拳 : 주먹 권, 拳拳 : 주먹을 말아쥐듯이 정성스럽게 받드는 모양을 나타냄. 膺 : 가슴 응
[본문 해설] 안회(안자)가 32살에 돌아가셨을 때 공자는 하늘이 나를 망쳤다(噫라 天喪予삿다 天喪予삿다 : 논어, 先進편)고 통곡할 만큼 탁월한 제자였다. 안회는 누추한 거리에 살면서 대나무로 엮은 밥그릇에 밥을 담아 쪽박의 물을 먹으면서도(一簞食와 一瓢飮에 在陋巷이라) 조금도 배우는 즐거움이 변치 않으니 공자는 안회야말로 참으로 어질다(賢哉아 回也여)고 거듭거듭 칭찬했다(논어, 雍也편). 노나라의 애공이 공자에게 제자 중 누가 배우기를 가장 좋아하느냐고 물었을 때 공자는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안회를 꼽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노여움을 옮기지 않고 잘못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않았으나 불행히도 단명으로 죽어 지금은 없다. 그후로는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누군지 들은 바가 없다(不遷怒하며 不貳過하더니 不幸短命死矣라 今也則亡하니 未聞好學者也ㅣ라 : 雍也편)”고 하였을 정도이다.
回는 孔子弟子顔淵의 名이라 拳拳은 奉持之貌라 服은 猶著也ㅣ라 膺은 胷也ㅣ라 奉持而著之心胸之間은 言能守也ㅣ라 顔子는 蓋眞知之라 故로 能擇能守如此하니 此는 行之所以無過不及而道之所以明也ㅣ라 회는 공자 제자 안연의 이름이니라. 권권은 받들어 갖는 모양이라. 복은 붙이는 것과 같음이라. 응은 가슴이라. 받들어 가져서 가슴 한 가운데에 붙이는 것은 능히 지킴을 말함이라. 안자는 대개 참으로 아느니라. 그러므로 능히 가려내고 능히 지킴이 이와 같으니 이는 (중용을) 행하는데 써 과불급이 없어 도가 써 밝은 바이라
著 : 붙일 착 胷 : 가슴 흉, 胸과 같음
右는 第八章이라
子ㅣ曰 天下國家도 可均也ㅣ며 爵祿도 可辭也ㅣ며 白刃도 可蹈也ㅣ도대 中庸은 不可能也ㅣ니라 공자 말씀하시기를 “천하국가도 가히 고르게 하며 벼슬과 녹도 가히 사양할 수 있으며 날이 선 칼날도 가히 밟을 수 있으되 중용은 가히 능치 못하느니라.”
爵 : 벼슬 작 祿 : 복 록 辭 : 사양할 사 蹈 : 밟을 도
均은 平治也ㅣ라 三者는 亦知仁勇之事니 天下之至難也ㅣ라 然이나 皆倚於一偏이라 故로 資之近而力能勉者는 皆足以能之어니와 至於中庸하야는 雖若易能이나 然이나 非義精仁熟而無一毫人欲之私者면 不能及也ㅣ라 三者는 難而易하고 中庸은 易而難하니 此民之所以鮮能也ㅣ라 균은 평치함이라. 세 가지는 知 仁 勇의 일이니 천하의 지극한 어려움이라. 그러나 모두가 한쪽에 기울어졌느니라. 고로 가까운 데부터 힘으로 능히 힘쓰는 자는 다 족히 써 능하거니와 중용에 이르러서는 비록 쉽게 능할 것 같으나 그러나 의로움(義)과 정미로움(精), 어짊이 성숙해져 터럭만큼의 사람 욕심의 사사로움이 없는 자가 아니면 능히 (중용지도에) 미치지 못하느니라. 세 가지는 어려울 것 같지만 쉽고 중용은 쉬울 것 같으나 어려우니, 이는 백성이 써 능한 이가 드문 바이니라.
[앞주 해설] 천하국가를 고르게 하려면 알아야 하고(知), 벼슬과 녹도 사양할 수 있으려면 어질어야 하고(仁), 칼날을 밟으려면 용기가 있어야(勇) 하는데 이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모두가 한쪽으로 치우친 것이다. 중용의 도에 이르려면 의롭고 정미롭고 어짊이 성숙해져 조금도 사사로운 욕심이 없어야 한다. 가균(可均)하려면 충분히 지혜롭기만 하면 되고, 가사(可辭)하려면 충분히 어질면 되고, 가도(可蹈)하려면 용감하기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얼핏 보기에는 매우 어려운 것 같지만 한쪽으로만 열심히 하면 되는 것이기에 오히려 쉽다. 하지만 중용의 도를 실천하려면 의롭고 정미롭고 어짊이 모두 충분히 성숙되어야 하므로 얼핏 보기에는 쉬울 것 같지만 매우 어려운 일이다. 공자도 말씀하셨듯이 중용은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