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集註卷之八 離婁章句下 凡三十三章
<제1장> 孟子ㅣ 曰舜은 生於諸馮하샤 遷於負夏하샤 卒於鳴條하시니 東夷之人也ㅣ시니라 文王은 生於崎周하샤 卒於畢郢하시니 西夷之人也ㅣ시니라 地之相去也ㅣ 千有餘里며 世之相後也ㅣ 千有餘歲로대 得志行乎中國하샨 若合符節하니라 先聖後聖이 其揆一也ㅣ니라
<제2장> 子産이 聽鄭國之政할새 以其乘輿로 濟人於溱洧한대 孟子ㅣ 曰惠而不知爲政이로다 歲十一月에 徒杠이 成하며 十二月에 輿粱이 成하면 民未病涉也ㅣ니라 君子ㅣ 平其政이면 行辟人이 可也ㅣ니 焉得人人而濟之리오 故로 爲政者ㅣ 每人而悅之면 日亦不足矣리라
<제3장> 孟子ㅣ 告齊宣王曰君之視臣이 如手足則臣視君을 如腹心하고 君之視臣이 如犬馬則臣視君을 如國人하고 君之視臣이 如土芥則臣視君을 如寇讎ㅣ니이다 王曰禮에 爲舊君有服하니 何如ㅣ라아 斯可爲服矣니잇고 曰諫行言聽하야 膏澤이 下於民이오 有故而去則君이 使人導之出疆하고 又先於其所往하며 去三年不反然後에 收其田里하나니 此之謂三有禮焉이니 如此則爲之服矣니이다 今也앤 爲臣이라 諫則不行하며 言則不聽하야 膏澤이 不下於民이오 有故而去則君이 搏執之하고 又極之於其所往하며 去之日에 遂收其田里하나니 此之謂寇讎ㅣ니 寇讎에 何服之有ㅣ리오
<제4장> 孟子ㅣ 曰無罪而殺士則大夫ㅣ 可以去ㅣ오 無罪而戮民則士ㅣ 可以徙ㅣ니라
<제5장> 孟子ㅣ 曰君仁이면 莫不仁이오 君義ㅣ면 莫不義니라
<제6장> 孟子ㅣ 曰非禮之禮와 非義之義를 大人이 弗爲니라
<제7장> 孟子ㅣ 曰中也ㅣ 養不中하며 才也ㅣ 養不才라 故로 人樂有賢父兄也ㅣ니 如中也ㅣ 棄不中하며 才也ㅣ 棄不才면 則賢不肖之相去其間이 不能以寸이니라
<제8장> 孟子ㅣ 曰人有不爲也而後에 可以有爲니라
<제9장> 孟子ㅣ 曰言人之不善하다가 當如後患에 何오
<제10장> 孟子ㅣ 曰仲尼는 不爲已甚者ㅣ러시다
<제11장> 孟子ㅣ 曰大人者는 言不必信이며 行不必果ㅣ오 惟義所在니라
<제12장> 孟子ㅣ 曰大人者는 不失其赤子之心者也ㅣ니라
<제13장> 孟子ㅣ 曰養生者ㅣ 不足以當大事ㅣ오 惟送死ㅣ아 可以當大事ㅣ니라
<제14장> 孟子ㅣ 曰君子ㅣ 深造之以道는 欲其自得之也ㅣ니 自得之則居之安하고 居之安則資之深하고 資之深則取之左右에 逢其原이니 故로 君子는 欲其自得之也ㅣ니라
<제15장> 孟子ㅣ 曰博學而詳說之는 將以反說約也ㅣ니라
<제16장> 孟子ㅣ 曰以善服人者는 未有能服人者也ㅣ니 以善養人然後에 能服天下하나니 天下ㅣ 不心服而王者ㅣ 未之有也ㅣ니라
<제17장> 孟子ㅣ 曰言無實不祥하니 不祥之實은 蔽賢者ㅣ 當之니라
<제18장> 徐子ㅣ 曰仲尼ㅣ 亟稱於水曰水哉水哉여 하시니 何取於水也ㅣ시니잇고 孟子ㅣ 曰原泉이 混混하야 不舍晝夜하야 盈科而後에 進하야 放乎四海하나니 有本者ㅣ 如是라 是之取爾시니라 苟爲無本이면 七八月之間에 雨集하야 溝澮ㅣ 皆盈이나 其涸也는 可立而待也ㅣ니 故로 聲聞過情을 君子ㅣ 恥之니라
<제19장> 孟子ㅣ 曰人之所以異於禽獸者ㅣ 幾希하니 庶民은 去之하고 君子는 存之니라 舜은 明於庶物하시며 察於人倫하시니 由仁義行이라 非行仁義也ㅣ시니라
