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1] ◈ 彼 此 一 般 (피차일반)【한자】 저 피 / 이 차 / 한 일 / 일반 반【의미】 이것과 저것이 한 가지라는 뜻으로, 두 편이 서로 같다는 의미.【字意】◎ 彼(피) 원줄기에서 갈라진 길의 의미에서 먼 곳의 것을 의미하는 ‘저것’의 의미 생성. ◎ 此(차) 멈춘다는 의미가 자신의 가장 가까운 곳의 의미에서 ‘이것’의 의미 생성. ◎ 般(반) 배를 만들고 타고 돌아다닌다는 의미에서 후에 평범한 보통 일의 의미에서 ‘일반’의 의미를 파생함.
[2532] ◈ 避 賢 樂 聖 (피현낙성)【한자】 피할 피 / 어질 현 / 즐거울 락 / 성인 성【의미】 현인을 피하고 성인을 즐긴다는 뜻으로, 탁주(濁酒)를 현인에게 청주(淸酒)를 성인에게 견주어 탁주를 피하고 청주를 즐긴다는 의미.【字意】◎ 避(피) 회피하고 벗어난다는 의미에서 '피하다'는 의미 생성. ◎ 賢 (현) 재지(才智)와 덕행(德行)이 있는 성인(聖人)의 다음가는 능력을 지닌 것이나 그 사람의 의미. ◎ 樂(락)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락)’이나 ‘좋아한다(요)’는 의미 파생. ◎ 聖(성) 큰 귀로 인해 잘 듣고 잘 판단한다는 의미에서 후에 초인적 능력을 지닌 ‘성인’의 의미 생성.▣ 피저원앙, 피차일반, 피현낙성 - 교본파일(84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33] ◈ 筆 頭 生 花 (필두생화)【한자】 붓 필 / 머리 두 / 날 생 / 꽃 화【의미】 붓 끝에 꽃이 핀다는 뜻으로, 당나라 이백이 어릴 적 붓끝에 꽃이 핀 꿈을 꾼 뒤부터 글재주가 크게 진보했다는 고사에서 문필(文筆)에 재주가 있음을 이르는 말.【준말】▶ 筆生花 (필생화)【字意】◎ 筆(필)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竹(죽)’을 더함. ◎ 頭(두) ‘豆(두)’는 발음, ‘頁(혈)’은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花(화) 꽃이 발화하는 의미에서 ‘변하다’는 의미의 ‘化(화)’를 넣었는데, ‘化’는 발음으로도 사용됨.
[2534] ◈ 筆 力 扛 鼎 (필력강정)【한자】 붓 필 / 힘 력 / 들 강 / 솥 정【의미】 붓의 힘이 솥을 든다는 뜻으로, 문장의 기운참이 마치 무거운 솥을 들어올릴 만하다는 의미.【유의어】▶ 筆力縱橫 (필력종횡) : 문장을 자유자재로 지음.【字意】◎ 筆(필)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竹(죽)’을 더함. ◎ 力(력)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힘’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힘’, ‘힘쓰다’ 뜻으로 사용. ◎ 扛(강) 두 손으로 들어 올린다는 의미에서 ‘들다’ 생성. ‘工(공)’은 발음 요소. ◎ 鼎(정) 발이 세 개 달리고 위에 귀도 두 개 달린 고대에 사용하던 솥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세발솥'의 뜻을 지님. 왕위(王威)의 상징.
