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야기한자성어2241-2280

ria530 2013. 1. 9. 14:24

[2241] 草 滿 囹 圄 (초만영어)한자풀 초 / 찰 만 / 옥 령 / 옥 어의미잡초가 감옥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나라가 잘 다스려져 죄인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풀이 돋아난 모양인 ()가 부수로 활용되자 발음 ()’를 더해 별도의 글자를 만듦. 滿()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 () 죄인을 가두는 감옥의 의미. ‘()’은 발음. () ‘감옥의 의미. ‘()’는 발음 요소.초로인생, 초록동색, 초만영어 - 교본파일(7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42] 初 面 不 知 (초면부지)한자처음 초 / 얼굴 면 / 아니 불 / 알 지의미처음 대면해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처음으로 얼굴을 대하기 때문에 서로 알지 못한다는 의미유의어】▶ 生面不知 (생면부지): 면식이 없는 사람.字意() 옷을 만들 때 옷감을 마름질하는 의미로 옷 만드는 첫 번째 과정이라는 의미에서 처음의 의미 생성. () {}에 양쪽 뺨과 이마를 더해 사람의 얼굴을 표현. 후에 대면하다’, ‘방면등의 의미 파생. ()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2243] 草 木 同 腐 (초목동부)한자풀 초 / 나무 목 / 같을 동 / 썩을 부의미초목과 같이 썩는다는 뜻으로,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못하고 초목과 같이 썩음을 의미하거나, 이름 없이 세상을 떠남을 이르기도 함.동의어】▶ 草木俱朽 (초목구후).字意() 풀이 돋아난 모양인 ()가 부수로 활용되자 발음 ()’를 더해 별도의 글자를 만듦. ()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은 나무를 자른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것에서 한가지’, ‘같다등의 파생. () 부패해 썩거나 쓸모없다는 의미. ‘()’는 발음.

[2244] 焦 眉 之 急 (초미지급)한자태울 초 / 눈썹 미 / 어조사 지 / 급할 급의미눈썹이 타는 다급함이라는 뜻으로, 몹시 급박한 처지나 상황을 일컫는 말.동의어】▶ 燒尾之急 (소미지급) : 燃尾之急 (연미지급).유의어】▶ 落眉之厄 (낙미지액) : 눈앞에 닥친 재앙과 액운.字意() 새 밑에 불을 놓고 태우는 모양에서 '태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마음을 졸이거나 난해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애태우다' 파생. ()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 () 마음이 조급하게 재촉하는 의미에서 바빠 서두르고 바쁘다는 의미를 생성함. 윗부분은 ()으로 발음 역할.초면부지, 초목동부, 초미지급 - 교본파일(74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45] 焦 心 苦 慮 (초심고려)한자태울 초 / 마음 심 / 쓸 고 / 생각할 려의미마음을 태우며 괴롭게 생각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졸이며 괴롭게 근심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勞心焦思 (노심초사) :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생각을 태움. 몹시 애쓰고 속 태움. 苦心焦思(고심초사)字意() 새 밑에 불을 놓고 태우는 모양에서 '태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마음을 졸이거나 난해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애태우다' 파생.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미로 활용됨. () 쓴맛이 나는 풀에서 '쓰다'는 의미를 생성. () 이리저리 헤아려 생각하다는 의미.

[2246] 稍 蠶 食 之 (초잠식지)한자점점 초 / 누에 잠 / 먹을 식 / 어조사 지의미점점 누에가 먹는다는 뜻으로, 조금씩조금씩 먹어 들어감을 이르는 말.字意() 벼의 줄기 끝의 의미에서 조금씩 더하거나 덜하여 지는 점점이나 작다는 뜻 파생. ‘()’는 발음 () () 두 개를 더해 많은 누에들이 뽕나무 잎을 갈아먹어 들어가는 것에서 누에의 의미를 생성.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2247] 初 志 一 貫 (초지일관)한자처음 초 / 뜻 지 / 한 일 / 꿸 관의미처음의 뜻이 하나로 꿰뚫다는 뜻으로, 처음에 세운 뜻을 이루려고 끝까지 밀고 나감을 이르는 말.동의어始終一貫 (시종일관) : 처음과 끝을 하나로 꿰뚫음.一以貫之 (일이관지) : 한 이치로 모든 것을 다 꿰뚫음.字意() 옷을 만들 때 옷감을 마름질하는 의미로 옷 만드는 첫 번째 과정이라는 의미에서 처음의 의미 생성. () 본래 [+]으로 마음이 가는 쪽이라는 의미에서 마음이 지향하는 의 의미 생성. () 꿰뚫어 통과하는 의미에서 꿰다’, ‘돈꿰미등의 의미 생성.초심고려, 초잠식지, 노심초사 - 교본파일(74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48] 稍 解 文 字 (초해문자)한자점점 초 / 풀 해 / 글월 문 / 글자 자의미문자를 조금 해독한다는 뜻으로, 겨우 글자를 뜯어 볼 정도의 낮은 지식이나 겸손한 표현으로 사용됨.字意() 벼의 줄기 끝의 뜻에서 조금씩 더해지거나 덜해지는 모양의 점점의 뜻과 작다는 뜻을 파생함. () []로 소[]의 뿔[]을 발려내는 의미에서 '해체한다'의 의미 생성. 후에 '해결한다'는 의미 파생. ()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 ‘채색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의 의미로 변천. () 본래 자궁에서 아이가 나오는 모양인데, 후에 번식한다는 의미로 인해 두 개 이상의 글자가 모여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글자의미 파생

