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181-210

ria530 2012. 12. 3. 10:52

[181]鳩 首 會 議 (구수회의)한자비둘기 구 / 머리 수 / 모일 회 / 논의할 의의미비둘기들처럼 머리를 대고 회의를 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들의 머리를 모아 맞대고 논의함을 의미함.유의어】▶ 爛商公論 (난상공론): 공론을 익숙하게[] 헤아린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모여 잘 의논함.字義() 비둘기의 의미. ''는 발음. () 사람의 코[]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 본래 그릇 안에 음식 넣고 뚜껑을 닫은 상태로 다 갖추었다는 의미에서 '모이다'는 의미 생성. () 대화와 토론으로 의논하고 논의한다는 의미. ''는 발음.

 

[182]九 十 春 光 (구십춘광)한자아홉 구 / 열 십 / 봄 춘 / 빛 광의미석 달 90일 간의 화창한 봄날이라는 뜻인데, 혹 노인의 마음이 왕성한 봄처럼 젊은 청년 같다는 의미로도 사용됨.유의어】▶ 老益壯 (노익장): 늙을수록 더욱[] 씩씩하다.[]字義()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소중한 불을 사람이 관리한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183]苟 安 偸 生 (구안투생)한자임시 구 / 편안할 안 / 구차할 투 / 살 생의미잠시의 편안함을 위해 구차하게 산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안락(安樂)함을 탐해서 헛되이 살아간다는 의미.字義() 풀이름에서 확대되어 '진실로', '구차하다' 등으로 사용됨. 여기서는 '한때'의 의미. () 건축물 안에서 제례를 집행하는 무녀의 의미에서 '순조롭고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집안에 여자가 있어 편안하다는 의미는 봉건적 잔재에 지니지 않음. () 사람이 경박하다는 의미에서 '훔치다', '구차하다'는 의미 파생. ()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구수회의, 구십춘광, 구안투생 - 교본 파일(6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4]口 如 懸 河 (구여현하)한자입 구 / 같을 여 / 매달 현 / 물 하의미말이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 흐르는 강물처럼 말을 거침없이 잘한다는 의미.유의어1. 懸河之辯 (현하지변) : 흐르는 강물 같은 달변[]2. 靑山流水 (청산유수) : 거침없는 말을 잘함을 비유.참고】▶ 懸河 (현하) : 급류의 물처럼 거침없는 유창한 말재주.字義()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 파생. () 말을 여자가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는 의미 생성. () 마음이 멀어진다는 것에서 '떨어지다', '걸다', '매달다' 등의 의미 파생. () 강 이름에서 '', ''의 범칭이 됨. 북방의 강 칭호.

 

[185]九 牛 一 毛 (구우일모)한자아홉 구 / 소 우 / 한 일 / 털 모의미수많은 소 가운데 하나의 터럭이라는 뜻으로, 다수(多數) 중의 극소수처럼 보잘 것 없음을 비유.유의어1. 滄海一粟 (창해일속) : 큰 바다[滄海] 속의 하나의 좁쌀[]2. 大海一滴 (대해일적) : 큰 바다 속의 한 물방울[].고사()나라 무제(武帝) 때 사마천(司馬遷)이 이릉의 화[李陵之禍]를 당해 궁형(宮刑)에 처해졌을 때 자신의 처지를 표현한 글 내용.<史記>字義() 소의 머리와 뿔을 상징으로 표현한 글자. () 짐승의 가죽에 붙어 있는 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든 동물 털이나 열매의 털까지 통칭함

 

[186]口 耳 之 學 (구이지학)한자입 구 / 귀 이 / 어조사 지 / 배울 학의미입과 귀로만 하는 학문이라는 뜻으로, 귀로 들은 것은 이내 입으로 지껄이는 천박한 학문. 곧 자신을 이롭게 하지 못하는 학문의 의미.관련어】▶ 爲人之學 (위인지학) :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는 출세를 미끼로 하는 소인(小人)의 학문.字義()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 양손으로 본받아 배운다는 의미에서 후에 어린아이의 의미로 ''를 첨가함.구여현하, 구우일모, 구이지학 - 교본파일(6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7]九 折 羊 腸 (구절양장)한자아홉 구 / 꺾을 절 / 양 양 / 창자 장의미수없이 꺾인 양의 창자라는 뜻으로, 꼬불꼬불한 깊은 산 속 길의 의미.관련어】▶ 疊疊山中 (첩첩산중) : 겹겹이[] 쌓인 깊은 산 속.구별어】▶ 九曲肝腸 (구곡간장) : 굽이굽이 사무친 사람의 마음 속.字義() 본래 '풀 초[]''도기 근[]'의 결합으로 도끼로 풀을 벤다는 뜻에서 '꺾다', '휘어서 베다'는 의미 생성. 손 수[] 부수는 후에 변화된 자형임. () 양의 둥근 뿔과 머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사람 몸 속에 있는 육부(六腑) 중의 하나인 '창자'의 의미. 오장(五臟)'()'은 다른 의미.

