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甲中4章> 伊尹이 拜手稽首曰脩厥身하며 允德이 協于下는 惟明后니이다 이윤이 손을 이마에 올리고 머리를 땅에 대고 절하여 가로대 그 몸을 닦으며 진실한 덕이 아래에서 화합하니 오직 밝은 임금입니다. 伊尹이 致敬以復太甲也라 修身則無敗度敗禮之事하고 允德則有誠身誠意之實하니 德誠于上하고 協和于下는 惟明后然也니라 이윤이 공경을 다하여 태갑에게 복명함이라. 몸을 닦으면 법도를 무너뜨리고 예를 무너뜨리는 일이 없고, 덕에 진실하면 몸을 정성되게 하고 뜻을 정성되게 하는 실제가 있으니 덕이 위에 성실하고 아래에 화합함은 오직 밝은 임금만이 그러하니라.
<太甲中5章> 先王이 子惠困窮하신대 民服厥命하야 罔有不悅하야 並其有邦한 厥鄰이 乃曰徯我后하노소니 后來하시면 無罰아 선왕이 곤궁한 이들을 자식같이 사랑하셨는데, 백성들이 그 명에 복종하여 기뻐하지 않은 이가 없어서 함께 나라를 둔 그 이웃들이 이에 가로대 우리 임금 기다리노니 임금이 오시면 벌이 없으랴? 此는 言湯德이 所以協下者라 困窮之民을 若己子而惠愛之하니 惠之若子면 則心之愛者誠矣니 未有誠而不動者也라 故로 民服其命하여 無有不得其懽心이라 當時諸侯並湯而有國者의 其鄰國之民이 乃以湯爲我君하여 曰待我君하노니 我君來하시면 其無罰乎아하니 言除其邪虐이라 湯之得民心也如此하니 卽仲虺에 后來其蘇之事라 이것은 탕의 덕이 아래를 화합하는 바로써 말함이라. 곤궁한 백성을 마치 자기의 자식처럼 사랑하니 사랑함을 자식같이 한다면 마음의 사랑함이 성실해지니 정성스러움에 감동하지 않는 자 있지 않느니라. 그러므로 백성들이 그 명에 복종하여 그 기쁜 마음을 얻지 않음이 없음이라. 당시의 제후가 탕임금과 함께 나라를 둔 자의 그 이웃 나라 백성들이 마침내 탕을 우리 임금으로 삼고서 말하기를 ‘우리 임금을 기다리노니 우리 임금이 오시면 그 벌이 없으랴’ 하니 그 삿되고 포악함을 제거함을 말함이라. 탕의 민심 얻음이 이와 같으니 곧 중훼(仲虺之誥6章)에 ‘임금이 오심에 그 다시 살아나리라’는 일이라.
<太甲中6章> 王懋乃德하사 視乃烈祖하사 無時豫怠하소서 왕이 당신의 덕을 힘쓰시어 당신의 열조를 살피시어 한시도 편안하고 게을리 마소서. 湯之盤銘에 曰苟日新이어든 日日新하고 又日新이라하니 湯之所以懋其德者如此하니 太甲亦當勉於其德하고 視烈祖之所爲하여 不可頃刻而逸豫怠惰也라 탕임금의 대야에 새긴 글에 가로대 진실로 하루를 새롭게 하려거든 날마다 새롭게 하고 또 하루를 새롭게 하라 하니, 탕이 그 덕을 힘쓴 바가 이와 같으니, 태갑 또한 마땅히 그 덕에 힘쓰고 열조가 하신 바를 살펴서 잠시라도 편안하고 게을리하지 말아야 함이라.
<太甲中7章> 奉先思孝하시며 接下思恭하시며 視遠惟明하시며 聽德惟聰하시면 朕承王之休하야 無斁호리이다 선조를 받드시되 효를 생각하시며, 아래를 대하시되 공손함을 생각하시며, 멀리 보시되 밝음(밝게 볼 것)을 생각하시며, 덕을 들으시되 귀 밝음(밝게 들을 것)을 생각하시면 저는 왕의 아름다움을 받들어 싫어함이 없으오리이다. 思孝則不敢違其祖요 思恭則不敢忽其臣이라 惟는 亦思也라 思明則所視者遠하여 而不蔽於淺近하고 思聰則所聽者德하여 而不惑於憸邪니 此는 懋德之所從事者라 太甲能是면 則我承王之美하여 而無所厭斁也리라 효를 생각하면 감히 그 할아버지를 어기지 못하고, 공손함을 생각하면 감히 그 신하를 소홀히 하지 못하니라. 유(惟)는 또한 생각함이라. 밝게 볼 것을 생각하면 보는 바가 멀어서 얕음에 가리워지지 않고, 밝게 들을 것을 생각하면 듣는 바가 덕스러워 간사함에 미혹되지 아니하니 이는 덕에 힘써 따른 바의 일이라. 태갑이 이에 능하면 나는 왕의 아름다움을 받들어 싫어하는 바가 없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