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2531-2570

ria530 2013. 2. 5. 16:46

[2531] 彼 此 一 般 (피차일반)한자저 피 / 이 차 / 한 일 / 일반 반의미이것과 저것이 한 가지라는 뜻으로, 두 편이 서로 같다는 의미.字意() 원줄기에서 갈라진 길의 의미에서 먼 곳의 것을 의미하는 저것의 의미 생성. () 멈춘다는 의미가 자신의 가장 가까운 곳의 의미에서 이것의 의미 생성. () 배를 만들고 타고 돌아다닌다는 의미에서 후에 평범한 보통 일의 의미에서 일반의 의미를 파생함.

[2532] 避 賢 樂 聖 (피현낙성)한자피할 피 / 어질 현 / 즐거울 락 / 성인 성의미현인을 피하고 성인을 즐긴다는 뜻으로, 탁주(濁酒)를 현인에게 청주(淸酒)를 성인에게 견주어 탁주를 피하고 청주를 즐긴다는 의미.字意() 회피하고 벗어난다는 의미에서 '피하다'는 의미 생성. () 재지(才智)와 덕행(德行)이 있는 성인(聖人)의 다음가는 능력을 지닌 것이나 그 사람의 의미. ()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이나 좋아한다()’는 의미 파생. () 큰 귀로 인해 잘 듣고 잘 판단한다는 의미에서 후에 초인적 능력을 지닌 성인의 의미 생성.피저원앙, 피차일반, 피현낙성 - 교본파일(84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33] 筆 頭 生 花 (필두생화)한자붓 필 / 머리 두 / 날 생 / 꽃 화의미붓 끝에 꽃이 핀다는 뜻으로, 당나라 이백이 어릴 적 붓끝에 꽃이 핀 꿈을 꾼 뒤부터 글재주가 크게 진보했다는 고사에서 문필(文筆)에 재주가 있음을 이르는 말.준말】▶ 筆生花 (필생화)字意()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을 더함. () ‘()’는 발음,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꽃이 발화하는 의미에서 변하다는 의미의 ()’를 넣었는데, ‘는 발음으로도 사용됨.

 

 

 

 

 

 

 

 

[2534] 筆 力 扛 鼎 (필력강정)한자붓 필 / 힘 력 / 들 강 / 솥 정의미붓의 힘이 솥을 든다는 뜻으로, 문장의 기운참이 마치 무거운 솥을 들어올릴 만하다는 의미.유의어】▶ 筆力縱橫 (필력종횡) : 문장을 자유자재로 지음.字意()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을 더함. ()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 ‘힘쓰다뜻으로 사용. () 두 손으로 들어 올린다는 의미에서 들다생성. ‘()’은 발음 요소. () 발이 세 개 달리고 위에 귀도 두 개 달린 고대에 사용하던 솥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세발솥'의 뜻을 지님. 왕위(王威)의 상징.

 

 

[2535] 匹 馬 單 騎 (필마단기)한자필 필 / 말 마 / 홑 단 / 말탈 기의미한 필의 말에 홑몸으로 탄다는 뜻으로, 혼자서 한 필의 말을 타고 달리거나 그러한 사람을 이르는 말인데 주로 홀로 적진에 진격해 들어감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연관어】▶ 孤軍奮鬪 (고군분투) : 외로운 군대가 떨쳐 싸움.字意()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로도 사용됨. () 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본래 막대기에 창과 그물을 달아 사냥하던 도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개인용 도구의 의미에서 '단독', '단순'의 의미를 파생함. () 말 위에 올라탄다는 의미에서 타다는 뜻 생성. ‘()’는 발음.필두생화, 필력강정, 필마단기 - 교본파일(84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36] 必 亡 乃 已 (필망내이)한자반드시 필 / 망할 망 / 이에 내 / 그칠 이의미반드시 망하고 나서야 그친다는 뜻으로, 반드시 망하고 만다는 것에서 패망을 면할 길이 없다는 의미.연결어】▶ 必死乃已 (필사내이) : 틀림없이 죽고야 맒.字意()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등의 의미 생성. ()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해 애쓰는 모양에서 말이 잘 이어지지 못한다는 의미로, 말 사이에 접속의 개념으로 사용됨. () 뱀의 모양인 ()에서 왔지만, 구분되어 그만두다’, ‘그치다등의 의미로 사용됨. 부사 이미의 뜻으로 많이 쓰임.

