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7회 한자급수자격검정 국가공인 한자 1급 A형
■ 다음 물음에 맞는 答의 번호를 골라 답안지의 해당 답란에 표시하시오.
※ 漢字의 訓音이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 ② ) ①疥(옴 개) ②箴(바늘 함) ③毅(굳셀 의) ④妬(투기할투)
2. ( ① ) ①壺(병 아) ②譎(속일 휼) ③糟(지게미조) ④昻(높을 앙)
3. ( ③ ) ①俎(도마 조) ②嶼(섬 서) ③馴(길들일훈) ④魁(으뜸 괴)
4. ( ④ ) ①藿(콩잎 곽) ②咫(길이 지) ③咤(꾸짖을타) ④晹(날흐릴이)
※ 訓音에 맞는 漢字를 고르시오.
5. 곡식심을가 ( ④ ) ①稔 ②嫁 ③穗 ④稼
6. 밟을 태 ( ② ) ①邰 ②跆 ③胎 ④殆
7. 흐릴 혼 ( ③ ) ①揮 ②輝 ③渾 ④暉
8. 파초 파 ( ① ) ①芭 ②把 ③蕉 ④苔
※ 밑줄 친 漢字의 訓音이 제시된 漢字語의 뜻에 어울리는 것을 고르시오.
9. 饗宴 ( ④ ) ①소리 향 ②시골 향 ③드릴 향 ④잔치할향
10.編纂 ( ② ) ①붉은끈찬 ②모을 찬 ③채색 찬 ④무늬 찬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11. 漢字의 제자원리(六書) 중【形聲字】로 이루어진 것은? ( ③ )
①僉, 戎, 刈 ②奐, 凸, 瓜 ③墟, 塚, 僧 ④曇, 戾, 孚
12. 밑줄 친【什】의 讀音이 다른 하나는? ( ① )
①什長 ②什器 ③什物 ④什具
13. 漢字의 部首와 總劃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 ② )
①誼-言, 총15획 ②熄-心, 총14획 ③棉-木, 총12획 ④咎-口, 총8획
14. 類義字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 ④ )
①珊=瑚 ②琥=珀 ③痙=攣 ④霄=壤
15. 本字와 略字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 ③ )
①俠-俠 ②繡-繡 ③瀆-賣 ④檜-檜
16.【竊□→ □賊→ 賊黨】에서 □안에 共通으로 들어갈 漢字는? ( ① )
①盜 ②掘 ③寇 ④溝
17. 모양이 비슷한 漢字의 訓音이 바르지 않은 것은? ( ② )
①沮(막을 저) - 咀(씹을 저) ②綱(벼리 강) - 網(그물 강)
③濡(젖을 유) - 孺(젖먹이 유) ④彗(비 혜) - 慧(지혜 혜)
※ 漢字語의 讀音이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8. ( ③ ) ①憧憬(동경) ②鞏固(공고) ③鄙劣(도열) ④叡聖(예성)
19. ( ④ ) ①箸筒(저통) ②諧謔(해학) ③弛緩(이완) ④紐帶(축대)
20. ( ② ) ①曳船(예선) ②狩獵(수납) ③氾濫(범람) ④辛辣(신랄)
21. ( ② ) ①諷刺(풍자) ②隸屬(예탁) ③壻郞(서랑) ④芙蓉(부용)
※ 漢字語의 뜻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22. 嬌羞 ( ① )
①아양을 떨면서 수줍어함. ②간사하고 꾀가 많음.
③이리저리 엇갈려 뒤섞임. ④몸이 몹시 야위고 마름.
23. 罵倒 ( ③ )
①꾸짖으며 떠드는 소리. ②물건의 소유권을 넘김.
③심하게 욕하며 나무람. ④쓰러져 허물어짐.
※ 낱말의 뜻에 맞는 漢字語를 고르시오.
24. 모조: 이미 있는 것을 그대로 따라하거나 본떠서 만듦. ( ④ )
①模調 ②模操 ③貌造 ④模造
25. 영롱: 구슬 따위의 울리는 소리가 맑고 아름다움. ( ② )
①瓔籠 ②玲瓏 ③靈瓏 ④映聾
※ □안에 들어갈 적당한 漢字語를 고르시오.
26. 헤어졌던 친구와 근 십여 년 만에 □□했다. ( ① )
①邂逅 ②離別 ③炸藥 ④詔勅
27. 각종 □□과(와) 소음으로 인하여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 ③ )
①惶恐 ②昕旦 ③煤煙 ④閭閻
28. 널찍한 항구에 많은 배들이 □□해 있었다. ( ② )
①耽羅 ②碇泊 ③褒賞 ④詰責
※ 밑줄 친 부분을 漢字로 바르게 쓴 것을 고르시오.
지속적인 29)방제 작업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던 해충이 30)박멸되었다.
