)한자다스릴 치 / 어지러울 란 / 흥할 흥 / 망할 망의미다스려짐과 어려움과 흥함과 망함이라는 뜻으로, 흥망(興亡)과 성쇠(盛衰)의 의미.유의어】▶ 榮枯盛衰 (영고성쇠) : 영화롭고 쇠하며, 융성하고 쇠락함.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실타래가 물레에 얽혀있는 것을 칼로 자르는 모양에서 어지럽다는 의미 생성. ‘은 칼날의 변형으로 봄. () 힘을 합하여 함께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흥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등의 의미 생성.

[2331] 齒 髮 不 及 (치발불급)한자이 치 / 터럭 발 / 아니 불 / 미칠 급의미이와 머리털이 아직 미치지 못했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齒髮不長 (치발부장).字意() 치아의 모양을 본뜬 후에 ()를 더해 발음 역할을 함. ()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 사람[]과 손[]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치국평천하, 치란흥망, 치발불급 - 교본파일(77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32] 置 身 其 外 (치신기외)한자둘 치 / 몸 신 / 그 기 / 바깥 외의미몸을 국외(局外)에 둔다는 뜻으로, 사건의 와중(渦中)에 휩쓸려들지 않는다는 의미.字意() 그물을 곧게 펼쳐 세운다는 의미에서 두다’,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사용됨.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 본래 대나무 등으로 만든 곡식을 까부는 데 쓰는 ''인데, 후에 ''라는 대명사로 전이됨. ''''을 더해 만듦[()].() 외지에 나가면 두려움에 점을 많이 치게 된다는 것에 의해 저녁에 점을 친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2333] 置 身 無 地 (치신무지)한자둘 치 / 몸 신 / 없을 무 / 땅 지의미몸을 두려는데 땅이 없다는 뜻으로, 두렵거나 부끄러워서 몸들 바를 모르고 어찌할 줄을 모른다는 의미.字意() 그물을 곧게 펼쳐 세운다는 의미에서 두다’,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사용됨.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를 만듦. ()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를 결합해서 만듦.

[2334] 癡 猿 捉 月 (치원착월)한자어리석을 치 / 원숭이 원 / 잡을 착 / 달 월의미어리석은 원숭이가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어리석은 원숭이의 행동처럼 무지하고 무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 猿猴取月 (원후취월) : 원숭이가 달을 취함.字意() 미련하고 어리석다는 의미. ‘()’는 발음. () 짐승의미의 ()’ 부수에 오른쪽은 ()발음. () 손을 뻗쳐 따라 붙어 잡는다의 의미 생성. 은 발음 역할도 함. ()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도 표현치신기외, 치신무지, 치원착월 - 교본파일(77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35] 痴 人 說 夢 (치인설몽)한자어리석을 치 / 사람 인 / 말씀 설 / 꿈 몽의미어리석은 사람이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허망한 말을 늘어놓는다는 뜻이나, 설명이 요령부득(要領不得)이라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미련하고 어리석다는 의미. ‘()’는 발음.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 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 / ()기쁘다 / ()달래다. ()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2336] 癡 者 多 笑 (치자다소)한자어리석을 치 / 놈 자 / 많을 다 / 웃을 소의미어리석은 사람이 웃음이 많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은 실없이 웃기를 잘한다는 말.字意() 미련하고 어리석다는 의미. ‘()’는 발음. ()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본래는 고기[]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생성. () 본래 꽃이 피다에서 변화되어 짐승 짓는 소리나 사람의 웃음소리로 변함. ()는 발음 요소.

[2337] 置 酒 高 會 (치주고회)한자둘 치 / 술 주 / 높을 고 / 모일 회의미주연(酒宴)과 고상한 모임이라는 뜻으로, 성대한 주연(酒宴)을 베푸는 일, 또는 그 宴會를 이르는 말.字意() 그물을 곧게 펼쳐 세운다는 의미에서 두다’,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사용됨. () 항아리[] 속의 액체[]의 의미 도출한 것으로 보거나, 발효시켜 만든 음식[]의 한 종류로 의 의미로 봄. () 입구와 전망대가 있는 높은 누각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뚜껑 있는 그릇에 음식이 담겨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이다는 의미 생성.치인설몽, 치자다소, 치주고회 - 교본파일(77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38] 置 之 度 外 (치지도외)한자둘 치 / 어조사 지 / 법도 도 / 바깥 외의미법도 밖에 두다는 뜻으로, 의중(意中)에 두지 않고 도외시(度外視)함을 이르는 말.유의어置之不理 (치지불리) : 방임함. 돌보지 않고 버려 둠.置之不問 (치지불문) : 불문에 붙임. 모른 체 함.字意】◎ () 그물을 곧게 펼쳐 세운다는 의미에서 두다’,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사용됨.() [()]으로 헤아리고 잰다는 의미에서 법도의 의미를 생성함.() 외지에 나가면 두려움에 점을 많이 치게 된다는 것에 의해 저녁에 점을 치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2339] 置 錐 之 地 (치추지지)한자둘 치 / 송곳 추 / 어조사 지 / 땅 지의미송곳을 세울 땅이라는 뜻으로, 송곳을 세울 정도밖에 안 되는 아주 좁은 땅을 이르는 말.유의어立錐之地 (입추지지) : 송곳을 세울 땅.立錐之餘地 (입추지여지) : 송곳을 세울 남은 땅.字意() 그물을 곧게 펼쳐 세운다는 의미에서 두다’,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사용됨. () 쇠붙이로 된 구멍 뚫는 도구인 송곳의미. 혹 화살촉으로도 봄. ()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를 결합해서 만듦

[2340] 齒 墮 舌 存 (치타설존)한자이 치 / 떨어질 타 / 혀 설 /있을 존의미이는 빠져도 혀는 남아있다는 뜻으로, 강한 것보다는 오히려 약한 것이 더 오래감을 비유하는 말.동의어】▶ 齒亡舌存 (치망설존)字意() 그물을 곧게 펼쳐 세운다는 의미에서 두다’,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사용됨. () 무너뜨리고 부서진다는 의미에서 '떨어뜨리다'는 의미를 파생함. () 입과 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거나 입과 범한다는 의미의 결합으로도 봄. () 의 생략형에 를 더해 어린이를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객관적, 현실적인 존재의 의미인 있다는 뜻 생성.치지도외, 치추지지, 치타설존 - 교본파일(78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