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교실

[스크랩] 제25회 한자?한문 전문지도사자격시험 지도사 2급 A형

ria530 2016. 9. 3. 11:45

[ 基礎漢文敎育論Ⅰ ]
※ 다음 물음에 맞는 答을 골라 답안지의 해당 답란에 표기하시오.(1~ 1 0 )
1 . 漢字의 製字원리(六書) 중 用字원리인 것은? ( ① )


①轉注文字②指事文字③會意文字④形聲文字
* 2, 3, 4는 조자원리. 전주와 가차는 용자원리이다.


2 . 部首‘穴’의 구조를 올바르게 解字한 것은? ( ③ )
①宀+ 入②宀+ 儿③宀+ 八④宀+ 人
* 나눌 팔(八)로 파서 만든 움막이라는 뜻이다.


3 . 部首‘爪’, ‘又’가 다른 글자와 合字가 될 때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 ③ )
①사람 ②발 ③손 ④머리
* ‘爪’, ‘又’는 다른 글자와 합자를 이룰 때는 ‘손’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4 . ‘이별할 별, 다를 별, 분별할 별’의 구조로 옳은 것은? ( ④ )
①刂+ 㔾②刀+ 另③刀+ 叧④刀+ ฀
* 別자는 刀와 ฀(口+人)의 구조로 되어 있다.


5 . ‘歸’의 부수로 올바른 것은? ( ② )                       ①฀   ②止   ③彐  ④巾


6 . 같은 부수로 활용되고 있지 않은 것은? ( ② )       ①彐   ②㔾   ③⺕  ④彑
* ‘㔾’는 병부절이다. 나머지는 ‘돼지머리 계’이다.


7 . 部首의 變體字가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 ④ )   ①辵-辶②艸-艹③羊-฀ ④糸-系
* 糸: 실 사, 系: 이을 계.


8 . 部首가 ‘力’이 아닌 것은? ( ① )        ①幼   ②勝   ③務    ④功
* 幼의 부수는 幺이다.
9 . 한자의 뜻이 聲符에 있다고 주장한 학자와 그 說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④ )
①허신-설문해자 ②왕안석-자설 ③정약용-자설 ④왕성미-우문설


1 0 . 反切표기인 ‘徐兩切’에 해당하는 글자는? ( ② )     ①雪    ②象   ③森   ④西
* 徐兩切에서 앞 글자인 徐는 성모, 즉 초성 ‘ㅅ’을 취하고, 뒤 글자인 兩은 중성 ‘ㅏ’, ‘ㅑ’와 종
성 ‘ㅇ’을 취하여 ‘상’이라는 소리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답은 象이다.


[ 漢字․漢字語活用Ⅰ ]
※ 다음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1 1~ 2 0 )
1 1 . ‘靑白’의 構造와 해석하는 순서는? ( ④ )
①述語+目的語, 뒷글자를 먼저 해석 ②主語+ 述語, 앞 글자를 먼저 해석
③述語+補語, 뒷글자를 먼저 해석 ④竝列構造, 앞 글자를 먼저 해석
* 靑과 白은 일반명사로 병렬구조를 이룸. 순서대로 해석하여 ‘청과 백’.


1 2 . ‘漢字敎育’에서 소리를 길게 내는 글자들로 묶인 것은? ( ④ )
①漢과 育②敎와 字③字와 育④漢과 敎
* 한자 사성으로 漢와 敎는 去聲이며 이는 한글 사전의 장음과 일치한다.
1 3 . ‘像’이 바르게 쓰인 한자어는? ( ② )


①氣像廳②銅像建立③對像④像牙塔
* ①氣像廳은 氣象廳, 對像은 對象, 像牙塔은 象牙塔이다.


1 4 . 우리나라에서 만든 글자(國字)는? ( ④ )
①茶-차 차 ②洞-꿰뚫을 통 ③能-능할 능 ④畓-논 답
* 자전에서 國字(우리나라에서 만든 글자)와 國訓(우리나라에서 붙인 뜻)은 그 앞에 ‘國’이라 표시
한 것을 참고.


