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咸丘蒙이 問曰語에 云盛德之士는 君不得而臣하며 父不得而子ㅣ라 舜이 南面而立이어시늘 堯ㅣ 帥諸侯하야 北面而朝之하시고 瞽瞍ㅣ 亦北面而朝之어늘 舜이 見瞽瞍하시고 其容이 有蹙이라 하야늘 孔子ㅣ 曰於斯時에 天下ㅣ 殆哉岌岌乎인녀 하시니 不識게이다 此語ㅣ 誠然乎哉잇가 孟子ㅣ 曰否ㅣ라 此非君子之言이라 齊東野人之語也ㅣ라 堯ㅣ 老而舜이 攝也ㅣ러시니 堯典에 曰二十有八載에 放勳이 乃徂落커시늘 百姓은 如喪考妣三年하고 四海는 遏密八音이라 하며 孔子ㅣ 曰天無二日이오 民無二王이라 하시니 舜이 旣爲天子矣오 又帥天下諸侯하야 以爲堯三年喪이면 是는 二天子矣니라 함구몽이 묻자와 가로대 옛 말에 이르되 덕이 성대한 선비는 인군이 시러곰 신하를 삼지 못하며 아비가 시러곰 자식하지 못하니라(자식이라 하여 마음대로 못하니라). 순이 남면하여 서 계시거늘 요가 제후를 거느리고 북면하여 조회하시고 고수 또한 북면하여 조회하거늘 순이 고수를 보시고 그 모양이 위축됨이 있다 하야늘, 공자 가라사대 이 때 천하가 위태하다, 위태롭고 위태로운저 하시니 아지 못게이다. 이 말씀이 진실로 그리 하니잇가? 맹자 가라사대 아니라. 이는 군자의 말이 아니라 제나라 동녘 사람의 말이라. 요가 늙으심에 순이 섭정하더시니 요전에 가로대 (섭정한지) 28년에 방훈이 마침내 죽으시거늘 백성이 고비를 잃은 것같이 하옴을 삼년하고 사해는 팔음을 조용히 그친다 하며, 공자 가라사대 하늘에 두 해가 없고 백성이 두 왕이 없다 하시니 순이 이미 천자되시고 또 천하 제후를 통솔하여 써 요의 삼년상을 하면 이는 두 천자이니라.
축 : 찡그릴 축 岌 : 위태할 급 徂 : 갈 조, 죽을 조 考 : 죽은 아비 고 妣 : 죽은 어미 비 咸丘蒙은 孟子弟子也ㅣ라 語者는 古語也ㅣ라 蹙은 顰蹙이니 不自安也ㅣ라 岌岌은 不安之貌也ㅣ니 言人倫이 乖亂하여 天下將危也ㅣ라 齊東은 齊國之東鄙也ㅣ라 孟子ㅣ 言堯但老不治事하야 而舜攝天子之事耳요 堯在時에 舜未嘗卽天子位하시니 堯何由로 北面而朝乎아 하시고 又引書及孔子之言하야 以明之하시니라 堯典은 虞書篇名이라 今此文은 乃見於舜典하니 蓋古書二篇이 或合爲一耳라 言舜이 攝位二十八年而堯死也ㅣ라 徂는 升也ㅣ오 落은 降也ㅣ니 人死則魂升而魄降이라 故로 古者에 謂死爲徂落이라 遏은 止也ㅣ오 密은 靜也ㅣ라 八音은 金石絲竹匏土革木樂器之音也ㅣ라 함구몽은 맹자 제자라. 어라는 것은 옛 말이라. 축은 찌뿌림이니 스스로 편안하지 못함이라. 급급은 불안한 모양이니 인륜이 어그러지고 혼란하여 천하가 장차 위태로움을 말함이라. 제동은 제나라의 동쪽 변방이라.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요는 다만 늙어서 일을 다스리지 못하시어 순이 천자의 일을 잡으시고 요가 계실 때에 순은 아직 천자의 자리에 나아가지 못하시니 요가 무슨 이유로 북면하여 조회하셨겠는가 하시고, 또 서경과 공자의 말씀을 인용하여서 써 밝히시니라. 요전은 우서 편명이라. 지금 이 글은 바로 요전에 나타나니 대개 옛 서경 두 편이 혹 합하여 하나가 됨이라. 순이 섭위한지 28년에 요가 죽었음을 말함이라. 조는 오름이오, 낙은 내림이니 사람이 죽으면 혼은 올라가고 백은 내려감이라. 그러므로 옛날에 죽음을 일러 조락이라 하였느니라. 알은 그침이오, 밀은 고요함이라. 팔음은 쇠, 돌, 실, 대, 박, 흙, 가죽, 나무로 만든 악기의 소리라.
