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 難 攻 不 落 (난공불락)【한자】어려울 난 / 칠 공 / 아니 불 / 떨어질 락【의미】 공격하기가 어려워서 함락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천연의 요새(要塞)나 쉽게 정복되지 않는 곳을 의미.【유의어】▶ 金城湯池 (금성탕지) 쇠로 만든 성과 끓는 물이 있는 해자(垓字)의 뜻으로, 방비가 튼튼한 성지(城池)의 의미. [鐵甕城(철옹성)]【字意】⊙ 難(난)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女' 대신에 '새 추'자를 사용하게 됨. ⊙ 攻(공) '치다[칠 복]'는 의미에서 '공격하다'는 의미 파생. '工(공)'은 발음. ⊙ 落(락)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洛(락)'은 발음 부호.
[272]◈ 爛 商 討 議 (난상토의)【한자】문드러질 란 / 헤아릴 상 / 토의할 토 / 의논할 의【의미】 익숙하게 헤아리면서 토론한다는 뜻으로, 빠짐새 없이 잘 의논한다는 의미. [=爛商討論(난상토론)]【유의어】▶ 爛商公論 (난상공론) 공론을 익숙하게 헤아림. 곧 많은 사람이 모여 잘 의논함.【字意】⊙ 爛(란) 불에 데어 '문들어지다'는 뜻에서, '익숙하다'는 의미 파생. ⊙ 商(상) 주거지 위에 새의 상징을 표시한 중국 고대 부족으로 고대 '商나라'의 의미인데, 멸망한 후에 떠돌면서 장사를 해 '상인'의 의미 생성. 또 많은 계산으로 '헤아리다'는 의미 파생. ⊙ 討(토) 토론의 의미에서 후에 '정벌하다'는 의미 파생. ⊙ 議(의) 대화와 토론으로 의논하고 논의한다는 의미. '義(의)'는 발음.
[273]◈ 亂 臣 賊 子 (난신적자)【한자】어지러울 란 / 신하 신 / 도적 적 / 아들 자【의미】 어지러운 신하와 도적 같은 자식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어지럽게 하는 신화와 부모에게 거역하는 자식의 의미.【유의어】▶ 奸臣賊子 (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거역하는 자식.【字意】⊙ 亂(란) 실타래가 물레에 얽혀있는 것을 칼로 자르는 모양에서 '어지럽다'는 의미 생성. '乙'은 칼날의 변형으로 봄. ⊙ 臣(신) 눈을 확대해서 표현한 모양으로, 임금의 행동에 주의하는 신하의 의미 상징. ⊙ 賊(적) 재물[貝]을 창[戈]으로 빼앗는다는 의미에서 '도적'의 의미 생성. '十'은 'ㄱ'의 입성 표현을 위해 사용. '盜(도)'와 같은 의미지만, '賊'이 더 큰 도둑이고, '敵(적)적'은 아군, 적군의 '적'의 개념.▣ 난공불락, 난상토론, 난신적자 - 교본파일(9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4]◈ 難 兄 難 弟 (난형난제)【한자】 어려울 난 / 맏 형 / 어려울 난 / 아우 제【의미】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동생이라 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경우나 비슷비슷함을 의미.【유의어】1. 莫上莫下(막상막하) 위도 없고 아래도 없다2. 伯仲之勢(백중지세)3. 互角之勢(호각지세)4. 大同小異(대동소이)【字意】⊙ 難(난)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女' 대신에 '새 추'자를 사용하게 됨. ⊙ 兄(형) 머리부분을 크게 강조한 사람의 모양으로 머리가 큰 것으로 '형'의 의미를 표현함. ⊙ 弟(제) 본래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의 모양인데, 후에 아우나 제자의 의미로 변함. 사다리는 '竹'을 더해 '第'로 만들고 '순서'의미 파생.
