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아야기

[스크랩] 소통의 법칙

ria530 2012. 12. 24. 10:31

疏通(소통)의 法則


사람들은 귀 때문에 망하는 사람보다
입 때문에 망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1.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뒤'에서도 하지 마라.
뒷말은 가장 나쁘다.

구시렁거리지 마라.


2. '말'을 독점하면 '적'이 많아진다.
적게 말하고 많이 들어라.

들을수록 내편이 많아진다.


3. 목소리의 '톤'이 높아질수록

'뜻'은 왜곡된다.
흥분하지 마라.

낮은 목소리가 힘이 있다.


4. '귀'를 훔치지 말고

'가슴'을 흔드는 말을 하라.
듣기 좋은 소리보다

마음에 남는 말을 하라.


5. 내가 '하고'싶은 말보다

상대방이 '듣고'싶은 말을 해라.
하기 쉬운 말보다

알아듣기 쉽게 이야기해라.


6. 칭찬에 '발'이 달려있다면

험담에는 '날개'가 달려있다.
나의 말은 반드시 전달된다.
허물은 덮고 칭찬은 자주 해라.


7. '뻔'한 이야기 보다

'펀'(fun)한 이야기를 해라.
디즈니만큼 재미있게 해라.


8. '혀'로만 말하지 말고

'눈'과 '표정'으로 해라.
비언어적 요소가

언어적 요소보다 힘이 있다.


9. 입술의 '30'초가

가슴의 '30'년 된다.
나의 말 한마디가

누군가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


10. '혀'를 다스리는 것은 나지만

내 뱉어진 '말'이 나를 다스린다.
함부로 말하지 말고

한 번 말한 것은 책임을 져라.



 

◈ 어머니 여한가(餘恨歌) ◈

옛 어머니들의 시집살이, 자식 거두기,
질박한 삶을 노래한 글과 사진입니다.

꾸민 이야기가 아닌 순박한 삶의 표현입니다.
마치 종처럼, 머슴처럼 산 기록을
이 글로 대신 체험해 보세요.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옛 어머니의 생각에 눈믈이 납니다 -


쇠락하는 양반댁의 맏딸로 태어나서
반듯하고 조순하게 가풍을 익혔는데
일도 많은 종갓집 맏며느리 낙인 찍혀

열 여덟 살 꽃다울제 숙명처럼 혼인하여

두 세 살씩 터울 두고 일곱 남매 기르느라
철 지나고 해 가는 줄 모르는 채 살았구나!

봄 여름에 누에치고, 목화 따서 길쌈하고
콩을 갈아 두부 쑤고, 메주 띄워 장 담그고
땡감 따서 곶감 치고, 배추 절여 김장하고

호박 고지 무 말랭이 넉넉하게 말려두고
어포 육포 유밀과 과일주에 조청까지
정갈하게 갈무리해 다락 높이 간직하네.

찹쌀 쪄서 술 담그어 노릇하게 익어지면
용수 박아 제일 먼저 제주부터 봉해두고
시아버님 반주꺼리 맑은 술로 떠낸 다음

청수 붓고 휘휘 저어 막걸리로 걸러내서
들일하는 일꾼네들 새참으로 내보내고
나머지는 시루 걸고 소주 내려 묻어두네.

피난 나온 권속들이 스무 명은 족한데
더부살이 종년처럼 부엌 살림 도맡아서
보리쌀 절구질해 연기로 삶아 건져

밥 짓고 국도 끓여 두 번 세 번 차려내고
늦은 저녁 설거지를 더듬더듬 끝마치면
몸뚱이는 젖은 풀솜 천 근처럼 무거웠네

동지 섣달 긴긴 밤에 물레 돌려 실을 뽑아
날줄을 갈라 늘여 베틀 위에 걸어 놓고
눈물 한 숨 졸음 섞어 씨줄을 다져 넣어

한 치 두 치 늘어나서 무명 한 필 말아지면
백설같이 희어지게 잿물 내려 삶아내서
햇볕에 바래기를 열두 번은 족히 되리

하품 한 번 마음 놓고 토해보지 못한 신세
졸고있는 등잔불에 바늘귀를 겨우 꿰어
무거운 눈 올려 뜨고 한 뜸 두 뜸 꿰매다가

매정스런 바늘 끝이 손톱 밑을 파고들면
졸음일랑 혼비백산 간데 없이 사라지고
손끝에선 검붉은 피 몽글몽글 솟아난다.