鄙 : 더러울 비, 변방 비 咸丘蒙이 曰舜之不臣堯則吾旣得聞命矣어니와 詩云普天之下ㅣ 莫非王土ㅣ며 率土之濱이 莫非王臣이라 하니 而舜이 旣爲天子矣시니 敢問瞽瞍之非臣은 如何ㅣ잇고 曰是詩也는 非是之謂也ㅣ라 勞於王事而不得養父母也하야 曰此ㅣ 莫非王事ㅣ어늘 我獨賢勞也ㅣ라 하니 故로 說詩者ㅣ 不以文害辭하며 不以辭害志오 以意逆志라아 是爲得之니 如以辭而已矣댄 雲漢之詩에 曰周餘黎民이 靡有孑遺ㅣ라 하니 信斯言대 是는 周無遺民也ㅣ니라 함구몽이 가로대 순의 요를 신하하지 아니함은 내 이미 시러곰 가르침을 들었거니와 시에 이르기를 넓은 하늘의 아래가 왕의 땅이 아님이 없으며, 온 땅의 끝까지 왕의 신하가 아님이 없다 하니, 순이 이미 천자가 되셨으니 감히 묻잡노니이다. 고수의 신하 아님은 어찌니잇고? 가라사대 이 시는 이를 이름이 아니라 왕사에 수고로워 시러곰 부모를 봉양치 못하야 가로대 이것이 왕사가 아님이 없거늘 나 홀로 어질다하여 수고롭다 하니, 그러므로 시를 설명한 자가 글로써 말을 해하지 말며, 말로써 뜻을 해하지 말고, (나의, 읽는 자의) 뜻으로써 (지은이의) 뜻을 맞이하여야 이 얻음이 되니 만일 말로써 할 따름인댄 운한(은하수) 시에 가로대 주나라의 남은 백성이 하나도 있지 않다 하니 진실로 이 말일진대(말대로라면) 이는 주나라에 유민이 없음이니라.
濱 : 물가 빈, 끝 빈 率土之濱 : 온 천하, 온 세계 逆 : 맞을 역 孑 : 외로울 혈, 남을 혈 孑遺 : 나머지, 잔여 不臣堯는 不以堯爲臣하야 使北面而朝也ㅣ라 詩는 小雅北山之篇也ㅣ라 普는 徧也ㅣ오 率은 循也ㅣ라 此詩는 今毛氏序에 云役使不均하야 己勞於王事하야 而不得養其父母焉이라 하고 其詩下文에 亦云大夫不均하야 我從事獨賢이라 하니 乃作詩者ㅣ 自言天下ㅣ 皆王臣이어늘 何爲獨使我以賢才而勞苦乎아 하니 非謂天子ㅣ 可臣其父也ㅣ니라 文은 字也ㅣ오 辭는 語也ㅣ라 逆은 迎也ㅣ라 雲漢은 大雅篇名也ㅣ라 孑은 獨立之貌요 遺는 脫也ㅣ라 言說詩之法은 不可以一字로 而害一句之義하며 不可以一句로 而害設辭之志요 當以己意로 迎取作者之志라야 乃可得之니 若但以其辭而已면 則如雲漢所言인댄 是周之民이 眞無遺種矣라 惟以意逆之면 則知作詩者之志ㅣ 在於憂旱이요 而非眞無遺民也ㅣ니라 요를 신하하지 못함은 요로써 신하를 삼아 북면하여 조회하게 못함이라. 시는 소아 북산편이라. 보는 두루요, 솔은 따름이라. 이 시는 이제 모씨(毛萇)의 서에 이르기를 역사가 하여금 고르지 못하야 자기만이 왕사에 수고로워 그 부모를 시러곰 봉양하지 못하니라 하고 그 시 아래 글에 또한 대부가 고르지 못하여 나만 종사하여 홀로 어질다 하니 이에 시를 지은 자 스스로 천하가 다 왕의 신하이거늘 어찌하여 홀로 나로 하여금 써 어질고 재주있으며 수고로운가 하니 천자가 그 아버지를 가히 신하함을 이름이 아니니라. 문은 글자요, 사는 말이라. 역은 맞이함이라. 운한은 대아 편명이라. 혈은 홀로 선 모양이오, 유는 벗어남이라. 