<제20장> 孟子ㅣ 曰禹는 惡旨酒而好善言이러시다 湯은 執中하시며 立賢無方이러시다 文王은 視民如傷하시며 望道而未之見이러시다 武王은 不泄邇하시며 不忘遠이러시다 周公은 思兼三王하샤 以施四事하샤대 其有不合者ㅣ어든 仰而思之하샤 夜以繼日하샤 幸而得之어시든 坐以待旦ㅣ러시다
<제21장> 孟子ㅣ 曰王者之迹이 熄而詩亡하니 詩亡然後에 春秋ㅣ 作하니라 晉之乘과 楚之檮杌와 魯之春秋ㅣ 一也ㅣ니라 其事則齊桓晉文이오 其文則史ㅣ니 孔子ㅣ 曰其義則丘ㅣ 竊取之矣로라 하시니라
<제22장> 孟子ㅣ 曰君子之澤도 五世而斬이오 小人之澤도 五世而斬이니라 予ㅣ 未得爲孔子徒也ㅣ나 予는 私淑諸人也ㅣ로라
<제23장> 孟子ㅣ 曰可以取ㅣ며 可以無取에 取면 傷廉이오 可以與ㅣ며 可以無與에 與ㅣ면 傷惠오 可以死ㅣ며 可以無死에 死ㅣ면 傷勇이니라
<제24장> 逄蒙이 學射於羿하야 盡羿之道하고 思天下에 惟羿ㅣ 爲愈己라 하야 於是에 殺羿한대 孟子ㅣ 曰是亦羿ㅣ 有罪焉이니라 公明儀ㅣ 曰宜若無罪焉하이다 曰薄乎云爾언정 惡得無罪리오 鄭人이 使子濯孺子로 侵衛어늘 衛ㅣ 使庾公之斯로 追之러니 子濯孺子ㅣ 曰今日에 我ㅣ 疾作이라 不可以執弓이로소니 吾ㅣ死矣夫인저하고 問其僕曰追我者는 誰也ㅣ오 其僕이 曰庾公之斯也ㅣ로소이다 曰吾ㅣ 生矣로다 其僕이 曰庾公之斯는 衛之善射者也ㅣ어늘 夫子ㅣ 曰吾生은 何謂也ㅣ잇고 曰庾公之斯는 學射於尹公之他하고 尹公之他는 學射於我하니 夫尹公之他는 端人也ㅣ라 其取友ㅣ 必端矣리라 庾公之斯ㅣ 至曰夫子는 何爲不執弓고 曰今日에 我ㅣ 疾作이라 不可以執弓이로다 曰小人은 學射於尹公之他하고 尹公之他는 學射於夫子하니 我ㅣ 不忍以夫子之道로 反害夫子하노라 雖然이나 今日之事는 君事也ㅣ라 我ㅣ 不敢廢라 하고 抽矢扣輪하야 去其金하고 發乘矢而後에 反하니라
<제25장> 孟子 曰西子ㅣ 蒙不潔則人皆掩鼻而過之니라 雖有惡人이나 齊戒沐浴則可以祀上帝니라
<제26장> 孟子ㅣ 曰天下之言性也는 則故而已矣니 故者는 以利爲本이니라 所惡於智者는 爲其鑿也ㅣ니 如智者ㅣ 若禹之行水也ㅣ면 則無惡於智矣리라 禹之行水也는 行其所無事也ㅣ시니 如智者ㅣ 亦行其所無事ㅣ면 則智亦大矣리라 天之高也와 星辰之遠也ㅣ나 苟求其故면 千歲之日至를 可坐而致也ㅣ니라
<제27장> 公行子ㅣ 有子之喪이어늘 右師ㅣ 往弔할새 入門커늘 有進而與右師言者하며 有就右師之位而與右師言者ㅣ러니 孟子ㅣ 不與右師言하신대 右師ㅣ 不悅曰諸君子ㅣ 皆與驩言이어늘 孟子ㅣ 獨不與驩言하시니 是는 簡驩也ㅣ로다 孟子ㅣ 聞之하시고 曰禮에 朝廷에 不歷位而相與言하며 不踰階而相揖也하나니 我欲行禮어늘 子敖ㅣ 以我爲簡하니 不亦異乎아
<제28장> 孟子ㅣ 曰君子所以異於人者는 以其存心也ㅣ니 君子는 以仁存心하며 以禮存心이니라 仁者는 愛人하고 有禮者는 敬人하나니 愛人者는 人恒愛之하고 敬人者는 人恒敬之니라 有人於此하니 其待我以橫逆則君子ㅣ 必自反也하야 我必不仁也ㅣ며 必無禮也ㅣ로다 此物이 奚宜至哉오 하나니라 其自反而仁矣며 自反而有禮矣로대 其橫逆이 由是也ㅣ어든 君子ㅣ 必自反也하야 我必不忠이로다 하나니라 自反而忠矣로대 其橫逆이 由是也ㅣ어든 君子ㅣ 曰此亦妄人也已矣로대 하나니 如此則與禽獸奚擇哉리오 於禽獸애 又何難焉이리오 是故로 君子ㅣ 有終身之憂ㅣ오 無一朝之患也ㅣ니 乃若所憂則有之하니 舜도 人也ㅣ며 我亦人也ㅣ로대 舜은 爲法於天下하샤 可傳於後世어시늘 我는 由未免爲鄕人也하니 是則可憂也ㅣ라 憂之如何오 如舜而已矣니라 若夫君子所患則亡矣니라 非仁無爲也ㅣ며 非禮無行也ㅣ라 如有一朝之患이라도 則君子ㅣ 不患矣니라