[2249] 燭 刻 場 中 (촉각장중)한자촛불 촉 / 새길 각 / 터 장 / 가운데 중의미촛불이 새겨진 과장 안이라는 뜻으로, 불을 켠 초에 금을 그어 시간을 한정하고 글을 짓게 하는 과거 시험장의 상황을 나타내어, 정한 시각이 바싹 가까워 옴을 가리키는 말.字意() 촛불의 의미. '()'은 발음. () 돼지를 칼로 난도질하는 것에서 새기다’, ‘모질다등 생성. 때의 구분으로 시간의 의미 파생. () 마당이나 평지의 의미. ‘()’은 발음 요소.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2250] 蜀 犬 吠 日 (촉견폐일)한자나라이름 촉 / 개 견 / 짖을 폐 / 날 일의미촉땅의 개가 해를 보고 짓는다는 뜻으로, 산악지역에 운무(雲霧)까지 많이 해를 볼 날이 적은 촉땅의 개가 어쩌다 해를 보고는 괴이하게 여겨 짖는다는 고사에서, 식견이 좁아서 보통의 일을 보고 놀라는 상황이나 다른 탁월한 언행에 대해 이상하다는 의심으로 비난할 때 사용하는 말.字意() ‘애벌레의 의미인데, 유비의 촉한(蜀漢)으로 지명(地名)’이자 국명(國名)’으로 활용됨. 주로 발음으로 활용됨. () 개의 모양을 옆으로 그린 모양. 주로 짐승의 의미를 지닌 부수로 활용됨. () 개가 짖거나 짖는 소리를 의미. ()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 흑점으로 설명. 부수로 밝다’, ‘환하다등 의미로 활용됨.초해문자, 촉각장중, 촉견폐일 - 교본파일(75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51] 觸 目 傷 心 (촉목상심)한자닿을 촉 / 눈 목 / 상할 상 / 마음 심의미눈에 띄는 것이 마음을 상하게 한다는 뜻으로, 주변의 모든 것들이 마음을 상하게 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이르는 말.字意() 뿔로 찌르고 받는다는 의미에서 닿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등의 의미로 활용됨. () 몸을 다쳐 상처가 났다는 의미에서 상하다는 뜻 생성.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미로 활용됨.

[2252] 蜀 帝 化 杜 鵑 (촉제화두견)한자나라이름 촉 / 임금 제 / 될 화 / 막을 두 / 두견 견의미촉의 임금이 두견이 되었다는 뜻으로, 촉 망제(望帝) 혼백이 화하여 두견새가 되었다는 전설.유의어】▶ 蜀魂 (촉혼) : 子規(자규), 蜀鳥(촉조), 歸蜀道(귀촉도).字義() ‘애벌레의 의미인데, 유비의 촉한(蜀漢)으로 지명(地名)’이자 국명(國名)’으로 활용됨. 주로 발음으로 활용됨. () 제단과 유사한 모양에 천을 드리우고 있는 모양에서 위대한 임금의 의미 생성. () 변한다는 의미를 지닌 ()’에 사람을 변화시킨다는 의미를 결합함. () 능금과의 과수나무인 '팥배나무'의 의미인데, 후에 '막다', '닫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두견이과에 딸린 새. 접동새, 소쩍새.