 

[188]九 重 宮 闕 (구중궁궐)한자아홉 구 / 소 우 / 한 일 / 털 모의미문이 겹겹이 달린 깊은 궁궐의 의미. 천자나 임금이 살고 있는 궁궐.유의어】▶ 九重深處 (구중심처) : 겹겹이 문이 닫힌 대단히 깊은[] []字義() 사람이 짐을 메고 가는 모양에서 '무겁다'는 의미 생성. '마을 리[]' 부수는 의미와 관련 없는 분류임. () 본래 보통 사람들의 집의 의미에서 진()나라 이후 임금의 거처로 사용됨. () 본래 궁궐의 문을 의미했는데, 후에 천자가 기거하는 궁궐의 의미로 확대됨

 

[189]求 則 得 之 (구즉득지)한자구할 구 / 면 즉 / 얻을 득 / 어조사 지의미구하면 그것을 얻는다는 뜻으로,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 진리와 선의 유익한 것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고사】▶ 求則得之 舍則失之 (구즉득지 사즉실지) : 구하면 얻을 것이요, 버리면 잃을 것이다. <孟子, 盡心>字義() 본래 털가죽으로 만든 사람의 옷 모양인데, 후에 털가죽 옷을 조여 입어 '다잡다'는 의미에서 '구하다'는 의미로 변화되었고, 털옷은 ''자를 아래에 붙여서 사용하고 '구제하다'는 의미는 '()'를 만듦. () 본래 화폐[]를 나눈다[]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으로 사용됨. () 손으로 조개를 줍는 모양에서 '얻다'는 의미 생성.구절양장, 구중궁궐, 구즉득지 - 교본파일(6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0]舊 態 依 然 (구태의연)한자예 구 / 모양 태 / 의지할 의 / 그러할 연의미옛 모습 그대로라는 뜻으로, 변화와 발전이 없이 과거의 것을 그대로 답습한다는 의미.관련어】▶ 因循姑息 (인순고식): 옛 것을 따르기만 하고[因循] 잠시 모면하려함[姑息]. 곧 낡은 습관과 폐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눈앞의 안일함만을 취함.字義() 본래 야행성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오래 사는 것으로 인해 ''의 의미 생성. () 자신이 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든 것에서 겉으로 나타난 형상의 의미. '() '과 자형 구별에 유의. () 사람이 옷에 의지하기 때문에 '의지하다'는 의미 생성. () 본래 개를 불에 굽는 모양에서 냄새로 인해 분명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불타다'는 의미는 ''를 더해 '()'을 만듦.

 