[2535] ◈ 匹 馬 單 騎 (필마단기)【한자】 필 필 / 말 마 / 홑 단 / 말탈 기【의미】 한 필의 말에 홑몸으로 탄다는 뜻으로, 혼자서 한 필의 말을 타고 달리거나 그러한 사람을 이르는 말인데 주로 홀로 적진에 진격해 들어감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연관어】▶ 孤軍奮鬪 (고군분투) : 외로운 군대가 떨쳐 싸움.【字意】◎ 匹(필)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짝’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필’로도 사용됨. ◎ 馬(마) 말’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單(단) 본래 막대기에 창과 그물을 달아 사냥하던 도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개인용 도구의 의미에서 '단독', '단순'의 의미를 파생함. ◎ 騎(기) 말 위에 올라탄다는 의미에서 ‘타다’는 뜻 생성. ‘奇(기)’는 발음.▣ 필두생화, 필력강정, 필마단기 - 교본파일(84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36] ◈ 必 亡 乃 已 (필망내이)【한자】 반드시 필 / 망할 망 / 이에 내 / 그칠 이【의미】 반드시 망하고 나서야 그친다는 뜻으로, 반드시 망하고 만다는 것에서 패망을 면할 길이 없다는 의미.【연결어】▶ 必死乃已 (필사내이) : 틀림없이 죽고야 맒.【字意】◎ 必(필)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亡(망)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 등의 의미 생성. ◎ 乃(내)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해 애쓰는 모양에서 말이 잘 이어지지 못한다는 의미로, 말 사이에 접속의 개념으로 사용됨. ◎ 已(이) 뱀의 모양인 巳(사)에서 왔지만, 구분되어 ‘그만두다’, ‘그치다’ 등의 의미로 사용됨. 부사 ‘이미’의 뜻으로 많이 쓰임.
[2537] ◈ 匹 夫 之 勇 (필부지용)【한자】 혼자 필 / 지아비 부 / 어조사 지 / 용기 용【의미】 한 사내의 용기라는 뜻으로, 소인(小人)의 혈기에서 나오는 경솔한 용기를 의미하는 말.【字意】◎ 匹(필)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짝’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필’로도 사용됨. ◎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勇(용) 힘을 상징하는 의미로 ‘용기’의 의미를 생성함. ‘용(用)’은 발음 부호
[2538] ◈ 匹 夫 匹 婦 (필부필부)【한자】 혼자 필 / 지아비 부 / 혼자 필 / 아내 부【의미】 한 사람의 남자와 한 사람의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이나 미천한 남녀, 또는 미천한 남자.【유의어】▶ 甲男乙女 (갑남을녀) :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 張三李四 (장삼이사) :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딸.【字意】◎ 匹(필)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짝’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필’로도 사용됨. 여기서는 ‘혼자’의 뜻. ◎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婦(부)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 등의 의미 생성.▣ 필망내이, 필부지용, 필부필부 - 교본파일(84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39] ◈ 必 欲 甘 心 (필욕감심)【한자】 반드시 필 / 하고자할 욕 / 달 감 / 마음 심【의미】 반드시 마음을 달게 받아들이고자 한다는 뜻으로, 원망을 반드시 풀어 없애고자 노력함을 이르는 말.【참고】▶ 甘心 : 괴로움이나 책망 따위를 기꺼이 받아들임.【字意】◎ 必(필)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欲(욕) ‘欠(흠)’을 더해 바라서 ‘하고자한다’는 의미를 생성. ‘谷(곡)’은 발음 역할. ◎ 甘(감) 사람의 혀에 맛있다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점으로 표시해서 ‘달다’는 의미 생성.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 의미로 활용됨.
[2540] ◈ 必 有 曲 折 (필유곡절)【한자】 반드시 필 / 있을 유 / 굽을 곡 / 꺾을 절【의미】 반드시 곡절이 있다는 뜻으로,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必有事端 (필유사단) : 반드시 일의 실마리가 있음.【字意】◎ 必(필)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有(유)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月]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曲(곡)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자의 모양에서 ‘굽다’는 의미와 음률의 조화로 인해 ‘노래’의 뜻 생성. ◎ 折(절) 본래 ‘풀 초[艸]’와 ‘도기 근[斤]’의 결합으로 도끼로 풀을 벤다는 뜻에서 ‘꺾다’, ‘휘어서 베다’는 의미 생성. 손 수[手] 부수는 후에 변화된 자형임.