[2253] 觸 處 逢 敗 (촉처봉패)한자닿을 촉 / 곳 처 / 만날 봉 / 패할 패의미닿는 곳에서 패함을 만난다는 뜻으로, 가는 곳마다 낭패를 당함을 이르는 말.字意() 뿔로 찌르고 받는다는 의미에서 닿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 사람이 의자에 앉아있는 모양에서 장소’, ‘처하다의 의미 생성. 부수인 호랑이머리()는 발음 역할임. () 마주치거나 만난다는 의미. () 화패 개념의 ()’를 두드려 깬다는 의미에서 깨뜨리다’, ‘패하다등의 의미를 생성함.촉목상심, 촉제화두견, 촉처봉패 - 교본파일(75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54] 寸 善 尺 魔 (촌선척마)한자마디 촌 / 착할 선 / 자 척 / 마귀 마의미한 치의 선행에 한 자의 마귀라는 뜻으로, 착한 일은 아주 적고 언짢은 일은 아주 많다는 의미.字意() 손 의미의 ()’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의 의미 생성. ()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 )’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의미까지 확대함. () 악귀나 마귀 같은 귀신의 의미. '()'는 발음 역할.

[2255] 寸 田 尺 宅 (촌전척택)한자마디 촌 / 밭 전 / 자 척 / 집 택의미한 치의 밭과 한 자의 주택이라는 뜻으로, 적은 재산이나 조그마한 땅뙈기를 이르는 말.字意() 손 의미의 ()’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 () 정지작업을 해 놓은 밭고랑으로 이어진 밭의 모양. 농업이나 토지의 의미로 활용됨. ()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 )’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의미까지 확대함. () 사람이 사는 주거(住居)의 의미에서 집이 들어있는 대지(垈地)’의 의미까지 확대됨.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의 집이나 부인 등을 부르는 말로 ()발음으로 사용됨.

[2256] 寸 進 尺 退 (촌진척퇴)한자마디 촌 / 나아갈 진 / 자 척 / 물러날 퇴의미한 치 나아가고 한 자 물러난다는 뜻으로, 얻은 것은 적고 잃은 것은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進寸退尺(진촌퇴척) ]字意() 손 의미의 ()’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 ()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다는 의미. 후에 벼슬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요소. ()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 )’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의미까지 확대함. 退() 물러나거나 물리친다는 의미. ‘()’은 발음요소로도 사용됨.촌선척마, 촌전척마, 촌진척퇴 - 교본파일(75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57] 寸 鐵 殺 人 (촌철살인)한자마디 촌 / 쇠 철 / 죽일 살 / 사람 인의미작은 칼로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짤막한 경구(警句)로 사람의 마음을 찌른다는 의미.유의어】▶ 頂門一鍼 (정문일침) : 정수리에 침을 놓음. 따끔한 충고.字意() 손 의미의 ()’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 ()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의 의미. () 해를 끼치는 미상의 동물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의미의 글자. 부수가 '몽둥이()'.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2258] 寸 草 春 暉 (촌초춘휘)한자마디 촌 / 풀 초 / 봄 춘 / 빛 휘의미작은 풀과 봄볕이라는 뜻으로, 봄철의 작은 풀이 봄 햇살에 무럭무럭 자랄 수 있듯이 부모의 은혜는 만분의 하나라도 갚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寸草는 봄풀로 자식의 효심을, ‘春暉는 봄볕으로 부모의 은혜를 비유.연관어】▶ 寸草心 (촌초심) : 부모의 은혜를 갚으려는 마음.字意() 손 의미의 ()’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 () 풀이 돋아난 모양인 ()가 부수로 활용되자 발음 ()’를 더해 별도의 글자를 만듦. ()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빛이나 광채(光彩)의 위미. ‘무리의 뜻인 ()’과 구별됨.

[2259] 村 學 究 (촌학구)한자마을 촌 / 배울 학 / 궁구할 구의미학식이 천박한 시골 글방의 선생으로 지칭하거나,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동의어】▶ 村夫子 (촌부자)字意() 목재로 건축물을 만들어 마을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나무만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시골의 의미를 파생함. ()은 발음. ()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의 배우다는 뜻 생성. () 깊은 구멍의 속에 이르다는 의미에서 사물의 궁극적 개념을 알아내는 궁구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는 발음.촌철살인, 촌초춘휘, 촌학구 - 교본파일(75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60] 聰 明 叡 智 (총명예지)한자귀밝을 총 / 밝을 명 / 밝을 예 / 지혜 지의미총명하고 슬기롭다는 뜻으로, 임금이나 성인이 지닌 귀 밝고 눈 밝고 다 통하고 다 아는 네 가지 덕을 칭송하는 말.字意() 귀가 잘 들리는 사람의 의미에서 총명하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눈이 잘 보이는 사람과 합해 聰明(총명)’의 의미를 생성함. ()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 밝고 깊이 사리에 통하는 밝다는 의미. 임금의 언행에 붙임. () 알고 있는 것[]을 겉으로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슬기’, ‘지혜의 의미 생성. 가 아니라 말하다()’의 의미로 사용된 것임.

