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1] ◈ 天 災 地 變 (천재지변)【한자】 하늘 천 / 재앙 재 / 땅 지 / 변할 변【의미】 하늘의 재앙과 땅의 변고라는 뜻으로, 자연 현상으로 일어나는 지진(地震), 홍수(洪水), 태풍(颱風) 따위의 재앙(災殃)을 이르는 말.【유의어】▶ 天變地異 (천변지이) : 하늘과 땅의 이변(異變).【字意】◎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災(재) 물이 넘쳐 생기는 재앙의 의미에서 후에 '火'를 더함. ◎ 地(지)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變(변) 말이 오고 가면서 주제가 바뀌는 것으로 인해 ‘변하다’는 의미. 후에 ‘변고(變故)’나 ‘재앙(災殃)’의 의미 파생.
[2202] ◈ 天 井 不 知 (천정부지)【한자】 하늘 천 / 우물 정 / 아니 부 / 알 지【의미】 천장(天障)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물건 값이 자꾸 오르기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하늘 높은 줄 모름’의 의미.【참고】▶ 天井 : 천장의 오류. 또는 일월성신(日月星辰)의 의미. 【字意】◎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井(정) ‘井’자 모양의 ‘우물’ 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의 ‘마을’ 의미도 있음. ◎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천재일우, 천재지변, 천정부지 - 교본파일(73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03] ◈ 天 地 開 闢 (천지개벽)【한자】 하늘 천 / 땅 지 / 열 개 / 열 벽【의미】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열린다는 뜻으로, 자연계나 사회의 큰 변동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도 사용됨.【유의어】▶ 破天荒 (파천황) : 혼돈의 상태를 깨고 새로운 세상이 열림.▶ 未曾有 (미증유) : 일찍이 있지 않았던 일.▶ 前代未聞 (전대미문) : 앞 시대에는 들어보지 못함.【字意】◎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地(지)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開(개) 양손으로 닫힌 문을 연다는 의미에서 ‘열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閉(폐)닫다’. ◎ 闢(벽) 개간을 해서 ‘열다’,와 ‘물리치다’ 등을 파생함. 辟(벽)은 발음.
[2204] ◈ 千 枝 萬 葉 (천지만엽)【한자】 일천 천 / 가지 지 / 일만 만 / 잎 엽【의미】 수많은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무성한 나무의 가지와 잎을 나타내거나, 일이 복잡하게 얽혀 어수선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유의어】▶ 亂麻 (난마) : 갈피를 잡기 어렵게 뒤얽힌 일이나 사태.【字意】◎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 枝(지) 나무의 가지를 의미. ‘支(지)’는 발음. ◎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葉(엽) 나무의 가지에 잎사귀들이 달려있는 모양으로, '世'는 '세상'의 의미가 아니라 잎사귀의 모양임.
[2205] ◈ 天 地 神 明 (천지신명)【한자】 하늘 천 / 땅 지 / 귀신 신 / 밝을 명【의미】 하늘과 땅의 여러 신이라는 뜻으로, 천신(天神)과 지신(地神)같이 우주를 주관하는 신령(神靈)을 이르는 말.【字意】◎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地(지)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神(신) 示가 하늘에서 보여주는 현상의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하늘의 신과 같이 불가사의한 것의 의미에서 후에 ‘정신’이나 ‘혼’, ‘마음’ 등의 뜻을 파생함. 申은 발음. ◎ 明(명)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천지개벽, 천지만엽, 천지신명 - 교본파일(73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06] ◈ 天 眞 爛 漫 (천진난만)【한자】 하늘 천 / 참 진 / 문드러질 란 / 질펀할 만【의미】 자연스러운 순진함이 차고 넘친다는 뜻으로, 조금도 꾸미지 아니하고 있는 그대로를 언동(言動)에 나타낸다는 의미.【유의어】▶ 天眞無垢 (천진무구) : 아무런 꾸밈이 없이 순진함.【字意】◎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眞(진) 갑골문의 자형은 솥[鼎의 변형]에서 숟가락[匕]으로 음식을 꺼내는 모양. 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참'의 의미 생성. ◎ 爛(란) 불에 데어 문드러지거나 너무 익다는 의미. ◎ 漫(만) 물이 제멋대로 흘러가는 것에서 '멋대로 하다'는 의미를 생성.