[2537] 匹 夫 之 勇 (필부지용)한자혼자 필 / 지아비 부 / 어조사 지 / 용기 용의미한 사내의 용기라는 뜻으로, 소인(小人)의 혈기에서 나오는 경솔한 용기를 의미하는 말.字意()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로도 사용됨. ()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힘을 상징하는 의미로 용기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부호

 

[2538] 匹 夫 匹 婦 (필부필부)한자혼자 필 / 지아비 부 / 혼자 필 / 아내 부의미한 사람의 남자와 한 사람의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이나 미천한 남녀, 또는 미천한 남자.유의어甲男乙女 (갑남을녀) :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張三李四 (장삼이사) :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딸.字意()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로도 사용됨. 여기서는 혼자의 뜻. ()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등의 의미 생성.필망내이, 필부지용, 필부필부 - 교본파일(84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39] 必 欲 甘 心 (필욕감심)한자반드시 필 / 하고자할 욕 / 달 감 / 마음 심의미반드시 마음을 달게 받아들이고자 한다는 뜻으로, 원망을 반드시 풀어 없애고자 노력함을 이르는 말.참고】▶ 甘心 : 괴로움이나 책망 따위를 기꺼이 받아들임.字意()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을 더해 바라서 하고자한다는 의미를 생성. ‘()’은 발음 역할. () 사람의 혀에 맛있다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점으로 표시해서 달다는 의미 생성.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미로 활용됨.

 

[2540] 必 有 曲 折 (필유곡절)한자반드시 필 / 있을 유 / 굽을 곡 / 꺾을 절의미반드시 곡절이 있다는 뜻으로,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必有事端 (필유사단) : 반드시 일의 실마리가 있음.字意()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자의 모양에서 굽다는 의미와 음률의 조화로 인해 노래의 뜻 생성. () 본래 풀 초[]’도기 근[]’의 결합으로 도끼로 풀을 벤다는 뜻에서 꺾다’, ‘휘어서 베다는 의미 생성. 손 수[] 부수는 후에 변화된 자형임.

 

[2541] 筆 翰 如 流 (필한여류)한자붓 필 / 날개 한 / 같을 여 / 흐를 류의미글을 쓰는 것이 마치 물 흐르듯 한다는 뜻으로, 문장을 거침없이 써 내려가는 모양이나 운필(運筆)이 물 흐르듯이 빠름을 이르는 말.참고】▶ 筆翰 : , 글씨 쓰는 일. 또는 서한(書翰).字意()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을 더함. () 새의 깃에서 날개’, ‘의미 생성. 후에 의 뜻으로 확대되어 문서’, ‘편지등 파생.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필욕감심, 필유곡절, 필한여류 - 교본파일(8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42] 夏 葛 冬 裘 (하갈동구)한자여름 하 / 칡 갈 / 겨울 동 / 갖옷 구의미여름의 갈옷과 겨울의 가죽옷이라는 뜻으로, 격에 잘 맞음을 일컫는 말.字意()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콩과의 넝쿨나무인 의미에서 덩굴과 거친 베인 갈포(葛布)’ 의미 파생함. ‘은 발음. ()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의미 생성. () 가죽이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인 갖옷의 의미 생성. ‘는 발음.

[2543] 何 關 大 事 (하관대사)한자어찌 하 / 빗장 관 / 큰 대 / 일 사의미어찌 큰일에 관계하겠는가라는 뜻으로, 크고 깊은 관계가 없음을 가리키는 말.字意() 불특정한 사람의 의미에서 후에 의문사의 대표격으로 사용됨. ‘()’는 발음 작용. () 문을 잠그는 빗장의 의미에서, 후에 지역을 경계하는 관문의 의미와 상관하다는 뜻으로 확대됨.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에서 사건 자체인 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2544] 下 剋 上 (하극상)한자아래 하 / 이길 극 / 윗 상의미하가 상을 이긴다는 뜻으로, 과거의 신분이 낮은 사람이나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꺾고 오른다는 의미.상대어】▶ 上命下服 (상명하복) : 위에서 명령하고 아래에서 복종함.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무거운 것을 머리에 이고 있어 참고 견디다()()를 더해 이긴다는 의미를 강조함.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라는 의미 나타냄.

 

[2545] 下 氣 怡 聲 (하기이성)한자아래 하 / 기운 기 / 기쁠 이 / 소리 성의미기를 낮추고 음성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님을 섬기는 도리를 이르는 말.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는 발음 작용. () 기뻐서 화기가 돌다는 뜻으로 기쁘다는 의미 생성. () 석경(石磬)과 같은 악기를 손에 막대를 들고 때리는 모양에 아래에 귀와 입을 그린 형태로, 음악을 연주하는 소리의 의미 생성.