[275]◈ 南 柯 一 夢 (남가일몽)【한자】남녁 남 / 가지 가 / 한 일 / 꿈 몽【의미】 남가군에서의 한 꿈이라는 뜻으로,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富貴榮華)를 의미.[ = 南柯之夢 ]【고사】당나라때 순우분이 꿈 속에서 남가군의 태수가 되어 부귀를 누리다가 꿈에서 깨어났다는 고사.[본 사이트 고사이야기 수록]【유의어】1. 一場春夢(일장춘몽) 한 바탕 봄꿈.2. 浮生若夢(부생약몽)3. 邯鄲之夢(한단지몽) 한단땅에서의 꿈.【字意】⊙ 南(남) 뿔 같은 장식을 단 북 종류의 악기의 모양인데, 중국 남방지방의 부족들이 사용해서 '남쪽 방위'와 '부족'의 의미를 지님. ⊙ 柯(가) 나무의 가지를 의미. '可(가)'는 발음. ⊙ 夢(몽)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떠진 모양에서 '꿈'의 의미 생성.
[276]◈ 南 橘 北 枳 (남귤북지)【한자】 남녘 남 / 귤나무 귤 / 북녘 북 / 탱자나무 지【의미】 남쪽의 귤나무가 북쪽에서 탱자나무가 된다는 뜻으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습성도 변한다는 환경요인의 중요성을 의미.【동의어】▶ 橘化爲枳 (귤화위지)【유의어】▶ 麻中之蓬 (마중지봉) 마 밭 속의 쑥대.【字意】⊙ 橘(귤) 귤나무의 의미. ⊙ 北(북)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추위에 체온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추운 겨울을 북퐁을 상징해 '북녘'의 의미 생성. ⊙ 枳(지) 탱자나무의 의미. '只(지)'는 발음.▣ 난형난제, 남가일몽, 남귤북지 - 교본파일(9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7]◈ 南 箕 北 斗 (남기북두)【한자】남녁 남 / 키 기 / 북녘 북 / 말 두【의미】 남기성(南箕星)과 북두성(北斗星)이란 뜻으로, 남쪽의 기성은 키로 쌀을 까불지 못하고 북두칠성은 말로 쌀을 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이름만 있지 쓸모가 없다는 의미.【유의어】▶ 有名無實 (유명무실) 이름만 있고 실상이 없다.【字意】⊙ 箕(기) 본래 '其(기)'가 대나무로 만든 삼태기 모양인데, 지시대명사 '그'로 의미가 변하자 재료인 '竹(죽)'을 더해 별도로 만들 글자임. ⊙ 北(북)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추위에 체온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추운 겨울을 북퐁을 상징해 '북녘'의 의미 생성. . ⊙ 斗(두) 곡식의 양을 재던 계량기구의 형태에 곡물을 상징하는 두 점을 더함. 부수로도 사용되고 '측량'의 의미를 지님. 별도로 '북두성'을 의미함.
[278]◈ 男 女 相 悅 之 詞 (남녀상열지사)【한자】사내 남 / 계집 녀 / 서로 상 / 기쁠 열 / 어조사 지 / 말씀 사【의미】 남녀가 함께 어울려 즐겁게 노는 장면의 노래라는 뜻으로, 조선조 유학자들이 고려가요를 낮추어 부르던 말. 【해당 가요】《만전춘(滿殿春)》, 《이상곡(履霜曲)》 등【관련어】詞俚不載(사리부재): 글이 저속해서 싣지 않았다. 【字意】⊙ 悅(열) '兌(태)'가 형[兄]이 입을 벌려 기뻐하는 모양이고 '心'을 더해 명확하게 표현함. ⊙ 詞(사) 말씀의 의미. '司(사)'는 발음
