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스크랩] 周易(주역)과 공자의 鬼神觀

ria530 2012. 6. 16. 10:59

?황제음부경?에는 ‘사람들은 神의 신령스러움은 알지만 그 神이 神이 된 바는 알지 못한다(人이 知其神之神하고 不知其神之所以神이라)’는 구절이 있다. 천지자연의 신묘한 이치를 깨우쳐 아는 것이 곧 神을 아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사람들은 마치 神을 초월적이면서 기이한 존재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다.

 

흔히 유가(儒家)에서는 신에 관한 얘기를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는 ?주역?과 공자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데서 나오는 얘기이다. 공자는 ?주역? 십익전에서 神에 대해 두루 언급하고 있다. 계사전이나 설괘전을 보면 神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까지 나온다.

 

?주역?에서는 陰의 작용은 鬼가 되고, 陽의 작용은 神이라고 한다. 즉 “음양으로도 헤아리지 못하는 것을 신이라(陰陽不測之謂 神이라:계사상전 제5장)” 정의하고 있다. 또한 數(양수와 음수)의 변화 또한 음양의 변화로 보고 “天地의 수가 55니, 이것으로써 변화하며 귀신을 행한다(凡天地之數 五十有五니 此 所以成變化하며 而行鬼神也라-계사상전 제9장)”고 하였다.

 

천지자연의 이치가 곧 神이다

妙神文(묘신문)이라고도 불리는 설괘전 제6장에는 神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神이라는 것은 만물을 묘하게 함을 말하는 것이니, 만물을 움직이는 것이 우레보다 빠른 것이 없고, 만물을 흔드는 것이 바람보다 빠른 것이 없고, 만물을 말리는 것이 불보다 말리는 것이 없고, 만물을 기쁘게 하는 것이 연못보다 기쁘게 하는 것이 없고, 만물을 적시는 것이 물보다 적시는 것이 없고, 만물을 終하여 始하는 것이 艮보다 성한 것이 없으니, 그러므로 물과 불이 서로 따르며, 우레와 바람이 서로 거스르지 아니하며 산과 못이 기운을 통한 후에야 능히 변화하여 만물을 다 이루느니라 (神也者는 妙萬物而爲言者也니 動萬物者 莫疾乎雷하고 撓萬物者 莫疾乎風하고 燥萬物者 莫熯乎火하고 說萬物者 莫說乎澤하고 潤萬物者 莫潤乎水하고 終萬物始萬物者 莫盛乎艮하니 故로 水火 相逮하며 雷風이 不相悖하며 山澤이 通氣然後에아 能變化하야 旣成萬物也하니라).”

 

공자는 한마디로 만물을 묘하게 하는 것이 神이라 하였다. 神妙하다는 말이 나온 배경이다. 유가에서 조상과 부모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부모 자식 관계가 대대로 이어지는 것을 신묘한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천지자연의 이치를 신묘한 것으로 보고 제사와 경의를 표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즉 자식은 부모의 신이 아니면 나올 수 없고, 만물은 천지의 신이 아니면 나올 수가 없는 것이다. 이 모두가 천지자연의 지극히 정미롭고도 신묘한 변화작용이라는 이치에 의한 것이다.

 

지극한 정성이 곧 神이다(至誠如神)

그러므로 ?중용?에서 공자의 말을 인용하여 “鬼神之爲德이 其盛矣乎인저(귀신의 덕됨이 성대한저)”라고 하였다. 이어 子思는 ?시경? 大雅 억(抑)편의 “神之格思를 不可度思온 矧可射思아(신이 이르는 것을 가히 헤아리지 못하는데 하물며 가히 싫어하랴)”를 인용하여 “夫微之顯이니 誠之不可揜이 如此夫인저(대저 미미한 것이 나타나니 정성을 가히 가리지 못함이 이와 같은저)”라고 하였다. 다시 말해 神은 ‘미미한 것의 드러남(微顯)’으로, 至誠如神(지극한 정성은 신과 같다)이라고 하였다.

 

한편 공자가 팔일편 12장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제사를 지냄에 정성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즉 신은 신묘하여 “視之而弗見하며 聽之而弗聞이로대 體物而不可遺니라 (보려 해도 보이지 아니하며,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아니하되 물건에 체화되서 가히 버리지 못하느니라- ?중용?16장)”하니 신이 마치 옆에 있는 듯 정성을 다하라는 뜻이다.

 

思 어조사 사   度 헤아릴 탁   矧 하물며 신   射 쏠 사, 쏠 석, 여기서는 싫어할 역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溫故知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