<제29장> 禹稷이 當平世하야 三過其門而不入하신대 孔子ㅣ 賢之하시니라 顔子ㅣ 當亂世하야 居於陋巷하샤 一簞食와 一瓢飮을 人不堪其憂ㅣ어늘 顔子ㅣ 不改其樂하신대 孔子ㅣ 賢之하시니라 孟子ㅣ 曰禹稷顔回ㅣ 同道하니라 禹는 思天下有溺者ㅣ어든 由己溺之也하시며 稷은 思天下有饑者ㅣ어든 由己饑之也하니 是以로 如是其急也ㅣ시니라 禹稷顔子ㅣ 易地則皆然이리라 今有同室之人이 鬪者ㅣ어든 救之호대 雖被髮纓冠而救之라도 可也ㅣ니라 鄕鄰에 有鬪者ㅣ어든 被髮纓冠而往救之則惑也ㅣ니 雖閉戶ㅣ라도 可也ㅣ니라
<제30장> 公都子ㅣ 曰匡章을 通國이 皆稱不孝焉이어늘 夫子ㅣ 與之遊하시고 又從而禮貌之하시니 敢問何也ㅣ잇고 孟子ㅣ 曰世俗所謂不孝者ㅣ 五ㅣ니 惰其四肢하야 不顧父母之養이 一不孝也ㅣ오 博奕好飮酒하야 不顧父母之養이 二不孝也ㅣ오 好貨財하며 私妻子하야 不顧父母之養이 三不孝也ㅣ오 從耳目之欲하야 以爲父母戮이 四不孝也ㅣ오 好勇鬪狠하야 以危父母ㅣ 五不孝也ㅣ니 章子ㅣ 有一於是乎아 夫章子는 子父ㅣ 責善而不相遇也ㅣ니라 責善은 朋友之道也ㅣ니 父子責善이 賊恩之大者ㅣ니라 夫章子는 豈不欲有夫妻子母之屬哉리오마는 爲得罪於父하야 不得近이라 出妻屛子하야 終身不養焉하니 其設心에 以爲不若是면 是則罪之大者ㅣ라 하니 是則章子已矣니라
<제31장> 曾子ㅣ 居武城하실새 有越寇ㅣ러니 或曰寇至하나니 盍去諸ㅣ리오 曰無寓人於我室하야 毁傷其薪木하라 寇退則曰修我牆屋하라 我將反호리라 寇退커늘 曾子ㅣ 反하신대 左右ㅣ 曰待先生이 如此其忠且敬也ㅣ어늘 寇至則先去하야 以爲民望하시고 寇退則反하시니 殆於不可ㅣ로소이다 沈猶行이 曰是는 非汝所知也ㅣ라 昔에 沈猶ㅣ 有負芻之禍ㅣ어늘 從先生者七十人이 未有與焉이라 하니라 子思ㅣ 居於衛하실새 有齊寇ㅣ러니 或曰寇至하나니 盍去齊ㅣ리오 子思ㅣ 曰如伋이 去ㅣ면 君誰與守ㅣ리오 하시니라 孟子ㅣ 曰曾子子思ㅣ 同道하니 曾子는 師也ㅣ니 父兄也ㅣ오 子思는 臣야ㅣ며 微也ㅣ니 曾子子思ㅣ 易地則皆然이리라
<제32장> 儲者ㅣ 曰王이 使人瞯夫子하시나니 果有異於人乎잇가 孟子ㅣ 曰何以異於人哉리오 堯舜도 與人同耳시니라
<제33장> 齊人이 有一妻一妾而處室者ㅣ러니 其良人이 出則必饜酒肉而後에 反이어늘 其妻ㅣ 問所與飮食者則盡富貴也ㅣ러라 其妻ㅣ告其妾曰良人이 出則必饜酒肉而後에 反할새 問其與飮食者乎니 盡富貴也ㅣ로대 而未嘗有顯者來하니 吾將瞯良人之所之也호리라 하고 蚤起하야 施從良人之所之하니 徧國中호대 無與立談者ㅣ러니 卒之東郭墦間之祭者하야 乞其餘하고 不足이어든 又顧而之他하니 此其爲饜足之道也ㅣ러라 其妻ㅣ 歸告其妾曰良人者는 所仰望而終身也ㅣ어늘 今若此ㅣ라 하고 與其妾으로 訕其良人而相泣於中庭이어늘 而良人이 未之知也하야 施施從外來하야 驕其妻妾하더라 由君子觀之컨댄 則人之所以求富貴利達者ㅣ 其妻妾이 不羞也而不相泣者ㅣ 幾希矣니라 |
| |
|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