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야기한자성어2111-2140

ria530 2013. 1. 9. 14:17

[2111] 陳 談 陋 說 (진담누설)한자늘어놓을 진 / 이야기 담 / 비루할 루 / 말씀 설의미진부한 이야기와 비루한 말이라는 뜻으로, 진부(陳腐)한 소리와 구저분한 말이라는 의미.字意() 본래 ()()()을 더한 글자인데, 후에 [+]으로 합침. 한 줄로 나열해 늘어놓다는 의미이고, 이 발음 요소임. () 말하고 이야기한다는 의미의 말씀의 의미. () 장소가 좁다는 뜻에서 후에 식견이 좁아 천하고 낮은 비루하다는 의미 생성. () 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 / ()기쁘다 / ()달래다.

[2112] 眞 面 目 (진면목)한자참 진 / 낯 면 / 눈 목의미진짜 모습이라는 뜻으로, 있는 그대로의 모양. 곧 참모습의 의미. 眞相(진상), 實相(실상).字意() 갑골문의 자형은 솥[의 변형]에서 숟가락[]으로 음식을 꺼내는 모양. 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에 양쪽 뺨과 이마를 더해 사람의 얼굴을 표현. 후에 대면하다’, ‘방면등의 의미 파생. ()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등의 의미로 활용됨.진금부도, 진담누설, 진면목 - 교본파일(70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13] 珍 味 佳 肴 (진미가효)한자보배 진 / 맛 미 / 아름다울 가 / 안주 효의미진귀한 맛과 좋은 안주라는 뜻으로, 진귀한 요리의 썩 좋은 맛과 맛 좋은 안주와 같은 잘 차려진 좋은 음식을 이르는 말.유의어山海珍味 (산해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진귀한 맛.膏粱珍味 (고량진미) :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의 진귀한 맛.字意() 보배스러운 ''의 의미에서 '보배'의 의미 생성. () '[]'안에 있는 달콤한 음식의 의미에서 ''의 의미 도출. ()는 발음. () 내적 아름다움의 의미. '()'는 외적 아름다움 표현. () 본래 새, 짐승, 물고기 등을 뼈째 구워 익힌 고기의 의미에서 안주의미 생성.

[2114] 塵 飯 塗 羹 (진반도갱)한자티끌 진 / 밥 반 / 진흙 도 / 국 갱의미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본래는 (鹿)’자 세 개와 아래 흙 토()’를 결합한 것으로, 사슴무리가 달리면서 흙먼지를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먼지’, ‘티끌의 뜻을 생성. 후에 속세나 속사(俗事)의 의미 파생. () 먹는 밥의 의미로 만듦. ‘()’은 발음. () 본래 진흙의 의미인데, 흙을 바르다는 의미에서 칠하다와 후에 길의 의미인 ()’와 통용됨. () 국물 중심의 을 의미.

[2115] 眞 善 美 (진선미)한자참 진 / 착할 선 / 아름다울 미의미참되고 착하고 아름답다는 뜻으로, 인식상(認識上)과 윤리상(倫理上), 심미상(審美上)의 의미에서 보통 인생의 최고 이상으로 삼음.字意() 갑골문의 자형은 솥[의 변형]에서 숟가락[]으로 음식을 꺼내는 모양. 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의 의미 생성. () 사람이 머리 위에 여러 가지 장식으로 치장을 하고 있는 모습에서 '아름답다'는 의미 생성.진미가효, 진반도갱, 진선미 - 교본파일(70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16] 珍 羞 盛 饌 (진수성찬)한자보배 진 / 음식 수 / 성할 성 / 반찬 찬의미진귀한 음식과 성대한 반찬이라는 뜻으로, 썩 좋은 맛과 맛 좋은 음식이나 보기 드물게 잘 차려진 좋은 음식을 이르는 말.유의어山海珍味 (산해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진귀한 맛.膏粱珍味 (고량진미) :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의 진귀한 맛.字意() 보배스러운 ''의 의미에서 '보배'의 의미 생성. () 본래 희생의 양을 바친다는 의미인데, ‘제물’, ‘음식물의 뜻과 후에 순수하지 못할 경우에서 부끄러워하다는 뜻을 파생함. () 그릇에 가득 채운 것에서 성하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으로도 사용함. () 밥에 갖추어 먹는 여러 가지 음식의 뜻인 반찬에서 음식으로 확대됨.