[2541] ◈ 筆 翰 如 流 (필한여류)【한자】 붓 필 / 날개 한 / 같을 여 / 흐를 류【의미】 글을 쓰는 것이 마치 물 흐르듯 한다는 뜻으로, 문장을 거침없이 써 내려가는 모양이나 운필(運筆)이 물 흐르듯이 빠름을 이르는 말.【참고】▶ 筆翰 : 붓, 글씨 쓰는 일. 또는 서한(書翰).【字意】◎ 筆(필)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竹(죽)’을 더함. ◎ 翰(한) 새의 깃에서 ‘날개’, ‘새’ 의미 생성. 후에 ‘붓’의 뜻으로 확대되어 ‘문서’, ‘편지’ 등 파생. ◎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流(류)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 필욕감심, 필유곡절, 필한여류 - 교본파일(8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42] ◈ 夏 葛 冬 裘 (하갈동구)【한자】 여름 하 / 칡 갈 / 겨울 동 / 갖옷 구【의미】 여름의 갈옷과 겨울의 가죽옷이라는 뜻으로, 격에 잘 맞음을 일컫는 말.【字意】◎ 夏(하)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葛(갈) 콩과의 넝쿨나무인 ‘칡’ 의미에서 ‘덩굴’과 거친 베인 ‘갈포(葛布)’ 의미 파생함. ‘曷’은 발음. ◎ 冬(동)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 의미 생성. ◎ 裘(구) 가죽이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인 ‘갖옷’의 의미 생성. ‘求’는 발음.
[2543] ◈ 何 關 大 事 (하관대사)【한자】 어찌 하 / 빗장 관 / 큰 대 / 일 사【의미】 어찌 큰일에 관계하겠는가라는 뜻으로, 크고 깊은 관계가 없음을 가리키는 말.【字意】◎ 何(하) 불특정한 사람의 의미에서 후에 의문사의 대표격으로 사용됨. ‘可(가)’는 발음 작용. ◎ 關(관) 문을 잠그는 빗장의 의미에서, 후에 지역을 경계하는 ‘관문’의 의미와 ‘상관하다’는 뜻으로 확대됨. ◎ 大(대)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2544] ◈ 下 剋 上 (하극상)【한자】 아래 하 / 이길 극 / 윗 상【의미】 하가 상을 이긴다는 뜻으로, 과거의 신분이 낮은 사람이나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꺾고 오른다는 의미.【상대어】▶ 上命下服 (상명하복) : 위에서 명령하고 아래에서 복종함.【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剋(극) 무거운 것을 머리에 이고 있어 ‘참고 견디다’는 克(극)에 刀(도)를 더해 이긴다는 의미를 강조함. ◎ 上(상)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2545] ◈ 下 氣 怡 聲 (하기이성)【한자】 아래 하 / 기운 기 / 기쁠 이 / 소리 성【의미】 기를 낮추고 음성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님을 섬기는 도리를 이르는 말.【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氣(기)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米(미)’는 발음 작용. ◎ 怡(이) 기뻐서 화기가 돌다는 뜻으로 ‘기쁘다’는 의미 생성. ◎ 聲(성) 석경(石磬)과 같은 악기를 손에 막대를 들고 때리는 모양에 아래에 귀와 입을 그린 형태로, 음악을 연주하는 ‘소리’의 의미 생성.