[2207] ◈ 千 差 萬 別 (천차만별)【한자】 일천 천 / 차이 차 / 일만 만 / 분별할 별【의미】 수많은 차이와 구별이라는 뜻으로, 여러 가지 사물이 모두 차이와 구별이 있다는 의미. 가지가지. 색색.【유의어】▶ 千態萬象 (천태만상) : 수많은 모양과 형상.【字意】◎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 差(차) 왼손이 아래로 드리워져 있어 오른손과 맞지 않아 ‘어긋나다’는 의미 생성. ◎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別(별) 왼쪽은 '骨(골:뼈)'의 변형. 칼로 가른다는 의미에서 '나누다'는 뜻 생성.
[2208] ◈ 千 秋 之 恨 (천추지한)【한자】 일천 천 / 가을 추 / 어조사 지 / 원한 한【의미】 천 년의 원한이라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두고 쌓인 원한(怨恨)의 의미.【유의어】▶ 千秋遺恨 (천추유한) : 오래도록 길이 잊지 못할 원한.▶ 刻骨痛恨 (각골통한) : 뼈에 새긴 애통한 원한.【字意】◎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 秋(추)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恨(한) 원통하다, 한. '限(한)'은 '한계, 제한'의 의미 . ▣ 천진난만, 천차만별, 천추지한 - 교본파일(73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09] ◈ 千 態 萬 象 (천태만상)【한자】 일천 천 / 모양 태 / 일만 만 / 코끼리 상【의미】 천 가지 모양과 만 가지 형상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사물이 한결같지 않고 각각 모양이 다름을 이르는 말.【유의어】▶ 千差萬別 (천차만별) : 여러 사물이 차이와 구별이 있음.【字意】◎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態(태) 자신이 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든 것에서 겉으로 나타난 형상의 의미. ‘熊(웅:곰)’과 자형 구별에 유의.◎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象(상) 코끼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발자국으로 인해 '본뜨다' 의미를 파생하고, 형상의 의미까지 확대됨.
[2210] ◈ 千 篇 一 律 (천편일률)【한자】 일천 천 / 책 편 / 한 일 / 법 률【의미】 수많은 책들이 하나의 규칙이라는 뜻으로, 여러 시문(詩文)의 글귀가 거의 비슷하여 변화가 없다는 뜻이나, 여러 사물이 서로 비슷하여 변화가 없다는 뜻으로 사용됨.【관련어】大同小異(대동소이): 전체적으로 별 차이가 없이 유사함.【字意】◎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 篇(편) 죽간을 연결한 한 내용별로 묶어내 ‘책’의 의미를 생성함. 扁(편)은 발음. ◎ 律(률) 기준으로 삼아 따를 정도나 법령의 의미. ‘聿(율)’은 발음 요소.
