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1] ◈ 土 牛 木 馬【한자】 흙 토 / 소 우 / 나무 목 / 말 마【의미】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牛(우) 뿔을 강조한 소의 머리 부분을 본뜬 글자. ◎ 木(목)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은 나무를 자른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馬(마) 말’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2412] ◈ 土 積 成 山 (토적성산)【한자】 흙 토 / 쌓을 적 / 이룰 성 / 산 산【의미】 흙덩이가 쌓이면 산을 이룰 수 있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쌓이고 쌓이면 크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 積土成山 (적토성산)【유의어】▶ 塵合泰山 (진합태산) : 티끌 모아 태산.【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積(적) 곡식을 모은다는 의미에서 ‘쌓다’, ‘모이다’ 등의 파생함. ‘責(책)’은 발음 요소.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山(산)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토영삼굴, 토우목마, 토적성산 - 교본파일(80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13] ◈ 吐 盡 肝 膽 (토진간담)【한자】 토할 토 / 다할 진 / 간 간 / 쓸개 담【의미】 간과 담을 토해서 다한다는 뜻으로, 실정을 거짓 없이 털어놓고 말함을 이르는 말. 【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盡(진) 손으로 그릇을 닦는 모습에서 ‘일을 마쳤다’는 의미 생성. ◎ 肝(간) 오장(五臟)의 하나인 간장의 의미. ‘干(간)’은 발음 ◎ 膽(담) 쓸개의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2414] ◈ 吐 哺 握 髮 (토포악발)【한자】 토할 토 / 먹을 포 / 쥘 악 / 터럭 발【의미】 먹은 것을 토하고 머리터럭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 주(周)나라의 주공(周公)이 손님이 오면 밥 먹을 땐 밥을 토하고 나오고, 머리감다가는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나와 맞이했다는 고사에서 현사를 얻기 위해 애씀을 이르는 말.【동의어】▶ 吐哺捉髮 (토포착발)【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哺(포) 배불리 먹는다는 의미에서 ‘먹다’, ‘먹이다’ 의미 생성.◎ 握(악) 손가락을 굽혀 물건을 쥐거나 주먹을 ‘쥔다’는 의미. ◎ 髮(발)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2415] ◈ 土 豪 劣 紳 (토호열신)【한자】흙 토 / 호걸 호 / 못날 렬 / 띠 신【의미】 지방의 호족과 용렬한 신사(紳士)라는 뜻으로, 횡포를 함부로 부리는 지방의 무외한(無賴漢)을 이르는데, 보통 관료나 군벌과 결탁하여 농민을 착취하던 중국 국민혁명 당시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豪(호) 큰집에서 돼지를 사용해 제례나 행사를 하는 의미에서 뛰어나다는 의미로 ‘호걸스럽다’나 그런 사람 의미 생성. ◎ 劣(렬) 힘이 적어 약하다는 의미에서 ‘못나다’는 뜻을 생성. ◎ 紳(신) 의복을 묶는 역할을 하는 ‘띠’의 의미. 申은 발음.▣ 토진간담, 토포악발, 토호열신 - 교본파일(805)이 포힘되어 있습니다
[2416] ◈ 通 家 之 誼 (통가지의)【한자】통할 통 / 집 가 / 어조사 지 / 옳을 의【의미】 통내외하는 집안의 정분이라는 뜻으로, 친한 친구끼리 서로 일가처럼 내외도 않고 지내는 정다운 우의(友誼)를 이르는 말. 【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家(가)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집’, ‘가정’의 의미로 사용. ◎ 誼(의) 마땅하다는 ‘宜(의)’에 ‘言(언)’을 더해 ‘옳음’을 의미함.
