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스크랩] 孟子集註卷之十二 告子章句下 凡十六章 본문

ria530 2012. 6. 13. 12:25
孟子集註卷之十二
告子章句下
凡十六章


<제1장>
任人이 有問屋廬子曰禮與食이 孰重고 曰禮重이니라
色與禮ㅣ 孰重고
曰禮重이니라 曰以禮食則飢而死하고 不以禮食則得食이라도 必以禮乎아 親迎則不得妻하고 不親迎則得妻ㅣ라도 必親迎乎아 屋廬子ㅣ 不能對하야 明日에 之鄒하야 以告孟子한대 孟子ㅣ 曰於答是也에 何有리오
不揣其本而齊其末이면 方寸之木을 可使高於岑樓ㅣ니라
金重於羽者는 豈謂一鉤金與一輿羽之謂哉리오
取食之重者와 與禮之輕者而比之면 奚翅食重이며 取色之重者와 與禮之輕者而比之면 奚翅色重이리오
往應之曰紾兄之臂而奪之食則得食하고 不紾則不得食이라도 則將紾之乎아 踰東家牆而摟其妻子則得妻하고 不摟則不得妻ㅣ라도 則將摟之乎아 하라

<제2장>
曹交ㅣ 問曰人皆可以爲堯舜이라 하나니 有諸잇가 孟子ㅣ 曰然하다
交는 聞文王은 十尺이오 湯은 九尺이라 호니 今交는 九尺四寸以長이로대 食粟而已로니 如何則可ㅣ잇고
曰奚有於是리오 亦爲之而已矣니라 有人於此하니 力不能勝一匹雛ㅣ면 則爲無力人矣오 今曰擧百鈞이면 則爲有力人矣니 然則擧烏獲之任이면 是亦爲烏獲而已矣니 夫人은 豈以不勝爲患哉리오 弗爲耳니라
徐行後長者를 謂之弟오 疾行先長者를 謂之不弟니 夫徐行者는 豈人所不能哉리오 所不爲也ㅣ니 堯舜之道는 孝弟而已矣니라
子ㅣ 服堯之服하며 誦堯之言하며 行堯之行이면 是堯而已矣오 子ㅣ 服桀之服하며 誦桀之言하며 行桀之行이면 是桀而已矣니라
曰交ㅣ 得見於鄒君이면 可以假館이니 願留而受業於門하노이다
曰夫道ㅣ 若大路然하니 豈難知哉리오 人病不求耳니 子ㅣ 歸而求之면 有餘師ㅣ리라

<제3장>
公孫丑ㅣ 問曰高子ㅣ 曰小弁은 小人之詩也ㅣ라 하더이다 孟子ㅣ 曰何以言之오 曰怨이니이다
曰固哉ㅣ라 高叟之爲詩也ㅣ여 有人於此하니 越人이 關弓而射之어든 則己ㅣ 談笑而道之는 無他ㅣ라 疏之也ㅣ오 其兄이 關弓而射之어든 則己ㅣ 垂涕泣而道之는 無他ㅣ라 戚之也ㅣ니 小弁之怨은 親親也ㅣ라 親親은 仁也ㅣ니 固矣夫ㅣ라 高叟之爲詩也ㅣ여
曰凱風은 何以不怨이잇고
曰凱風은 親之過ㅣ 小者也ㅣ오 小弁은 親之過ㅣ 大者也ㅣ니 親之過ㅣ 大而不怨이면 是는 愈疎也ㅣ오 親之過ㅣ 小而怨이면 是는 不可磯也ㅣ니 愈疏도 不孝也ㅣ오 不可磯도 亦不孝也ㅣ니라
孔子ㅣ 曰舜은 其至孝矣신저 五十而慕ㅣ라 하시니라

