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기원(起源)과 자의(字義)와 자형(字形)을 체계적으로 밝힌 책은 후한시대에 허신(許愼 : 서기 30~124년)이 쓴 ?說文解字(설문해자)』(이하 『설문?)를 대표적으로 꼽는다. 후대의 학자들이 허신의 ?설문?을 토대로 한자의 기원이라고 하는 은(殷) · 주(周) 시대의 갑골문자(甲骨文字)와 금문(金文 : 청동기 銘文)을 해독할 만큼, ?설문?은 한자의 기원과 구성을 밝히는데 있어 가장 권위있는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자에 대한 가장 뛰어난 주석서라고 평가받는 청나라 때의 단옥재(段玉裁)가 지은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도 허신의 ?설문?을 주석한 것이다. 허신이 ?설문?에서 六書(육서)법칙에 의거해 한문의 문(文)과 자(字)를 분류함으로써 한문의 기원과 구성을 밝혀 놓았기에 먼저 문(文)과 자(字)에 관해서 살펴본다.
六 書
文 |
① 상형(象形) |
물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
日 月 山 川 水 … |
② 지사(指事) |
추상적 개념을 기호화하여 만든 글자 |
一 二 三 上 下 … | |
字 |
③ 회의(會意) |
상형과 지사 등의 독립된 글자를 합쳐 새로운 뜻을 나타낸 글자 |
明 林 森 炎 學 등 |
④ 형성(形聲) |
회의와 비슷하지만 한쪽은 뜻을 한쪽은 음을 나타낸 글자 |
城 柱 轉 詩 指 | |
文 字 의 활 용 |
⑤ 전주(轉注) |
글자의 본래 뜻을 연관된 뜻으로 전용한 글자 |
樂(풍류 악, 즐거울 락, 좋아할 요) 說(말씀 설, 기쁠 열, 달랠 세, 벗을 탈) |
⑥ 가차(假借) |
음이 같거나 비슷한 뜻을 빌어다 쓴 글자. 외래어 표기 등에 많이 씀 |
可口可樂(코카콜라) 百事可樂(펩시콜라) |
△ 文은 ‘亠(돼지해머리 두)’에 ‘乂(사귈 예)’가 합쳐진 글자로 ‘글월 문’이라고 하는데 이때 글월은 옛말로 글자이자 그림을 뜻한다. 물건을 본떠서 만든 木(나무 목)․日(날 일)․月(달 월)․川(내 천)․火(불 화) 등의 상형문(象形文)이 대표적으로 문(文)에 속하는 글자이다.
문(文)에 속하는 다른 글자는 지사문(指事文)이다. 지사문은 직접 본뜰 수 없는 추상적 개념의 단어들이다. 이를테면 上(윗 상)과 下(아래 하)이다. 일정 기준선(一)을 긋고 ‘점 복(卜)’을 위에 넣어 ‘위, 올라감’을 뜻하는 上을 만들고, 아래에 넣어 ‘아래, 내려감’을 뜻하는 下를 만들었다. 丨(뚫을 곤)을 넣지 않고 卜을 넣은 것은 올라가되 한없이 올라가지 말고 중(中)을 잡으라는 것이고, 내려가되 한없이 내려가지 말고 중(中)을 잡으라는 뜻이다.
△ 文과 짝이 되는 자(字)에는 회의자와 형성자가 있다. 뜻과 뜻이 모여서 이루어진 글자가 회의자이며, 뜻과 음이 합쳐져 이루어진 글자가 형성자이다.
林(수풀 림)․森(빽빽할 삼)․炎(불꽃 염)․學(배울 학) 등이 회의자에 속하며, 城(성 성)․柱(기둥 주)․轉(구를 전)․詩(시 시)․指(가리킬 지) 등은 형성자라고 분류한다. 회의자와 형성자는 모두 文으로부터 나온 글자(字)들인데 형성자의 경우 허신을 비롯해 많은 학자들이 한쪽이 음(音)이면, 다른 한쪽은 뜻인 훈(訓)을 나타낸다고 정의하였다.