29. 방제 ( ④ ) ①防堤 ②方劑 ③旁題 ④防除
30. 박멸 ( ① ) ①撲滅 ②撲蔑 ③拍滅 ④薄蔑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31. 漢字語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 ① )
①嘲笑 ②襁褓 ③瘦瘠 ④徘徊
32. 反義語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 ④ )
①豊饒↔貧困 ②偶然↔必然 ③愚昧↔賢明 ④輪廓↔輪禍
33. 類義語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 ② )
①肋膜=胸膜 ②棍杖=棍棒 ③萱堂=慈堂 ④拇印=指章
34. 첫소리가 길게 소리 나는 長音으로만 된 것은? ( ③ )
①嗜好․髓腦 ②汁液․蟄居 ③晦朔․灌漑 ④墩臺․渦旋
35. 成語가 적절하게 쓰이지 못한 것은? ( ④ )
①그는 坊坊曲曲 안 돌아다닌 곳이 없을 정도로 여행을 좋아한다.
②중요 쟁점사안들을 一目瞭然하게 정리하여 보고했다.
③아저씨가 술이 거나하게 취하여 橫說竪說하였다.
④자서전은 자신의 실화가 아닌 荒唐無稽한 상상을 바탕으로 쓴 글이다.
36.【臥薪嘗□】과【肝□相照】의 □안에 共通으로 들어갈 漢字는? ( ② )
①擔 ②膽 ③謄 ④澹
37.【福生□淸儉하고 德生□卑退니라.】에서 □안에 共通으로 들어갈 漢字는?
( ③ )
①以 ②而 ③於 ④之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群鼠이 會話曰 “(吾等이) 穿庾棲廩하여 生活이 可潤이나 但所懼獨猫而已라”
하니 有一鼠 言曰 “猫項에 若懸鈴子면 38)庶得聞聲而遁死矣니라.” 群鼠가 喜
躍曰 “39)子言이 是矣라. 吾何所怕耶아.” 有大鼠 徐言曰 “是則是矣라. 然이나
猫項에 誰40)□□我懸鈴耶아.”하니 群鼠가 愕然이라.『禦眠楯』
*鼠(쥐서), 穿(뚫을천), 廩(곳집름), 怕(두려워할파)
38. 위 글의 밑줄 친 ‘庶得’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 ③ )
①많이 얻을 수 있을 것이다. ②여럿이 이익을 얻을 것이다.
③거의 ~할 수 있을 것이다. ④높은 덕을 이룰 것이다.
39. 위 글의 밑줄 친 ‘子’와 바꾸어 쓸 수 없는 것은? ( ④ )
①君 ②爾 ③汝 ④吾
40. 위 글의 □안에 들어갈 ‘능히 ~을 위하여’라는 뜻의 漢字는? ( ① )
①能爲 ②能事 ③不能 ④已爲
41. 위 글의 內容과 관계 깊은 成語는? ( ② )
①群盲撫象 ②猫項懸鈴 ③兎死狗烹 ④萬彙群象
※ 漢詩를 읽고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白骨之徵何慘毒인가 同隣一族橫罹厄이라.
鞭撻朝暮嚴科督하니 前村走匿後村42)哭이라.
鷄狗賣盡償不足인데 悍吏43)索錢錢何得가. *罹(근심리)
父子兄弟不相保하고 皮骨半死就凍獄이라. 悍(사나울한)
42. 위 詩의 밑줄 친 ‘哭’과 바꾸어 쓸 수 있는 漢字는? ( ① )
①泣 ②喩 ③吟 ④呪
43. 위 詩의 밑줄 친 ‘索’과 같은 뜻으로 쓰인 것이 아닌 것은? ( ② )
①索引 ②鐵索 ③覓索 ④索出
44. 위 詩의 내용과 관계 깊은 成語는? ( ③ )
①白骨難忘 ②朝三暮四 ③苛斂誅求 ④同病相憐
45. 위 詩에 대한 說明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 ④ )
①農民들의 삶의 哀歡을 나타내고 있다. ②七言律詩의 형식을 띠고 있다.
③官吏들의 수탈에 대한 비판의식이 담겨있다. ④韻字는 厄, 哭, 得, 獄이다.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46.【47)滿招損이요 謙受益이니라.】가 意味하는 바는? ( ② )
①收益創出의 어려움. ②安分함의 강조.
③손님 接待의 중요성. ④苦生 끝에 樂이 옴.
47. 위 글의 밑줄 친 ‘47)滿’의 뜻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③ )
①가득차다. ②넉넉하다. ③교만하다. ④만족하다.
