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121-150

ria530 2012. 12. 3. 10:49

[121] 呱 呱 之 聲 (고고지성)한자울 고 / 울 고 / 어조사 지 / 소리 성의미'으앙'하는 소리라는 뜻으로, 어린아이의 울음소리를 형용하는 말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아기가 세상에 처음 나오면서 우는소리로 사용됨.字義() '울다'는 의미나 '어린아이의 울음 소리'의 의미. ()는 발음부호. () 석경과 같은 악기를 손에 막대를 들고 때리는 모양에 아래에 귀와 입을 그린 형태로, 음악을 연주하는 '소리'의 의미 생성.

 

[122] 高 官 大 爵 (고관대작)한자높을 고 / 관리 관 / 큰 대 / 작위 작의미높고 큰 관리의 뜻으로, 높고 귀한 벼슬이나 또는 그 사람의 의미. 현대에 사용하는 고위공직자(高位公職者)의 의미.字義() 입구와 전망대가 있는 높은 누각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대롱의 의미에서 변화되어 '주관하다', '벼슬'의 의미 파생. () 본래 뿔이 달린 술잔에 아래 눈과 손을 그린 모양으로, 술을 경계하라는 의미에서 벼슬하는 사람의 의미로 '벼슬', '작위'의 의미로 변화됨.

 

[123] 股 肱 之 臣 (고굉지신)한자넓적다리 고 / 팔뚝 굉 / 어조사 지 / 신하 신의미넓적다리나 팔뚝 같은 신하라는 뜻으로, 수족(手足)처럼 보필하는 가장 신뢰하는 신하의 의미.'고굉지신'은 임금이 충신에게 하는 표현이고, 신하의 입장에서는 주로 犬馬之勞(견마지로)의 표현을 씀.동의어】▶ 股掌之臣 (고장지신): 넓적다리나 손[] 같은 신하.字義() 무릎의 윗 부분인 '넓적다리'의 의미. () 팔뚝의 의미. () 사람의 눈을 확대해서 표현한 것으로, 신하가 왕의 명령과 행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는 존재라는 의미에서 '신하'의 의미 생성. 고고지성, 고관대작, 고굉지신 - 교본파일(4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24] 孤 軍 奮 鬪 (고군분투)한자외로울 고 / 군사 군 / 떨칠 분 / 싸울 투의미외로운 군사가 떨쳐 싸운다는 뜻으로, 고립된 군대가 분발하면서 힘에 겨운 싸움을 한다는 의미인데, 남의 도움도 없이 홀로 힘겨운 일을 한다는 의미로 사용됨.관련어】▶ 孤軍弱卒 (고군약졸): 의지할 데 없는 약한[] 군사[].字義() 부모가 없는 자식의 의미에서 '고아','외롭다'는 뜻 생성. () 수레[전차]가 건축물 안에 있는 모양에서 군대가 주둔한 상태를 나나내 '군대'의 의미를 생성함.. () 새가 날개를 크게 벌리고 농토에서 날고 있는 모양에서 '힘쓰다','떨치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서로 머리를 잡고 싸우는 모양에서 확대되어 무기 등을 들고 싸우는 '전쟁'의 의미로 확대.

 

[125] 古 今 獨 步 (고금독보)한자옛 고 / 이제 금 / 홀로 독 / 걸음 보의미예나 지금이나 모두 홀로 발자취를 남긴다는 뜻으로, 고금(古今)을 통하여 견줄만한 것이 없는 홀로 빼어남을 의미함.유의어1. 古今無雙 (고금무쌍): 고금을 통해 둘[]도 없음[].2. 古今無比 (고금무비): 고금을 통해 견줄 것[]이 없음.字義() 앞 세대의 일이 입을 통해 십 세대를 전해졌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의 결합으로 사람이 모이는 곳에 맞추어 가다는 의미에서 '이제','지금'의 의미 생성. () 가상의 전설적 동물을 표현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홀로'의 의미로 사용됨. () 양쪽 발이 서로 잇닿아 있는 모양에서 '걷다'의 의미 도출.