[2117] 眞 實 無 僞 (진실무위)한자참 진 / 열매 실 / 없을 무 / 거짓 위의미참되고 실제하며 거짓이 없다는 뜻으로, 거짓 없이 참되어 허위(虛僞)가 없다는 의미.유의어】▶ 眞實無垢 (진실무구) : 거짓과 허물이 없이 참됨.字意() 갑골문의 자형은 솥[의 변형]에서 숟가락[]으로 음식을 꺼내는 모양. 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본래 집안에 재물을 넣는 궤짝의 모양에 화폐의 상징의 를 더한 것으로, 중요한 재물의 의미로 인해 실질’, ‘열매등 생성. ()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를 만듦. () 자연적인 것이 아닌 사람이 인위(人爲)적으로 한 거짓행위를 이르는 의미. ()는 발음으로도 사용됨.

[2118] 盡 心 竭 力 (진심갈력)한자다할 진 / 마음 심 / 다할 갈 / 힘 력의미마음을 다하고 힘을 다한다는 뜻으로, 몸과 마음을 다 기울려 정성을 다한다는 의미.유의어】▶ 專心專力 (전심전력) : 몸과 마음을 한 가지 일에 오로지 함.字意() 손으로 그릇을 닦는 모습에서 일을 마쳤다는 의미 생성.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미로 활용됨. () '다하다', '마르다' 등의 뜻으로 '()'과 같은 의미. ()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 ‘힘쓰다뜻으로 사용.진수성찬, 진실무위, 진심갈력 - 교본파일(70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19] 秦 庭 之 哭 (진정지곡)한자진나라 진 / 뜰 정 / 어조사 지 / 울 곡의미진나라 뜰에서의 곡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원조(援助)를 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고사.고사춘추시대 때 초()나라의 신포서(申包胥)가 진()나라에 가서 원군을 청하는데 오랫동안 울타리에 기대어 곡을 해서 마침내 원군을 얻었다는 고사.字意() 방아찧다는 ()’의 생략형에 ()’를 더해 벼이름과 후에 나라이름을 만듦. () 지붕이 있는 건물의 의미를 더해 궁궐의 마당의 의미로부터 일반적인 의 의미를 생성함. () 개가 소리지르며 외친다[口口()]’는 의미에서 울다는 의미 생성.

[2120] 秦 晉 之 誼 (진진지의)한자진나라 진 / 진나라 진 / 어조사 지 / 옳을 의의미()나라와 진()나라의 정의(情誼)라는 뜻으로, 서로간의 호의(好誼)가 두터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秦晉之好 (진진지호) : (준말) - 秦晉(진진)고사춘추시대 진()과 진() 두 나라가 대대로 서로 혼인을 하여서 두 성의 혼인으로 서로 호의를 두텁게 유지했던 고사.字意() 방아찧다는 ()’의 생략형에 ()’를 더해 벼이름과 후에 나라이름을 만듦. () 해가 이르러 만물이 자라 나아간다는 뜻에서 나아가다생성. 후에 나라이름의 파생. ‘은 속자. () 마땅하다는 ()’()’을 더해 옳음을 의미함.

[2121] 進 寸 退 尺 (진촌퇴척)한자나아갈 진 / 마디 촌 / 물러날 퇴 / 자 척의미한 치 나아가서 한 자 물러난다는 뜻으로, 얻는 것은 적고 잃는 것은 많다는 의미.字意()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다는 의미. 후에 벼슬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요소. () 손 의미의 ()’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 退() 물러나거나 물리친다는 의미. ‘()’은 발음요소로도 사용됨. ()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 )’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의미까지 확대함.진정지곡, 진진지의, 진촌최척 - 교본파일(70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22] 盡 忠 報 國 (진충보국)한자다할 진 / 충성 충 / 갚을 보 / 나라 국의미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충성의 마음을 다해 국가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의미.동의어】▶ 竭忠報國 (갈충보국) : 충성을 다하여 국가에 보답함.字意() 손으로 그릇을 닦는 모습에서 일을 마쳤다는 의미 생성. () '中心'의 의미로 본래 자신의 마음을 다한다는 '정성', '진심'의 의미였는데, 중세에 그 대상이 임금이었기에 '충성'의 의미로 변함. ()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알리다는 의미. () 영역을 무기[]를 들고 지키는 상황을 표현해 영토를 지닌 국가의 개념을 만듦

[2123] 進 退 兩 難 (진퇴양난)한자나아갈 진 / 물러날 퇴 / 둘 량 / 어려울 난의미나아가고 물러남이 둘 다 어렵다는 뜻으로, 나아갈 수도 물러날 수도 없는 난처한 상황이나 궁지에 처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進退維谷 (진퇴유곡) : 나아갈 수도 물러날 수도 없는 처지.字意()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다는 의미. 후에 벼슬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요소. 退() 물러나거나 물리친다는 의미. ‘()’은 발음요소로도 사용됨. () 하나[]를 둘로 나눈 상태의 모양을 표현함. ()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대신에 ()’자를 사용하게 됨.