[2211] ◈ 天 下 無 敵 (천하무적)【한자】 하늘 천 / 아래 하 / 없을 무 / 적 적【의미】 천하에 적이 없다는 뜻으로, 세상에서 필적(匹敵)할만한 사람이 없다는 의미.【유의어】▶ 天下無雙(천하무쌍): 천하에 견줄 사람이 없음. 天下第一 (천하제일)【字意】◎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下(하)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아니다’는 의미 도출. ◎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무)’를 만듦. ◎ 敵(적) 공격의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원수’의 의미를 지님. 후에 ‘맞서다’는 의미 파생. ‘適(적: 가다)’, ‘摘(적: 따다)’, ‘滴(적: 물방울)’ 등과 구별에 유의. ▣ 천태만상, 천편일률, 천하무적 - 교본파일(73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12] ◈ 天 下 太 平 (천하태평)【한자】 하늘천 아래하 클 태 평평할평【의미】 온 세상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세상이 잘 다스려저 평화롭다는 뜻이나, 성질이 느긋하여 세상 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天下泰平’으로도 표현함.【유의어】 ▶ 太平聖代 (태평성대).【字意】◎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下(하)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아니다’는 의미 도출. ◎ 太(태)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平(평) 기운이 위로 퍼져 올라가면서 나뉘어[八(팔)] 평평하게 퍼져 깔린다는 의미에서 ‘평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2213] ◈ 徹 頭 徹 尾 (철두철미)【한자】 일천 천 / 책 편 / 한 일 / 법 률【의미】 머리를 통해서 꼬리까지 통한다는 뜻으로, 처음에서 끝까지, 하나에서 열까지, 죄다 등을 나타내는 말.【동의어】 ▶ 徹上徹下 (철상철하).【字意】◎ 徹(철) 모든 길을 다 통하게 만든다는 의미에서 ‘통하다’, ‘철저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頭(두) ‘豆(두)’는 발음, ‘頁(혈)’은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尾(미) 사람이 사냥을 할 때 짐승처럼 분장을 하고 있는 모양으로, ‘사람[尸]’이 꼬리털을 붙이고 있는 모양임.
[2214] ◈ 鐵 面 皮 (철면피)【한자】 쇠 철 / 얼굴 면 / 가죽 피【의미】 쇠로 된 얼굴 가죽이라는 뜻으로,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사람을 이르는 말.【유의어】▶ 厚顔無恥 (후안무치) : 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이 없음.【字意】◎ 鐵(철)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쇠'의 의미. ◎ 面(면) 코{自}에 양쪽 뺨과 이마를 더해 사람의 얼굴을 표현. 후에 ‘대면하다’, ‘방면’ 등의 의미 파생. ◎ 皮(피) 손으로 짐승의 껍질을 벗기는 모양에서 ‘가죽’ 의미 생성.▣ 천하태평, 철두철미, 철면피 - 교본파일(73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15] ◈ 轍 鮒 之 急 (철부지급)【한자】 수레바퀴 철 / 붕어 부 / 어조사 지 / 급할 급【의미】 수레바퀴 자국 속 물고기의 다급함이라는 뜻으로,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 속에 있는 붕어의 위급함처럼 절박한 곤경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涸轍鮒魚 (학철부어) : 말라가는 수레바퀴 괸 물의 붕어.【字意】◎ 轍(철) 수레가 지나간 바퀴의 자국이 본래 의미. ◎ 鮒(부) 붕어(鮒魚)의 의미. ‘付(부)’는 발음. ◎ 急(급) 마음이 조급하게 재촉하는 의미에서 바빠 서두르고 ‘바쁘다’는 의미를 생성함. 윗부분은 及(급)으로 발음 역할.
[2216] ◈ 鐵 石 肝 腸 (철석간장)【한자】 쇠 철 / 돌 석 / 간 간 / 창자 장【의미】 쇠와 돌 같은 간과 창자라는 뜻으로, 철석(鐵石)같은 단단한 마음이나 굳은 의지를 이르는 말.【유의어】▶ 鐵石心腸 (철석심장) : 철석같은 굳은 마음.▶ 鐵心石腸 (철심석장) : 의지가 굳음.【字意】◎ 鐵(철)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쇠'의 의미. ◎ 石(석)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肝(간) 오장(五臟)의 하나인 간장의 의미. ‘干(간)’은 발음. ◎ 腸(장) 창자의 의미. 내장인 오장[五臟: 心(심장), 腎(신장), 肺(폐장), 肝(간장), 脾(비장)]과는 구별해서 육부[六腑:대장(大腸), 소장(小腸), 위(胃), 담(膽), 방광(膀胱), 삼초(三焦)] 중의 하나.