<제4장>
宋牼이 將之楚ㅣ러니 孟子ㅣ 遇於石丘하시다
曰先生은 將何之오
曰吾聞秦楚ㅣ 搆兵호니 我ㅣ 將見楚王하야 說而罷之호대 楚王이 不悅이어든 我ㅣ 將見秦王하야 說而罷之호리니 二王에 我ㅣ 將有所遇焉이리라
曰軻也는 請無問其詳이오 願聞其指하노니 說之將如何오 曰我ㅣ 將言其不利也호리라 曰先生之志則大矣어니와 先生之號則不可하다
先生이 以利로 說秦楚之王이면 秦楚之王이 悅於利하야 以罷三軍之師하리니 是는 三軍之士ㅣ 樂罷而悅於利也ㅣ라 爲人臣者ㅣ 懷利以事其君하며 爲人子者ㅣ 懷利以事其父하며 爲人弟者ㅣ 懷利以事其兄이면 是는 君臣父子兄弟ㅣ 終去仁義하고 懷利以相接이니 然而不亡者ㅣ 未之有也ㅣ니라 先生이 以仁義로 說秦楚之王이면 秦楚之王이 悅於仁義하야 而罷三軍之師하리니 是는 三軍之士ㅣ 樂罷而悅於仁義也ㅣ라 爲人臣者ㅣ 懷仁義以事其君하며 爲人子者ㅣ 懷仁義以事其父하며 爲人弟者ㅣ 懷仁義以事其兄이면 是는 君臣父子兄弟ㅣ 去利하고 懷仁義以相接也ㅣ니 然而不王者ㅣ 未之有也ㅣ니 何必曰利리오

<제5장>
孟子ㅣ 居鄒하실새 委任이 爲任處守ㅣ러니 以幣交한대 受之而不報하시고 處於平陸하실새 儲子ㅣ 爲相이러니 以幣交한대 受之而不報하시다
他日에 由鄒之任하샤 見季子하시고 由平陸之齊하사 不見儲子하신대 屋廬子ㅣ 喜曰連이 得間矣와라
問曰夫子ㅣ 之任하사 見季子하시고 之齊하사 不見儲子하시니 爲其爲相與ㅣ잇가
曰非也ㅣ라 書에 曰享은 多儀하니 儀不及物이면 曰不享이니 惟不役志于享이라 하니
爲其不成享也ㅣ니라
屋廬子ㅣ 悅이어늘 或이 問之한대 屋慮子ㅣ 曰季子는 不得之鄒ㅣ오 儲子는 得之平陸일새니라

<제6장>
淳于髡이 曰先名實者는 爲人也ㅣ오 後名實者는 自爲也ㅣ니 夫子ㅣ 在三卿之中하사 名實이 未加於上下而去之하시니 仁者도 固如此乎ㅣ잇가
孟子ㅣ 曰居下位하야 不以賢事不肖者는 伯夷也ㅣ오 五就湯하며 五就桀者는 伊尹也ㅣ오 不惡汙君하며 不辭小官者는 柳下惠也ㅣ니 三子者ㅣ 不同道하나 其趨는 一也ㅣ니 一者는 何也오 曰仁也ㅣ라 君子는 亦仁而已矣니 何必同이리오
曰魯繆公之時에 公儀子ㅣ 爲政하고 子柳子思ㅣ 爲臣이로대 魯之削也ㅣ 滋甚하니 若是乎賢者之無益於國也ㅣ여
曰虞ㅣ 不用百里奚而亡하고 秦穆公이 用之而覇하니 不用賢則亡이니 削을 何可得與ㅣ리오
曰昔者에 王豹ㅣ 處於淇而河西ㅣ 善謳하고 綿駒ㅣ 處於高唐而齊右ㅣ 善歌하고 華周杞梁之妻ㅣ 善哭其夫而變國俗하니 有諸內면 必形諸外하나니 爲其事而無其功者를 髡이 未嘗覩之也ㅣ로니 是故로 無賢者也ㅣ니 有則髡必識之니이다
曰孔子ㅣ 爲魯司寇ㅣ러시니 不用하고 從而祭에 燔肉이 不至어늘 不稅冕而行하시니 不知者는 以爲爲肉也ㅣ라 하고 其知者는 以爲爲無禮也ㅣ라 하니 乃孔子則欲以微罪行하사 不欲爲苟去하시니 君子之所爲를 衆人이 固不識也ㅣ니라

