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磁器 國寶 (2)
國寶 93호 백자철화포도문호
白磁鐵畵葡萄文壺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중앙박물관
현재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이 수준의 작품은
사옹원(司甕院) 직계 가마의 생산품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이 포도 그림도 틀림없이 어느 저명한
도화서(圖畵署) 재적화가(在籍畵家)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
國寶 107호 이조백자철사포도문호
조선시대 검은색 안료를 사용해 포도무늬를 그린 백자항아리로,
높이 53.3㎝, 아가리지름 19.4cm, 밑지름 18.6cm이다.
;;;
國寶 166호 백자철화매죽문대호
조선시대 백자항아리로
높이 41.3㎝, 입지름 19㎝, 밑지름 21.5㎝의 크기이다.
;;
國寶 168호 백자진사매국문병
조선전기에 만들어진 백자병으로
높이 21.4㎝, 입지름 4.9㎝, 밑지름 7.2㎝이다
;;
國寶 170호 청화 백자 매조죽문호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16.8㎝, 입지름 6.1㎝,
밑지름 8.8㎝의 뚜껑있는 백자 항아리이다
;
國寶 264호 청화백자산수화조문대호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백자 항아리로,
크기는 높이 54.8㎝, 아라리 지름 19.2㎝, 밑 지름 18㎝이다.
;
國寶 261호 백자호
이 불상은 막연히 경주(慶州) 오릉(五陵) 근처 절터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전하나 근거 없는 말이며,
아직 그것이 전해져 오는 유래를 알 수 없다.
다만 조각수법으로 보아 국보(國寶) 제78호 반가상보다
연대가 내려와, 삼국(三國) 말기에 의 제작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다.
;
國寶 281호 백자주자
조선시대 만들어진 백자로 만든 병모양의 주전자로 총 높이 32.9㎝,
병 높이 29㎝, 아가리 지름 6㎝, 밑 지름 11.4㎝의 크기이다.
;
國寶 294호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
높이 42.3㎝, 아가리 지름 4.1㎝, 밑 지름 13.3㎝인
이 병에 붉은색 안료인 진사, 검은색 안료인 철사,
푸른색 안료인 청화를 함께 곁들여 장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
國寶 176호 청화백자<홍치명>송죽문호
조선 성종 20년(1489)에 만들어진 청화백자 항아리로
소나무와 대나무를 그렸다.
크기는 높이 48.7㎝, 입지름 13.1㎝, 밑지름 17.8㎝이다
이 항아리는 오랫동안 지리산 화엄사에
전해져 왔던 유물인데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옮겨놓았다
國寶 219호 청화백자매죽문호
조선 전기에 제작된 높이 41㎝, 아가리 지름 15.7㎝,
밑 지름 18.2㎝인 청화백자 항아리이다
;
國寶 222호 청화백자매죽문호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청화백자 항아리로
높이 29.2㎝, 아가리 지름 10.7㎝, 밑 지름 14㎝이다
國寶 172호 진양군 영인정씨묘 출토유물
편병은 높이 2.17㎝, 밑지름 7.7㎝로 몸통이 둥글고
앞뒤로 납작한 모양이다.
;
國寶 175호 백자 상감연당초문 대접
고려 백자의 전통을 이은 조선 전기의 백자 대접으로
높이 7.6㎝, 입지름 17.5㎝, 밑지름 6.2㎝이다.
;;;
國寶 177호 분청사기인화문태호<내외호>
분청사기로 만든 태(胎) 항아리로, 1970년 고려대학교 구내에서
건축공사를 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이 항아리들은 15세기 중엽 인화문(印花文) 분청사기의
가장 세련된 작품이다.
;;;
國寶 178호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
조선 전기 분청사기 편병으로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
國寶 179호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편병으로 높이 22.5㎝, 아가리 지름 5.2㎝,
바닥 지름 8.6㎝의 크기이다.
;
國寶 259호 분청사기 상감용문호
조선시대 만들어진 항아리로 아가리가 밖으로 살짝 말리고
어깨에서부터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서서히 좁아진 모습을 하고 있다.
크기는 높이 49.7㎝, 아가리 지름 15㎝,
밑 지름 21.2㎝로 기벽이 두껍고 묵직하다.
'잡다한아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국보순례(4) 금과. 장식품 (0) | 2012.03.12 |
---|---|
[스크랩] 국보순례(5)도자기 (0) | 2012.03.12 |
[스크랩] 수맥이야기[1] (0) | 2012.03.12 |
[스크랩] 수맥이야기[2] (0) | 2012.03.12 |
[스크랩] 이런경우에 수맥이 있다 (0) | 201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