[2546] ◈ 下 堂 迎 之 (하당영지)【한자】 아래 하 / 집 당 / 맞이할 영 / 어조사 지【의미】 대청에서 내려와 맞는다는 뜻으로, 정중하게 영접(迎接)함을 이르는 말.【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堂(당) 여러 사람을 수용해서 거처할 수 있는 ‘집’의 의미. ◎ 迎(영) 오는 것을 '맞아들이다'는 의미
[2547] ◈ 何 待 明 年 (하대명년)【한자】 어찌 하 / 기다릴 대 / 밝을 명 / 해 년【의미】 ‘어찌 명년을 기다리리요?’라는 뜻으로, 기다리기 지루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百年河淸 (백년하청) : 백 년이 흘러도 황하가 맑아지겠는가?▶ 不知何歲月 (부지하세월) : 어느 세월일지 모르겠네!【字意】◎ 何(하) 불특정한 사람의 의미에서 후에 의문사의 대표격으로 사용됨. ‘可(가)’는 발음 작용. ◎ 待(대)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明(명)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日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 年(년)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禾]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해’, ‘나이’ 등 생성.▣ 하기이성, 하당영지, 하대명년 - 교본파일(84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48] ◈ 河 圖 洛 書 (하도낙서)【한자】 물 하 / 그림 도 / 물이름 낙 / 글 서【의미】 황하의 그림과 낙수의 글이라는 뜻으로, 河圖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에서 나온 도형(圖形)이고, 洛書는 하(夏)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로 홍범(洪範)의 원본이 되는 것. 중국 상고시대에 나타났다는 신물(神物)의 의미.【字意】◎ 河(하) 강 이름에서 ‘강’, ‘물’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江(강)’을 주로 사용. ◎ 일정한 구역 안에 영역을 구분해 나누어 놓은 모양에서 ‘도모하다’는 의미와 후에 전체를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그림’의 의미를 생성함. ◎ 洛(락) '물 이름'의 의미. '各(각)'은 변화된 발음. ◎ 書(서)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2549] ◈ 夏 爐 冬 扇 (하로동선)【한자】 여름 하 / 화로 로 / 겨울 동 / 부채 선【의미】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라는 뜻으로, 아무 소용 없는 말이나 재주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冬扇夏爐.【유의어】無用之物 (무용지물): 쓸모없는 물건.【상대어】夏褐冬裘 (하갈동구): 여름철 갈옷과 겨울철 갓옷.【구별어】夏扇冬曆 (하선동력) 여름 부채와 겨울 책력. 철에 맞게 선사함을 비유.【字意】◎ 夏(하)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爐(로) 불을 지피는 화로의 의미. '盧(로)'는 발음 역할. ◎ 冬(동)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 의미 생성. ◎ 扇(선) 본래 집의 문짝의 의미에서 생겨 후에 햇빛을 가리는 일산의 의미가 파생되고 후에 '부채'의 의미가지 파생됨.
에서 '쓰다', '책' 의미 생성.
[2550] ◈ 下 馬 評 (하마평)【한자】 아래 하 / 말 마 / 비평할 평【의미】 관리부임에 대한 평론이라는 뜻으로, 어떠한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평판(評判)을 이르는 말.【참고】▶ 下馬 : 1.말에서 내림. 2.좋지 못한 말. 3.관리가 임지에 도착함. 부임(赴任)함.【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馬(마) 말’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評(평) 잘잘못을 살펴서 정한다는 의미에서 ‘품평하다’는 뜻을 생성함. ▣ 하도낙서, 하로동선, 하마평 - 교본파일(85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51] ◈ 下 石 上 臺 (하석상대)【한자】 아래 하 / 돌 석 / 윗 상 / 누대 대【의미】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괸다는 뜻으로, 임기응변(臨機應變)으로 어려운 일을 미봉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彌縫策 (미봉책) :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주선해서 꾸며댐.▶ 凍足放尿 (동족방뇨) : 언 발에 오줌 누기. 【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石(석)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臺(대) 위 부분은 전망할 수 있는 건축물의 입구까지 표현한 망대의 의미이고 아래 '至(지)'는 사방을 바라보기 위해 '이르렀다'는 의미로 더해짐.
[2552] ◈ 夏 扇 冬 曆 (하선동력)【한자】 여름 하 / 부채 선 / 겨울 동 / 책력 력【의미】 여름 부채와 겨울 책력이라는 뜻으로, 철에 맞게 선사하는 선물을 이르는 말.【구별어】▶ 夏爐冬扇 (하로동선) : 여름 화로와 겨울 부채. 無用之物.【字意】◎ 夏(하)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扇(선) 본래 집의 문짝의 의미에서 생겨 후에 햇빛을 가리는 일산의 의미가 파생되고 후에 '부채'의 의미가지 파생됨. ◎ 冬(동)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 의미 생성. ◎ 曆(력) 역법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천체의 일을 의미하는 ‘日(일)’을 더해 ‘曆(력)’을 만듦. 厤(력)이 발음 역할도 함.