<제7장>
孟子ㅣ 曰五覇者는 三王之罪人也ㅣ오 今之諸侯는 五覇之罪人也ㅣ오 今之大夫는 今之諸侯之罪人也ㅣ니라
天子ㅣ 適諸侯曰巡狩ㅣ오 諸侯ㅣ 朝於天子曰述職이니 春省耕而補不足하며 秋省斂而助不給하나니 入其疆하니 土地辟하며 田野治하며 養老尊賢하며 俊傑이 在位則有慶이니 慶以地하고 入其疆하니 土地荒蕪하며 遺老失賢하며 掊克이 在位則有讓이니 一不朝則貶其爵하고 再不朝則削其地하고 三不朝則六師로 移之하나니 是故로 天子는 討而不伐하고 諸侯는 伐而不討하나니 五覇者는 摟諸侯하야 以伐諸侯者也ㅣ라 曰五覇者는 三王之罪人也ㅣ니라
五覇에 桓公이 爲盛하더니 葵丘之會에 諸侯ㅣ 束牲載書而不歃血하고 初命曰誅不孝하며 無易樹子하며 無以妾爲妻ㅣ 하고 再命曰尊賢育才하야 以彰有德이라 하고 三命曰敬老慈幼하며 無忘賓旅ㅣ라 하고 四命曰士無世官하며 官事無攝하며 取士必得하며 無專殺大夫ㅣ라 하고 五命曰無曲防하며 無遏糴하며 無有封而不告ㅣ라 하고 曰凡我同盟之人은 旣盟之後에 言歸于好ㅣ라 하니 今之諸侯ㅣ 皆犯此五禁하나니 故로 曰今之諸侯는 五覇之罪人也ㅣ니라
長君之惡은 其罪ㅣ 小하고 逢君之惡은 其罪ㅣ 大하니 今之大夫ㅣ 皆逢君之惡하나니 故로 曰今之大夫는 今之諸侯之罪人也ㅣ니라

<제8장>
魯ㅣ 欲使愼子로 爲將軍이러니
孟子ㅣ 曰不敎民而用之를 謂之殃民이니 殃民者는 不容於堯舜之世니라
一戰勝齊하야 遂有南陽이라도 然且不可하니라
愼子ㅣ 勃然不悅曰此則滑釐의 所不識也ㅣ로소이다
曰吾ㅣ 明告子호리라 天子之地ㅣ 方千里니 不千里면 不足以待諸侯ㅣ오 諸侯之地ㅣ 方百里니 不百里면 不足以守宗廟之典籍이니라
周公之封於魯에 爲方百里也ㅣ니 地非不足이로대 而儉於百里하며 太公之封於齊也에 亦爲方百里也ㅣ니 地非不足也ㅣ로대 而儉於百里하니라
今魯ㅣ 方百里者ㅣ 五ㅣ니 子ㅣ 以爲有王者ㅣ 作則魯ㅣ 在所損乎아 在所益乎아
徒取諸彼하야 以與此ㅣ라도 然且仁者ㅣ 不爲온 況於殺人以求之乎아
君子之事君也는 務引其君以當道하야 志於仁而已니라

<제9장>
孟子ㅣ 曰今之事君者ㅣ 曰我ㅣ 能爲君하야 辟土地하며 充府庫ㅣ라 하나니 今之所謂良臣이오 古之所謂民賊也ㅣ라 君不鄕道하야 不志於仁이어든 而求富之하니 是는 富桀也ㅣ니라
我ㅣ 能爲君하야 約與國하야 戰必克이라 하나니 今之所謂良臣이오 古之所謂民賊也ㅣ라 君不鄕道하야 不志於仁이어든 而求爲之强戰하니 是는 輔桀也ㅣ니라
由今之道하야 無變今之俗이면 雖與之天下ㅣ라도 不能一朝居也ㅣ니라