[2417] ◈ 洞 開 獄 門 (통개옥문)【한자】뚫을 통 / 열 개 / 옥 옥 / 문 문【의미】 옥문을 환히 연다는 뜻으로, 죄의 경중을 가리지 않고 은사(恩赦)로써 죄인을 다 내어 놓음을 이르는 말.【字意】◎ 洞(동/통) 물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의 의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동네, 마을이나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됨. (통)발음은 ‘통하다’, ‘꿰뚫다’는 의미. ◎ 開(개) 양손으로 닫힌 문을 연다는 의미에서 ‘열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閉(폐)닫다’. ◎ 獄(옥) 개가 으르렁거리면서 지켜 꼼짝 못하게 하는 곳의 의미에서 ‘감옥’의 의미 생성. ◎ 門(문)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힌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문’의 의미를 지님
[2418] ◈ 洞 開 重 門 (통개중문)【한자】뚫을 통 / 열 개 / 무거울 중 / 문 문【의미】 겹문을 활짝 연다는 뜻으로, 겹겹이 닫힌 문을 활짝 여는 것처럼 출입이 금지된 곳을 개방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洞(동/통) 물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의 의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동네, 마을이나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됨. (통)발음은 ‘통하다’, ‘꿰뚫다’는 의미. ◎ 開(개) 양손으로 닫힌 문을 연다는 의미에서 ‘열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閉(폐)닫다’. ◎ 重(중) 사람이 짐을 메고 가는 모양에서 ‘무겁다’는 의미 생성. 후에 ‘거듭’의 의미 파생. ‘里(리)’ 부수는 자형분류임. ◎ 門(문)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힌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문’의 의미를 지님.▣ 통가지의, 통개옥문, 통개중문 - 교본파일(80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19] ◈ 通 窮 振 困 (통궁진곤)【한자】통할 통 / 다할 궁 / 떨칠 진 / 곤할 곤【의미】 곤궁함을 융통하고 구제한다는 뜻으로, 곤궁한 자를 돕는다는 의미. 【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窮(궁) 본래 들어가기도 어려운 ‘좁은 굴’을 의미에서 ‘다하다’, ‘궁구하다’는 뜻을 파생하고 후에 ‘궁색하다’까지 파생. ◎ 振(진) 본래 손을 흔드는 것에서 위세 등을 '떨친다'는 의미로 확대됨. [여기서는 ‘구제하다(救濟)’는 의미] ◎ 困(곤) 사방의 울타리 안에 고목을 두고 있는 묵고 낡은 집의 의미에서 어려운 처지의 의미로 ‘곤하다’, ‘어렵다’ 등 생성.
[2420] ◈ 通 事 情 (통사정)【한자】통할 통 / 일 사 / 뜻 정【의미】 사정을 통한다는 뜻으로, 자기의 사정을 남에게 알리거나 남의 사정을 잘 알아줌을 이르는 말. 【유의어】▶ 通人情 (통인정) : 通情(통정)【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情(정) 감정과 정서의 의미. ‘靑(청)’은 변화된 발음.
[2421] ◈ 通 姓 名 (통성명)【한자】통할 통 / 성 성 / 이름 명【의미】 성명을 통한다는 뜻으로, 서로 인사하고 성명을 통한다는 의미. 주로 첫 대면의 인사를 교환한다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姓(성) ‘女’를 사용해 같은 겨레의 혈족이라는 것을 표현함. 生(생)은 발음 요소. ◎ 名(명) 어두운 저녁[夕]에 만난 상대를 확인하기 위해 부른다[口]는 의미에서 ‘이름’의 의미 생성.▣ 통궁진곤, 통사정, 통성명 - 교본파일(80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22] ◈ 痛 心 疾 首 (통심질수)【한자】아플 통 / 마음 심 / 병 질 / 머리 수【의미】 마음을 앓고 고치를 앓는다는 뜻으로, 몹시 걱정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坐不安席 (좌불안석) :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못함.【字意】◎ 痛(통) ‘疒(녁)’ 부수로 질병과 관련된 의미 생성. 疾病(질병)으로 ‘아프다’는 뜻 생성. 甬은 발음 요소.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 의미로 활용됨. ◎ 疾(질) 병[病]을 의미하는 의미. 失(실)은 발음 요소. 여기서는 ‘빠르다’는 의미. ◎ 首(수) 사람의 코[自]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2423] ◈ 痛 痒 相 關 (통양상관)【한자】 아플 통 / 앓을 양 / 서로 상 / 빗장 관【의미】 아픔과 가려움도 서로 관계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것처럼 매우 친밀한 사이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字意】◎ 痛(통) ‘疒(녁)’ 부수로 질병과 관련된 의미 생성. 疾病(질병)으로 ‘아프다’는 뜻 생성. 甬은 발음 요소. ◎ 痒(양) 걱정하고 속을 끓이다는 의미. 후에 상처나 가려움의 의미 파생. ‘羊(양)’은 발음. ◎ 相(상)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얼굴’과 ‘정승’ 등 의미 파생. ◎ 關(관) 문을 잠그는 빗장의 의미에서, 후에 지역을 경계하는 ‘관문’의 의미와 ‘상관하다’는 뜻으로 확대됨.