 

[126] 古 今 同 然 (고금동연)한자옛 고 / 이제 금 / 같을 동 / 그럴 연의미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그렇다는 뜻으로,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한결같다는 의미.반의어】▶ 古今不同 (고금부동): 사물이 달라져 예와 지금이 같지 않다.字義() '()'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의미에서 '한가지', '같다' 등의 의미 파생. () 본래 개고기를 불에 굽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심한 냄새로 인해 보지 않고도 알 수 있어 '그러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불태운다는 의미는 ''를 더해 '()'을 별도로 만듦.고군분투, 고금독보, 고금동연 - 교본파일(4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27] 高 談 峻 論 (고담준론)한자높을 고 / 말씀 담 / 높을 준 / 말씀 론의미높은 담론의 뜻으로, 1) 고상하고 준엄한 언론의 의미나, 2) 스스로 자만하여 과장하는 말의 의미.구별어】▶ 高峰峻嶺 (고봉준령): 높이 솟은 산봉우리[]와 험한 산마루[]字義() 입구와 전망대가 있는 높은 누각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말이 불꽃이 이어서 타듯이 계속 이어진다는 의미에서 '이야기'의 의미 생성. () 산과 같이 높다는 의미 생성. () 말을 담아서 모아 놓았다는 의미에서 '논하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부분은 '모으다'는 의미의 ()자임.

 

128] 高 臺 廣 室 (고대광실)한자높을 고 / 돈대 대 / 넓을 광 / 집 실의미높은 누대와 넓은 집의 뜻으로, 규모가 굉장히 크고 좋은 집의 의미.연결어】▶ 高樓巨閣 (고루거각): 높고 큰 누각[樓閣].구별어】▶ 九重宮闕 (구중궁궐): 문이 겹[]겹이 달린 대궐.[宮闕]字義() 위 부분은 전망할 수 있는 건축물의 입구까지 표현한 망대의 의미이고 아래 '()'는 사방을 바라보기 위해 '이르렀다'는 의미로 더해짐. () 건축물의 의미인 ''과 발음인 ()을 더해 넓은 장소를 의미함. () 위의 '집 면'자는 집의 내부의 의미로 사용했고, '()'는 변화된 발음으로 사용됨.

 

[129] 膏 粱 珍 味 (고량진미)한자살찔 고 / 기장 량 / 보배 진 / 맛 미의미기름지고 좋은 곡식의 진귀한 맛이라는 뜻으로, 기름진 고기와 맛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유의어1. 山海珍味 (산해진미): []과 바다[]의 진귀한 맛.2. 珍羞盛饌 (진수성찬): 진귀한 맛있는 음식[]이 성대하게[] 차려짐[].字義() 아래 '()'의 의미에서 '살이 찌다'는 의미를 생성. 위 부분 '()'는 발음. () 아래 '()'에서 곡식인 '기장'의 의미를 생성했는데, 주로 맛있는 음식의 의미로 사용됨. () 보배스러운 ''의 의미에서 '보배'의 의미 생성. () '[]'안에 있는 달콤한 음식의 의미에서 ''의 의미 도출. ()는 발음.고담준론, 고대광실, 고량진미 - 교본파일(4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0] 高 麗 公 事 三 日 (고려공사삼일)한자높을 고 / 고을 려 / 공변될 공 / 일 사 / 석 삼 / 날 일의미고려 때의 공적인 일은 삼 일밖에 안 갔다는 뜻으로, 오래 참고 견디지 못하고 자주 변동함. 고려 무신정권 때의 고사.유의어】▶ 朝令暮改 (조령모개): 아침[]에 명령했다가[] 저녁[]에 고침[].字義() 뿔이 큰 아름다운 사슴의 모양에서 '곱다'는 의미 생성. () 아래의 '사사롭다'는 의미를 반대로 뒤집었다[]는 의미에서 '공공의 일'의미. () ()의 의미와 유사하게 사건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획을 더함.