[279] ◈ 南 男 北 女 (남남북녀)【한자】남녘 남 / 사내 남 / 북녘 북 / 계집 녀【의미】 우리나라에서 남쪽 지방은 남자가, 북쪽 지방은 여자가 아름답다고 예로부터 일러오던 말.【字意】⊙ 南(남) 뿔 같은 장식을 단 북 종류의 악기의 모양인데, 중국 남방지방의 부족들이 사용해서 '남쪽 방위'와 '부족'의 의미를 지님. ⊙ 男(남) 갑골문에서는 밭에 농기구인 쟁기를 더해 '밭에서 쟁기를 다루는 사람'인 '남자'로 설명함. 후에 자형에 따라 힘의 의미인 '力(력)'으로 보기도 함. ⊙ 女(녀) 무릎을 꿇고 얌전하게 앉아있는 사람의 모양에서 고대 종양윤리사상으로 인해 '여자'의 의미 생성.▣ 남기북두, 남녀상열지사, 남남북녀 - 교본파일(9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80] ◈ 南 大 門 入 納 (남대문입납)【한자】남녘 남 / 큰 대 / 문 문 / 들 입 / 바칠 납【의미】 남대문에 들어가게 보낸다는 뜻으로, 주소가 분명하지 않은 편지나 또는 이름도 모르는 집을 찾는 것을 조롱하는 말.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함.【字意】⊙ 大(대)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의 천지인(天地人) 사상으로 인해 '크다'는 의미 생성. ⊙ 門(문) 두 짝의 미닫이문을 본뜬 글자. ⊙ 入(입)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納(납) 본래 어떤 공간으로 들어온다는 의미의 '內'에서 파생된 것으로 受納(수납)의 의미로 쓰임. 후에 들인다는 의미에서 '바친다'는 의미 생성.
[281] ◈ 南 蠻 北 狄 (남만북적)【한자】남녁 남 / 오랑캐 만 / 북녘 북 / 오랑캐 적【의미】 남쪽의 오랑캐와 북쪽의 오랑캐의 뜻으로, 중국 한족이 예의를 모르는 주변 야만 족속을 의미.【관련어】▶ 南蠻北狄之敎 (남만북적지교) 인도에서 온 불교 지칭.【참고】▶ 東夷西戎南蠻北狄 (동이서융남만북정) 사방의 오랑캐【字意】⊙ 蠻(만) 남쪽의 오랑캐의 의미. ⊙ 北(북)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추위에 체온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추운 겨울을 북풍을 상징해 '북녘'의 의미 생성. ⊙ 狄(적) 북쪽의 오랑캐의 의미.
[282] ◈ 南 面 之 尊 (남면지존)【한자】남녘 남 / 낯 면 / 어조사 지 / 높을 존【의미】 남쪽으로 향해 있는 임금의 지위를 이르는 말.【관련어】1. 南面百城 (남면백성)임금의 자리와 수많은 성의 넓은 영토2. 南面稱孤 (남면칭고) 임금이 됨을 이름. '孤'는 임금 자칭.【참고】▶ 南面 : 임금이 앉던 자리의 방향. 또는 임금.【字意】⊙ 面(면) 사람의 코[自]를 중심으로 양쪽 뺨과 이마 등을 표현한 '얼굴' 의미. 후에 '방면(方面)'의 의미 파생. ⊙ 尊(존) 두 손으로 술동이를 떠받들고 있는 모양에서 윗사람이나 신에게 오린다는 의미에서 '높다'는 의미 생성. ▣ 남대문입납, 남만북적, 남면지존 - 교본파일(9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83] ◈ 濫 觴 (남상)【한자】넘칠 람 / 술잔 상【의미】 술잔에 술이 넘친다는 뜻으로, 양자강 같은 큰 강도 근원을 따라 올라가면 잔을 띄울만한 세류(세류)라는 의미에서 사물의 시초를 의미함.【출전】《孔子家語(공자가어)》【유의어】▶ 嚆矢 (효시) 우는 화살. 사물의 시초.【字意】⊙ 濫(람) 물이 퍼져 나간다는 의미에서 후에 '넘치다'는 의미와 '함부로하다'는 의미 생성. '監(감)'은 발음 표시 역할. ⊙ 觴(상) 동물의 뿔[角]로 만든 잔의 의미. 주로 술잔으로 사용됨. 오른쪽 부분은 발음 표시 역할
[284] ◈ 南 船 北 馬 (남선북마)【한자】 남녁 남 / 배 선 / 북녘 북 / 말 마【의미】 남쪽의 배와 북쪽의 말이라는 뜻으로, 중국의 교통은 남쪽은 강이 많아 배를 쓰고, 북쪽은 지형과 기후 관계로 말을 많이 탄다는 것에서, 사방으로 늘 여행하거나, 바쁘게 돌아다닌다는 말.【유의어】1. 東奔西走 (동분서주) 동서로 분주하다2. 南行北走 (남행북주) 남북으로 달린다.【字意】⊙ 船(선) 배의 의미. 주로 舟(주)보다 큰 배에 사용함. 오른쪽 부분은 발음 표시 역할.