1 5 . 形聲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
①形符(의미 부분)과 聲符(소리 부분)이 있다.
②한자에서 가장 발달된 글자로 소리글화된 것이다.
③부수와 形符(의미 부분)으로 된 글자이다.
④한자의 육서 중에서 가장 많은 글자수를 갖고 있다.
* 形聲문자는 形符와 聲符, 즉 의미부분과 소리부분을 갖고 있다.


1 6 . 頭音法則의 예에 해당하는 한자어는? ( ③ )
①敎科書(굣꽈서) ②萬里(말리) ③烈烈(열렬) ④國家(구까)
* 두음 법칙은 머리 글자의 소리가 ‘ㄴ’과 ‘ㄹ’일 때 ‘ㅇ’으로 발음하는 것이다.


1 7 . 國音化(滑音調) 현상에 해당하는 한자어는? ( ① )
①六月(유월) ②極樂(긍락) ③任用(이묭) ④覺悟(가고)


1 8 . 한자의 장단음을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四聲에서 짧게 소리 나는 것은?( ② )
①上聲과 去聲②入聲과 平聲③上聲과 入聲④平聲과 去聲
* 한자의 사성 중 上聲과 去聲은 장음이고 平聲과 入聲은 단음이다.


1 9 . ‘讀書’와 같이 뒷 글자를 먼저 해석하는 구조가 아닌 것은? ( ④ )
①不知②登校③飮酒④愛情
* 뒤 글자를 먼저 해석하는 구조는 述目, 述補, 否定으로 愛情은 修飾구조이다.


2 0 . ‘道’의 훈음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 ④ )
①길 도 ②말할 도 ③이끌 도 ④칠할 도


※ 다음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2 1~ 2 9 )
2 1 .『四字小學』의 내용에 바탕이 된 책은? ( ② )
①『推句集』②『小學』③『千字文』④『學語集』
* 『사자소학』은 주로 『小學』이 바탕이 되었다.


2 2 . 九容의 足容必重에 “不輕擧也니 若趨于存長之前不可拘此(어르신 앞에 걸을 때
는 이에 구애되지 않는다)”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밑줄 친 부분처럼 행동하는 이
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③ )
①어른이 뒤에서 보살펴 주기 때문이다.
②어린사람의 민첩함과 활발함이 보기 좋기 때문이다.
③앞에서 어르신이 가는 길을 안내하고 보살펴야 하기 때문이다.
④어르신은 어린 사람의 앞에 서야하기 때문이다.


2 3 . 『四字小學』에서 ‘孝’와 관련된 故事에 등장하는 것들은? ( ② )
①잉어와 자라 ②죽순과 잉어 ③감과 밤 ④고사리와 취나물
* 사자소학에는 ‘죽순과 잉어’와 관련된 고사가 나온다.


2 4 . 문장의 구조의 기호가 바르게 되어 있는 것은? ( ③ )
(∥는 주어와 술어, |는 술어와 목적어, / 는 술어와 보어, ㅡ는 수식어를 표시함.)
①口|勿/ 雜談②口|勿∥雜談
③口∥勿|雜談④口/ 勿|雜談
* 主語+述語+目的語의 구조이다.


2 5 . ‘男有四德’에서 被修飾語는? ( ④ )     ①男    ②有    ③四  ④德
* 主+述+補구조로 四德은 補語句이다. 四德의 四는 德을 修飾하는 修飾語.

 

2 6 . “兄有過失”에서 밑줄 친 ‘過失’을 바르게 해석한 것은? ( ① )
①허물과 실수 ②허물된 실수 ③지나간 실수 ④형이 잃어버림
* 병렬구조는 순서대로 해석함.


2 7 . ‘弟無飮食’을 해석하는 순서로 바른 것은? ( ③ )
①弟-食-飮-無②飮-食-弟-無③弟-飮-食-無④弟-無-飮-食
* 주+술+보 구조로 주어, 보어, 술어의 순서로 해석함.


2 8 . ‘天道之常’이 가리키는 것은? ( ② )
①仁義禮智②元亨利貞③禮義廉恥④身言書判
*仁義禮智는 인성지강. 禮義廉恥는 四維. 身言書判은 四德이다.