 

[2546] 下 堂 迎 之 (하당영지)한자아래 하 / 집 당 / 맞이할 영 / 어조사 지의미대청에서 내려와 맞는다는 뜻으로, 정중하게 영접(迎接)함을 이르는 말.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여러 사람을 수용해서 거처할 수 있는 의 의미. () 오는 것을 '맞아들이다'는 의미

[2547] 何 待 明 年 (하대명년)한자어찌 하 / 기다릴 대 / 밝을 명 / 해 년의미어찌 명년을 기다리리요?’라는 뜻으로, 기다리기 지루함을 이르는 말.유의어百年河淸 (백년하청) : 백 년이 흘러도 황하가 맑아지겠는가?不知何歲月 (부지하세월) : 어느 세월일지 모르겠네!字意() 불특정한 사람의 의미에서 후에 의문사의 대표격으로 사용됨. ‘()’는 발음 작용. ()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 ‘나이등 생성.하기이성, 하당영지, 하대명년 - 교본파일(84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48] 河 圖 洛 書 (하도낙서)한자물 하 / 그림 도 / 물이름 낙 / 글 서의미황하의 그림과 낙수의 글이라는 뜻으로, 河圖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에서 나온 도형(圖形)이고, 洛書는 하()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로 홍범(洪範)의 원본이 되는 것. 중국 상고시대에 나타났다는 신물(神物)의 의미.字意() 강 이름에서 ’, ‘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을 주로 사용. 일정한 구역 안에 영역을 구분해 나누어 놓은 모양에서 도모하다는 의미와 후에 전체를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그림의 의미를 생성함. () '물 이름'의 의미. '()'은 변화된 발음. ()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2549] 夏 爐 冬 扇 (하로동선)한자여름 하 / 화로 로 / 겨울 동 / 부채 선의미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라는 뜻으로, 아무 소용 없는 말이나 재주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冬扇夏爐.유의어無用之物 (무용지물): 쓸모없는 물건.상대어夏褐冬裘 (하갈동구): 여름철 갈옷과 겨울철 갓옷.구별어夏扇冬曆 (하선동력) 여름 부채와 겨울 책력. 철에 맞게 선사함을 비유.字意()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불을 지피는 화로의 의미. '()'는 발음 역할. ()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의미 생성. () 본래 집의 문짝의 의미에서 생겨 후에 햇빛을 가리는 일산의 의미가 파생되고 후에 '부채'의 의미가지 파생됨.

에서 '쓰다', '' 의미 생성.

[2550] 下 馬 評 (하마평)한자아래 하 / 말 마 / 비평할 평의미관리부임에 대한 평론이라는 뜻으로, 어떠한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평판(評判)을 이르는 말.참고】▶ 下馬 : 1.말에서 내림. 2.좋지 못한 말. 3.관리가 임지에 도착함. 부임(赴任).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잘잘못을 살펴서 정한다는 의미에서 품평하다는 뜻을 생성함. 하도낙서, 하로동선, 하마평 - 교본파일(85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51] 下 石 上 臺 (하석상대)한자아래 하 / 돌 석 / 윗 상 / 누대 대의미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괸다는 뜻으로, 임기응변(臨機應變)으로 어려운 일을 미봉함을 이르는 말.유의어彌縫策 (미봉책) :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주선해서 꾸며댐.凍足放尿 (동족방뇨) : 언 발에 오줌 누기. 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석재(石材)’의 의미.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위 부분은 전망할 수 있는 건축물의 입구까지 표현한 망대의 의미이고 아래 '()'는 사방을 바라보기 위해 '이르렀다'는 의미로 더해짐.

 

[2552] 夏 扇 冬 曆 (하선동력)한자여름 하 / 부채 선 / 겨울 동 / 책력 력의미여름 부채와 겨울 책력이라는 뜻으로, 철에 맞게 선사하는 선물을 이르는 말.구별어】▶ 夏爐冬扇 (하로동선) : 여름 화로와 겨울 부채. 無用之物.字意()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본래 집의 문짝의 의미에서 생겨 후에 햇빛을 가리는 일산의 의미가 파생되고 후에 '부채'의 의미가지 파생됨. ()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의미 생성. () 역법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천체의 일을 의미하는 ()’을 더해 ()’을 만듦. ()이 발음 역할도 함.