[2217] ◈ 鐵 甕 城 (철옹성)【한자】 쇠 철 / 독 옹 / 성 성【의미】 쇠로 만든 독과 같은 성이라는 뜻으로, 방비나 단결 따위가 견고한 사물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유의어】▶ 鐵甕山城 (철옹산성) : 북한의 영변철옹성(寧邊鐵甕城).【字意】◎ 鐵(철)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쇠'의 의미. ◎ 甕(옹) 옹기그릇인 ‘독’의 의미. 雍(옹)은 발음 요소. ◎ 城(성) 지역을 지키는 성의 의미. ‘成(성)’은 발음. 구체적으로 성은 이중으로 쌓아 안쪽의 성은 ‘城’이라 하고 바깥쪽의 성은 ‘郭(곽)’이라 하여 ‘內城外郭(내성외곽)’을 합해 ‘城郭(성곽)’이라 함.▣ 철부지급, 철석간장, 철옹성 - 교본파일(73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18] ◈ 鐵 中 錚 錚 (철중쟁쟁)【한자】 쇠 철 / 가운데 중 / 쇳소리 쟁 / 쇳소리 쟁【의미】 쇠 가운데 쟁쟁하는 무쇠소리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들 가운데 조금 우수한 사람이라는 의미.【유래】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가 서선(徐宣)을 평한 말에서 유래함.【字意】◎ 轍(철) 수레가 지나간 바퀴의 자국이 본래 의미. ◎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錚(쟁) 쇠붙이에서 나는 쇳소리의 의미.
[2219] ◈ 徹 天 之 寃 (철천지원)【한자】 통할 철 / 하늘 천 / 어조사 지 / 원통 원【의미】 하늘에 사무치는 원한이라는 뜻으로, 하늘에 사무칠 정도의 크나큰 원한.【유의어】▶ 徹天之恨 (철천지한).【字意】◎ 徹(철) 모든 길을 다 통하게 만든다는 의미에서 ‘통하다’, ‘철저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寃(원) 토끼가 덮개를 뒤집어써 죄 없이 원통하다는 의미. ‘冤(원)’이 본자.
[2220] ◈ 轍 環 天 下 (철환천하)【한자】 수레바퀴 철 / 고리 환 / 하늘 천 / 아래 하【의미】 수레를 타고 천하를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수레를 타고 천하를 돌아다니며 세상을 교화시키려 한다는 의미.【유의어】▶ 周遊天下 (주유천하) : 두루 천하를 돌아다님.【字意】◎ 轍(철) 수레가 지나간 바퀴의 자국이 본래 의미. ◎ 環(환) 고리모양의 ‘환옥’에서 ‘고리’의 뜻 파생.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下(하)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아니다’는 의미 도출. ▣ 철중쟁쟁, 철천지원, 철환천하 - 교본파일(74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21] ◈ 疊 疊 山 中 (첩첩산중)【한자】 겹칠 첩 / 겹칠 첩 / 산 산 / 가운데 중【의미】 겹겹이 쌓인 산 속이라는 뜻으로, 산이 겹겹이 둘러싸인 깊은 산속을 이르는 말.【유의어】▶ 萬壑千峰 (만학천봉) : 수많은 골짜기와 봉우리.▶ 高峰峻嶺 (고봉준령) : 우뚝한 봉우리와 험준한 산마루.【字意】◎ 疊(첩) 본래 晶(정)+宜(의)의 결합에서 田으로 변화됨. 사흘 동안 심사숙고해서 결정한 것에서 ‘겹치다’는 뜻 생성. ◎ 山(산)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2222] ◈ 晴 耕 雨 讀 (청경우독)【한자】 갤 청 / 발갈 경 / 비 우 / 읽을 독【의미】 맑으면 밭을 갈고, 비가 오면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일하고 공부함을 이르는 말.【관련어】▶ 晝耕夜讀 (주경야독) 낮에 밭 갈고 밤에 글 읽음.【字意】◎ 晴(청) 구름이 걷히어 해가 보인다는 의미에서 ‘개다’는 뜻 생성. 靑은 발음. 혹 夕(석)+生(생)에서 ‘日+靑’으로 변화된 것으로도 설명함. ◎ 耕(경) 밭을 가는 ‘쟁기’와 농업 용수의 상징인 ‘우물’을 합해 ‘농사짓는다’는 의미 생성. ◎ 雨(우)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비’와 ‘기후’,‘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 讀(독) 소리내어 말로 글을 읽는 의미나, 설명하다는 의미 생성, (두)발음은 ‘句讀(구두)’나 ‘吏讀(이두)’의 의미.