△ 그 외 전주(轉注)문자와 가차(假借)문자 등은 모두 문(文)과 자(字)를 적절히 재활용하여 쓰는 글자들을 분류한 이름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의 설명은 ?설문?의 육서분류에 의한 것이다.
가. 음양오행 이치가 담긴 한자
허신의 ?설문?이나 이후의 한문 고증학자들이 한문의 기원 및 구성과 관련하여 간과한 사실은 한자라는 문자가 창제되기 이전에 사용된 음양 부호(? , —)와 8괘, 64괘가 한자 창제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느냐이다. 인류는 의사소통과 기록과 전승을 위해 그림이나 부호(기호)를 발명해 쓰기 시작했고 이후 그림과 부호는 문자로 진화 발전하였다.
문자로 진화 발전한 그림과 부호 중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부호와 그림이 ?주역(周易)?의 음양(陰陽) 부호와 괘(卦)이다. 괘는 음양오행의 원리가 담긴 하도낙서(河圖洛書)를 근거로 만들어졌으며 이에 따라 괘에는 하도낙서의 상(象)과 수(數)와 이(理, 이치)가 담겨 있다. 다시 말해 문자가 발명되기 전에는 상(象)과 수(數)와 이(理)를 담아낸 괘(卦)로써 만물과 그 현상을 나타냈다는 뜻이다.
공자는 ?주역(周易)? 계사하전 2장에서 이를 명확하게 밝혔다.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에 仰則觀象於天하고 俯則觀法於地하며 (옛적에 포희씨(복희씨)가 천하에 왕을 할 적에 우러러서는 하늘의 상을 보고, 구부려서는 땅의 법을 보며 觀鳥獸之文과 與地之宜하며 近取諸身하고 遠取諸物하야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마땅함을 보며, 가까이는 저 몸에서 취하고 멀리는 저 물건에서 취하여) 於是에 始作八卦하여 以通神命之德하여 以類萬物之情하니(이에 비로소 팔괘를 지음으로써 신명의 덕을 통하여 만물의 실정을 분류하니)’ 이다. 이에 허신도 설문해자 서문에서 이 구절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천문을 보고, 지리를 보고, 새와 짐승의 날고 뛰는 모습을 보고, 땅에 존재하는 자연의 마땅함을 보고, 내(사람) 몸에서 취하고, 사물에서 취하여 즉 천지만물의 형상과 이치를 보고 팔괘(☰ ☱ ☲ ☳ ☴ ☵ ☶ ☷)를 만들었다는 뜻이다(「주역보론」의 ‘팔괘’ 참고). 즉 괘(卦)를 보고는 이 사물이 무엇이구나, 저 현상에는 무슨 이치가 담겨 있구나를 알게 한 것이다. 팔괘는 사상(四象 : 음(- -)양(ㅡ)을 위 아래로 배열하여 나온 4개의 표시 )에서, 사상은 음양(- - : −)에서, 음양은 태극(?)에서 나왔다.
64괘는 팔괘에서 나왔다. 이러한 관계를 生生之謂易(생생지위역 : 낳고 낳는 것을 일러 역이라 한다)이라 한다.
분 류 |
의 미 |
관련 한자 |
① 仰則觀象於天 (앙즉관상어천) |
천문 : 일월성신, 춘하추동 등의 하늘의 운행변화 |
一 十 日 月 文 夕 雨 辰 玄… |
② 俯則觀法於地 (부즉관법어지) |
지리 : 만물의 생장수장 법칙, 오행의 이치 |
二 八 生 長 水 火 木 金 土… |
③ 觀鳥獸之文 (관조수지문) |
날짐승과 들짐승의 무늬 |
卜 爪 牛 羊 豕 虫 馬 鳥 龜… |
④ 地之宜 (지지의) |
땅의 마땅함으로 높고 낮음과 습함과 건조함 등 |
山 川 邑 里 阜 井 溪 江 海… |
⑤ 近取諸身 (근취저신) |
소우주인 사람의 신체 |
耳 目 口 鼻 心 手 足 首 齒 … |
⑥ 遠取諸物 (원취저물) |
사물(事物) |
門 刀 矢 戶 巾 舟 鼓 鼎 戈… |
나. 象이란 ?주역?의 卦象(괘상)을 뜻한다.
