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아야기

[스크랩] 국립묘지 혈처

ria530 2012. 3. 19. 14:03

[우리문화 우리풍수 | 왕릉과 동작동 국립묘지]

선조 임금 할머니 창빈 안씨가 원주인

창빈 안씨의 무덤 ‘동작릉’

서울에서 ‘천하의 명당’을 볼 수 있는 데가

두 곳 있다. 여기서 말하는 ‘명당’이란

풍수에서 말하는 객관적 요건을 갖춘

좋은 땅으로, 그곳에 무덤을 쓰거나 살면

복을 받는 땅을 말한다.

서울 도심 한복판 어디에

그러한 명당이 있을까?

하나는 동작동 국립묘지이고, 다른 하나는 효창운동장 부근의 효창원이다.

동작동 국립묘지는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대통령(이승만, 박정희)과

국무총리, 장관, 장군 등 수많은 고위 공직자를 비롯해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일반 장병들의 영혼이 안장된 곳이다.

동작동 국립묘지가 해방 이후 정부인사들의 무덤이라면,

효창원은 김구 선생을 비롯한 해방 이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이 안장된 곳.

규모에 차이가 있지만 두 군데 모두 ‘국립묘지’인 셈이다.

원래 이 두 곳은 왕릉이었다.

조선시대 왕릉 입지 선정에 가장 중요한 사항이 풍수지리였다.

대개 왕릉 터를 잡을 때에는 풍수에 능한 조정대신, 풍수전문 관료인 지관,

그리고 왕실을 대표하는 종친들이 현장을 직접 몇 번씩 가보고

결정하기 때문에 백성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땅이 대부분이다.

흔히 동작동 국립묘지를 이승만 대통령의 명으로

1950년대 초에 터 잡기가 이루어진 곳이라고 소개하지만,

이곳에는 이미 450년 전 ‘동작릉’이 있었다.

동작릉의 원래 주인은 TV 사극 ‘여인천하’에도 등장한

창빈 안씨(昌嬪安氏, 1499~1549)다.

창빈은 조선 11대 임금 중종의 후궁으로 중종과의 사이에 2남1녀를 두었다.

둘째 아들이 덕흥군이고, 덕흥군의 막내아들 하성군(河城君)이 훗날 선조 임금이다.

이와 관련해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1549년 10월 창빈이 죽자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 장흥 땅에 모셨다. 그러나 터가 좋지 않아 이듬해에 서울 동작동으로

이장하고 능의 이름을 동작릉(銅雀陵)이라 불렀다.

이곳 동작릉에 창빈을 안장한 뒤 덕흥군은 막내아들 하성군을 얻었다(1552년).

당시 임금은 문정왕후 소생인 명종. 아들이 없었던 명종은 조카들 가운데

 하성군을 특히 총애해 궁궐에 자주 불렀다. 명종이 붕어하자 하성군이

그 뒤를 잇게 되는데 바로 선조 임금이다(1567년).

이렇게 후궁의 막내 손자가 임금이 되자,

동작릉의 명당발복 때문이라는 소문이 난 것이다. (계속)

[우리문화 우리풍수 | 왕릉과 동작동 국립묘지]
선조 임금 할머니 창빈 안씨가 원주인

 

창빈 안씨의 무덤 ‘동작릉’

실제 창빈이 묻힌 동작릉은

풍수적으로 좋은 땅일까?

동작릉을 찾아가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국립묘지 정문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 묘소로

가면 왼쪽에 비교적 넓은 주차공간이 나오는데, 그곳에 ‘창빈 안씨’ 묘소를 알리는 안내표지와

창빈 안씨의 신도비가 보인다.

신도비에서 20m쯤 올라가면 곡장(曲牆)이 둘러처진

창빈 안씨의 무덤이 단아한 모습으로 자리잡고 있다.

동작동국립묘지의 가운데에 위치한 창빈 안씨의 무덤은 풍수에서 말하는 혈처(穴處). 정문에서 이곳을 바라보면 주변을 감싸고 있는 산들이 마치 봉황이 날개를 펼친 모습. 동작릉은 바로 그 날개 속에 감싸인 알의 형상이다.

銅雀이란 위나라 조조가 구리로 만든 봉황새를 옥상에 올려두었다는

동작대(銅雀臺)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동작이란 곧 봉황을 의미한다.

지형지세를 사물의 형세에 비유해 표현하는 것을 물형론(형국론)이라고 한다.

이곳을 물형론에 대입해보면 봉황포란형(鳳凰抱卵形)의 땅이다.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 정문에서 바라본 동작릉 전경

창빈 안씨 무덤 뒤로 이어지는 산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내각 수반, 장관, 유명인사, 장군들이 안장된 작은 산봉우리가 하나 있다.

동작동 국립묘역에서 창빈 안씨 무덤 다음으로 좋은 지기가 뭉쳐 있는 곳이다.

동작릉과 이곳을 중심으로 좌우와 앞쪽으로

수많은 애국자들의 무덤들이 늘어서 있다.

이곳은 조선시대의 왕릉과 대한민국의 국립묘지가 서로 갈등 없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곳말고도 서울 근교에는 많은 왕릉들이 있다. 이중에서 몇 군데는 이와 같이 국가를 위해 살다간 애국자의 묘역으로 활용해보는건 어떨까? (끝)


김두규/ 우석대 교수 dgkim@core.woosuk.ac.kr
발행일 : 2004 년 09 월 23 일 (453 호)
쪽수 : 89 ~ 89 쪽

출처 : 불구명리 불구영
글쓴이 : 수미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