[2223] ◈ 淸 淡 虛 無 (청담허무)【한자】 맑을 청 / 맑을 담 / 빌 허 / 없을 무【의미】 맑고 담박한 무의 상태라는 뜻으로, 조촐하여 사물에 구애되지 않고 담박하다는 의미.【字意】◎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淡(담) 물이 맑고 깨끗해 ‘맑다’는 의미를 생성함. 炎(염)은 발음 요소. ◎ 虛(허) 범의 다리를 2개만 표현해서 비다, 없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무)’를 만듦. ▣ 첩첩산중, 청경우독, 청담허무 - 교본파일(74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24] ◈ 淸 廉 潔 白 (청렴결백)【한자】 맑을 청 / 청렴할 렴 / 깨끗할 결 / 흰 백【의미】 맑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마음이 깨끗하고 바라 이욕(利慾)에 끌리지 않고 욕심을 내지 않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淸白 (청백)【字意】◎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廉(렴) 날카로운 모서리의 의미에서 곧고 바른 의미와 검소하고 청렴하다는 의미를 파생함. ◎ 潔(결) 더러움 없이 깨끗하거나 품행이 바르다는 의미. ◎ 白(백)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후에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2225] ◈ 淸 白 吏 (청백리)【한자】 맑을 청 / 흰 백 / 관리 리【의미】 청렴하고 결백한 관리라는 뜻으로, 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고 곧고 깨끗한 관리인데, 본래 조선시대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 사간원의 장이 천거하여 뽑힌 결백한 관리에서 유래함. [淸廉潔白한 官吏]【字意】◎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白(백)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후에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 吏(리) 공적 기록을 하는 사람의 의미에 오로지 한결같이[一(일)] 한다는 의미를 더해 ‘관리’의 의미를 생성함.
[2226] ◈ 靑 紗 燈 籠 (청사등롱)【한자】 푸를 청 / 깁 사 / 등잔 등 / 대그릇 롱【의미】 푸른 깁으로 둘러싼 초롱이란 뜻으로, 조선시대 정이품부터 정삼품까지의 벼슬아치가 밤에 다닐 때 사용하던 품등(品燈). [ = 청사초롱(靑紗--) ]【字意】◎ 靑(청) 生+井’이나 ‘生+丹’의 결합으로 보는데, 만물이 생성되는 색깔로 ‘푸르다’는 의미로 보거나, ‘붉다’의 역설적 표현인 ‘푸르다’로 보기도 함. ◎ 紗(사) 얇고 가는 견직물의 의미로 ‘깁’의 뜻 생성. ◎ 燈(등) 밤을 밝히는 '등잔', '등불'의 의미. 登(등)은 발음. ◎ 籠(롱) 본래 흙을 옮기는 사용하는 대나무로 만든 삼태기의 의미에서 후에 ‘새장’이나 ‘대그릇’의 의미로 확대됨. ‘龍(용)’은 발음 역할. ▣ 청렴결백, 청백리, 청사등롱 - 교본파일(74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27] ◈ 靑 山 流 水 (청산유수)【한자】 푸를 청 / 산 산 / 흐를 류 / 물 수【의미】 푸른 산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푸르고 맑게 흐르는 산수처럼 말을 막힘없이 잘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靑(청) 生+井’이나 ‘生+丹’의 결합으로 보는데, 만물이 생성되는 색깔로 ‘푸르다’는 의미로 보거나, ‘붉다’의 역설적 표현인 ‘푸르다’로 보기도 함. ◎ 山(산)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流(류) 물에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아 ‘흐르다’는 의미 생성. ◎ 水(수) 글자 모양 가운데의 물줄기와 양쪽의 흘러가는 물의 모습을 결합한 글자로, ‘물’, ‘강’ 등의 이름이나 물과 관련된 상태나 동작 등과 관련한 의미로 활용됨.