48.【騎馬면 欲率奴라.】는 人間의 무엇에 대한 이야기인가? ( ④ )
①幸福 ②富貴 ③尊嚴 ④慾心
49.【瓜田不納履요 李下不整冠이라.】와 뜻이 통하는 成語는? ( ① )
①烏飛梨落 ②吾鼻三尺 ③一石二鳥 ④根深之木
50. 正月의 歲時風俗인 ‘元日’과 관계가 없는 것은? ( ② )
①歲拜 ②藥食 ③餠湯 ④茶禮
■ 물음에 맞는 答을 답안지의 해당 답란에 쓰시오.
※ 漢字의 訓音을 쓰시오.
51. 裔 ( 후손 예 ) 52. 莖 ( 줄기 경 ) 53. 謚 ( 웃을 익 )
54. 斧 ( 도끼 부 ) 55. 毘 ( 도울 비 ) 56. 飱 ( 저녁밥 손 )
57. 竣 ( 마칠 준 ) 58. 疼 ( 아플 동 ) 59. 麵 ( 국수 면 )
60. 驍 ( 날랠 효 ) 61. 瀉 ( 쏟을 사 ) 62. 劤 ( 강할 근 )
63. 鵑 ( 두견새 견 ) 64. 蹉 ( 넘어질 차 ) 65. 錨 ( 닻 묘 )
※ 訓音에 맞는 漢字를 쓰시오.
66. 빛날 엽 ( 曄 ) 67. 헤아릴 우 ( 虞 ) 68. 모을 모 ( 募 )
69. 생황 생 ( 笙 ) 70. 정승 승 ( 丞 ) 71. 더러울 오 ( 汚 )
72. 먹을 끽 ( 喫 ) 73. 문짝 비 ( 扉 ) 74. 클 혁 ( 奕 )
75. 늪 패 ( 沛 ) 76. 춤출 사 ( 娑 ) 77. 높을 최 ( 崔 )
78. 새우 하 ( 蝦 ) 79. 모기 문 ( 蚊 ) 80. 장인 장 ( 匠 )
※ 밑줄 친 말의 뜻을 가진 漢字를 주어진 音에 맞게 쓰시오.
81)항상 모름지기 82)일찍 83)일어나고 밤늦게 84)자서 의관을 반드시 바르
게 하고, 얼굴빛을 반드시 85)엄숙하게 하여 두 손을 86)모으고 무릎 꿇고
87)앉으며, 걸음걸이를 편안하고 조심스럽게 하며, 언어를 신중히 하여 일동
일정(모든 행동)을 88)가볍고 89)소홀히 하여 90)구차스럽게 지나쳐 버려서는
안된다.『擊蒙要訣』
81. 상( 常 ) 82. 숙( 夙 ) 83. 흥( 興 ) 84. 매( 寐 ) 85. 숙( 肅 )
86. 공( 拱 ) 87. 좌( 坐 ) 88. 경( 輕 ) 89. 홀( 忽 ) 90. 구( 苟 )
※ 물음에 알맞은 答을 쓰시오.
91. 異音同字인【醵】의 다양한 訓音을 쓰시오. ( ①술잔치갹 ②추렴할거 )
92.【雋選】에서 밑줄 친 ‘雋’의 訓音을 주어진 漢字語의 의미에 맞게 쓰시오.
( 뛰어날준 )
93.【隘守】에서 밑줄 친 ‘隘’의 訓音을 주어진 漢字語의 의미에 맞게 쓰시오.
( 막을액 )
94.【虹】의 部首와 部首의 訓音을 쓰시오. ( 虫 , 벌레충 )
95.【艶】을 字典에서 찾으려고 할 때 무슨 部首의 몇 劃에서 찾아야 하는
지 쓰시오. ( 色 , 13획 )
96.【薔】과 漢字語를 이룰 수 있는 類義字를 漢字로 쓰시오. ( 薇 )
97.【牝】과 漢字語를 이룰 수 있는 反義字를 漢字로 쓰시오. ( 牡 )
98.【瀧】의 略字를 漢字로 쓰시오. ( 瀧 )
99.【壘】의 本字를 漢字로 쓰시오. ( 壘 )
100.【□路, 順□, 虛心□懷】에서 □안에 共通으로 들어갈 漢字를 쓰시오.
( 坦 )
※ 漢字語의 讀音을 쓰시오.
101. 陋醜 ( 누추 ) 102. 葛藤 ( 갈등 ) 103. 緘口令 ( 함구령 )
104. 宥恕 ( 유서 ) 105. 逼迫 ( 핍박 ) 106. 眩氣症 ( 현기증 )
107. 爽快 ( 상쾌 ) 108. 雅趣 ( 아취 ) 109. 獎勵策 ( 장려책 )
110. 嬰兒 ( 영아 ) 111. 酪農 ( 낙농 ) 112. 橋頭堡 ( 교두보 )
※ 다음 밑줄 친 낱말을 漢字로 쓰시오.