191]久 旱 甘 雨 (구한감우)한자오랠 구 / 가물 한 / 달 감 / 비 우의미오랜 가뭄 끝에 내리는 단 비. 간절한 기다림 끝에 바라던 일이 이루어졌다는 의미의 속담.유의어】▶ 他鄕故知 (타향고지): 타향에서 고향 사람을 만남.字義() 움직이는 사람을 뒤에서 잡는 모양에서 머무르다는 의미로 '오래되다'는 의미 생성. () 비가 오지 않고 해만 쬐는 '가물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변화. '일찍 조()'와 자형 구별. () 맛을 느끼는 입안의 혀에 표시를 해 맛있는 '달다'는 의미 생성. ()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기후','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192]口 禍 之 門 (구화지문) 한자입 구 / 재앙 화 / 어조사 지 / 문 문의미입은 화를 일으키는 문이라는 뜻으로, 말을 삼가고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출전口是禍之門, 舌是斬身刀. (구시화지문 설시참신도)閉口深藏舌, 安身處處牢. (폐구심장설, 안신처처뢰)입은 화의 문이요,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 입을 닫고 혀를 간직하면, 몸은 편안하게 가는 곳마다 든든하네. <馮道舌詩>字義() 오른쪽 모양은 '뼈 골()'의 변형으로 죽음이나, 재앙의 상징. ''는 하늘이 인간에게 내려주는 것을 상징.구태의연, 구한감우, 구화지문 - 교본파일(6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3]國 士 無 雙 (국사무쌍)한자나라 국 / 선비 사 / 없을 무 / 쌍 쌍의미나라의 사람 중에 둘도 없다는 뜻으로, 온 나라에서 비교할 만한 사람이 없는 뛰어난 인물.유의어】▶ 泰山北斗 (태산북두): 태산과 북두성처럼 뛰어난 인물字義() 영역을 무기[]를 들고 지키는 상황을 표현해 영토를 지닌 국가의 개념을 만듦. ()넓적한 날로 된 도끼의 모양에서 도기를 다루는 남자의 상징으로 사용됨. 후에 신분의 계급으로 변화. ()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를 만듦. () 두 마리 새를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194]國 恥 民 辱 (국치민욕)한자나라 국 / 부끄러울 치 / 백성 민 / 욕될 욕의미나라의 수치와 백성의 욕됨이라는 뜻으로, 나라와 온 국민들이 일제(日帝)에 치욕을 당한 일.관련어】▶ 庚戌國恥 (경술국치): 경술년(1910)의 나라의 치욕[8.29].字義() 마음속으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의미. ()와 의미 통함. () 칼로 눈을 찌르는 모양인데, 고대 전재 포로를 노예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만듦. 낮은 계급의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 ()''이고, ()'()'의 의미. 별로 때를 알아서 농사짓던 것에서 때를 잃었을 때 ''으로 '욕보인다'는 의미 생성.

 

[195] 國 泰 民 安 (국태민안)한자나라 국 / 클 태 / 백성 민 / 편안할 안의미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하다는 뜻으로, 주로 입춘절의 입춘방(立春榜)으로 사용함.예시】▶ 國泰民安 家給人足 (국태민안 가급인족): 국태민안하며,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하다. <立春帖(입춘첩)>字義() 물을 사람들이 들어서 건너게 하는 모양에서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큰 사람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크다'는 의미 도출. () 제사장 안에서 제례를 올리는 무녀(巫女)의 모습에서 '모든 것이 다 잘 진행된다'는 의미에서 '편안하다'는 뜻 생성.국사무쌍, 국치민욕, 국태민안 - 교본파일(6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6]群 鷄 一 鶴 (군계일학)한자무리 군 / 닭 계 / 한 일 / 학 학의미많은 닭 가운데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 홀로 빼어남을 이르는 말.동일어】▶ 鷄群一鶴 (계군일학)유의어】▶ 白眉 (백미) : 흰 눈썹. 삼국지의 마량.字義() 모여 사는 양떼의 의미에서 '무리'의 의미로 만듦. () 왼쪽 부분은 발음 (), 가금(家禽)인 닭의 의미. () 왼쪽 부분 위의 '집면[갓머리]'은 두루미와 유사한 새들의 머리 장식 표현임. 웅장한 모습의 두루미를 형상하고 있는 글자.

 

[197]君 臣 有 義 (군신유의)한자임금 군 / 신하 신 / 있을 유 / 옳을 의의미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오륜(五倫) 중의 하나.五倫父子有親 (부자유친) : 부자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君臣有義 (군신유의) 夫婦有別 (부부유별) :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長幼有序 (장유유서) :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한다.朋友有信 (붕우유신) :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字義() 임금, 지도자의 의미인 '()'에 언변, 명령의 의미인 '()'를 첨가함. () 눈을 확대해서 표현한 모양으로, 임금의 행동에 주의하는 신하의 의미 상징. () 손에 고기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의미 생성. 현재는 ()이 아닌 ()부수에 많이 포함시킴.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동물의 결정체를 자신에게 비유해 바르고 깨끗한 '정의,옳다' 등의 의미 생성.