[2424] ◈ 痛 定 思 痛 (통정사통)【한자】 아플 통 / 정할 정 / 생각 사 / 아플 통【의미】 아픔이 진정되면 아픔을 회상한다는 뜻으로, 종전의 고통이나 실패를 반성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字意】◎ 痛(통) ‘疒(녁)’ 부수로 질병과 관련된 의미 생성. 疾病(질병)으로 ‘아프다’는 뜻 생성. 甬은 발음 요소. ◎ 定(정) 집안의 물건들을 잘 정돈한다는 의미에서 ‘정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正’은 발음. ◎ 思(사) ‘田’은 사람 뇌의 모양. 마음과 뇌에서 결정하는 생각이라는 의미 생성.▣ 통심질수, 통양상관, 통정사통 - 교본파일(80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25] ◈ 投 桃 報 李 (투도보리)【한자】 던질 투 / 복숭아 도 / 갚을 보 / 오얏 리【의미】 복숭아를 보낸 보답으로 오얏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보기로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복숭아나무의 의미. 兆(조)는 발음 요소. ◎ 報(보)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 자두나무의 의미를 나타냄. 子(자)는 발음 역할로 보거나 나무의 정령 등으로 설명함
[2425] ◈ 投 桃 報 李 (투도보리)【한자】 던질 투 / 복숭아 도 / 갚을 보 / 오얏 리【의미】 복숭아를 보낸 보답으로 오얏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보기로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복숭아나무의 의미. 兆(조)는 발음 요소. ◎ 報(보)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 자두나무의 의미를 나타냄. 子(자)는 발음 역할로 보거나 나무의 정령 등으로 설명함
[2426] ◈ 投 兵 息 戈 (투병식과)【한자】 던질 투 / 병사 병 / 쉴 식 / 창 과【의미】 병기를 던지고 창을 멈춘다는 뜻으로, 싸움을 그친다는 의미. 【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兵(병) 도끼를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무기를 든 병사의 의미를 생성함. ◎ 息(식) 사람의 ‘코’의 의미인 ‘自(자)’와 마음[心]을 합해 마음을 차분하게 지니면 숨도 차분하게 쉰다는 의미에서 ‘숨 고르다’, ‘쉬다’는 의미 도출. ◎ 손잡이가 달린 긴 자루 끝에 갈고리 모양의 칼날을 붙인 ‘창’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가 있고, 또는 ‘주살’의 옆에 날[一]을 달아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도 있음. 창, 무기, 전쟁 등으로 활용됨.
[2427] ◈ 投 鼠 恐 器 (투서공기)【한자】 던질 투 / 쥐 서 / 두려울 공 / 그릇 기【의미】 던져서 쥐를 잡으려 하나 그릇이 깨질까 두려워한다는 뜻으로, 임금 측근에서 알랑거리는 간신을 제거하고 싶으나 임금을 상하게 할까 걱정됨을 이르는 말.【동의어】▶ 投鼠忌器 (투서기기)【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지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鼠(서)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 恐(공) 두려워하고 겁낸다는 의미에서 ‘두려워하다’, ‘염려하다’ 파생. ◎ 器(기) 개가 주변 그릇을 지키는 모습이나 개고기를 담은 그릇의 의미.▣ 투도보리, 투병식과, 투서공기 - 교본파일(80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28] ◈ 鬪 而 鑄 兵 (투이주병)【한자】 싸울투 / 말이을 이 / 쇠부어만들 주 / 군사 병【의미】 싸움(전쟁)이 일어나고서야 병기를 주조(鑄造)한다는 뜻으로, 때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亡羊補牢 (망양보뢰) :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字意】◎ 鬪(투) 사람이 서로 머리를 잡고 싸우는 모양에서 확대되어 무기 등을 들고 싸우는 ‘전쟁’의 의미로 확대됨. ◎ 鑄(주) 쇠를 부어 만들다는 의미에서 ‘주조하다’는 의미 생성. ‘壽(수)’는 발음 요소. ◎ 兵(병) 도끼를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무기를 든 병사의 의미를 생성함.