가곡, 가요 따위로 불릴 것을 전제로 하여 쓰인 글을 113)가사라 하며, 살
림살이에 관한 일도 114)가사라고 하며, 생리적 기능이 약화되어 죽은 것처럼
보이는 상태도 115)가사라고 하며, 승려의 법의(法衣)도 116)가사라고 한다.
113. ( 歌詞 ) 114. ( 家事 ) 115. ( 假死 ) 116. ( 袈裟 )
※ 漢字語의 뜻을 쓰시오.
117. 躊躇 ( 머뭇거리며 망설임. )
118. 赦免 ( 죄를 용서하여 형벌을 면제함. )
119. 騷亂 ( 시끄럽고 어수선함. )
120. 楹棟 ( ①기둥과 마룻대. ②중요한 인물. )
※ 成語의 뜻을 쓰시오.
121.【風樹之嘆】⇒(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 )
122.【袖手傍觀】⇒(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간섭하거나 거들지 아니하고 그대로 버 려 둠. )
※ 밑줄 친 部分의 문장을 解釋하시오.
123.【天下之義理無窮이어늘 豈可是己而非人이리요.】
( 어찌 자기가 옳다 하고 남을 그르다고 할 수 있겠는가. )
124.【道也者는 不可須臾離也니 可離면 非道也라.】
(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으면 도(道)가 아니다. )
※ 낱말의 뜻에 맞는 漢字語를 쓰시오.
125. 맹아: 식물에 새로 트는 싹.( 萌芽 ) 126. 퇴비: 두엄. ( 堆肥 )
127. 선망: 부러워하여 바람.( 羨望 ) 128. 임신: 아이를 뱀. ( 姙娠 )
129. 잉여: 쓰고 난 나머지. ( 剩餘 ) 130. 대치: 서로 맞서서 버팀.( 對峙 )
131. 방황: 헤매어 돌아다님.( 彷徨 ) 132. 간택: 분간하여 선택함.( 揀擇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漢字를 쓰시오.
133. 百年□老: 부부가 서로 사이좋고 화락하게 같이 늙음. ( 偕 )
134. 甲論乙□: 서로 논란하고 반박함. ( 駁 )
135. 股□之臣: 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 肱 )
※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讀音이나 漢字를 쓰시오.
136)解放 이후 60여 년간 숨 가쁘게 달려온 건국, 산업화, 민주화가 한 137)
循環을 마감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어디에 서 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 실존
적 138)據點과 139)전략적 방향에 대한 질문에 지식 사회는 어떤 응답을 하고
있는가. 지난 20년 동안 우리 사회 담론의 역사는 민주화 과정에 못지않게 드
라마틱하다. 1980년대가 사회 140)構成體 논쟁으로 대표되는 마르크스주의와
민족해방주의의 141)噴出로 142)특징지어진다면, 1990년대는 ‘문화의 시대’의
도래와 143)外換危機의 144)衝擊에 대한 대응이 담론의 흐름을 주도해왔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이제까지 제출된 이론적 테제와 145)경험적 분석들이
심화되고 분화되는 146)경향을 보여 왔다.
주목할 것은 최근 우리 사회 담론의 지형이 147)좌파 대 우파, 보수 대 진보
의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서 148)복합구도를 형성해 왔다는 점이다. 그것에는
이념적 구도와 탈 이념적 구도가 혼재하며, 149)서구주의 대 비서구주의가 공
존한다. 세계주의 대 민족주의, 현대 대 탈현대, 시장주의 대 국가주의, 개인주
의 대 공동체주의, 개발주의 대 150)생태주의 등의 복합구도가 현재 우리 인
문·사회과학 담론의 풍경을 이루고 있다. <경향신문, 2007.>
136. ( 해방 ) 137. ( 순환 ) 138. ( 거점 ) 139. ( 戰略的 )
140. ( 구성체 ) 141. ( 분출 ) 142. ( 特徵 ) 143. ( 외환위기 )
144. ( 충격 ) 145. ( 經驗的 ) 146. ( 傾向 ) 147. ( 左派 )
148. ( 複合 ) 149. ( 西歐主義 ) 150. ( 生態主義 )
♣ 수고하셨습니다.
'한자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검정회 1급 41회 기출 (0) | 2014.10.11 |
---|---|
[스크랩] 제36회 한자급수자격검정 국가공인 한자 1급 A형 (0) | 2014.10.11 |
[스크랩] 천자문 7강 모시숙자(모장과 서시의 아름다운 모습은) / 송하 이기성 (0) | 2013.09.17 |
[스크랩] 천자문 6강 치본어농이니(동영상 강의) / 송하 이기성 (0) | 2013.09.17 |
[스크랩] 천자문 5강 진초갱패요 (진나라와 초나라가 패권을 다투니)/ 동영상 강의 송하 이기성 (0) | 201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