2 9 . 九思의 ‘疑思必問’에 대한 說明으로 바른 것은? ( ② )
①顔色整齊無怠慢之氣(얼굴빛을 단정히 하여 태만한 기색이 없어야 한다.)
②有疑于心必就先覺審問不知不措(마음속에 의심이 있으면 반드시 선각자에게
물어야 하니 모르고서 그대로 두지 않는다.)
③無事則當端拱不妄動(일이 없을 때는 단정히 손을 모으고 함부로 움직이지
않는다.)
④當正攝形氣不可出口噦咳等雜聲(형기를 가다듬어 구역질하거나 트림을 하
는 잡소리를 내지 아니한다.)


※ 다음 文章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3 0~ 3 3 )
父母有過어시든 諫3 0 )而不逆이니라
3 1 )諫若不入이어든    3 2 )說    3 3 )則復諫이니라


3 0 . 위 글의 밑줄 친 ‘而’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 ① )
①~하여도 ②~ 하면 ③~하므로 ④~하도록


3 1 . 위 글의 밑줄 친 ‘諫若不入’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 ① )
①간하여도 받아들이지 않으시거든.
②간하여도 안으로 들이지 않으시거든.
③받아들이지 않아도 간하여.
④간하면 받아들이지 않으실 지라도.


3 2 . 위 글의 밑줄 친 ‘說’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 ④ ) ①말씀 설 ②말씀 세 ③설득할 세 ④기쁠 열
3 3 . 위 글의 밑줄 친 ‘則’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 ④ ) ①~이나 ②바로, 곧 ③~ 하고 곧 ④~ 하면


※ 다음 文章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3 4~ 3 5 )
蓬生3 4 )麻中하면 不扶自直이니라
3 4 . 위 글의 밑줄 친 ‘麻中’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 ① )
①삼 가운데 ②마비되는 중 ③지내는 동안 ④베옷에 맞음


3 5 . 위 글과 관계 깊은 성어는? ( ③ )
①晩食當肉②比比皆然③近墨者黑④隔靴搔癢


[ 推句指導法]
※ 다음 詩를 읽고 물음에 맞는 答을 고르시오.(3 6~ 4 1 )
水國秋光暮하니 驚寒雁陣高로다
3 7 )憂心  3 9 )輾轉夜에   4 0 )殘月照  4 1 )弓刀로다


3 6 . 위 詩의 지은이는? ( ④ )  ①丁若鏞  ②林悌  ③南怡  ④李舜臣
3 7 . 위 詩의 밑줄 친 ‘憂心’의 뜻으로 적당한 것은? ( ③ )
①멀리 떠난 자식을 걱정하는 마음이다.
②홀로 계신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이다.
③나라의 일을 걱정하는 마음이다.
④날씨가 매우 사나워 불안해하는 마음이다.


3 8 . 위 詩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 ② )
①이 시의 韻字는 暮, 高, 刀이다. ②平聲으로 押韻하였다.
③이 시는 平起式이다. ④이 시는 五言律詩형식이다

* 이 시는 오언 절구이다. 起句의 두 번째 글자가 國으로 입성이므로 仄聲의 측기식. 暮는 去聲으
로 高와 刀의 平聲운통에 해당하지 않아서 운자라고 할 수 없다.


3 9 . 위 詩의 밑줄 친 ‘輾轉’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 ① )
①누워서 이리저리 몸을 뒤척임. ②밤이 어두워지며 요동침.
③마음이 요동치며 괴로워 함. ④계속 몸을 굴리며 앞으로 나아감.


4 0 . 위 詩의 밑줄 친 ‘殘月’의 해석 상 가장 잘 어울리는 뜻은? ( ③ )
①초저녁 떠오른 달. ②낮같이 밝은 달.
③새벽녘까지 지지 않은 달. ④낮에 뜬 희미한 달.


4 1 . 위 詩의 밑줄 친 ‘弓刀’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 ② )
①殘月의 모양이 칼과 활 같이 구부러졌다는 의미이다.
②지은이가 지니고 있는 무기를 말한다.
③지은이가 활과 칼을 기다리고 있다는 말이다.
④기러기가 날아가는 모습을 비유한 것이다.


※ 물음에 맞는 答을 고르시오.(4 2~ 4 7 )
4 3 )春水滿四澤하고 夏雲多4 4 )奇峰이로다
秋月揚明輝하고 冬嶺秀孤松이로다


4 2 . 위 詩를 人生에 견주어 볼 경우, 詩語와 의미가 어울리지 않은 것은?( ④ )
①春水=祝福②夏雲= 希望③秋月=成功④冬嶺=死滅
* 冬嶺은 절개를 나타내고 있다.