이렇듯 괘는 문자 창제 이전에 인류사회의 문화와 문명을 이루고 있던 천문과 지리, 수렵과 농경, 교역, 의식주를 위한 각종의 도구 발명 등을 표현하고 아울러 기록과 전승을 하던 매체요 수단이었던 것이다.
이에 공자는?주역? 계사상전에서 ‘聖人이 設卦(설괘)하야 觀象繫辭焉(관상계사언:성인이 괘를 베풀어서 상을 보고 말을 매달아서)하야’ ‘聖人이 立象하야 以盡意하며 設卦하야 … 繫辭焉하야 以盡其言하며 (성인이 상을 세움으로써 뜻을 다하며 괘를 베풀어서 … 말을 매달아서 그 말을 다하며)’ 라며 한자의 기원이 괘(卦)에서 비롯되었음을 더욱 분명히 하고 있다.
卦象 |
괘명 |
천지자연 |
괘덕(德) |
鳥獸之文 (동물) |
近取諸身 (신체/가족) |
遠取諸物 사물(事物) |
방위 |
☰ |
乾(건) |
하늘(天) |
健(건:굳건함) |
말(馬) |
머리/아버지 |
金, 玉, 木果… |
서북 |
☱ |
兌(태) |
연못(澤) |
說(열:기뻐함) |
양(羊) |
입 / 소녀 |
혀, 무당… |
서 |
☲ |
離(리) |
불(火) |
麗(리:걸림) |
꿩(雉) |
눈 / 중녀 |
번개,갑옷,창,군사… |
남 |
☳ |
震(진) |
우레(雷) |
動(동:움직임) |
용(龍) |
발 / 장남 |
大塗(큰길),竹,갈대… |
동 |
☴ |
巽(손) |
바람(風) |
入(입:들어감) |
닭(鷄) |
넓적다리/장녀 |
木, 먹줄… |
동남 |
☵ |
坎(감) |
물(水) |
陷(함:빠짐) |
돼지(豕) |
귀 / 중남 |
활, 바퀴 … |
북 |
☶ |
艮(간) |
산(山) |
止(지:그침) |
개(狗) |
손 / 소남 |
작은길,문… |
동북 |
☷ |
坤(곤) |
땅(地) |
順(순:유순함) |
소(牛) |
배 / 어머니 |
布, 釜(솥),큰수레 … |
서남 |
결론적으로 한자가 ?주역?의 괘(卦)를 근거로 음양오행의 원리에 의한 象과 數와 理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이는 한자가 소리글자가 아니라 뜻글자가 된 배경이기도 하다.
다. 음양오행의 원리가 담긴 사례
① 한자에는 왜 동그라미(日: 해 일)를 쓰지 않았는가?
?주역?의 ‘체불용(體不用)’ 법칙이다. 체(體)는 근원이자 원칙이 되는 것을 말한다. ‘체불용(體不用)’이란 체는 드러내 놓고 쓰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만물의 시원(始原)이 되는 하늘의 경우 상징형상이 둥근 모양(天圓, 천원)이지만 실제로 한자에서는 원모양을 쓰지 않는다.
대신 해를 나타낼 때 口에 양(陽)부호이자 으뜸과 하나라는 一을 넣어 표현했고, 달은 점점 차오르는 초승달 모양에 음부호(?)를 아래 위로 겹친 모양이자, 해 다음이라는 二를 넣어 나타내었다.
② ‘하나’라는 숫자인 ‘一’이 왜 가로 모양이며 陽(양 : 一)의 의미인가? 또한 月(달 월)의 안에 있는 ‘二’가 왜 陰(음 : - -)을 뜻하는가?