[2124] 塵 合 泰 山 (진합태산)한자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산 산의미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뜻으로,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나중에 크게 이루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본래는 (鹿)’자 세 개와 아래 흙 토()’를 결합한 것으로, 사슴무리가 달리면서 흙먼지를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먼지’, ‘티끌의 뜻을 생성. 후에 속세나 속사(俗事)의 의미 파생. () 밥그릇과 뚜껑이 합쳐져 있는 모양에서 합하다는 의미 생성. () 물을 사람들이 들어서 건너게 하는 모양에서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큰 사람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크다는 의미 도출. () 솟아 있는 산들의 모양의 형상화한 글자.진충보국, 진퇴양난, 진합태산 - 교본파일(70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25] 質 疑 應 答 (질의응답)한자바탕 질 / 의심할 의 / 응할 응 / 답할 답의미의심나는 것을 묻고 응해서 답한다는 뜻으로, 한편에서 질의하고 질의를 받은 한편에서 해답하는 일.字意() 꾸미지 않은 본연 그대로의 성질인 바탕의 의미. 윗부분 ()은 받침역할을 하는 모탕이기 때문에 의미부분으로도 사용됨. () 사람이 고개를 들고 길에서 여기저기 찾아 두리번거리는 의미에서 의심하다는 뜻 생성. () 자신이 직접 감당하다는 의미에서 후에 대답하다’, ‘응답하다승낙하다등의 의미를 파생함. (: )이 발음 역할. () 죽간에 글을 써서 상대에게 답한다는 의미에서 대답하다는 뜻 생성. ()은 발음 요소.

[2126] 疾 風 勁 草 (질풍경초)한자빠를 질 / 바람 풍 / 굳셀 경 / 풀 초의미빠른 바람에 굳센 풀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을 당해도 뜻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유의어】▶ 疾風知勁草 (질풍지경초) : 질풍이 불어야 굳센 풀을 안다.字意() []을 의미하는 의미. ()은 발음 요소. 여기서는 빠르다는 의미.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힘이나 의지 등이 강하다는 뜻에서 굳세다’, ‘등 생성. ‘()’은 발음. () 풀이 돋아나는 모양으로, 본래 풀의 의미인 ()가 부수로 활용되자 별도의 글자를 만듦

[2127] 疾 風 怒 濤 (질풍노도)한자빠를 질 / 바람 풍 / 성낼 노 / 큰물결 도의미빠른 바람과 성난 물결이라는 뜻으로, 몹시 빠르게 부는 바람과 무섭게 소용돌이치는 물결의 의미에서 거침없는 행위를 비유하기도 함. 혹은 18세기 후반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운동의 하나로 계몽주의 사조에 반항하면서 감정의 해방과 개성의 존중 및 천재주의를 주장한 슈투름운트드랑(Sturm und Drang)을 말하기도 함.字意() 화가 나고 성이 난다는 의미. ()는 발음. ‘(: 용서하다)’와 자형 구별에 유의. () 물결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물결치다에서 큰물결의 뜻 생성.질의응답, 질풍경노, 질풍노도 - 교본파일(70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28] 疾 風 迅 雷 (질풍신뢰)한자빠를 질 / 바람 풍 / 빠를 신 / 우레 뢰의미빠른 바람과 사나운 우뢰라는 뜻으로, 매우 빠름을 형용하는 말.유의어】▶ 電光石火 (전광석화) : 번개나 부싯돌. 字意() []을 의미하는 의미. ()은 발음 요소. 여기서는 빠르다는 의미.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신속하고 빠르게 간다는 의미에서 빠르다는 의미 생성. () 본래는 아래 이 세 개로 음양이 서로 끌어 회전하는 의미에서 천둥의 의미를 생성함