 

[131] 孤 立 無 援 (고립무원)한자외로울 고 / 설 립 / 없을 무 / 도울 원의미고립되어 구원받을 데가 없다는 뜻으로, 외로운 신세로 의지할 데가 없다는 의미.동의어】▶ 孤立無依 (고립무의): 외롭게 의지할[] 데가 없음.관련어】▶ 四顧無親 (사고무친): 사방을 돌아보아도 친한 이가 없다.[孑孑單身 (혈혈단신)]字義() 부모가 없는 자식인 '고아'의 의미에서 '외롭다'는 의미 생성. () 사람이 땅위에 서 있는 모양에서 '서다'는 의미 생성. () 오른쪽 '()'은 손으로 벗에게 무엇을 준다는 의미인 '바꾸다'는 뜻인데, '()'를 더해 다른 손으로 '돕는다'는 의미 생성 .

 

[132] 枯 木 生 花 (고목생화)한자마를 고 / 나무 목 / 날 생 / 꽃 화의미마른나무에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하고 어려운 사람이 요행을 만난다는 의미.동의어】▶ 枯木發榮 (고목발영): 마른나무에 꽃이 피어[] 성대하게 됨[].字義() 나무가 말랐다는 의미를 생성함. '()'는 발음. () 땅 속에서 초목이 위로 나와 자라는 모양에서 '나다'는 의미 생성. () 꽃이 발화하는 의미에서 '변하다'는 의미의 ''를 넣었는데, ()는 발음으로도 사용됨.고려공사삼일, 고립무원, 고목생화 - 교본파일(4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3] 叩 馬 而 諫 (고마이간)한자두드릴 고 / 말 마 / 말이을 이 / 간할 간의미말을 붙들고 간언한다는 뜻으로, 충신의 간언(諫言)을 의미함.고사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주()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의 주왕(紂王)을 정벌하러 떠날 때 신하가 임금을 시해할 수 없다고 말고삐를 붙잡고 불가함을 간한 고사에서 유래함.<史記>字義() 본래 '묻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잇달아 치다'는 의미의 '두드리다''잡아당기다'는 의미 생성. () 신하가 임금에게 충고하는 말의 의미인 '諫言(간언)'의 의미.

 

[134] 鼓 腹 擊 壤 (고복격양)한자북 고 / 배 복 / 칠 격 / 흙 양語義배를 두드리고 땅을 친다는 뜻으로, 太平聖代(태평성대)를 즐긴다는 의미.[= 堯舜時代(요순시대) ]고사고대 요임금이 백성들의 생활상을 알아보기 위해 미행을 나갔을 때, 어느 마을 어귀에서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 발로 땅을 구르면서 흥겹게 노래를 부르는 모양에서 백성들이 정치를 잊고 완벽한 이상향의 생활을 누렸다는 고사.<十八史略>유의어1. 含哺鼓腹 (함포고복): 배불리 먹고[含哺] 배를 두드림.2. 比屋可封 (비옥가봉): 모든[] 집안에[] 작위를 내려줄[] 만 하다.[]字義() 손에 북채를 들고 북을 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북이나 연주하는 것을 의미. 여기서는 '두드리다'는 뜻. () 사람의 ''를 의미. 오른쪽은 발음. () '고운 흙'의 의미. '()'는 일반 흙.

 