양은 곧 하늘로, 땅 위에 서 있는 사람들이 보기에 하늘은 머리 위를 덮고 있는 형상이기에 ㅡ로 표현했다. 그래서 하늘을 ‘天蓋(천개)’ 곧 하늘 뚜껑, 하늘 지붕이라고도 한다. 또한 땅 위에 있는 사람이 보기에 하늘은 끝없이 이어진 모습이며, 전체를 아우르는 형상이다. 또한 세상 만물 중에 가장 으뜸(一)이며, 가장 먼저 나온 존재라고 보았다. 이러한 모든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陽부호(ㅡ)이고 숫자인 一(일)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 - (음)’은 땅으로 상징되어 하늘의 다음이란 뜻(겹쳐 쓴 모양은 二)과 함께 하늘이 베풀어준 것을 받아들이는 형상으로 표현하였다. 즉 땅(음 : 陰)이라는 존재는 하늘 기운(陽)을 받아들여 만물을 싹 틔우기에, 땅이라는 글자를 음을 뜻하는 ‘二(- -)’에다 싹이 터나옴을 뜻하는 丨(뚫을 곤)을 합한 土로 나타내었다. 이렇듯 日 . 月 . 一 . 二 . 土 등은 ?주역?의 음양 이치가 대표적으로 반영된 글자이다.
③ ‘明’이란 글자에서 양(陽)을 뜻하는 日(해)은 왼쪽(左)에 위치하고 음(陰)을 뜻하는 月(달)은 왜 오른쪽(右)에 위치하는가?
?주역?의 ‘좌양우음’과 ‘음양교합’의 법칙이다. ‘日(해 일)’과 ‘月(달 월)’이 합해서 생긴 明(밝을 명)은 양과 음의 교합이며 좌양우음 법칙이 작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④ 음양의 자연관에 의하면 천지부모에 의해 자연만물이 생겨났듯이 한자도 글자가 글자를 낳는 음양의 이치가 반영되었다.
文과 짝이 되는 字는 ‘宀(집 면)’ 아래에 ‘子(아들 자)’가 들어간 글자로, 文이라는 큰 집안에서(宀) ‘乀’(파일 불)과 ‘丿’(삐칠 별)이 사귀어서(乂) 생겨난 자식(子)들을 말한다. 즉 문(文)에 속하는 상형문과 지사문이 교합하되 ‘음양교합’의 법칙에 의해 자(字)에 속하는 형성자와 회의자가 생겨난 것이다.
⑤ 상형문자라고 해서 무조건 모양만을 본뜬 것일까? 또는 형성문자라고 해서 한쪽은 음만을 다른 한쪽은 뜻만을 나타내는가?
그렇지 않다. 한자창제 과정에 ?주역?의 괘(卦)가 내포하고 있는 象과 數 음양오행 理致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단풍 풍(楓)’자를 예로 들어보면, 단풍나무에 風을 넣은 것은 단풍나무의 잎 갈래가 다섯 개임을 말한다. 주역의 巽괘(☴)에 해당하는 五巽風(오손풍)이 선천팔괘도의 순서에서 다섯 번째인 점이 반영된 것이다. 이는 형성자라 하더라도 한쪽이 단순히 음(音)만이 아니라, 사물의 특성까지 나타내고 있음을 뜻한다.
그런 점에서 형성자는 회의형성자(會意形聲字)라고 보는 것이 보다 정확한 표현이다. 또한 상형자 역시 단순히 모양(象)만을 본뜬 것이 아니라 수(數)와 음양오행의 이치(理致)를 담고 있기에 상형회의자라 보아야 한다. 日과 月에는 數와 象의 개념이 들어 있으며 明 , 人 , 入 ,爻 등의 글자는 좌양우음의 음양이치로 만들어진 글자이다. 그리고 士 , 干은 하도(河圖)의 1과 10의 수(數)를 담고 있다.
象과 數 와 理로 구성된 ‘士’ 와 ‘干’
‘士’와 같이 一과 十을 합친 글자로는 ‘干(간)’을 들 수 있다. 하늘의 운행 변화는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의 열 천간(天干)에 의하고, 땅의 생장(生長) 법도는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의 열두 지지(地支)에 의한다. 이를 나무에 비유하면 하늘은 주장하는 줄기이고, 땅은 지탱하는 가지에 해당하므로, 줄기를 뜻하는 幹(줄기 간)에 干(천간 간, 방패 간)이 들어있고 가지를 뜻하는 枝(가지 지)에 支(지지 지, 지탱할 지)가 들어 있다.