[2429] ◈ 投 筆 成 字 (투필성자)【한자】 던질 투 / 붓 필 / 이룰 성 / 글자 자【의미】 붓을 던져 글씨를 이룬다는 뜻으로, 글씨에 능한 사람은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고 붓을 아무렇게나 휘둘러도 글씨가 잘 됨을 이르는 말. 【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筆(필)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竹(죽)’을 더함.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字(자) 본래 자궁에서 아이가 나오는 모양인데, 후에 번식한다는 의미로 인해 두 개 이상의 글자가 모여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글자’ 의미 파생.
2430] ▶ 特 立 獨 行 (특립독행)【한자】 특별할 특 / 설 립 / 홀로 독 / 행할 행【의미】 홀로 서서 홀로 행한다는 뜻으로, 세속에 따르지 않고 오로지 믿는 바에 따라 행동한다는 의미나 남에게 굴종하지 않고 소신을 수행함을 이르는 말.【字意】◎ 特(특) 희생으로 사용하는 수컷 소의 뜻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것에서 '특별하다'는 의미 생성. ◎ 立(립) 사람이 땅위에 서 있는 모양에서 ‘서다’는 의미 생성. ◎ 獨(독) 가상의 전설적 동물을 표현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홀로'의 의미로 사용됨. ◎ 行(행) 사방의 네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2430] ▶ 特 立 獨 行 (특립독행)【한자】 특별할 특 / 설 립 / 홀로 독 / 행할 행【의미】 홀로 서서 홀로 행한다는 뜻으로, 세속에 따르지 않고 오로지 믿는 바에 따라 행동한다는 의미나 남에게 굴종하지 않고 소신을 수행함을 이르는 말.【字意】◎ 特(특) 희생으로 사용하는 수컷 소의 뜻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것에서 '특별하다'는 의미 생성. ◎ 立(립) 사람이 땅위에 서 있는 모양에서 ‘서다’는 의미 생성. ◎ 獨(독) 가상의 전설적 동물을 표현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홀로'의 의미로 사용됨. ◎ 行(행) 사방의 네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투이주병, 투필성자, 특립독행 - 교본파일(8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31] ◈ 破 鏡 不 照 (파경부조)【한자】 깨뜨릴 파 / 거울 경 / 아니 불 / 비출 조【의미】 깨어진 거울은 비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부부 관계 따위의 일단 깨어진 것은 다시 원상대로 되돌아가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破鏡(파경): 부부의 이별]【동의어】▶ 破鏡不再照 (파경부재조)【유의어】▶ 洛花難上枝 (낙화난상지) : 떨어진 꽃은 가지에 올릴 수 없음.【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鏡(경) 고대 청동의 금속으로 거울을 만들어 ‘金’부수로 만들어짐. ‘竟’은 발음부호. ◎ 照(조) ‘昭(소)밝다’에 ‘火’를 더해 불빛이 밝게 ‘비추다’는 의미.
[2432] ◈ 破 瓜 之 年 (파과지년)【한자】 깨뜨릴 파 / 오이 과 / 어조사 지 / 해 년【의미】 ‘瓜’를 쪼갠 나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나이 16세[破瓜]를 의미하거나, 남자의 64세를 의미함. 【참고】▶ ‘瓜(과)’의 파자(破字); ‘八(팔)’이 두 개. 二八 16, 八八 64.【연관어】▶ 破瓜期 (파과기) : 여자의 經度가 처음 시작되는 15~16세.▶ 瓜年 (과년) : 결혼 적년기의 여자 나이.【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瓜(과) 넝쿨식물의 대표격인 '오이'나 '박'의 모양. ◎ 年(년)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禾]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해’, ‘나이’ 등 생성.