[2261] 聰 明 好 學 (총명호학)한자귀밝을 총 / 밝을 명 / 좋아할 호 / 배울 학의미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총기가 있으면서도 배움을 좋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인다는 의미.字意() 귀가 잘 들리는 사람의 의미에서 총명하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눈이 잘 보이는 사람과 합해 聰明(총명)’의 의미를 생성함. ()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2262] 塚 中 枯 骨 (총중고골)한자무덤 총 / 가운데 중 / 마를 고 / 뼈 골의미무덤 속의 마른 뼈라는 뜻으로, 핏기 없이 뼈만 앙상한 사람을 나타내거나, 무능한 사람을 비유하기도 함.字意() 흙을 쌓아 만든 무덤의 의미.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나무가 말랐다는 의미에서 마르다’, ‘쇠하다등을 생성함. ‘()’는 발음. ()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총명예지, 총명호학, 총중고골 - 교본파일(75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63] 摧 堅 陷 陣 (최견함진)한자꺾을 최 / 굳을 견 / 빠질 함 / 진 진의미견고함을 꺾어 진지를 함락시킨다는 뜻으로, 적의 굳은 진영(陣營)을 꺾어 함락시킴을 이르는 말.동의어】▶ 摧鋒陷陣 (최봉함진) : 예봉을 꺾어 진지를 함락시킴.字意() 부러지거나 부러뜨리다는 의미. ‘()’는 발음. () 흙이 굳다는 뜻에서 '굳다'는 의미 생성. () 땅이 움푹 패여 빠지다는 의미. 후에 함락하다는 뜻 파행함. () 군대의 행렬의 의미에서 진영(陣營)’의 의미 확대, ‘늘어놓다()”과 일부 통용됨.

[2264] 催 枯 拉 朽 (최고납후)한자꺾을 최 / 마를 고 / 꺾을 랍 / 썩을 후의미마른 나무를 꺾고 썩은 나무를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일이 대단히 용이(容易)함을 이르는 말.동의어】▶ 摧枯折腐 (최고절부)유의어】▶ 易如反掌 (이여반장) : 손바닥을 뒤집듯이 쉬움.字意() 부러지거나 부러뜨리다는 의미. ‘()’는 발음. () 나무가 말랐다는 의미를 생성함. '()'는 발음. () 손으로 부러뜨리다는 의미. () 부패하여 썩거나, 기력과 능력이 약해진다는 의미.

[2265] 秋 霜 烈 日 (추상열일)한자가을 추 / 서리 상 / 세찰 렬 / 날 일의미가을 서리와 더운 태양이라는 뜻으로, 가을철의 찬 서리나 여름철의 뜨거운 해같이 형벌이 엄하고 공정함을 가리키는 말.字意()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서리의미에서 후에 세월을 파생하고, 차갑거나 법의 엄함 등의 의미까지 확대. () 불길이 세차고 거세게 부는 것에서, 후에 위엄’, ‘기상등의 의미 파생. ()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 흑점으로 설명. 부수로 밝다’, ‘환하다등 의미로 활용됨.최견함진, 최고납후, 추상열일 - 교본파일(75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66] 推 己 及 人 (추기급인)한자옮길 추 / 몸 기 / 미칠 급 / 사람 인의미자신을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으로, 제 마음을 표준삼아 남의 마음을 추측하는 것처럼 자기수양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 나가는 유가사상의 ()’의 가치를 설명하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손으로 밀어젖히다는 의미에서 옮기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 만물이 자신을 숨기고 있는 개념에서 의 의미 도출. () 사람[]과 손[]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2267] 秋 夜 如 歲 (추야여세)한자가을 추 / 밤 야 / 같을 여 / 해 세의미가을밤이 마치 한 해 같다는 뜻으로, 가을밤이 길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유의어】▶ 秋情如絲 (추정여사) : 가을의 정취가 마치 실과 같이 긺.字意()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달의 의미인 ()’을 사용해서 밤을 의미했고, ‘()’은 발음의 변화.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발 모양으로 시간의 흘러감을 표현해 세월’, ‘등의 의미를 생성함.