주역에서 一은 만물의 근원인 태극을 대표하는 수이고, 一을 종횡으로 그은 형태인 十은 완성을 뜻하는 數이다. 一이 始(비로소 시)를 상징한다면 十은 終(마칠 종)을 상징한다.
이에 一 과 十이 합쳐진 干에는 ① 태극이 무극이고 무극이 태극인 하늘의 이치와 ② 一로부터 시작하여 시방(十方)의 모든 조화를 이루는 주체가 하늘이며, ③ 終則有始(종즉유시)하여 하늘이 끝없이 순환반복하며 운행한다는 등의 뜻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干을 뒤집은 형태인 ‘士’는 하늘의 운행 법도를 이행해 나아가는 사람을 뜻한다. |
뜻글자인 한자의 또 다른 특성은 최초의 창제 이후에 끊임없이 새롭게 글자가 만들어져 왔다는 점이다. 한글의 자모음이나 영어의 알파벳처럼 한자를 몇 글자다라고 말할 수 없는 이유이다. 한자가 허신의 ?설문해자?에는 총 9천3백53자였지만, 2008년에 나온 ?康熙字典(강희자전)?에는 총 5만7557자, 1994년에 나온 ?中華字解(중화자해)?에는 총 8만5천여자가 실려 있다. 그러므로 평생을 배워도 다 알 수 없다는 것이 한문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한자의 창제와 확대에 일정한 법칙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周易?의 음양오행 이치이다. ?周易?의 괘에 담겨 있는 ‘象’과 ‘數’ ‘理致’를 토대로 한자가 창제되기도 했지만 아울러 한자가 한자를 낳는 방식으로 글자가 확대되어졌다는 뜻이다. 이에 뜻글자인 한자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자가 창제되기 이전에 괘(卦)로써 만물의 形象을 나타낸 ?周易?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그동안 우리들은 象과 數와 음양오행의 이치가 담긴 ?周易?을 제대로 읽을 줄 몰랐기에 한자를 공부하면서도 눈뜬 장님이나 다름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다보니 문자가 단지 모양만을 뜻한다는 전제하에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식의 자의적이고도 무지한 해석이 난무해왔다.
이 책에서 ?주역?에 대한 기초적인 공부와 인식이 필요하다고 보아 「주역 보론(補論)」을 별도로 둔 이유이다. 아울러 한문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해를 위해 ?주역?에 근거하여 낱글자까지도 파자(破字)하여 해설하였다.
음양오행 이치가 담긴 ‘冬(겨울 동)
보통 사물들은 더우면 불어나고 늘어나며, 추우면 움츠러들고 오므라든다. 이에 양기(陽氣)가 왕성히 발현하는 봄부터 여름까지는 모든 생명이 쏟아져 나와 왕성히 자라나며, 음기(陰氣)가 성하는 추운 겨울에는 모두 잠장(潛藏)한다. 양은 늘어나고 음은 줄어드는 음양이치이다.
겨울은 음의 움츠러들고 오므라드는 성질에 따라 날씨가 춥고 사물이 얼어붙는다. 이에 물(水)은 오행상 북방 水로서 음인 겨울을 대표하는 성질이 있기에 夂(뒤쳐져올 치)에 氵(삼수변)에서 한 획을 줄여 물이 응고(凝固)되어 얼어붙었다는 冫(얼음 빙)을 덧붙여 겨울을 뜻하는 冬을 나타내었다. |
출처 : 종요의 대서사시 천자문 易解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자는 천문과 역법을 토대로 한 문자 (0) | 2012.06.16 |
---|---|
[스크랩] 좌양우음(左陽右陰)과 左東右西(좌동우서) : 방위 (0) | 2012.06.16 |
[스크랩] 주역(周易)과 陰陽五行 이치(理致) (0) | 2012.06.16 |
[스크랩] 주역과 천자문의 첫 글자 ‘天’ (0) | 2012.06.16 |
[스크랩] 하도(河圖)의 數(수)인 1~10과 易의 이치 (0) | 2012.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