4 3 . 위 詩의 밑줄 친 부분의 주된 문장 構造는? ( ② )
①主語+ 術語+ 目的語②主語+ 術語+ 補語
③主語+ 術語+ 目的語+ 補語④主語+ 目的語+ 術語
* ‘主語+ 術語+ 目的語’의 구조로 되어 있다. “가을 달은 밝은 빛을 드날리네.”


4 4 . 위 詩의 밑줄 친 ‘奇’의 구조로 옳은 것은? ( ① )
①大+ 可②六+ 可③土+ 可④立+ 可


4 5 . 위 詩에서 主語로 쓰인 글자들로만 묶인 것은? ( ① )
①水․雲․月․嶺②滿․多․揚․秀
③澤․雲․揚․秀④春․夏․秋․冬


4 6 . 위 詩의 詩語가운데 修飾構造가 아닌 것은? ( ③ )
①四澤②奇峰③嶺秀④孤松


4 7 . 위 詩를 띄어 읽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③ )  ①3 ․2 ②1 ․2 ․2 ③2 ․3 ④2 ․2 ․1
* 보통 5언은 2․3, 칠언은 4․3으로 읽는다.


※ 물음에 맞는 答을 고르시오.(4 8~ 5 0 )
好4 8 )  博閑4 9 )忘宅하고 看章細覺5 0 )情이로다
4 8 . 위 詩의 밑줄 친 ‘博’의 뜻으로 바른 것은? ( ② )  ①넓다 ②도박 ③박식하다 ④치다


4 9 . 위 詩의 밑줄 친 ‘忘宅’은 무엇을 표현한 것인가? ( ③ )
①종지 ②종지기 ③망태기 ④명태


5 0 . 위 詩의 밑줄 친 ‘情’의 뜻으로 바른 것은? ( ④ )  ①감정 ②정리 ③본성 ④뜻


[ 基礎漢文敎育論Ⅰ ]
※ 다음 漢字들의 部首를 찾아 그 訓音을 쓰시오.(5 1~ 5 4 )
5 1 . 出( 입벌릴 감 )   5 2 . 攻( 칠 복 )  5 3 . 廻( 길게걸을 인 )   5 4 . 災( 불 화 )
* 각각 한자들의 부수는 凵(입벌릴 감), 攵(칠 복), 廴(길게걸을 인), 火(불 화)이다. 위터진입구,
둥굴월문, 민책받침, 개미허리 등은 부수의 이름이다.


※ 제시된 漢字의 六書(製字原理)에 맞는 글자를 하나씩 쓰시오.(5 5~5 7 )
5 5 . 會意( )    5 6 . 象形( )    5 7 . 指事( )

 

※ 물음에 맞는 答을 쓰시오.(5 8 )
5 8 . 다음은 『설문해자』에서 어떤 부수를 설명한 문장이다. 설명에 맞는 부수를
漢字로 쓰시오. ( 彳)
ㆍ小步也象人脛三屬連也
ㆍ잔걸음이다. 사람의 정강이(上股, 中脛, 下足)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그린
것이다.
ㆍ발만 움직여 작은 걸음으로 걸어간다는 뜻이다.
※ 물음에 맞는 答을 쓰시오.(5 9~ 6 1 )
十5 9 )人守之6 0 )不得察一賊
5 9 . 위 글의 밑줄 친 ‘人’의 六書(製字原理)를 漢字로 쓰시오. ( 象形)
6 0 . 위 글의 밑줄 친 ‘不得’의 독음을 쓰시오. ( 부득 )
6 1 . ‘得+ 述語’의 문장 구조에서 ‘得‘의 해석으로 맞는 것은? ( ② )
①얻다 ②할 수 있다 ③헤아리다 ④주의하다
* ‘得+述語’와 ‘能+술어’는 ‘~할 수 있다’의 뜻이다.