 

[198]群 雄 割 據 (군웅할거)한자무리 군 / 수컷 웅 / 나눌 할 / 의거할 거의미수많은 영웅들이 각지에 자리잡고 서로 세력을 다툰다는 의미.유의어】▶ 中原逐鹿 (중원축록): 천하[中原]의 패권[鹿]을 쫓아나감[]. 군웅의 천하 다툼을 사냥에 비유.字義() 왼쪽 부분은 변화된 발음 표현. 새를 상징한 동물의 수컷 의미. 암컷은 (). () 해로운 것[]을 칼로 자른다[]는 의미에서 '나누나','가르다' 등의 의미 생성. () 일정한 사실에 근거하여 의지하고 의거한다는 의미.군계일학, 군신유의, 군웅할거 - 교본파일(6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9]權 謀 術 數 (권모술수)한자권세 권 / 꾀 모 / 기술 술 / 수 수의미그때 그때에 응한 모략과 술수로 남을 속이는 일을 의미.유의어】▶ 巧言令色 (교언영색) : 교묘한[] []과 아첨[]하는 얼굴 색[].字義() 본래 저울추의 의미로 만든 글자. 저울질할 수 잇는 힘을 지녔다는 의미에서 '권력'의 의미 파생. () 헤아려 논의해서 도모한다는 의미, ()는 발음. () 사거리에서 사람이 재주를 보이는 모양에서 '기술', ''의 의미 생성. () 여자가 상자 안의 물건을 따져본다는 의미에서 '세다'는 의미 생성. ''의 의미로 확대됨.

 

[200]權 門 勢 家 (권문세가)한자권세 권 / 문 문 / 기세 세 / 집 가의미권세가 있는 가문이라는 뜻으로, 대대로 권력과 세도를 누리는 가문의 집안을 이르는 말.유의어】▶ 巨家大族 (거가대족) : [][]에 큰 족속[]. , 대대로 번성한 문벌(門閥) 집안의 의미.字義() 힘과 세력의 의미. 권위와 활동력의 상징으로 표현됨. ()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혀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의 의미를 지님.()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 '가정'의 의미로 사용.

 

[201]權 不 十 年 (권불십년)한자권세 권 / 아니 불 / 열 십 / 해 년의미권세가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높고 강한 권력이나 세력이라 하더라도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다는 의미.유의어】▶ 花無十日紅 (화무십일홍) : []이 열흘동안 붉을[] 수 없다. 곧 흥하면 쇠하기 마련이다.字義()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의 의미 생성.권모술수, 권문세가, 권불십년 - 교본파일(6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窮 餘 之 策 (궁여지책)한자다할 궁 / 남을 여 / 어조사 어 / 계책 책의미궁박한 나머지 짜낸 계책이란 뜻으로, 막다른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짜낸 계책의 의미.동의어】▶ 窮餘一策 (궁여일책)(속담) 울며 겨자 먹기.구별어】▶ 苦肉之策 (고육지책): 자기 희생을 감수하는 계책.字義() '다하다'는 의미에서 '궁색'하다는 뜻 파생. () 먹을 것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여유롭다', '남다'는 의미 생성. () 대쪽에 새긴 술책의 의미. '채찍'의 의미도 있음.

 

[203]勸 善 懲 惡 (권선징악)한자권할 권 / 착할 선 / 징계할 징 / 악할 악의미선을 권하고 악을 징계한다는 뜻으로, 선행(善行)은 권장하고 악행은 징계한다는 의미.관련어】▶ 信賞必罰 (신상필벌): 잘한 일은 진실로 상을 주고, 잘못한 일은 반드시 벌을 내린다.字義() 도움을 주는 의미에서 '권하다'는 의미 생성. () 양고기를 먹는 모양에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성질의 '착하다'는 의미 생성.() 잘못한 일을 혼내준다는 의미에서 '징계하다'는 뜻 생성. '()'은 발음. () 죽음과 같은 나쁜 것의 의미. '미워하다'()발음.

 

[204]捲 土 重 來 (권토중래)한자말 권 / 흙 토 / 거듭 중 / 올 래의미흙을 말아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패한 자가 힘을 길러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전력을 다해 쳐들어온다는 의미.유의어】▶ 七顚八起 (칠전팔기): 일곱 번 넘어졌다가[] 여덟 번째 다시 일어난다.[]字義() 손으로 돌려 '만다'는 의미. '()'은 발음. () 사람이 짐을 메고 가는 모양에서 '무겁다'는 의미 생성. '마을 리[]' 부수는 의미와 관련 없는 분류임. () 본래 '보리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를 생성함. '보리'는 별도의 '()'자를 만듦. 궁여지책, 권선징악, 권토중래 - 교본파일(6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5]龜 背 刮 毛 (귀배괄모)한자거북 귀 / 등 배 / 비빌 괄 / 털 모의미거북의 등에서 털을 긁는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것을 턱없이 구하려는 것을 의미.유의어】▶ 緣木求魚 (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字義() 거북의 머리,,꼬리,다리 등을 상세하게 표현함. 갑골문으로 인해 '터지다()'는 의미 파생. () 신체 부위인 ''의 의미인데, 서로 등지고 있는 것으로 인해 '배반하다'는 의미 파생. () 본래 칼로 깎다는 의미인데, '긁다, 비비다'는 의미 파생. () 짐승의 가죽에 털이 붙어 있는 모양. ''의 범칭으로 사용됨.