[2553] ◈ 下 愚 不 移 (하우불이)【한자】 아래 하 / 어리석을 우 / 아니 불 / 옮길 이【의미】 아주 어리석은 자는 옮겨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은 아무리 타이르거나 가르쳐 주어도 변하지 않고 언제나 그대로 있을 뿐 발전하지 못한다는 의미.【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愚(우) 슬기롭지 못한 ‘어리석다’는 의미에서 후에 자기의 ‘겸칭’으로도 사용함. ◎ 移(이) 곡물을 많이 생산해서 운반한다는 뜻으로 ‘옮기다’는 의미 생성.▣ 하석상대, 하선동력, 하우불이 - 교본파일(85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54] ◈ 夏 蟲 疑 氷 (하충의빙)【한자】 여름 하 / 벌레 충 / 의심할 의 / 얼음 빙【의미】 여름철 벌레가 얼음을 의심한다는 뜻으로, 견문이 옅은 사람이 함부로 사물을 의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井底之蛙 (정저지와) : 우물 안 개구리. 식견이 좁은 사람.▶ 夏蟲不知氷 (하충부지빙) : 여름 벌레는 얼음을 모른다.【字意】◎ 夏(하)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蟲(충) 벌레의 총칭에서 동물까지 확대해서 표현됨. ◎ 疑(의) 사람이 고개를 들고 길에서 여기저기 찾아 두리번거리는 의미에서 ‘의심하다’는 뜻 생성. ◎ 氷(빙) 물이 변한 얼음의 의미에서 ‘이수변[얼(빙)]’을 만듦.
[2555] ◈ 河 淸 難 俟 (하청난사)【한자】 물 하 / 맑을 청 / 어려울 난 / 기다릴 사【의미】 황하가 맑아지기는 기다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황하는 언제나 흐려 맑아지기를 기다릴 수 없듯이 기다릴 수 없음이나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百年河淸 (백년하청) : 세월이 흘러도 황하가 맑아지겠는가?【字意】◎ 河(하) 강 이름에서 ‘강’, ‘물’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江(강)’을 주로 사용. ◎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難(난)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女’ 대신에 ‘새(추)’자를 사용하게 됨. ◎ 俟(사) 기대하고 ‘기다리다’는 의미.
[2556] ◈ 下 學 上 達 (하학상달)【한자】 아래 하 / 배울 학 / 윗 상 / 통달할 달【의미】 아래로 배워 위로 통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것을 배워서 점차 깊은 학문으로 나아감을 의미하거나, 아래로는 인간의 사리를 배우고 위로는 하늘의 도리에 통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上(상)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 達(달) 다다라 이르렀다는 의미에서 ‘통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통달하다’는 의미 파생. 오른쪽 부분[羍(달)]은 발음.▣ 하충의빙, 하청난사, 하학상달 - 교본파일(85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57] ◈ 河 淸 海 晏 (하청해안)【한자】 물 하 / 맑을 청 / 바다 해 / 편안할 안【의미】 황하가 맑아지고 바다가 잔잔하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의 조짐, 곧 성군(聖君)이 나서 세상이 편안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河(하) 강 이름에서 ‘강’, ‘물’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江(강)’을 주로 사용. ◎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海(해) 큰물의 의미에서 ‘바다’의 의미를 생성함. 每(매)는 발음 요소. ◎ 晏(안) 해가 저물어 시간이 늦다는 의미인데, 安(안)과 가차로 ‘편안하다’는 뜻으로도 사용됨