※ 다음 漢字의 聲符를 쓰시오.(6 2~ 6 5 )
6 2 . 超( 召)   6 3 . 婚( 昏)  6 4 . 航( 亢)   6 5 . 腥( 星)


※ 밑줄 친 부분과 같은 뜻의 漢字를 주어진 音에 맞게 쓰시오.(6 6~ 7 2 )
국어란  6 6 )우리가   6 7 )쓰는 말과 글을 말한다.
때문에 국어는 한글이라고 하는 말을 딱 맞는 말이라고 하기엔   6 8 )어디엔가
  6 9 )아쉬움이 있다. 교육과정 속에서『국어』라고 하는 교과서에서 나오는 말을
7 0 )모두 국어라고 한다면 7 1 )지나치다고 할 수 있을까? 『국어』교과서에 나오
는 영어, 숫자, 외국사람 이름, 한자어 등 모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들이다. 7 2 )그러므로 한글만 국어라고 하여 한자어를 7 3 )소홀히 한다면 안 될
일이다.
6 6 . 오 ( 吾) 6 7 . 사 ( 使) 6 8 . 하 ( 何)6 9 . 석 ( 惜) 7 0 . 제 ( 諸)

7 1 . 과 ( 過)7 2 . 고 ( 故) 7 3 . 홀 ( 忽)


※ 제시된 글자가 들어간 한자를 하나씩 쓰시오.(7 4~ 7 5 )
7 4 . 절구 구 ( 臼의 예: 舀) ( 舊, 舂, 舅)
7 5 . 깍지 국 ( ฀의 예: 學) ( 與, 興, 轝, 輿)
* 『설문해자』에서는 독립적인 부수로 구분되어 있으나, 『字彙』에서부터 동일한 부수로 사용
되고 있다.


[ 漢字․漢字語活用Ⅰ ]
※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맞는 答을 쓰시오.(7 6~ 7 7 )
7 6 . ‘最’의 구성 요소인 ‘曰’을 字源에 적합한 형태의 漢字로 쓰시오.( 冃)
7 7 . ‘反’의 구성 요소인 ‘厂’의 훈음을 字源에 맞게 쓰시오. ( 언덕 한 )
* ‘最’는 冃+取이며 ‘反’은 厂+又이다. 反은 언덕을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기어오른다는
의미이므로 厂은 ‘언덕 한’이며 又는 ‘손 우’이다.
※ 다음 漢字의 部首를 찾아 漢字로 쓰시오.(7 8~ 8 1 )
7 8 . 表( 衣) 7 9 . 協( 十)  8 0 . 風( 風)   8 1 . 或( 戈)


※ 다음의 글자에서 공통된 구성 요소로 사용된 漢字의 原字와 그 훈음을 쓰시

8 2 . 肖, 將, 炙( 肉, 고기 육 )
※ 字源에 맞는 한자를 쓰시오.(8 3~ 8 4 )
8 3 . 자원: 艸+ 勹+ 口+ 攵( 敬)
8 4 . 자원: 手+ 爪+ 冖+ 又( 授)
※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낱말을 漢字語로 바꿔 쓰시오.(8 5~ 9 2 )
글이란 말이며   8 5 )공동도구이다
혼자 보는 일기나 통하는 사람끼리 보는 8 6 )서간이야 아무렇게 적어도 참작
하여 알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이 읽는 글은 8 7 )최소한 8 8 )철자법과
8 9 )자획이 9 0 )통일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글과 말을 바르게 쓰고 사랑하며 이해
함은 한자—한문 공부에서는 더욱 중요하고, 이에 대한 9 1 )평가를 받고자 하는
9 2 )시험에서는 더 말할 필요도 없다.
8 5 . ( 共同道具) 8 6 . ( 書簡)    8 7 . ( 最小限)   8 8 . ( 綴字)

 8 9 . ( 字劃)       9 0 . ( 統一)   9 1 . ( 評價)       9 2 . ( 試驗)
※ 다음의 한자들은 ‘見’이 구성 요소로 사용되었다. 각각의 글자의 뜻에 어울리는
‘見’의 훈음을 쓰시오.(9 3~9 4 )
9 3 . 觀( 볼 견 )   9 4 . 現( 보일 현 )