[285] ◈ 南 倭 北 虜 (남왜북로)【한자】 남녘 남 / 왜국 왜 / 북녘 북 / 포로 로【의미】 남쪽의 왜구와 북쪽의 오랑캐의 뜻으로, 15∼17세기에 명(明)나라를 괴롭히던 남쪽의 왜구(倭寇)와 북쪽의 몽고족으로 명나라의 대표적인 외환(外患)으로 이르는 말.【동의어】 ▶北虜南倭 (북로남왜)【字意】⊙ 倭(왜) 委(위)는 참하게 곡물[禾]을 다듬고 있는 여자의 모양으로, 후에 사람[人]을 더해 순종을 잘하는 사람의 의미가 됨. ⊙ 虜(로) 은 貫의 본자로 力과 합해 힘으로 적을 구슬 꿰듯이 사로잡는다는 의미. 위의 범(호)는 발음 표기 역할. 여기서는 완력을 쓰는 북방의 몽고족을 의미.▣ 남상, 남선북마, 남왜북로 - 교본파일(95) 포함..
[286] ◈ 南 田 北 畓 (남전북답)【한자】 남녁 남 / 밭 전 / 북녘 북 / 논 답【의미】 남쪽의 밭과 북쪽의 논이라는 뜻으로, 1.소유하고 있는 논밭이 이곳 저곳 사방에 흩어져 있음이나, 2.우리나라에서만 남북의 전답. 곧 앞뒤뜰의 의미로 사용됨.【관련어】▶ 門前沃畓 (문전옥답) 집 가까이 있는 기름진 논.【字意】⊙ 田(전) 정지작업을 해 놓은 밭고랑으로 이어진 밭의 모양. 농업이나 토지의 의미로 활용됨. ⊙ 畓(답) 우리나라에서 만든 글자. 논농사 중심사회로 인해 물이 있는 밭이라는 '수전(水田)'의 의미로 밭에 물[水]을 더함. 발음은 '沓(답:유창하다)'에서 빌려옴.
[287] ◈ 男 尊 女 卑 (남존여비)【한자】사내 남 / 높을 존 / 계집 녀 / 낮을 비【의미】 중세 봉건시대 사회 관념 풍습상 남자는 높고 여자는 낮다는 폐습(弊習).【관련어】1. 女必從夫 (여필종부) 여자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2. 三從之道 (삼종지도) 중세 봉건시대 여자의 도리. 집에서는 어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뒤에는 자식을 좇음.3. 七去之惡 (칠거지악) 아내를 내쫓는 일곱가지 악행.【字意】⊙ 尊(존) 두 손으로 술동이를 떠받들고 있는 모양에서 윗사람이나 신에게 올린다는 의미에서 '높다'는 의미 생성. ⊙ 卑(비) 머리의 모양인 '甲'에 왼손[左]을 더해 右가 높고 左가 낮다는 의미에서 '낮다' 생성
[288] ◈ 男 左 女 右 (남좌여우)【한자】사내 남 / 왼 좌 / 계집 녀 / 오른 우【의미】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이라는 뜻으로,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서 남자는 양(陽)으로 왼쪽을 중하게 여기고, 여자는 음(陰)으로 오른쪽을 중히 여긴다는 말. 혹은 머리를 땋아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묶는다는 의미로도 사용됨.【字意】⊙ 左(좌) 왼손을 펴고 있는 모양. 후에 '오른손[右]'과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工(공)'을 더함. ⊙ 右(우) 오른손을 펴고 있는 모양. '又(우)'와 모양이 유사함. 역시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후에 '口'를 더함.