[135] 高 峰 峻 嶺 (고봉준령)한자높을 고 / 봉우리 봉 / 높을 준 / 고개 령의미높은 산봉우리와 높은 재의 뜻으로, 우뚝 솟은 산봉우리와 험준한 산마루의 의미.관련어1. 高峰絶頂 (고봉절정): 높은 산봉우리의 맨[] 꼭대기[]2. 奇巖絶壁 (기암절벽): 기이한[] 모양의 바위[]와 깎아지른[] 낭떠러지[].字義() 산의 봉우리를 의미. 오른쪽은 발음부호. () 산이 높이 솟아있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부호. () 산 고개, 산마루의 의미. 우리말은 ''. 아래 부분은 발음부호.고마이간, 고복격양, 고봉준령 - 교본파일(4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6] 古 色 蒼 然 (고색창연)한자옛 고 / 빛 색 / 푸를 창 / 그럴 연의미오랜 세월의 색이 절로 밝게 드러난다는 뜻으로, 퍽 오래 되어 옛날 풍치가 저절로 드러나 보이는 모양을 의미.참고】▶ 蒼然 (창연): 1. 물건이 오래되어 옛 빛이 저절로 드러나 보이는 모양. 2.빛깔이 새파란 모양. 3. 날이 저물어 어둑어둑한 모양.字義() 본래 남녀가 마주 앉은 모양에서 여자의 모양만 남아, 이성에 대한 감정 표현에서 얼굴 '색깔'의 의미 생성. () 풀의 '푸른색'으로 만든 글자. ()은 발음. () 개고기를 불에 굽는 모양에서 독특한 냄새로 인해 안 보고도 알 수 있다는 의미의 '그러하다'는 뜻 생성.

 

[137] 孤 城 落 日 (고성낙일)한자외로울 고 / 성 성 / 떨어질 락 / 날 일의미외로운 성에 석양이 비친다는 뜻으로, 목숨이 얼마 남지 않아 대단히 처량한 정상을 비유하거나 의지할 길 없이 불안함을 형용하는 말.유의어1. 孤立無援(고립무원): 외로이 서 구원받을 곳이 없음.2. 四顧無親(사고무친): 사방[]을 돌아보아도[] 친한 이[]가 없다.[]字義() 흙으로 만든 방어수단인 ''의 의미. 구체적으로 성은 이중으로 쌓아 안쪽의 성은 '()'이라 하고 바깥쪽의 성은 '()'이라 하여 '內城外郭(내성외곽)'을 합해 '城郭(성곽)'이라 함.() 나뭇잎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은 발음.

 

[138] 姑 息 之 計 (고식지계)한자우선 고 / 쉴 식 / 어조사 지 / 꾀 계의미잠시 쉬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당장의 편한 것만 택하는 임시변통(臨時變通)이나 한 때의 눈가림으로 꾸며대는 것을 비유.[속담 - 언 발에 오줌 누기]유의어】▶ 臨機應變 (임기응변): []에 다다라[] 응해서[] 변화시킴[][= 臨時方便(임시방편)]字義() 본래 '시어머니'의 의미로 만든 글자인데, 문장 속에서 부사로 사용될 때, '우선', '잠시'의 의미로 쓰임. () 사람의 ''의 의미인 '()'와 마음[]을 합해 마음을 차분하게 지니면 숨도 차분하게 쉰다는 의미에서 '숨 고르다', '쉬다'는 의미 도출.() 숫자의 완성인 ''을 놓고 말한다[]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고색창연, 고성낙일, 고식지계 - 교본파일(4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9] 苦 心 焦 思 (고심초사)한자쓸 고 / 마음 심 / 그을릴 초 / 생각 사의미마음을 괴롭히며 애쓰고 속을 태운다는 뜻으로, 마음과 생각이 몹시 애태우는 의미.동의어1. 勞心焦思 (노심초사): 애를 써 속을 태움.2. 勞心慘憺 (노심참담): 몹시 애태워 걱정함[慘憺].字義() 쓴맛이 나는 풀에서 '쓰다'는 의미를 생성. () 새 밑에 불을 놓고 태우는 모양에서 '태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마음을 조리거나 난해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애태우다'는 뜻 파생. () 위의 '' 모양은 사람의 ''. 곧 머리와 마음에서 의사를 결정하는 '생각'의 의미 생성