<제10장>
白圭ㅣ 曰吾欲二十而取一하노니 何如하니잇고
孟子ㅣ 曰子之道는 貉道也ㅣ로다
萬室之國에 一人이 陶則可乎아 曰不可하니 器不足用也ㅣ니이다
曰夫貉은 五穀이 不生하고 惟黍ㅣ 生之하나니 無城郭宮室宗廟祭祀之禮하며 無諸侯幣帛饔飱하며 無百官有司ㅣ라 故로 二十에 取一而足也ㅣ니라
今에 居中國하야 去人倫하며 無君子ㅣ면 如之何其可也ㅣ오
陶以寡ㅣ라도 且不可以爲國이온 況無君子乎아
欲輕之於堯舜之道者는 大貉에 小貉也ㅣ오 欲重之於堯舜之道者는 大桀에 小桀也ㅣ니라

<제11장>
白圭ㅣ 曰丹之治水也ㅣ 愈於禹호이다
孟子ㅣ 曰子ㅣ 過矣로다 禹之治水는 水之道也ㅣ니라
是故로 禹는 以四海爲壑이어시늘 今에 吾子는 以隣國爲壑이로다
水逆行을 謂之洚水ㅣ니 洚水者는 洪水也ㅣ라 仁人之所惡也ㅣ니 吾子ㅣ 過矣로다

<제12장>
孟子ㅣ 曰君子ㅣ 不亮이면 惡乎執이리오

<제13장>
魯ㅣ 欲使樂正子로 爲政이러니 孟子ㅣ 曰吾ㅣ 聞之하고 喜而不寐호라
公孫丑ㅣ 曰樂正子는 强乎ㅣ잇가 曰否ㅣ라 有知慮乎ㅣ잇가 曰否ㅣ라 多聞識乎ㅣ잇가 曰否ㅣ라
然則奚爲喜而不寐시니잇고
曰其爲人也ㅣ 好善이니라 好善이 足乎ㅣ잇가
曰好善이 優於天下ㅣ온 而況魯國乎ㅣ따녀
夫苟好善則四海之內ㅣ 皆將輕千里而來하야 告之以善하고
夫苟不好善則人將曰訑訑를 予ㅣ 旣已知之矣로라 호리니 訑訑之聲音顔色이 距人於千里之外하나니 士ㅣ 止於千里之外則讒謟面諛之人이 至矣리니 與讒謟面諛之人으로 居ㅣ면 國欲治들 可得乎아

<제14장>
陳子ㅣ 曰古之君子ㅣ 何如則仕ㅣ니잇고 孟子ㅣ 曰所就ㅣ 三이오 所去ㅣ 三이니라
迎之致敬以有禮하며 言將行其言也則就之하고 禮貌未衰나 言弗行也則去之니라
其次는 雖未行其言也ㅣ나 迎之致敬以有禮則就之하고 禮貌衰則去之니라
其下는 朝不食하며 夕不食하야 飢餓不能出門戶ㅣ어든 君이 聞之曰吾ㅣ 大者론 不能行其道하고 又不能從其言也하야 使飢餓於我土地를 吾ㅣ 恥之라 하고 周之ㄴ댄 亦可受也ㅣ어니와 免死而已矣니라

<제15장>
孟子ㅣ 曰舜은 發於畎畝之中하시고 傅說은 擧於版築之間하고 膠鬲은 擧於魚鹽之中하고 管夷吾는 擧於士하고 孫叔敖는 擧於海하고 百里奚는 擧於市하니라
故로 天將降大任於是人也ㅣ신댄 必先苦其心志하며 勞其筋骨하며 餓其體膚하며 空乏其身하야 行拂亂其所爲하나니 所以動心忍性하야 曾益其所不能이니라
人恒過然後에 能改하나니 困於心하며 衡於慮而後에 作하며 徵於色하며 發於聲而後에 喩ㅣ니라
入則無法家拂士하고 出則無敵國外患者는 國恒亡이니라
然後에 知生於憂患而死於安樂也ㅣ니라

<제16장>
孟子ㅣ 曰敎ㅣ 亦多術矣니 予ㅣ 不屑之敎誨也者는 是亦敎誨之而已矣니라


孟子集註卷之十二 終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家苑 이윤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