 

[2553] 下 愚 不 移 (하우불이)한자아래 하 / 어리석을 우 / 아니 불 / 옮길 이의미아주 어리석은 자는 옮겨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은 아무리 타이르거나 가르쳐 주어도 변하지 않고 언제나 그대로 있을 뿐 발전하지 못한다는 의미.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슬기롭지 못한 어리석다는 의미에서 후에 자기의 겸칭으로도 사용함. () 곡물을 많이 생산해서 운반한다는 뜻으로 옮기다는 의미 생성.하석상대, 하선동력, 하우불이 - 교본파일(85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54] 夏 蟲 疑 氷 (하충의빙)한자여름 하 / 벌레 충 / 의심할 의 / 얼음 빙의미여름철 벌레가 얼음을 의심한다는 뜻으로, 견문이 옅은 사람이 함부로 사물을 의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井底之蛙 (정저지와) : 우물 안 개구리. 식견이 좁은 사람.夏蟲不知氷 (하충부지빙) : 여름 벌레는 얼음을 모른다.字意()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벌레의 총칭에서 동물까지 확대해서 표현됨. () 사람이 고개를 들고 길에서 여기저기 찾아 두리번거리는 의미에서 의심하다는 뜻 생성. () 물이 변한 얼음의 의미에서 이수변[()]’을 만듦.

 

[2555] 河 淸 難 俟 (하청난사)한자물 하 / 맑을 청 / 어려울 난 / 기다릴 사의미황하가 맑아지기는 기다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황하는 언제나 흐려 맑아지기를 기다릴 수 없듯이 기다릴 수 없음이나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百年河淸 (백년하청) : 세월이 흘러도 황하가 맑아지겠는가?字意() 강 이름에서 ’, ‘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을 주로 사용. ()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대신에 ()’자를 사용하게 됨. () 기대하고 기다리다는 의미.

[2556] 下 學 上 達 (하학상달)한자아래 하 / 배울 학 / 윗 상 / 통달할 달의미아래로 배워 위로 통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것을 배워서 점차 깊은 학문으로 나아감을 의미하거나, 아래로는 인간의 사리를 배우고 위로는 하늘의 도리에 통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라는 의미 나타냄. () 다다라 이르렀다는 의미에서 통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통달하다는 의미 파생. 오른쪽 부분[()]은 발음.하충의빙, 하청난사, 하학상달 - 교본파일(85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57] 河 淸 海 晏 (하청해안)한자물 하 / 맑을 청 / 바다 해 / 편안할 안의미황하가 맑아지고 바다가 잔잔하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의 조짐, 곧 성군(聖君)이 나서 세상이 편안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강 이름에서 ’, ‘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을 주로 사용. ()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큰물의 의미에서 바다의 의미를 생성함. ()는 발음 요소. () 해가 저물어 시간이 늦다는 의미인데, ()과 가차로 편안하다는 뜻으로도 사용됨

[2558] 河 漢 之 言 (하한지언)한자물 하 / 물 한 / 어조사 지 / 말씀 언의미은하수의 말이라는 뜻으로, 은하수가 멀고 먼 하늘에 있다는 데서 막연한 말을 이르는 말.字意() 강 이름에서 ’, ‘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을 주로 사용. () 중국 섬서성에서 발원한 한수(漢水)인데, 후에 나라이름과 중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2559] 河 海 之 澤 (하해지택)한자물 하 / 바다 해 / 어조 사지 / 은택 택의미강과 바다의 은택이라는 뜻으로, 하해(河海)와 같이 넓고 큰 은혜라는 의미.관련어】▶ 昊天罔極 (호천망극) : 하늘 같이 끝없는 부모의 은혜.字意() 강 이름에서 ’, ‘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을 주로 사용. () 큰물의 의미에서 바다의 의미를 생성함. ()는 발음 요소. () 물이 촉촉한 지대의 의미에서 후에 윤이 난다는 의미 확대로 윤택하다는 뜻 파생.하청해안, 하한지언, 하해지택 - 교본파일(85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0] 下 厚 上 薄 (하후상박)한자아래 하 / 두터울 후 / 윗 상 / 엷을 박의미아랫사람에게 후하고 윗사람에게 박하다는 뜻으로, 주로 보수(報酬) 인상 책정에 있어서 그 비율을 상부층보다 하부층에게 후하게 책정하는 일을 이르는 말.字意()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두텁게 위에서 덮고 있는 의미에서 두텁다는 의미 생성. ()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라는 의미 나타냄. ()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등의 의미 파생.

 

[2561] 何 厚 何 薄 (하후하박)한자어찌 하 / 두터울 후 / 어찌 하 / 엷을 박의미어떤 것은 후하게 하고, 어떤 것은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차별 있게 대하는 것을 원망하는 말.字意() 불특정한 사람의 의미에서 후에 의문사의 대표격으로 사용됨. ‘()’는 발음 작용. () 두텁게 위에서 덮고 있는 의미에서 두텁다는 의미 생성. ()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등의 의미 파생.

