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 우리풍수 | 왕릉과 동작동 국립묘지] |
선조 임금 할머니 창빈 안씨가 원주인 |
서울에서 ‘천하의 명당’을 볼 수 있는 데가 두 곳 있다. 여기서 말하는 ‘명당’이란 풍수에서 말하는 객관적 요건을 갖춘 좋은 땅으로, 그곳에 무덤을 쓰거나 살면 복을 받는 땅을 말한다. 서울 도심 한복판 어디에 그러한 명당이 있을까? 하나는 동작동 국립묘지이고, 다른 하나는 효창운동장 부근의 효창원이다. 동작동 국립묘지는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대통령(이승만, 박정희)과 국무총리, 장관, 장군 등 수많은 고위 공직자를 비롯해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일반 장병들의 영혼이 안장된 곳이다. 동작동 국립묘지가 해방 이후 정부인사들의 무덤이라면, 효창원은 김구 선생을 비롯한 해방 이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이 안장된 곳. 규모에 차이가 있지만 두 군데 모두 ‘국립묘지’인 셈이다. 원래 이 두 곳은 왕릉이었다. 조선시대 왕릉 입지 선정에 가장 중요한 사항이 풍수지리였다. 대개 왕릉 터를 잡을 때에는 풍수에 능한 조정대신, 풍수전문 관료인 지관, 그리고 왕실을 대표하는 종친들이 현장을 직접 몇 번씩 가보고 결정하기 때문에 백성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땅이 대부분이다. 흔히 동작동 국립묘지를 이승만 대통령의 명으로 1950년대 초에 터 잡기가 이루어진 곳이라고 소개하지만, 이곳에는 이미 450년 전 ‘동작릉’이 있었다. 동작릉의 원래 주인은 TV 사극 ‘여인천하’에도 등장한 창빈 안씨(昌嬪安氏, 1499~1549)다. 창빈은 조선 11대 임금 중종의 후궁으로 중종과의 사이에 2남1녀를 두었다. 둘째 아들이 덕흥군이고, 덕흥군의 막내아들 하성군(河城君)이 훗날 선조 임금이다. 이와 관련해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1549년 10월 창빈이 죽자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 장흥 땅에 모셨다. 그러나 터가 좋지 않아 이듬해에 서울 동작동으로 이장하고 능의 이름을 동작릉(銅雀陵)이라 불렀다. 이곳 동작릉에 창빈을 안장한 뒤 덕흥군은 막내아들 하성군을 얻었다(1552년). 당시 임금은 문정왕후 소생인 명종. 아들이 없었던 명종은 조카들 가운데 하성군을 특히 총애해 궁궐에 자주 불렀다. 명종이 붕어하자 하성군이 그 뒤를 잇게 되는데 바로 선조 임금이다(1567년). 이렇게 후궁의 막내 손자가 임금이 되자, 동작릉의 명당발복 때문이라는 소문이 난 것이다. (계속)
|
'잡다한아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천연기념물(소나무/향나무) (0) | 2012.03.19 |
---|---|
[스크랩] 서울의 산-화장산 (0) | 2012.03.19 |
[스크랩] 국립현충원 진혈처 유무 (0) | 2012.03.19 |
[스크랩] 국립현충원 진혈처 유무 (0) | 2012.03.19 |
[스크랩] 봉황포란형에 석물 삼가 (0) | 201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