[2433] ◈ 破 器 相 接 (파기상접)【한자】 깨뜨릴 파 / 그릇 기 / 서로 상 / 접할 접【의미】 깨어진 그릇을 서로 맞춘다는 뜻으로, 이미 그릇된 일은 다시 수습하기 힘듦을 의미하거나, 그릇된 일을 바로잡으려고 쓸데없이 애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破器相從 (파기상종), ▶ 破器相準 (파기상준)【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器(기) 개가 주변 그릇을 지키는 모습이나 개고기를 담은 그릇의 의미. ◎ 相(상)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얼굴’과 ‘정승’ 등 의미 파생. ◎ 接(접) 서로 가까이 접하다는 의미에서 ‘사귀다’, ‘대접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파경부조, 파과지년, 파기상접 - 교본파일(81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34] ◈ 爬 羅 剔 抉 (파라척결)【한자】 긁을 파 / 그물 라 / 발라낼 척 / 도려낼 결【의미】 긁어모으고 발라낸다는 뜻으로, 남의 비밀이나 결점 따위를 파헤친다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숨은 인재를 널리 찾아낸다는 의미로도 사용됨.【字意】◎ 爬(파) 손톱으로 ‘긁다’는 의미. ‘巴(파)’는 발음. ◎ 羅(라) 그물과 벼리[維]의 결합으로 새 잡는 그물을 의미함. ◎ 剔(척) 칼로 뼈를 ‘바르다’는 의미에서 ‘없애버리다’ 등 파생함. ◎ 抉(결) 손으로 도려내고 후벼내다는 의미에서 ‘들추어내다’ 등 파생함.
[2435] ◈ 波 瀾 萬 丈 (파란만장)【한자】 파도 파 / 물결 란 / 일만 만 / 어른 장【의미】 파도가 치는 것이 만 길이나 된다는 뜻으로, 일의 진행에서 일어나는 몹시 심한 기복과 변화를 이르는 말. 【유의어】▶ 波瀾曲折 (파란곡절) : 많은 곤란과 변화.▶ 波瀾重疊 (파란중첩) : 온갖 변화와 난관이 많음 .【字意】◎ 波(파) 물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물결','파도'의 의미 생성. 후에 '움직이다, 동요하다' 등의 의미 파생. ◎ 瀾(란) 물결이 일어나는 상황을 의미함. ◎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丈(장) 十에 손[又]을 더해 한 뼘인 1척의 열배를 한 ‘丈’으로 표현하거나, 8尺을 丈으로 보아 성인의 키로 인해 ‘어른’의 표현으로도 사용함.
[2436] ◈ 破 廉 恥 漢 (파렴치한)【한자】 깨뜨릴 파 / 염치 렴 / 부끄러울 치 / 한수 한【의미】 염치가 없는 놈이라는 뜻으로,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뻔뻔스러운 사람을 이르는 말.【유의어】▶ 鐵面皮 (철면피) : 무쇠처럼 두꺼운 낯가죽.▶ 厚顔無恥 (후안무치) : 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이 없음.【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廉(렴) 날카로운 모서리의 의미에서 곧고 바른 의미와 검소하고 청렴하다는 의미를 파생함. ◎ 恥(치) 마음속으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의미. 羞(수)와 의미 통함. ◎ 漢(한) 중국 섬서성에서 발원한 한수(漢水)인데, 후에 나라이름과 중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여기서는 남자를 낮추어 이르는 '사나이', '놈' 등의 의미로 사용됨.▣ 파라척결, 파란만장, 파렴치한 - 교본파일(81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37] ◈ 破 壁 飛 去 (파벽비거)【한자】 깨뜨릴 파 / 벽 벽 / 날 비 / 갈 거【의미】 벽을 깨뜨리고 날아간다는 뜻으로, 양(梁)나라의 장승요(張僧繇)가 금릉의 안락사(安樂寺) 벽에 용을 그리고 눈동자를 찍었더니 용이 벽을 부수고 하늘로 날아갔다는 고사에서 평범한 사람이 갑자기 유명하게 출세함을 비유한 말.【연결어】▶ 畵龍點睛 (화룡점정) : 가장 중요한 부분의 완성 비유.【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壁(벽) 울타리나 바람벽의 의미. ◎ 飛(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 去(거) 위의 ‘土’모양은 본래 사람의 의미인 ‘大’ 모양임. 사람이 일정 방향으로 가는 것을 의미. 후에 ‘지나간 때’나 ‘버리다’, ‘죽이다’ 등의 의미 파생.