140] 苦 肉 之 計 (고육지계)한자쓸 고 / 고기 육 / 어조사 지 / 계책 계의미몸을 고통스럽게 하는 계책이란 뜻으로, 자기 자신의 다소간의 희생까지도 각오하고 상대방을 속이기 위해 꾸미는 계책의 의미.동의어】▶ 苦肉之策 (고육지책)字義() 짐승을 잡아 고기를 썰어놓은 모양으로, 부수자로 사용되어 신체, 근육, 고기 등의 의미로 활용됨. () 숫자의 완성인 ''을 놓고 말한다[]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141] 孤 掌 難 鳴 (고장난명)한자외로울 고 / 손바닥 장 / 어려울 난 / 울 명의미외 손바닥은 울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혼자서는 일하기가 어렵다는 협동(協同)을 해야한다는 의미유의어】▶ 十匙一飯 (십시일반): 열 개의 숟가락[]으로 하나의 밥그릇[]을 이룬다.속담백지장도 맛들면 낫다字義() 사람 손바닥의 의미. 위의 '()'은 변화된 발음. () 본래 여자가 북을 치는 모양에서 적이 쳐들어오는 것을 알리던 의미인데, 후에 현재의 '새 추'자로 대치됨. 반의어는 '쉽다'는 의미의 '()'. () 새가 입으로 지저귀는 의미를 나타내, 새가 '운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우는 경우는 '()'이나 '()'을 사용함.고심초사, 고육지책, 고장난명 - 교본파일(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2] 苦 盡 甘 來 (고진감래)한자쓸 고 / 다할 진 / 달 감 / 올 래의미고통이 다하면 즐거움이 온다는 뜻으로, 역경(逆境)과 고생 끝에 즐거움이 찾아온다는 의미.관련어】▶ 生口不網 (생구불망): [] []에 거미줄 치랴[不網]반의어】▶ 興盡悲來 (흥진비래): []이 다하면 슬픔[]이 온다.字義() 손으로 그릇을 닦는 모습에서 '일을 마쳤다'는 의미 생성. () 입에서 느끼는 단맛을 표현하기 위해 혀에 표시를 해서 '달다'는 의미를 도출함. () 본래 '보리' 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를 생성함. '보리'는 별도의 '()'자를 만듦.

 

[143] 孤 枕 單 衾 (고침단금)한자외로울 고 / 베개 침 / 홑 단 / 이불 금의미한 개의 베개와 한 채의 이불이라는 뜻으로, 젊은 여자가 혼자 쓸쓸히 잠을 이르는 말.유의어】▶ 獨守空房 (독수공방): 홀로[] 빈방[空房]을 지킨다[]. 곧 남편 없이 혼자 지냄.字義() 목침(木枕) 같은 잠잘 때 베는 '베개'의 의미. 주로 잠자는 것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됨. 오른쪽은 발음. ()본래 막대기에 창과 그물을 달아 사냥하던 도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개인용 도구의 의미에서 '단독','단순'의 의미를 파생함. () 잠잘 때 사용하는 '이불'의 의미.'()'은 발음.

 

[144] 高 枕 而 臥 (고침이와)한자높을 고 / 베개 침 / 말이을 이 / 엎드릴 와의미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동의어】▶ 高枕安眠 (고침안면): 베개를 높이하고 편히[] [].고사전국시대 종횡가(縱橫家)의 장의(張儀)6국이 연합해야 한다는 소진(蘇秦)의 합종책(合縱策)을 파기하고 6국이 화친해야 한다는 자신의 연횡책(連橫策)을 써야 편안하게 지낼 수 있다고 위()나라 애왕에게 유세한 이야기字義()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과 합해서 만듦.고진감래, 고침단금, 고침이와 - 교본파일(4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5] 高 下 在 心 (고하재심)한자높을 고 / 아래 하 / 있을 재 / 마음 심의미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字義() '()'의 변형에 '()'를 더한 글자로, ''는 본래 식물의 뿌리 모양이기 때문에 '흙에 뿌리가 있다'는 의미에서 '존재(存在)'의 의미인 '있다'는 뜻을 도출함.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고대에는 ''가 하는 작업을 '심장'에서 하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뜻으로 사용되면서 '생각, 감정' 등의 의미로 활용됨.