[2228] ◈ 靑 孀 寡 婦 (청상과부)【한자】 푸를 청 / 과부 상 / 적을 과 / 며느리 부【의미】 젊은 과부라는 뜻으로, 나이가 젊은 남편을 잃은 아녀자를 이르는 말.[ = 靑孀(청상) ]【字意】◎ 靑(청) 生+井’이나 ‘生+丹’의 결합으로 보는데, 만물이 생성되는 색깔로 ‘푸르다’는 의미로 보거나, ‘붉다’의 역설적 표현인 ‘푸르다’로 보기도 함. ◎ 孀(상) 남편과 사별한 여자인 ‘과부’의 의미. ‘霜(상)’은 발음. ◎ 寡(과) 집안에 저장한 물건을 나누어주어[아래쪽 부분은 ‘나눈다’는 의미의 頒(반)의 변형] 물품이 부족해진다는 의미에서 ‘적다’는 의미 생성. ◎ 婦(부)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 등의 의미 생성.
[2229] ◈ 淸 心 寡 慾 (청심과욕)【한자】 맑을 청 / 마음 심 / 적을 과 / 욕심 욕【의미】 마음을 맑게 하고 욕심을 적게 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깨끗이 가지고 욕심을 적게 한다는 의미.【字意】◎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 寡(과) 집안에 저장한 물건을 나누어주어[아래쪽 부분은 ‘나눈다’는 의미의 頒(반)의 변형] 물품이 부족해진다는 의미에서 ‘적다’는 의미 생성. ◎ 慾(욕) 欲에 心을 더해 감정의 의미가 더해져 ‘욕심’ 등의 의미를 파생함. 欲이 발음으로도 사용됨. ▣ 청산유수, 청상과부, 청심과욕 - 교본파일(74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230] ◈ 靑 雲 之 士 (청운지사)【한자】 푸를 청 / 구름 운 / 어조사 지 / 선비 사【의미】 청운의 뜻을 지닌 선비라는 뜻으로, 학덕(學德)이 높은 어진 사람이나 높은 벼슬에 오른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관련어】▶ 靑雲之志 (청운지지) : 덕을 쌓아 성현의 자리에 이르려는 뜻. 또는 입신출세하려는 뜻이나 공명을 세우려는 마음.【字意】◎ 靑(청) 生+井’이나 ‘生+丹’의 결합으로 보는데, 만물이 생성되는 색깔로 ‘푸르다’는 의미로 보거나, ‘붉다’의 역설적 표현인 ‘푸르다’로 보기도 함. ◎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우)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됨. ◎ 士(사) 넓적한 날로 된 도끼의 모양에서 도끼를 다루는 남자의 상징으로 사용됨. 후에 신분의 계급으로 변화.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2271-2300 (0) | 2013.01.19 |
---|---|
이야기한자성어2231-2270 (0) | 2013.01.19 |
이야기한자성어2171-2200 (0) | 2013.01.19 |
이야기한자성어2131-2170 (0) | 2013.01.19 |
이야기한자성어2101-2130 (0) | 201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