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스크랩] 離婁章句下 제29장 해설

ria530 2012. 6. 8. 17:29
<제29장>

禹稷이 當平世하야 三過其門而不入하신대 孔子ㅣ 賢之하시니라

우임금과 후직이 태평한 세상을 당하여 그 문을 세 번 지나가나 들어가지 아니하신대 공자가 어질게 여기시니라.

事見前篇하니라

일이 전편(등문공장구상 제4장)에 나타나니라.

顔子ㅣ 當亂世하야 居於陋巷하샤 一簞食와 一瓢飮을 人不堪其憂ㅣ어늘 顔子ㅣ 不改其樂하신대 孔子ㅣ 賢之하시니라

안자가 어지러운 세상을 당하여 누추한 골목에 거처하사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마실 것을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디지 못하거늘 안자가 그 낙을 고치지 아니하신대 공자가 어질게 여기시니라.

孟子ㅣ 曰禹稷顔回ㅣ 同道하니라

맹자 가라사대 우와 직과 안회가 도가 같으니라.

聖賢之道는 進則救民하고 退則修己하니 其心이 一而已矣니라

성현의 도는 나아가면 백성을 구하고 물러가면 몸을 닦으니 그 마음이 하나일 뿐이니라.

禹는 思天下有溺者ㅣ어든 由己溺之也하시며 稷은 思天下有饑者ㅣ어든 由己饑之也하니 是以로 如是其急也ㅣ시니라

우임금이 생각하기를 천하에 빠진 자가 있거든 자기가 빠진 것같이 하시며, 후직은 생각하기를 천하에 굶주린 자 있거든 자기가 굶주린 것같이 하니 이로써 이렇듯이 그 급히 하시니라.

[본문 해설]
‘由己溺之也’와 ‘由己饑之也’는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由를 ‘같을 유(猶)’로 해석하면 앞의 해석처럼 ‘자기가 빠진 것같이’ ‘자기가 굶주린 것같이’로 볼 수 있고, 由를 본뜻대로 ‘말미암아’로 본다면 ‘자기로 말미암아 빠지게 하고’ ‘자기로 말미암아 굶주리게 되니’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뒤의 ‘如是其急’의 문맥으로 보아 자기 자신의 몸에 닥친 일만큼 더 큰 급함은 없기에 여기서는 전자로 해석하였다.

禹稷은 身任其職이라 故로 以爲己責하야 而救之急也ㅣ라

우와 직은 자신이 그 직책을 맡음이라. 그러므로 써 자기의 책임으로 삼아 구하기를 급하게 함이라.

禹稷顔子ㅣ 易地則皆然이리라

우와 직과 안자가 처지를 바꾼다면 다 그러하리라.

聖賢之心은 無所偏倚하여 隨感而應하여 各盡其道라 故로 使禹稷이 居顔子之地면 則亦能樂顔子之樂이오 使顔子ㅣ 居禹稷之任이면 亦能憂禹稷之憂也ㅣ니라

성현의 마음은 편벽되고 기대는 바가 없어서 감동함에 따라 응하여 각각 그 도를 다함이라. 그러므로 설사 우와 직이 안자의 처지에 거한다면 곧 또한 능히 안자의 즐거움을 즐거워할 것이요, 설사 안자가 우와 직의 소임을 맡았다면 또한 능히 우와 직의 근심을 근심할 것이니라.

今有同室之人이 鬪者ㅣ어든 救之호대 雖被髮纓冠而救之라도 可也ㅣ니라

이제 한 방의 사람이 싸우거든 구하호대 비록 머리를 풀고 갓끈만 메고서 구하더라도 가하니라.

不暇束髮하야 而結纓往救하니 言急也ㅣ라 以喩禹稷이라

머리 묶을 겨를이 없어서 갓끈만 매고 가서 구하니 급함을 말함이라. 써 우와 직을 비유함이라.

鄕鄰에 有鬪者ㅣ어든 被髮纓冠而往救之則惑也ㅣ니 雖閉戶ㅣ라도 可也ㅣ니라

향리와 이웃에 싸우는 자 있거든 머리를 풀고 갓끈만을 메고 가 구하면 미혹함이니 비록 문을 닫더라도 가하니라.

喩顔子也ㅣ라 ○此章은 言聖賢이 心無不同이요 事則所遭或異나 然이나 處之ㅣ 各當其理하니 是乃所以爲同也ㅣ라 尹氏 曰當其可之謂時라 하니 前聖後聖이 其心一也ㅣ라 故로 所遇에 皆盡善이니라

안자를 비유함이라. ○이 장은 말하건대, 성현이 마음은 같지 않음이 없고 일인즉 만나는 바가 혹 다르나 그러나 대처함이 각기 그 이치에 마땅하니 이것이 이에 써 같음이 되는 바라. 윤씨 가로대 그 가함에 마땅하게 함을 일러 때라 하니 앞의 성인과 뒤의 성인이 그 마음이 하나라. 그러므로 만나는 바에 모두 선을 다함이라.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家苑 이윤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