[2558] ◈ 河 漢 之 言 (하한지언)【한자】 물 하 / 물 한 / 어조사 지 / 말씀 언【의미】 은하수의 말이라는 뜻으로, 은하수가 멀고 먼 하늘에 있다는 데서 막연한 말을 이르는 말.【字意】◎ 河(하) 강 이름에서 ‘강’, ‘물’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江(강)’을 주로 사용. ◎ 漢(한) 중국 섬서성에서 발원한 한수(漢水)인데, 후에 나라이름과 중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2559] ◈ 河 海 之 澤 (하해지택)【한자】 물 하 / 바다 해 / 어조 사지 / 은택 택【의미】 강과 바다의 은택이라는 뜻으로, 하해(河海)와 같이 넓고 큰 은혜라는 의미.【관련어】▶ 昊天罔極 (호천망극) : 하늘 같이 끝없는 부모의 은혜.【字意】◎ 河(하) 강 이름에서 ‘강’, ‘물’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江(강)’을 주로 사용. ◎ 海(해) 큰물의 의미에서 ‘바다’의 의미를 생성함. 每(매)는 발음 요소. ◎ 澤(택) 물이 촉촉한 ‘늪’지대의 의미에서 후에 ‘윤이 난다’는 의미 확대로 ‘윤택하다’는 뜻 파생.▣ 하청해안, 하한지언, 하해지택 - 교본파일(85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0] ◈ 下 厚 上 薄 (하후상박)【한자】 아래 하 / 두터울 후 / 윗 상 / 엷을 박【의미】 아랫사람에게 후하고 윗사람에게 박하다는 뜻으로, 주로 보수(報酬) 인상 책정에 있어서 그 비율을 상부층보다 하부층에게 후하게 책정하는 일을 이르는 말.【字意】◎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厚(후) 두텁게 위에서 덮고 있는 의미에서 ‘두텁다’는 의미 생성. ◎ 上(상)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 薄(박)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 등의 의미 파생.
[2561] ◈ 何 厚 何 薄 (하후하박)【한자】 어찌 하 / 두터울 후 / 어찌 하 / 엷을 박【의미】 어떤 것은 후하게 하고, 어떤 것은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차별 있게 대하는 것을 원망하는 말.【字意】◎ 何(하) 불특정한 사람의 의미에서 후에 의문사의 대표격으로 사용됨. ‘可(가)’는 발음 작용. ◎ 厚(후) 두텁게 위에서 덮고 있는 의미에서 ‘두텁다’는 의미 생성. ◎ 薄(박)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 등의 의미 파생.
[2562] ◈ 鶴 鳴 之 歎 (학명지탄)【한자】 학 학 / 울 명 / 어조사 지 / 탄식할 탄【의미】 학이 우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여 뜻을 펴지 못하고 야(野)에 묻혀있는 탄식을 이르는 말.【연관어】▶ 髀肉之嘆 (비육지탄) : 넓적다리에 살이 찐 것을 탄식. 허송 세월을 보내고 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말.【字意】◎ 鶴(학) 왼쪽 부분 위의 ‘집면[갓머리]’은 두루미와 유사한 새들의 머리 장식 표현임. 웅장한 모습의 두루미를 형상하고 있는 글자. ◎ 鳴(명) 새가 입으로 지저귀는 의미를 나타내, 새가 '운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우는 경우는 '泣(읍)'이나 '哭(곡)'을 사용함. ◎ 歎(탄) 본래 소리를 내어 ‘읊다’는 의미인데, 후에 ‘탄식하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嘆(탄)’도 ‘탄식하다’는 의미에서만 통용됨.▣ 하후상박, 하후하박, 학명지탄 - 교본파일(85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3] ◈ 鶴 首 苦 待 (학수고대)【한자】 학 학 / 머리 수 / 쓸 고 / 기다릴 대【의미】 학의 머리로 고통스럽게 기다린다는 뜻으로, 학처럼 목을 길게 뽑고 간절하게 기다림을 이르는 말.【유의어】一刻如三秋 (일각여삼추): 하루가 마치 삼 년과 같이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함.【字意】◎ 鶴(학) 왼쪽 부분 위의 ‘집면[갓머리]’은 두루미와 유사한 새들의 머리 장식 표현임. 웅장한 모습의 두루미를 형상하고 있는 글자. ◎ 首(수) 사람의 코[自]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 苦(고)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古(고)’는 발음. ◎ 待(대)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2564] ◈ 學 如 不 及 (학여불급)【한자】 배울 학 / 같을 여 / 아니 불 / 미칠 급【의미】 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字意】◎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及(급) 사람[人]과 손[又]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