내 자식들 헤진 옷은 대강해도 좋으련만
점잖으신 시아버님 의복 수발 어찌 할꼬?
탐탁잖은 솜씨라서 걱정부터 앞서고

공들여서 마름질해 정성스레 꿰맸어도
안목 높고 까다로운 시어머니 눈에 안 차
맵고 매운 시집살이 쓴맛까지 더했다네

침침해진 눈을 들어 방안을 둘러보면
아랫목서 윗목까지 자식들이 하나 가득
차 내버린 이불깃을 다독다독 여며주고

막내 녀석 세워 안아 놋쇠 요강 들이대고
어르고 달래면서 어렵사리 쉬 시키면
일할 엄두 사라지고 한숨이 절로 난다

학식 높고 점잖으신 시아버님 사랑방에
사시사철 끊임없는 접빈객도 힘겨운데
사대 봉사 제사는 여나무 번 족히 되고

정월 한식 단오 추석 차례상도 만만찮네
식구들은 많다해도 거들 사람 하나 없고
여자라곤 상전 같은 시어머니 뿐이로다

고추 당추 맵다해도 시집살이 더 매워라.
큰 아들이 장가들면 이 고생을 면할 건가?
무정스런 세월가면 이 신세가 나아질까?

이 내 몸이 죽어져야 이 고생이 끝나려나?
그러고도 남는 고생 저승까지 가려는가?
어찌하여 인생길이 이다지도 고단한가?

토끼 같던 자식들은 귀여워할 새도 없이
어느 틈에 자랐는지 짝을 채워 살림나고
산비둘기 한 쌍 같이 영감하고 둘만 남아

가려운데 긁어주며 오순도순 사는 것이
지지리도 복이 없는 내 마지막 소원인데
마음 고생 팔자라서 그마저도 쉽지 않네

안채 별채 육간 대청 휑하니 넓은 집에
가믄 날에 콩 나듯이 찾아오는 손주 녀석
어렸을 적 애비 모습 그린 듯이 닮았는데

식성만은 입이 짧은 제 어미를 탁했는지
곶감 대추 유과 정과 수정과도 마다하고
정 주어볼 틈도 없이 손님처럼 돌아가네


명절이나 큰 일 때 객지 사는 자식들이
어린 것들 앞 세우고 하나 둘씩 모여들면
절간 같던 집안에서 웃음 꽃이 살아나고

하루 이틀 묵었다가 제 집으로 돌아갈 땐
푸성귀에 마른 나물, 간장, 된장, 양념까지
있는 대로 퍼 주어도 더 못 주어 한이로다

손톱 발톱 길 새 없이 자식들을 거둔 것이
허리 굽고 늙어지면 효도 보려한 거드냐?
속절없는 내 한평생 영화 보려한 거드냐?

꿈에라도 그런 것은 상상조차 아니 했고,
고목 나무 껍질 같은 두 손 모아 비는 것이
내 신세는 접어두고 자식 걱정 때문일세.

회갑 진갑 다 지나고 고희마저 눈앞이라
북망산에 묻힐 채비 늦기 전에 해두려고
때깔 좋은 안동포를 넉넉하게 끊어다가

윤달 든 해 손 없는 날 대청 위에 펼쳐 놓고
도포 원삼 과두 장매 상두꾼들 행전까지
두 늙은이 수의 일습 내 손으로 지었네

무정한 게 세월이라 어느 틈에 칠순 팔순
눈 어둡고 귀 어두워 거동조차 불편하네
홍안이던 큰 자식은 중늙은이 되어 가고

까탈스런 영감은 자식조차 꺼리는데
내가 먼저 죽고 나면 그 수발을 누가 들꼬?
제발 덕분 비는 것은 내가 오래 사는 거라

내 살 같은 자식들아 나 죽거든 울지 마라!
인생이란 허무한 것 이렇게 늙는 것을
낙이라곤 모르고서 한평생을 살았구나

출처 : 불구명리 불구영
글쓴이 : 수미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