▣ 남전북답, 남존여비, 남좌여우 - 교본파일(9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89] ◈ 男 中 一 色 (남중일색)【한자】 사내 남 / 가운데 중 / 한 일 / 빛 색【의미】 남자 중의 일색이라는 뜻으로, 얼굴이 뛰어나게 썩 잘생긴 남자의 의미. 경국지색(傾國之色)의 대칭적인 표현【관련어】▶ 仙風道骨 (선풍도골) 신선의 기풍과 도인의 골격. 뛰어나게 고아한 풍채.【字意】⊙ 男(남) 갑골문에서는 밭에 농기구인 쟁기를 더해 '밭에서 쟁기를 다루는 사람'인 '남자'로 설명함. 후에 자형에 따라 힘의 의미인 '力(력)'으로 보기도 함. ⊙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色(색) 무릎을 꿇은 사람[巴] 위에 또 사람을 더해 남녀 사이의 정을 의미하는 '색정'의 의미 생성, 후에 얼굴 색으로 인해 '색깔'의 의미 파생.
[290] ◈ 囊 中 之 錐 (낭중지추)【한자】 주머니 낭 / 가운데 중 / 어조사 지 / 송곳 추【의미】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주머니 속의 송곳이 끝이 뾰족하여 밖으로 나오는 것처럼, 재능이 있는 사람은 대중 속에 끼어 있어도 이내 그 재능이 드러난다는 말.【고사】▶ 毛遂自薦 (모수자천) 조(趙)나라 평원군(平原君)의 식객(食客)인 모수가 진(秦)의 침략에 대해 초(楚)나라에 가서 합종(合從)의 협약을 맺을 때 자천해서 따라가 구원요청을 성사시킨 일. 이 때 낭중지추를 인용함.【유의어】1. 錐處囊中 (추처낭중) : 송곳이 주머니 속에 있다. 2. 穎脫 (영탈)끝이 삐져 나오다.【字意】⊙ 囊(낭) 자루안에 물건을 넣은 것에서 '주머니','자루' 의미 생성. ⊙ 錐(추) 쇠붙이로 된 구멍 뚫는 도구인 '송곳' 의미. 혹 화살촉으로도 봄.
[291] ◈ 囊 中 取 物 (낭중취:물)【한자】주머니 낭 / 가운데 중 / 취할 취 / 만물 물【의미】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집어낸다는 뜻으로, 아주 쉽게 얻어 가질 수 있는 손쉬운 일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易如反掌 (이여반장) 쉽기가 손바닥을 뒤집는 것 같다.【字意】⊙ 取(취) 전쟁에서 이겨 손[又]으로 적군의 귀[耳]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物(물) 피가 묻은 칼로 소를 잡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희생을 잡는 의식에서 '중요한 물건'의 의미를 생성. 후에 모든 사물의 의미로 확대.▣ 남중일색, 낭중지추, 낭중취물 - 교본파일(9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92] ◈ 內 憂 外 患 (내우외환)【한자】 안 내 / 근심 우 / 밖 외 / 근심 환【의미】 안팎으로의 근심이라는 뜻으로, 나라 안의 걱정과 밖에서 오는 걱정. 곧 내란과 외적의 침입.【字意】⊙ 內(내) 특정 공간으로 들어간다[入]는 의미를 표시한 글자로, 후에 '안'이라는 의미 생성. ⊙ 憂(우) 面(면)'의 변형에 마음이 근심스러움을 덮고 있어 느리게 걷고 있다는 의미에서 '근심'의 의미 생성. ⊙ 外(외) 외지에 나가면 두려움에 점을 많이 치게 된다는 것에 의해 '저녁에 점을 친다'는 의미에서 '밖'의 의미 생성. ⊙ 患(환) 마음이 꼬치[串]가 꿰어있는 모양으로 마음에 '걱정'이나 '근심'이 있음을 의미함