[2268] 追 友 江 南 (추우강남)한자쫓을 추 / 벗 우 / 강 강 / 남녘 남의미친구를 따라 강남 간다는 뜻으로, 별로 필요 없는 일을 남 덩달아 같이 하게 됨을 이르는 속담의 한역(漢譯).동의어】▶ 隨友適江南 (수우적강남) : 친구 따라 강남 간다.字意() 달린다는 의미의 ‘()’받침. 부수에 오른쪽 모양은 고대 군사들의 집결지 모양. 군사들의 행동을 표현해서 쫓다는 의미 생성. () 두 개의 손이 서로 맞잡고 있는 모양에서 가까운 친구 사이를 의미함. () 물이 줄기를 이루어 흐르는 것. 주로 중국의 남쪽 지방의 물줄기를 ()이라 하고, 북방 쪽은 ()’로 표현함. () 뿔 같은 장식을 단 북 종류의 악기의 모양인데, 중국 남방지방의 부족들이 사용해서 남쪽 방위부족의 의미를 지님.추기급인, 추야여세, 추우강남 - 교본파일(75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69] 推 舟 於 陸 (추주어륙)한자옮을 추 / 배 주 / 어조사 어 / 뭍 륙의미육지에서 배를 민다는 뜻으로, 고집스럽게 무리하여 행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관련어】▶ 碧昌牛 (벽창우) : 고집이 세고 무뚝뚝한 사람.字意() 손으로 밀어젖히다는 의미에서 옮기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 통나무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문장 속 어조사 역할.{서술어++보어}의 구조. () 큰 의미의 육지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오른쪽 부분인 ()’에 다시 언덕 의미인 ()’를 더해 명확하게 표현함. ‘()’은 발음 역할도 함.

 

[2269] 推 舟 於 陸 (추주어륙)한자옮을 추 / 배 주 / 어조사 어 / 뭍 륙의미육지에서 배를 민다는 뜻으로, 고집스럽게 무리하여 행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관련어】▶ 碧昌牛 (벽창우) : 고집이 세고 무뚝뚝한 사람.字意() 손으로 밀어젖히다는 의미에서 옮기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 통나무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문장 속 어조사 역할.{서술어++보어}의 구조. () 큰 의미의 육지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오른쪽 부분인 ()’에 다시 언덕 의미인 ()’를 더해 명확하게 표현함. ‘()’은 발음 역할도 함.

[2270] 推 此 可 知 (추차가지)한자옮을 추 / 이 차 / 옳을 가 / 알 지의미이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이것을 미루어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는 의미.유의어】▶ 推一事可知 (추일사가지) : 한 가지 일을 미루어 보아 모든 일을 알 수 있음.字意() 손으로 밀어젖히다는 의미에서 옮기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 멈춘다는 의미가 자신의 가장 가까운 곳의 의미에서 이것의 의미 생성. () 옳고 찬성한다는 의미에서 옳다는 의미 생성. ()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2271] 錐 處 囊 中 (추처낭중)한자송곳 추 / 곳 처 / 주머니 낭 / 가운데 중의미송곳이 주머니 속에 있다는 뜻으로,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절로 밖으로 나오는 것처럼, 재능이 있는 사람은 그 재능을 나타낼 만한 위치에 놓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囊中之錐 (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字意() 쇠붙이로 된 구멍 뚫는 도구인 송곳의미. 혹 화살촉으로도 봄. () 사람이 의자에 앉아있는 모양에서 장소’, ‘처하다의 의미 생성. 부수인 호랑이머리()는 발음 역할임. () 자루 안에 물건을 넣은 것에서 주머니’,‘자루의미 생성.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추주어륙, 추차가지, 추처낭중 - 교본파일(75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72] 秋 風 過 耳 (추풍과이)한자가을 추 / 바람 풍 / 지날 과 / 귀 이의미가을바람이 귀에 스친다는 뜻으로, 조금도 마음에 두지 않고 무관심하다는 뜻.유의어】▶ 馬耳東風 (마이동풍) : 말귀에 동풍.字意()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지다는 의미가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를 더함. () 오른쪽 모양은 ()’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의 의미에 과거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등의 의미를 파생함. ()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2273] 秋 風 落 葉 (추풍낙엽)한자가을 추 / 바람 풍 / 떨어질 락 / 잎 엽의미가을바람에 떨어지는 잎이라는 뜻으로, 낙엽처럼 세력이나 형세가 갑자기 기울거나 시듦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도 사용됨.字意()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지다는 의미가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를 더함. ()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부호. () 나무의 가지에 잎사귀들이 달려있는 모양으로, '''세상'의 의미가 아니라 잎사귀의 모양임.