* 두 글자 모두 형성 문자이다. 觀은 성부인 雚(황새관)과 형부인 見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見이
부수이다. 現은 성부인 見(보일 현)과 형부인 玉으로 구성되어 있다. 觀은 ‘잘 살펴보는 것’이고 現
은 ‘보이는 것을 보는 것’으로 見자의 역할이 서로 다르다.
※ 뜻에 맞는 한자어를 쓰시오.(9 5~ 9 7 )
9 5 . 명세: 분명하고 자세함. ( 明細)
9 6 . 전도: 장차 나아갈 길. ( 前途)
9 7 . 고착: 굳게 붙음. ( 固着)
※ 밑줄 친 한자의 훈음을 주어진 한자어의 뜻에 어울리게 쓰시오.(9 8~ 1 0 0 )
9 8 . 相殺( 감할 쇄 )    9 9 . 歌手( 사람 수, 전문가 수 )
1 0 0 .復興( 다시 부 )
* 한자의 훈은 그 용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한자어 속에서 한자의 뜻의 다양함을 이해하여야 한
다.
[ 四字小學指導法]
※ 다음의 漢字語를 直譯하시오.(1 0 1~ 1 0 4 )
1 0 1 . 拜謁( 절하고 뵙다 )        1 0 2 . 有方( 방소가 있다 )
1 0 3 . 在勤( 부지런함에 있다 ) 1 0 4 . 不可不( 아니할 수 없다 )
* 직역이라 함은 한자의 뜻을 분명히 밝히는 것으로 임의로 해석하지 않는 것이다.


※ 밑줄 친 부분은 漢字로 고쳐 쓰고, □안에는 알맞은 漢字를 넣으시오.(1 0 0~1 0 7 )
1 0 5 )선之家            1 0 6 )必有餘  □
1 0 7 )□之家            1 0 8 )必有餘 앙    

1 0 9 ) 終身讓반          1 1 0 )不失一 □           

1 1 1 ) 終身讓□              1 1 2 )不왕百步
1 0 5 . ( 善) 1 0 6 . ( 慶) 1 0 7 . ( 惡) 1 0 8 . ( 殃)
1 0 9 . ( 畔) 1 1 0 . ( 段) 1 1 1 . ( 路) 1 1 2 . ( 枉)


※ □안에 알맞은 漢字를 넣으시오.(1 1 3~ 1 1 6 )
1 1 3 . 德業相□ ( 勸) 1 1 4 . 過失相□ ( 規)
1 1 5 . 禮俗相□ ( 交) 1 1 6 . 患難相□ ( 恤)


※ 밑줄 친 한자의 訓音을 주어진 문장의 의미에 맞게 쓰시오.(1 1 7~ 1 2 0 )
1 1 7 . 聖人之謨( 꾀할 모 ) 1 1 8 . 鰥寡孤獨( 과부 과 )
1 1 9 . 常德固持( 떳떳할 상 ) 1 2 0 . 弟有過誤( 잘못 오 )
     * 한자의 훈은 그 용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한자어 속에서 한자가 지닌 뜻의

     다양함을 이해하여야한다.
※ ‘가르치다’라는 동일한 훈을 가진 다음의 한자로, 뜻의 차이가

    변별되도록 한자어를 만들어 쓰시오.(1 2 1~1 2 3 )
1 2 1 . 敎( 敎育) 1 2 2 . 訓( 訓戒)   1 2 3 . 誨( 誨誘, 誨者)
     * 한자의 뜻은 한자어를 구성하는 다른 글자에 의하여 달라짐을 이해하여야 한다.
※ 다음 문장을 문법적 구조에 의거 直譯하시오.(1 2 4~ 1 2 5 )


1 2 4 . 父母愛之( 부모님이 사랑하시거든 )
1 2 5 . 喜而勿忘( 기뻐하고 잊지 말아라. )


[ 推句指導法]
※ 다음의 한자어를 解釋하시오.(1 2 6~ 1 2 8 )
1 2 6 . 扶桑( 해가 뜨는 동쪽 바다 속에 있다는 나무. )
1 2 7 . 若木( 해가 지는 서쪽에 있다는 나무. )
1 2 8 . 三湘( 세 곳의 물이 합쳐지는 곳. )
     * 전고나 고사를 잘 이해하여야 詩를 분명하게 이해 분명하여 지므로