[293] ◈ 內 柔 外 剛 (내유외강)【한자】 안 내 / 부드러울 유 / 밖 외 / 굳셀 강【의미】 안으로는 부드럽고 밖으로 굳세다는 뜻으로, 내심은 유약하나 외모는 강강(剛强)하게 보인다는 의미.【반의어】▶ 外柔內剛 (외유내강) 겉으로는 부드러우나 속은 강인함.【字意】⊙ 柔(유) 창{矛}의 자루로 쓰는 나무{木}은 부드럽고 연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부드럽다', '순하다'는 의미 도출. ⊙ 剛(강) 힘차고 튼튼하거나 의지가 굳다는 의미를 지님. 상대어는 '柔(유)부드럽다’
[294]◈ 盧 生 之 夢 (노생지몽)【한자】 밥그릇 로 / 날 생 / 어조사 지 / 꿈 몽【의미】 노생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미.【고사】▶ 邯鄲之夢 (한단지몽) 노생이 한단의 장터에서 도사 여옹의 베개를 베고 잠이 들었다가 일생의 경력을 꾼 이야기.【동의어】1. 黃粱之夢 (황량지몽) 메조밥 짓는 사이의 꿈.2. 呂翁枕 (여옹침) 여옹의 베개.【字意】⊙ 盧(노) 본래 화로에 음식물을 올려놓은 모양인데, 후에 밥그릇의 의미로 변하자 화로는 별도 '火'를 더해 '爐(로)'를 만듦. ⊙ 夢(몽)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꿈'의 의미 생성.▣ 내우외환, 내유외강, 노생지몽 - 교본파일(9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95]◈ 怒 氣 騰 騰 (노기등등)【한자】성낼 노 / 기운 기 / 오를 등 / 오를 등【의미】 노여운 기색이 아주 높이 치솟는다는 뜻으로, 노기(怒氣)가 얼굴에 가득해서 몹시 화가 남을 이름.【유의어】▶ 怒氣衝天 (노기충천) 노기가 하늘을 찌를듯함.【字意】⊙ 怒(노) 화가 나고 성이 난다는 의미. '奴(노)'는 발음. '恕(서: 용서하다)'와 구별에 유의.⊙ 氣(기)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米(미)는 발음 작용. ⊙ 騰(등) 본래 거세당한 말이 날뛰는 의미에서 '오르다'는 의미를 생성했는데, 후에 떠오르는 뜻의 '月(월)'을 더함.
[296]◈ 老 馬 之 智 (노마지지)【한자】늙을 로 / 말 마 / 어조사 지 / 지혜 지【의미】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으로, 많은 경험을 쌓아 노련하게 지혜를 발휘한다는 의미.【고사】춘추시대 제(齊)나라 관중(管仲)이 산 속에서 길을 잃었을 때, 늙은 말을 풀어 그 말의 뒤를 따라가 마침내 길을 찾았다는 이야기.【유의어】▶ 老馬識途 (노마식도) 늙은 말이 길을 안다.【字意】⊙ 老(로) 늙었다는 의미를 긴 백발로 표현하고 지팡이에 의지하고 있는 모양을 만들어 '늙다'는 의미 생성. ⊙ 馬(마)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智(지) 알고 있는 것[知]을 겉으로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슬기', '지혜'의 의미 생성. '日'은 '해'가 아니라 '말하다'는 '白'의 의미로 사용된 것임.