말하건대 시를 해설하는 방법은 가히 한 글자로써 한 구절의 뜻을 해하지 못하며, 가히 한 구절로써 베풀어진 말의 뜻을 해하지 못하고, 마땅히 나의 뜻으로써 지은이의 뜻을 맞이해 취하여야 이에 가히 그것을 얻으니, 만약에 다만 그 말로써만이라면 운한에서 말한 바처럼 일질댄, 이는 주나라의 백성이 참으로 남은 씨가 없음이라. 오직 써 (나의) 뜻으로써 맞이한다면 지은 자의 뜻이 가뭄을 걱정함에 있고 참으로 유민의 없음이 아님을 알 것이니라. 孝子之至는 莫大乎尊親이오 尊親之至는 莫大乎以天下養이니 爲天子父하니 尊之至也ㅣ오 以天下養하시니 養之至也ㅣ라 詩曰永言孝思ㅣ라 孝思維則이라 하니 此之謂也ㅣ니라 효자의 지극함은 어버이를 높이는 것보다 큰 것이 없음이오, 어버이를 높이는 지극함은 천하로써 봉양함보다 큰 것이 없음이니 천자의 아버지가 되었으니 높임의 지극함이오, 천하로써 봉양하시니 봉양함의 지극함이라. 시에 가로대 기리 효도하는 생각이라, 효도하는 생각이 법칙이 벼리가 된다 하니 이를 이름이라. 言瞽瞍ㅣ 旣爲天子之父면 則當享天下之養이니 此는 舜之所以爲尊親養親之至也ㅣ라 豈有使之北面而朝之理乎아 詩는 大雅下武之篇이라 言人能長言孝思而不忘이면 則可以爲天下法則也ㅣ라 고수가 이미 천자의 아버지가 되었으면 마땅히 천하의 봉양을 누림을 말함이니 이는 순의 써한 바 존친과 양친의 지극함이 됨이라. 어찌 그로 하여금 북면하여 조회하게 할 까닭이 있겠는가? 시는 대아 하무편이라. 사람이 능히 길이 효도하는 마음을 생각하고 잊지 않는다면 가히 써 천하의 법칙이 됨을 말씀함이라. 書에 曰祗載見瞽瞍하샤대 虁虁齊栗하신대 瞽瞍ㅣ 亦允若이라 하니 是爲父不得而子也ㅣ니라 서에 가로대 일을 공경히 하여 고수를 뵙대 조심하고 두려워하며 공손하신대 고수가 또한 미덥게 따랐다 하니 이는 아비가 시러곰 자식하지(자식을 멋대로) 못함이 되니라.
夔 : 외발짐승 기, 조심할 기 夔夔 :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모양 栗 : 밤나무 율 齊栗(재율 ; 재계(齊戒, 齋戒)하고 밤나무 지팡이를 짚고 祭를 지내기에 ‘재율’로 읽어야 함이 마땅하다고 본다.) 몸을 단정히 하고 언행을 조심함 書는 大禹謨篇也ㅣ라 祗는 敬也ㅣ오 載는 事也ㅣ라 夔夔齊栗은 敬謹恐懼之貌라 允은 信也ㅣ오 若은 順也ㅣ라 言舜ㅣ 敬事瞽瞍하야 往而見之에 敬謹如此하시니 瞽瞍ㅣ 亦信而順之也ㅣ라 孟子ㅣ 引此而言瞽瞍ㅣ 不能以不善으로 及其子하고 而反見化於其子하니 則是所謂父不得而子者요 而非如咸丘蒙之說也ㅣ라 하시니라 서는 대우모편이라. 지는 공경이오, 재는 일이라 기기재율은 공경하고 삼가며 두려워하고 두려워하는 모양이라. 윤은 믿음이오, 약은 순함이라. 말씀하시건대 순이 고수를 존경하고 섬겨 가서 뵘에 공경하고 삼감이 이와 같으시니 고수 또한 그를 믿고 따름이라. 맹자가 이를 인용하여 고수가 능히 불선으로써 그 자식을 미치지 못하고 도리어 그 자식에게 교화를 당하니 곧 이는 이른바 아비가 시러곰 자식하지 못함이오, 함구몽의 말과 같음이 아니다 하시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