 

[206]規 矩 準 繩 (규구준승)한자그림쇠 규 / 곱자 구 / 수준기 준 / 먹줄 승의미그림쇠와 곡자, 수준기, 먹줄의 뜻으로, 모든 사물을 재고 헤아리는 도구로 인해 사람이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의 가치 척도를 의미함. 준말】▶ 規矩 (규구)字義() 장부의 식견이 법에 맞는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인데, 모든 것이 원만하다는 의미로 인해 둥근 것, 원을 그리는 도구인 '그림쇠'의 의미 파생. () 각진 것으로 인해 모가 난 방형(方形)을 그리는 도구인 곱자[曲尺]의 의미 생성. () 물을 담아 막대로 수평을 재는 도구인 '수준기'의 의미에서 '기준'의 의미 생성. () 새끼줄의 의미에서 '먹줄'의 의미 생성.

 

[207]極 口 辨 明 (극구변명)한자다할 극 / 입 구 / 분별할 변 / 밝을 명의미말을 다하여 분명하게 분별한다는 뜻으로, 온갖 말을 다하여 자기의 잘못이 없음을 변명함.유의어】▶ 極口發明 (극구발명) : 온갖 말로 밝게 드러나게 함[發明].字義() 집의 가장 높은 곳인 일종의 용마루 의미에서 '최고'의 의미로 인해 '극한', '다하다'는 의미 파생. () 판단하고 분별한다는 의미. () 해와 달의 '밝다'는 의미로 보나, 혹 창문에 달빛이 비추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귀배괄모, 규구준승, 극구변명 - 교본파일(6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8]克 己 復 禮 (극기복례)한자이길 극 / 자기 기 / 회복할 복 / 예 례의미자신을 극복해 예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과도한 욕망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좇게 한다는 의미. <論語(논어)>원문顔淵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안연문인 자왈 극기복례위인) : 안연이 인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하기를 '자신을 극복해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이 된다'고 하였다. <논어 안연편>字義() 무거운 것을 머리에 이고 있어 '참고 견디다'는 의미에서 '이기다'는 의미 파생. () 만물이 자신을 숨기고 있는 개념에서 ''의 의미 도출. () 처음 있던 곳으로 돌아오다는 의미로 '회복하다', '돌아가다'는 의미 생성. ()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예도(禮度)'의 의미 생성.

 

[209]極 樂 往 生 (극락왕생)한자다할 극 / 즐거울 락 / 갈 왕 / 날 생의미극락에 가서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로, 목숨이 끝나면 아미타불이 있는 극락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불교 용어.관련어極樂淨土 (극락정토): 아미타불(阿彌陀佛)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 [=極樂世界(극락세계), 西方淨土(서방정토)]참고】▶ 淨土 (정토):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지극히 안락해 아무 걱정이 없는 세계.字義()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좋아한다[]'는 의미 파생. () 발의 의미인 ()에서 '가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는 본래 '()'에서 변한 것임[발음 역할].

 

[210]克 伐 怨 慾 (극벌원욕)한자이길 극 / 칠 벌 / 원망할 원 / 욕심 욕의미이김을 즐거워함[]과 스스로 자랑함[], 원망함[], 물욕이 많음[]의 뜻으로, 어진 사람이 행하지 말아야 할 네 가지 악덕(惡德). <論語>상대어】▶ 仁義禮智 (인의예지) : 군자가 행해야 할 네 가지 품성.字義() 사람의 목에 창[()]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자르다', '정벌하다'는 의미 생성. () 저녁에 사람이 구부리고 잠을 못자는 심정에서 '원망하다'는 의미 생성. () 본래 ''과 통용되는 글자나, 우리 나라에서는 '욕심'의 의미로만 사용함. '()''하고자 하다'는 의미.극기복례, 극락왕생, 극벌원욕 - 교본파일(7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양기한자성어241-270  (0) 2012.12.03
이야기한자성어211-240  (0) 2012.12.03
이양기한자성어151-180  (0) 2012.12.03
이야기한자성어121-150  (0) 2012.12.03
이야기한자성어91-120  (0) 201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