[2565] ◈ 學 如 穿 井 (학여천정)【한자】 배울 학 / 같을 여 / 뚫을 천 / 우물 정【의미】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穿(천) 구멍을 뚫는다는 의미에서 '구멍', '뚫다'는 뜻.▣ 학수고대, 학여불급, 학여천정 - 교본파일(85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6] ◈ 學 而 時 習 (학이시습)【한자】 배울 학 / 말이을 이 / 때 시 / 익힐 습【의미】 배우고 때때로 익힌다는 뜻으로, 선학(先學)에게 도(道)를 배우고, 언제나 반복 연습하는 자기완성을 위한 노력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출전】▶ 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論語(논어)>【字意】◎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而(이)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時(시) 때를 구분하는 시간의 의미◎ 習(습) 어린 새가 나는 법을 익힌다는 의미에서 ‘익히다’ 생성.
[2567] ◈ 學 而 知 之 (학이지지)【한자】 배울 학 / 말이을 이 / 알 지 / 어조사 지【의미】 배워서 안다는 뜻으로, 보통사람이 배움에 정진해서 지식과 덕행을 갖춘 사람이 된다는 의미.【연관어】▶ 生而知之 (생이지지) :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 곧 성인(聖人)【字意】◎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而(이)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2568] ◈ 學 者 三 多 (학자삼다)【한자】 배울 학 / 놈 자 / 석 삼 / 많을 다【의미】 배우는 사람은 세 가지가 많아야 한다는 뜻으로, 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독서(讀書)와 지론(持論)과 저술(著述)의 세 가지가 많아야 한다는 의미.【字意】◎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三(삼)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多(다) 본래는 고기[肉]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 생성.▣ 학이시습, 학이지지, 학자삼다 - 교본파일(85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9] ◈ 漢 江 投 石 (한강투석)【한자】 한수 한 / 강 강 / 던질 투 / 돌 석【의미】 한강에 돌 던지기라는 뜻으로, 몹시 미미하여 전혀 효과가 없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紅爐點雪 (홍로점설) : 붉은 화로에 눈 찍기. 【字意】◎ 漢(한) 중국 섬서성에서 발원한 한수(漢水)인데, 후에 나라이름과 중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 (강) 물이 줄기를 이루어 흐르는 것. 주로 중국의 남쪽 지방의 물줄기를 江(강)이라 하고, 북방 쪽은 ‘河(하)’로 표현함. ◎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지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石(석)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2570] ◈ 邯 鄲 之 夢 (한단지몽)【한자】 땅이름 한 / 조나라수도 단 / 어조사 지 / 꿈 몽【의미】 한단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盧生之夢 (노생지몽), ▶ 黃粱之夢 (황량지몽), ▶ 一炊之夢 (일취지몽)【유의어】▶ 一場春夢 (일장춘몽) : 한바탕 봄꿈.【字意】◎ 邯(한) 땅이름과 고을이름. 조나라 도읍으로 삼음. ◎ 鄲(단) 고을이름으로, 역시 조나라 서울의 이름. ◎ 夢(몽)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꿈'의 의미 생성.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2601-2630 (0) | 2013.02.05 |
---|---|
이야기한자성어2571-2600 (0) | 2013.02.05 |
이야기한자성어2501-2531 (0) | 2013.02.05 |
이야기한자성어2471-2500 (0) | 2013.02.05 |
이야기한자성어2431-2470 (0) | 201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