 

[146] 高 歇 無 常 (고헐무상)한자높을 고 / 쉴 헐 / 없을 무 / 항상 상의미값의 높고 낮음이 항상 변한다는 뜻으로, 물건값의 비쌈과 쌈이 일정하지 않고 항상 변동한다는 의미.참고】▶高歇 (고헐)'값이 오르내린다는 비싼 것과 싼 것'의 의미인데, 우리 나라에서만 사용됨.[) 헐값(--)]字義() 숨을 크게 쉬면서 '쉬다'는 의미. 왼쪽 '()은 발음의 변형. 우리 나라에서는 '값이 싸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본래 치마 종류의 의복[()수건]의 뜻이었는데, 항상 옷을 입어야 하는 의미에서 '항상'의 의미로 사용됨. '()'은 발음.

 

[147] 孤 孑 單 身 (고혈단신)한자외로울 고 / 외로울 혈 / 홑 단 / 몸 신의미외로운 홀몸이라는 뜻으로, 혈육(血肉)이 없어 의지할 곳이 없는 사람의 신세를 의미.동의어】▶ 孑孑單身 (혈혈단신): 의지할 곳 없는 외로운 홀몸.유의어】▶ 四顧無親 (사고무친): 사방[]을 돌아보아도[] 친한 이[]가 없음.[]字義() 외로이 홀로 남아 있다는 의미. (), (), (), () 등과 자형에 유의. () 본래 막대기에 창과 그물을 달아 사냥하던 도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개인용 도구의 의미에서 '단독', '단순'의 의미를 파생함.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고재하심, 고헐무상, 고혈단신 - 교본파일(4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 之 疾 (고황지질)''자는 밑에 육달월[- ]을 쓴 자한자살찔 고 / 명치끝 황 / 어조사 지 / 병 질의미고황(:명치끝 쪽)에 생긴 병이라는 뜻으로, 고치기 어려운 불치병(不治病). 난치병(難治病).유의어】▶ 病入膏 (병입고황): []이 고황에 들어갔다.[]관련어】▶ 泉石膏 (천석고황): 자연[泉石]에 대해 불치병이 걸린 것처럼 자연을 몹시 사랑함.字義() []이 쪘다는 의미. '기름지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명치끝'의 의미. '(: 소경)'과 유의. () []을 의미하는 의미. ()은 변화된 발음

 

[149] 古 稀 (고희)한자예 고 / 드물 희의미예로부터 드물다라는 뜻으로, '일흔 살'의 의미.유래】▶ 人生七十古來稀 (인생칠십고래희): ()나라 시인 두보(杜甫)가 지은 '曲江(곡강)'의 한 구절. '사람이 태어나 70이 되기는 예로부터 드물다.'라는 내용에서 유래.[=七旬(칠순)]유의어】▶ 從心 (종심): 從心所慾不踰矩(종심소욕불유구)의 준말. 공자가 '70이 되어서는 마음이 하고자하는 것을 따르더라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는 의미.논어字義() 앞 세대의 일이 입을 통해 십 세대를 전해졌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벼가 줄기에 성기게 났다는 의미에서 '드물다'는 뜻 생성. '()'는 발음.

 

[150] 曲 肱 之 樂 (곡굉지락)한자굽을 곡 / 팔뚝 굉 / 어조사 지 / 즐거울 락의미팔을 구부려 베고 잠을 자는 와중에도 도를 즐긴다는 뜻으로, 청빈(淸貧)함에 만족하며 도를 즐긴다는 의미.고사】▶ 曲肱而枕之 (곡굉이침지) 팔베개를 베다[]는 뜻으로, 지극히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긴다는 의미.논어유의어1. 安貧樂道 (안빈낙도): 가난함[]을 편하게 여기면서[] []를 즐김.[] 2. 簞食瓢飮 (단사표음): 대 밥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음료.[]字義()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자의 모양에서 '굽다'는 의미와 음률의 조화로 인해 '노래'의 뜻 생성. () '팔뚝' 의미. () 즐겁다./ () 음악. / () 좋아하다고황지질, 고희, 곡굉지락 - 교본 파일(5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81-210  (0) 2012.12.03
이양기한자성어151-180  (0) 2012.12.03
이야기한자성어91-120  (0) 2012.12.03
이야기한자성어61-90  (0) 2012.12.03
이야기한자사자성어031-060  (0) 201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