[2274] 秋 毫 不 犯 (추호불범)한자가을 추 / 가는털 호 / 아니 불 / 범할 범의미조금도 범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마음씨가 매우 청렴하여 남의 것을 조금도 범하지 않는다는 의미.참고秋毫(추호): 가을철 짐승을 미세한 가는 털. ‘썩 미세함.’字意()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길고 끝이 뾰족한 가는 털의 의미에서 작은 것등의 의미 파생. () 사나운 개가 사람을 지키고 있는 모양에서 범하다는 의미를 생성함.추풍과이, 추풍낙엽, 추호불범 - 교본파일(75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75] 逐 鷄 望 籬 (축계망리)한자쫓을 축 / 닭 계 / 바랄 망 / 울타리 리의미닭을 쫓다 울타리를 바라본다는 뜻으로,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듯한다는 속담의 한역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맥이 빠진 경우에 이르는 말.字意() 짐승을 뒤쫓아가다는 의미에서 확대되어 따르다내쫓다의 두 가지 개념을 모두 사용함. () 가금(家禽)의 대표 격인 의 의미. 왼쪽은 발음부호. ()도 동일한 글자임. () 없는 것을 찾는다는 의미나 신하가 임금 보기를 하늘 보듯이 한다는 의미에서 바라다’, ‘바라보다등의 의미 생성. () 대나무로 만든 울타리의 의미. ‘()’는 발음.

[2276] 春 樹 暮 雲 (춘수모운)한자봄 춘 / 나무 수 / 저물 모 / 구름 운의미봄철의 나무와 저물 무렵의 구름이란 뜻으로, 멀리 있는 벗을 그리워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살아 있는 나무의 경우에 사용하는 나무의 의미로 만듦. ()는 발음 요소. () 해가 풀숲에 가린 저녁의 의미인 ()’없다로 사용되자 후에 ()’을 더해 저녁의 의미를 별도로 만듦. () 본래 ()’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와 결합해 만듦. ()말하다로 전용됨.

[2277] 春 秋 筆 法 (춘추필법)한자봄 춘 / 가을 추 / 붓 필 / 법 법의미춘추를 쓰는 법이라는 뜻으로,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論法)의 의미.참고】▶ 春秋 (춘추) : <공자(孔子)>가 저술한 노()나라의 역사서 유학(儒學) 오경(五經)의 하나.字意()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을 더함. () 물이 흘러가듯 순리대로 흘러가는 상황의 의미에서 규범’, ‘등의 의미를 생성함.축계망리, 춘수모운, 춘추필법 - 교본파일(75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78] 春 雉 自 鳴 (춘치자명)한자봄 춘 / 꿩 치 / 스스로 자 / 울 명의미봄철에 꿩이 스스로 운다는 뜻으로, 남이 시키거나 요구하지 않아도 때가 되면 제 스스로 함을 나타내거나, 혹은 묻지 않는 말에 제가 발언을 하여 화를 자초한다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꿩의 의미. ()는 발음 요소.()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새가 입으로 지저귀는 의미를 나타내, 새가 '운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우는 경우는 '()'이나 '()'을 사용함.

[2279] 春 風 秋 雨 (춘풍추우)한자봄 춘 / 바람 풍 / 가을 추 / 비 우의미봄바람과 가을비라는 뜻으로, 봄철에 부는 바람과 가을철에 내리는 비처럼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는 자나가는 세월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지다는 의미가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를 더함. ()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기후’,‘날씨등 의미로 활용됨.

[2280] 春 風 和 氣 (춘풍화기)한자봄 춘 / 바람 풍 / 화할 화 / 기운 기의미봄바람에 화창한 기운이라는 뜻으로, 봄날의 화창한 기운을 이르는 말.字意()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지다는 의미가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를 더함. () 입에 곡식이 골고루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뜻이 맞아 화평하다는 의미나 화합한다는 의미 생성. ()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는 발음 작용.춘치자명, 춘풍추우, 춘풍화기 - 교본파일(76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