[2562] 鶴 鳴 之 歎 (학명지탄)한자학 학 / 울 명 / 어조사 지 / 탄식할 탄의미학이 우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여 뜻을 펴지 못하고 야()에 묻혀있는 탄식을 이르는 말.연관어】▶ 髀肉之嘆 (비육지탄) : 넓적다리에 살이 찐 것을 탄식. 허송 세월을 보내고 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말.字意() 왼쪽 부분 위의 집면[갓머리]’은 두루미와 유사한 새들의 머리 장식 표현임. 웅장한 모습의 두루미를 형상하고 있는 글자. () 새가 입으로 지저귀는 의미를 나타내, 새가 '운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우는 경우는 '()'이나 '()'을 사용함. () 본래 소리를 내어 읊다는 의미인데, 후에 탄식하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탄식하다는 의미에서만 통용됨.하후상박, 하후하박, 학명지탄 - 교본파일(85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3] 鶴 首 苦 待 (학수고대)한자학 학 / 머리 수 / 쓸 고 / 기다릴 대의미학의 머리로 고통스럽게 기다린다는 뜻으로, 학처럼 목을 길게 뽑고 간절하게 기다림을 이르는 말.유의어一刻如三秋 (일각여삼추): 하루가 마치 삼 년과 같이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함.字意() 왼쪽 부분 위의 집면[갓머리]’은 두루미와 유사한 새들의 머리 장식 표현임. 웅장한 모습의 두루미를 형상하고 있는 글자. () 사람의 코[]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는 발음. ()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2564] 學 如 不 及 (학여불급)한자배울 학 / 같을 여 / 아니 불 / 미칠 급의미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字意()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사람[]과 손[]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

[2565] 學 如 穿 井 (학여천정)한자배울 학 / 같을 여 / 뚫을 천 / 우물 정의미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穿() 구멍을 뚫는다는 의미에서 '구멍', '뚫다'는 뜻.학수고대, 학여불급, 학여천정 - 교본파일(85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6] 學 而 時 習 (학이시습)한자배울 학 / 말이을 이 / 때 시 / 익힐 습의미배우고 때때로 익힌다는 뜻으로, 선학(先學)에게 도()를 배우고, 언제나 반복 연습하는 자기완성을 위한 노력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출전】▶ 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論語(논어)>字意()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때를 구분하는 시간의 의미() 어린 새가 나는 법을 익힌다는 의미에서 익히다생성.

 

[2567] 學 而 知 之 (학이지지)한자배울 학 / 말이을 이 / 알 지 / 어조사 지의미배워서 안다는 뜻으로, 보통사람이 배움에 정진해서 지식과 덕행을 갖춘 사람이 된다는 의미.연관어】▶ 生而知之 (생이지지) :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 곧 성인(聖人)字意()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2568] 學 者 三 多 (학자삼다)한자배울 학 / 놈 자 / 석 삼 / 많을 다의미배우는 사람은 세 가지가 많아야 한다는 뜻으로, 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독서(讀書)와 지론(持論)과 저술(著述)의 세 가지가 많아야 한다는 의미.字意()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본래는 고기[]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생성.학이시습, 학이지지, 학자삼다 - 교본파일(85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9] 漢 江 投 石 (한강투석)한자한수 한 / 강 강 / 던질 투 / 돌 석의미한강에 돌 던지기라는 뜻으로, 몹시 미미하여 전혀 효과가 없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紅爐點雪 (홍로점설) : 붉은 화로에 눈 찍기. 字意() 중국 섬서성에서 발원한 한수(漢水)인데, 후에 나라이름과 중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 물이 줄기를 이루어 흐르는 것. 주로 중국의 남쪽 지방의 물줄기를 ()이라 하고, 북방 쪽은 ()’로 표현함. () 손으로 물건을 던지다는 의미. ‘()치다의 반의어. ()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석재(石材)’의 의미

[2570] 邯 鄲 之 夢 (한단지몽)한자땅이름 한 / 조나라수도 단 / 어조사 지 / 꿈 몽의미한단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盧生之夢 (노생지몽), 黃粱之夢 (황량지몽), 一炊之夢 (일취지몽)유의어】▶ 一場春夢 (일장춘몽) : 한바탕 봄꿈.字意() 땅이름과 고을이름. 조나라 도읍으로 삼음. () 고을이름으로, 역시 조나라 서울의 이름. ()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2601-2630  (0) 2013.02.05
이야기한자성어2571-2600  (0) 2013.02.05
이야기한자성어2501-2531  (0) 2013.02.05
이야기한자성어2471-2500  (0) 2013.02.05
이야기한자성어2431-2470  (0) 201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