     이들의 바른 이해가 요구된다.
※ 다음 詩를 읽고 물음에 答하시오.(1 2 9~ 1 3 5 )
    獨坐無來客하고 空庭雨氣昏이로다
    魚搖1 3 4 )荷葉動하고 鵲踏樹梢翻이라
    琴潤絃猶響하고 爐寒火尙存이로다
     泥途妨出入하니 終日可關門이로다
1 2 9 . 위 詩의 지은이의 이름을 漢字로 쓰시오. ( 徐居正)
1 3 0 . 위 詩의 제목을 漢字로 쓰시오 ( 獨坐)
1 3 1 . 위 詩의 形式을 漢字로 쓰시오. ( 五言律詩)
1 3 2 . 위 詩에서 對偶를 이루어야 하는 聯을 漢字로 쓰시오. ( 頷聯, 頸聯)
1 3 3 . 위 詩의 韻字를 순서대로 모두 漢字로 쓰시오. ( 昏, 翻, 存, 門)
1 3 4 . 위 詩의 밑줄 친 ‘荷’의 다양한 훈음을 쓰시오. ( 연꽃하, 짐하, 꾸짖을하 )
1 3 5 . 위 詩首聯의 처음 句는 主語가 생략되어 있다. 생략된 주어를 살려 쓰시오.
( 我, 吾)
     ※ 물음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1 3 6~ 1 3 7 )
1 3 6 . “大旱得甘雨”에 ‘三年’을 넣어 7언구로 만드시오. ( 三年大旱得甘雨)


1 3 7 . “他鄕逢故人”에 ‘萬里’를 넣어 7언구로 만드시오. ( 萬里他鄕逢故人)
      * 오언과 칠언은 보통 주어부의 줄임과 보탬으로 차이가 난다.
     ※ 『推句集』의 밑줄 친 구절을 해석하시오.(1 3 8~ 1 4 1 )
1 3 8 . 日暮鷄登塒( 홰에 오른다 )
     * 주어 + 술어 + 보어의 구조이다.
1 3 9 . 南北不能尺( 잴 수가 없다 )
       * 부정의 표현. ‘能+ 동사’는 ‘동사 할 수 있다’의 의미이다.
1 4 0 . 六月亭下秋( 정자 아래는 가을이다 )
      * 주어 + 술어의 구조이다.
1 4 1 . 黃金黑吏心( 아전의 마음을 검게 한다 )
      * 술어 + 목적어의 구조이다.


※ 다음 詩를 읽은 후 물음에 答하시오.(1 4 2~ 1 4 5 )
1 4 2 )月移山影改하고     日下 1 4 3 )樓痕消로다
        野廣1 4 4 )天低樹하고 江淸1 4 5 )月近人이로다
1 4 2 . 위 시의 밑줄 친 ‘月移’를 풀이하시오. ( 개를 부르는 소리 )
1 4 3 . 위 시의 밑줄 친 ‘樓痕消’를 풀이하시오. ( 누워있는 소 )
1 4 4 . 위 시의 밑줄 친 ‘天低樹’를 1 0자 이내로 해석하시오. (하늘이 나무보다 낮다)
1 4 5 . 위 시의 밑줄 친 ‘月近人‘을 1 0자 이내로 해석하시오. ( 달이 사람에 가깝다 )


    ※ 다음 句節에서 밑줄 친 부분을 세 글자의 漢字로 쓰시오.(1 4 6~ 1 4 7 )
1 4 6 . 산속의 달은 새벽에 더욱 밝도다. 山月( 曉仍明)
1 4 7 . 꽃이 떨어지기 이전이 봄이라. 花落( 以前春)
    ※ 다음 句節에서 밑줄 친 부분을 漢字로 쓰시오.(1 4 8~ 1 4 9 )
1 4 8 . 山雨야명죽하고 ( 夜鳴竹) 1 4 9 . 草蟲추입상이라 ( 秋入床)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골라 번호를 쓰시오.(1 5 0 )
1 5 0 . ‘百聯抄解’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 ④ )
     ①조선조 명종 때 김인후가 만든 교재이다.
     ②漢詩聯句를 뽑아 만들었다.
     ③한시 百首(百聯)를 국문으로 번역한 책이다.
     ④五言句로 된 詩들로 되어 있다.
    ** 수고하셨습니다! **

출처 : 작은 물보라
글쓴이 : 무지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