[2129] 集 大 成 (집대성)한자모일 집 / 큰 대 / 이룰 성의미모아서 크게 이룬다는 뜻으로, 많은 것을 모아 하나로 통합 정리하는 일, 또는 그것의 의미.동의어】▶ 集成 (집성)字意() 새가 나무 위에 모여 앉아있는 모양에서 모이다는 의미 생성.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2129] 集 小 成 大 (집소성대)한자모일 집 / 작을 소 / 이룰 성 / 큰 대의미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된다는 의미. [ = 積小成大(적소성대)]유의어塵合泰山 (진합태산) : 티끌 모아 태산.積水成淵 (적수성연) : 물을 쌓아 연못을 이룸.字意() 새가 나무 위에 모여 앉아있는 모양에서 모이다는 의미 생성. () 작다는 의미를 만들기 위해 중심 좌우에 작은 점으로 표시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질풍신뢰, 집대성, 집소성대 - 교본파일(7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29] 集 小 成 大 (집소성대)한자모일 집 / 작을 소 / 이룰 성 / 큰 대의미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된다는 의미. [ = 積小成大(적소성대)]유의어塵合泰山 (진합태산) : 티끌 모아 태산.積水成淵 (적수성연) : 물을 쌓아 연못을 이룸.字意() 새가 나무 위에 모여 앉아있는 모양에서 모이다는 의미 생성. () 작다는 의미를 만들기 위해 중심 좌우에 작은 점으로 표시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질풍신뢰, 집대성, 집소성대 - 교본파일(7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29] 集 小 成 大 (집소성대)한자모일 집 / 작을 소 / 이룰 성 / 큰 대의미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된다는 의미. [ = 積小成大(적소성대)]유의어塵合泰山 (진합태산) : 티끌 모아 태산.積水成淵 (적수성연) : 물을 쌓아 연못을 이룸.字意() 새가 나무 위에 모여 앉아있는 모양에서 모이다는 의미 생성. () 작다는 의미를 만들기 위해 중심 좌우에 작은 점으로 표시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질풍신뢰, 집대성, 집소성대 - 교본파일(7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31] 質 勝 文 則 野 (질승문즉야)한자바탕 질 / 이길 승 / 문늬 문 / 곧 즉 / 들 야의미바탕이 문채를 이기면 야하다는 뜻으로, 실질이 예문(禮文)을 앞지르면 상스럽고 천하다는 의미에서 지나치게 내면적인 소박함이 외형적인 형식미를 누른다면 투박한 모습으로 세련미가 부족하게 된다는 의미. [文質彬彬 (문질빈빈)]字義() 꾸미지 않은 본연 그대로의 성질인 바탕의미. () []으로 이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기기 위해 견디다와 이겨서 낫다로 인해 빼어난 경치까지 확대. ()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 '채색'으로 사용되다가 후에 표시한다에서 '문자'''의 의미로 변천. () 밭 주변의 들판의 의미에서 후에 거칠다등의 의미 파생.

[2132] 執 彈 而 招 鳥 (집탄이초조)한자잡을 집 / 탄환 탄 / 말이을 이 / 부를 초 / 새 조의미탄궁(彈弓)을 잡고 새를 부른다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는데 상반되는 수단을 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揮梲而呼狗 (휘탈이호구) : 몽둥이를 휘두르며 개를 부름.字義() ‘손으로 잡아 쥐다는 의미에서 잡다’, ‘지키다등의 의미 생성함. () 활에 메워 쏘는 돌에서 '탄환'의 의미를 생성하고 후에 '튀기다', '연주하다'의 의미를 파생함. () 손짓으로 사람을 부른다는 의미에서 부르다는 뜻 생성. ()는 발음 요소. () 새의 눈과 날개, 다리 등을 강조한 모양. 다소 꽁지가 긴 큰 의 의미로, 다소 작은 새인 ()’와 구별됨.

[2133] 懲 一 勵 百 (징일여백)한자징벌할 징 / 한 일 / 힘쓸 려 / 일백 백의미하나를 징벌해 백을 격려한다는 뜻으로, 한 사람을 징벌함으로써 여러 사람을 격려한다는 의미.유의어】▶ 一罰百戒 (일벌백계) : 하나의 벌로 백이 경계함. 字意() 잘못한 일을 혼내준다는 의미에서 '징계하다'는 뜻 생성. '()'은 발음. () 힘써 일을 하다는 의미에서 힘쓰다는 의미 생성. ()는 발음. () ‘을 더해 으뜸의 의미로 일백의 수를 의미함.질승문즉야, 집탄이초조, 징일여백 - 교본파일(71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34] 借 刀 殺 人 (차도살인)한자빌릴 차 / 칼 도 / 죽일 살 / 사람 인의미칼을 빌려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남을 이용하여 사람을 해친다는 뜻으로 사용되거나 음험(陰險)한 수단의 의미로 사용됨.字意() 사람이 남에게 물건이나 재화를 빌린다는 의미. ()은 발음 요소. () 칼날이 굽은 칼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주로 날카로움, 자르다, 나누다, 베다등의 의미로 사용됨. () 해를 끼치는 미상의 동물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의미의 글자. 부수가 '몽둥이()'.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2135] 且 信 且 疑 (차신차의)한자또 차 / 믿을 신 / 또 차 / 의심할 의의미다시 믿거나 다시 의심한다는 뜻으로, 한편으로는 믿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의심하기도 한다는 의미.동의어】▶ 半信半疑 (반신반의) : 절반은 믿고 절반은 의심함. 字意() 책상이나 도마 같은 모양을 본뜬 것에서 후에 거듭하다는 의미의 ''를 파생함. () 말로 사람을 평가할 수 있는, 그래서 신의가 있는 사람이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의미. () 사람이 고개를 들고 길에서 여기저기 찾아 두리번거리는 의미에서 의심하다는 뜻 생성.