[2438] ◈ 破 釜 沈 船 (파부침선)【한자】 깨뜨릴 파 / 솥 부 / 가라앉을 침 / 배 선【의미】 솥을 깨뜨리고 배를 침몰시킨다는 뜻으로, 출진(出陣)에 즈음하여 병사들의 밥을 지을 솥을 깨뜨리고 병선(兵船)을 가라앉혀 살아 돌아오기를 기약하지 않고 결사(決死)의 각오로 싸울 것을 이르는 말. [ 沈船破釜 ]【유의어】▶ 濟河焚舟 (제하분주) : 강을 건너고 배를 불태움.▶ 背水陣 (배수진) : 물을 등지고 진을 침. [ 死而不避(사이불피) ]【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釜(부) 발이 없는 큰솥의 의미에서 솥의 범칭으로 사용됨. ◎ 沈(침) 물 속에 가라앉는다는 의미에서 ‘빠지다’ 등의 의미 생성. 성씨의 경우는 (심) 발음. ◎ 船(선) 배의 의미. 주로 舟(주)보다 큰 배에 사용. 오른쪽은 발음 표시 역할.
[2439] ◈ 破 邪 顯 正 (파사현정)【한자】 깨뜨릴 파 / 사악할 사 / 나타날 현 / 바를 정【의미】 사악함을 깨뜨리고 정도(正道)를 나타낸다는 뜻으로, 부처의 가르침에 어그러지는 사악한 생각을 깨뜨리고 올바른 도리를 뚜렷이 드러낸다는 의미.【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특정지역의 사람들을 폄하하는 의미에서 ‘간사하다’는 의미를 생성. 牙(아)는 발음 요소. ◎ 화려한 머리장식을 표현한 왼쪽 (현)자가 발음과 함께 사람 머리를 드러내다는 의미에서 ‘나타나다’는 뜻을 표현함. ◎ 正(정) 어떤 특정 지역[一]을 공격해 들어간다[止]는 의미에서 ‘바로잡다’는 뜻에서 ‘바르다’는 의미 생성. 혹은 하나의 원칙에 모든 행동을 그친다는 의미에서 ‘바르다’는 뜻으로 설명하기도 함.▣ 파벽비거, 파부침선, 파사현정 - 교본파일(81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40] ◈ 波 狀 攻 擊 (파상공격)【한자】 물결 파 / 형상 상 / 칠 공 / 칠 격【의미】 파도의 형상으로 공격을 한다는 뜻으로, 파도처럼 끊임없이 공격을 계속하는 일의 의미.【字意】◎ 波(파) 물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물결','파도'의 의미 생성. 후에 '움직이다, 동요하다' 등의 의미 파생. ◎ 狀(상) 맹수의 형상을 표시해서 상태를 의미함. ‘문서’ 의미의(장)은 발음의 전이. 爿(장)이 발음 역할. ◎ 攻(공) ‘치다[칠 복]’는 의미에서 ‘공격하다’는 의미 파생. ‘工(공)’은 발음. ◎ 擊(격) 수레에서 손에 창을 들고 공격한다는 의미에서 ‘치다’는 의미 파생
[2441] ◈ 破 顔 大 笑【한자】 깨뜨릴 파 / 얼굴 안 / 큰 대 / 웃을 소【의미】 얼굴을 찡그리며 크게 웃는다는 뜻으로, 한바탕 크게 웃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 破顔一笑 ]【유의어】▶ 拍掌大笑 (박장대소) : 손바닥을 치며 크게 웃음.▶ 抱腹絶倒 (포복절도) : 배를 끌어안고 넘어질 정도 웃음.【字意】◎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顔(안) 얼굴 전반의 ‘표정’과 ‘면목’ 등의 의미로 사용됨. 彦(언)은 발음 요소. ◎ 大(대)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笑(소) 본래 ‘꽃이 피다’에서 변화되어 짐승 짓는 소리나 사람의 ‘웃음소리’로 변함. 夭(요)는 발음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