297]◈ 勞 心 焦 思 (노심초사)【한자】 힘쓸 로 / 마음 심 / 태울 초 / 생각 사【의미】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생각을 태운다는 뜻으로, 몹시 애쓰고 속태움을 의미.【동의어】▶ 苦心焦思 (고심초사)【유의어】▶ 勞身焦思 (노신초사) 몸을 고달프게 하며 마음을 애태움.▶ 坐不安席 (좌불안석)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못함.【字意】⊙ 勞(로) 熒(형)이 '반짝인다'는 의미라서 불이 계속해서 타오를 수 있도록 힘[力]을 더해 '일하다', '힘쓰다'는 의미 생성. ⊙ 焦(초) 새 밑에 불을 놓고 태우는 모양에서 '태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마음을 조리거나 난해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애태우다' 파생. ⊙ 思(사) 위의 '田' 모양은 사람의 '뇌'. 곧 머리와 마음에서 의사를 결정하는 '생각' 생성.▣ 노기등등, 노마지지, 노심초사 - 교본파일(9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98] ◈ 鹿 皮 曰 字 (녹비왈자)【한자】 사슴 록 / 가죽 피[비] / 말할 왈 / 글자 자【의미】 사슴 가죽에 가로 왈 자라는 뜻으로, 남의 말을 주관 없이 따른다는 의미나, 일이 이리도 저리도 되는 형편의 의미.【유의어】▶ 耳懸鈴鼻懸鈴 (이현령비현령)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字意】⊙ 鹿(록) 사슴의 뿔과 눈, 다리의 모양을 본떠 만듦. ⊙ 皮(피) 손으로 짐승의 껍질을 벗기는 모양에서 '가죽' 의미 생성. 사슴가죽은 (비) 발음.⊙ 曰(왈) 입의 모양에 말소리의 의미를 표시해 '말하다'는 의미 생성. ⊙ 字(자) 본래 자궁에서 아이가 나오는 모양인데, 후에 번식한다는 의미로 인해 두 개 이상의 글자가 모여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글자'의 의미 파생.
[299] ◈ 綠 楊 芳 草 (녹양방초)【한자】 푸를 록 / 버들 양 / 꽃다울 방 / 풀 초【의미】 푸름이 우거진 버드나무와 꽃다운 풀이라는 뜻으로, 녹음이 우거진 여름철을 비유함.【유의어】▶ 綠陰芳草 (녹음방초) 우거진 나무 그늘과 꽃다운 풀.【字意】⊙ 綠(록) 식물의 즙을 짜내는 모양에서 '푸르다'는 의미 생성. '緣(연)'과 자형 구별에 유의.⊙ 楊(양) 양지에서 볕을 잘 받아 자라는 버드나무의 의미. ⊙ 芳(방) 꽃처럼 아름다운 모양을 의미. 方(방)은 발음. ⊙ 草(초) 풀이 돋아나는 모양. 艸(초)가 부수로 활용되자 별도의 글자를 만듦.
[300] ◈ 綠 衣 紅 裳 (녹의홍상)【한자】 푸를 록 / 저고리 의 / 붉을 홍 / 치마 상【의미】 푸른 저고리에 붉은 치마라는 뜻으로, 곱게 단장한 아름다운 여인의 형상을 의미함.【유의어】1. 花容月態 (화용월태) 꽃 같은 용모에 달 같은 자태.2. 丹脣皓齒 (단순호치) 붉은 입술에 흰 치아.【구별어】▶ 同價紅裳 (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字意】⊙ 衣(의) 상의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웃옷'의 의미였는데, 후에 옷의 대표성으로 사용됨. 하의 치마는 '상(裳)'. ⊙ 紅(홍) 붉은 빛을 내는 색의 의미에서 '붉다'의 의미 생성. '工(공)'은 발음 역할. ⊙ 裳(상) 치마의 의미 常(상)은 발음 역할.▣ 녹비왈자, 녹양방초, 녹의홍상 - 교본파일(10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331-360) (0) | 2012.12.04 |
---|---|
이야기한성어(301-330) (0) | 2012.12.04 |
이양기한자성어241-270 (0) | 2012.12.03 |
이야기한자성어211-240 (0) | 2012.12.03 |
이야기한자성어181-210 (0) | 201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