[2136] 此 日 彼 日 (차일피일)한자이 차 / 날 일 / 저 피 / 날 일의미이 날 저 날이라는 뜻으로, 오늘 내일하며 기한을 물린다는 의미.유의어】▶ 此月彼月 (차월피월) : 이 달 저 달로 미룸. 字意() 멈춘다는 의미가 자신의 가장 가까운 곳의 의미에서 이것의 의미 생성. ()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의 흑점으로 설명. 매일 출몰(出沒)하는 것으로 인해 의 의미 파생. () 원줄기에서 갈라진 길의 의미에서 먼 곳의 것을 의미하는 저것의 의미 생성.차도살인, 차신차의, 차일피일 - 교본파일(71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37] 借 廳 入 室 (차청입실)한자빌릴 차 / 마루 청 / 들 입 / 집 실의미마루를 빌렸다가 방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남에게 의지하여 있던 사람이 나중에는 그의 권리까지 침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借廳入房(차청입방)]유의어借廳借閨 (차청차규) : 마루를 빌려주면 방을 빌려 듦.騎馬欲率奴 (기마욕솔노) :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어 한다.得隴望蜀 (득롱망촉) : 농땅을 얻고 촉땅마저 바란다.字意() 사람이 남에게 물건이나 재화를 빌린다는 의미. ()은 발음 요소. () 건축물의 의미에서 백성을 관장하는 관청의 의미를 생성. ()은 발음. ()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위의 ()’자는 집의 내부의 의미로 사용했고, ‘()’는 변화된 발음으로 사용됨

[2138] 且 置 勿 論 (차치물론)한자또 차 / 둘 치 / 말 물 / 논의할 론의미따로 두고 논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내버려두고 논의 대상으로 삼지 않음을 이르는 말.준말】▶ 且置 (차치). 관련어】▶ 置之度外 (치지도외) : 내버려두고 문제 삼지 않음.字意() 책상이나 도마 같은 모양을 본뜬 것에서 후에 거듭하다는 의미의 ''를 파생함. () 그물을 곧게 펼쳐 세운다는 의미에서 두다’, ‘베풀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사용됨. () 본래 칼에 피가 묻은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단죄(斷罪)했다는 의미로 전용되어 금지의 의미인 '하지 말라'는 뜻으로 사용됨.[()와 동일한 의미]. () 말을 담은 책을 모아 놓았다는 의미에서 '논하다'는 뜻 생성. 오른쪽 모양은 책을 모았다는 의미이면서 발음[]을 나타냄.

[2139] 借 風 使 船 (차풍사선)한자빌릴 차 / 바람 풍 / 시킬 사 / 배 선의미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동의어】▶ 借水行舟 (차수행주) : 물을 빌려 배를 가게 함. 字意() 사람이 남에게 물건이나 재화를 빌린다는 의미. ()은 발음 요소.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使()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에서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는 의미 생성함. 사역(使役)의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됨. () 배의 의미. 주로 ()보다 큰배에 사용함. 오른쪽 부분은 발음 표시 역할.차청입실, 차치물론, 차풍사선 - 교본파일(71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140] 着 巾 束 帶 (착건속대)한자입을착 수건건 묶을속 띠 대의미두건을 쓰고 띠를 묶는다는 뜻으로, 관복(官服)을 갖추어 입음을 이르는 말.字意】◎ () ‘드러내다는 의미의 ()’자의 속자(俗字). 하지만 동일하게 사용되지 않고, ‘붙다’, ‘입다‘()발음경우만 사용됨. () 아래로 늘어뜨린 천의 의미에서 수건의 뜻 생성. 천과 관련된 글자에 부수의 의미로 사용됨. () 나무를 다발로 묶은 모양에서 '묶다'는 의미 생성. () 두르거나 동여매는 ''의 의미에서 후에 띠처럼 '너비가 좁고 기다랗게 되어 있는 장소'의 의미까지 확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