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장> 孟子ㅣ 曰君子所以異於人者는 以其存心也ㅣ니 君子는 以仁存心하며 以禮存心이니라 맹자 가라사대 군자가 써 다른 사람과 다른 바는 그 마음을 존함으로써이니, 군자는 인으로써 마음을 존하며 예로써 마음을 존하니라. 以仁禮存心은 言以是로 存於心而不忘也ㅣ라 인과 예로서 마음을 둠은 이로써 마음에 두어 잊지 않음을 말함이라. 仁者는 愛人하고 有禮者는 敬人하나니 어진 자는 사람을 사랑하고 예가 있는 자는 사람을 공경하나니 此는 仁禮之施라 이는 인과 예의 베풂이라. 愛人者는 人恒愛之하고 敬人者는 人恒敬之니라 사람을 사랑하는 자는 사람이 항상 그를 사랑하고 사람을 공경하는 자는 사람이 항상 그를 공경하니라 此는 仁禮之驗이라 이는 인과 예의 효험이라. 有人於此하니 其待我以橫逆則君子ㅣ 必自反也하야 我必不仁也ㅣ며 必無禮也ㅣ로다 此物이 奚宜至哉오 하나니라 사람이 이에 있으니 그 나를 대하도되 횡역으로써 하면 군자가 반드시 스스로 돌이켜 내 반드시 인하지 못하며 반드시 예 없도다. 이 일이 어찌 마땅히 이르리오 하나니라 橫逆은 謂强暴不順理也ㅣ라 物은 事也ㅣ라 횡역은 강포하여 이치에 순하지 않음을 이름이라. 物은 일이라. 其自反而仁矣며 自反而有禮矣로대 其橫逆이 由是也ㅣ어든 君子ㅣ 必自反也하야 我必不忠이로다 하나니라 그 스스로 돌이켜 인하며 스스로 돌이켜 예 있으되 그 횡역이 이 같거든 군자 반드시 스스로 돌이켜 내 반드시 충하지 못하도다 하나니라.
由 : 같을 유 忠者는 盡己之謂라 我必不忠은 恐所以愛敬人者 有所不盡其心也ㅣ라 충이라는 것은 자기를 다함을 이름이라. 내 반드시 충하지 못하다 함은 써한 바 남을 사랑하고 공경함에 그 마음을 다하지 못한 바가 있을까를 두려워함이라. 自反而忠矣로대 其橫逆이 由是也ㅣ어든 君子ㅣ 曰此亦妄人也已矣로대 하나니 如此則與禽獸奚擇哉리오 於禽獸애 又何難焉이리오 스스로 돌이켜 충하되 그 횡역이 이 같거든 군자 가로대 이 또한 망령된 사람일 뿐이로대 하나니 이와 같은즉 금수와 더불어 어찌 가리리오, 금수에게 또 어찌 나무라리오.
難 : 어려울 난, 여기서는 ‘나무랄 난’ 奚擇은 何異也ㅣ라 又何亂焉은 言不足與之校也ㅣ라 奚擇은 어찌 다름이랴. 또 何亂焉은 족히 더불어 가르칠 것이 못됨을 말함이라. 是故로 君子ㅣ 有終身之憂ㅣ오 無一朝之患也ㅣ니 乃若所憂則有之하니 舜도 人也ㅣ며 我亦人也ㅣ로대 舜은 爲法於天下하샤 可傳於後世어시늘 我는 由未免爲鄕人也하니 是則可憂也ㅣ라 憂之如何오 如舜而已矣니라 若夫君子所患則亡矣니라 非仁無爲也ㅣ며 非禮無行也ㅣ라 如有一朝之患이라도 則君子ㅣ 不患矣니라 이런 고로 군자가 종신토록 근심함이오, 하루 아침의 걱정이 아니니 이에 만약 근심하는 바로 곧 있으니 순임금도 사람이며 나 또한 사람이로대 순임금은 천하에 법이 되어서 가히 후세에 전하시거늘 나는 오히려 향인이 됨을 면지 못하니 이는 가히 근심함즉 하니라. 근심하되 어찌하리오. 순임금 같을 따름이니라. 만약 무릇 군자의 걱정하는 바인즉 없느니라. 어짊이 아니면 하옴이 없으며 예가 아니면 행함이 없음이라. 만약 하루 아침의 걱정이 있더라도 곧 군자는 걱정하지 아니하니라. 鄕人은 鄕里之常人也ㅣ라 君子ㅣ 存心不苟라 故로 無後憂라 향인은 향리의 보통 사람이라. 군자가 마음 두기를 구차히 하지 않음이라. 그럼으로 뒤에 근심이 없음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