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스크랩] 告子章句上 제14장~제16장 해설

ria530 2012. 6. 13. 12:24
<제14장>

孟子ㅣ 曰人之於身也애 兼所愛니 兼所愛則兼所養也ㅣ라 無尺寸之膚를 不愛焉則無尺寸之膚를 不養也ㅣ니 所以考其善不善者는 豈有他哉리오 於己에 取之而已矣니라

맹자 가라사대 사람이 몸에 사랑하는 바를 겸하나니 사랑하는 바를 겸한다면 기르는 바를 겸하는지라. 척촌의 살을 사랑하지 아니함이 없다면 척촌의 살을 기르지 아니함이 없나니 써 그 선과 불선을 살피는 바는 어찌 다른 것이리오, 몸에 취할 따름이니라.

人於一身에 固當兼養이라 然이나 欲考其所養之善否者는 惟在反之於身하야 以審其輕重而已矣니라

사람이 한 몸에 진실로 마땅히 겸하여 기름이라. 그러나 그 기르는 바의 선하고 그러하지 않음을 살피고자 하는 것은 오직 몸에 돌이켜서 써 그 경중을 살핌에 있을 뿐이니라.

體ㅣ 有貴賤하며 有小大하니 無以小害大하며 無以賤害貴니 養其小者ㅣ 爲小人이오 養其大者ㅣ 爲大人이니라

몸에 귀천이 있으며 소대가 있으니, 소로써 대를 해침이 없으며 천으로써 귀를 해침이 없으니 그 소를 기르는 자는 소인이 되고, 그 대를 기르는 자는 대인이 되니라.

賤而小者는 口腹也ㅣ오 貴而大者는 心志也ㅣ라

천하고 작은 것은 입과 배요, 귀하고 큰 것은 마음과 뜻이라.

今有場師ㅣ 舍其梧檟하고 養其樲棘하면 則爲賤場師焉이니라

이제 장사가 그 오동나무와 개오동나무를 버리고 그 멧대추나무를 기른다면 곧 천한 장사가 되느니라.

場師 : 庭園의 일을 맡은 벼슬아치. 정원사. 원예사 檟 : 개오동나무 가 樲 : 멧대추나무 이 棘 : 가시나무 극, 멧대추나무 극,

場師는 治場圃者ㅣ라 梧는 桐也ㅣ오 檟는 梓也ㅣ니 皆美材也ㅣ라 樲棘은 小棗니 非美材也ㅣ라

장사는 장포를 다스림이라. 오는 오동나무요, 가는 가래나무니 다 아름다운 재목이라. 이극은 작은 대추나무니 아름다운 재목이 아니니라.

圃 : 남새밭 포 場圃 : 들. 밭. 곡류를 거둬들이는 들판 棗 : 대추나무 조

養其一指하고 而失其肩背而不知也ㅣ면 則爲狼疾人也ㅣ니라

그 한 손가락을 기르고 그 어깨와 등을 잃으면서도 아지 못하면 낭질한 사람이 되니라.

狼疾(낭질) : 뒤를 잘 돌아보는 이리도 병이 나면 뒤를 잘 돌아보지 못한다는 데서, 마음이 어지러워 사리를 분별할 줄 모르는 의미로 쓰인다.

狼은 善顧나 疾則不能故로 以爲失肩背之喩하니라

이리는 잘 돌아보나 병이 들면 능치 못한 고로 써 어깨와 등을 잃음의 비유로 삼았느니라.

飮食之人을 則人賤之矣나니 爲其養小以失大也ㅣ니라

먹고 마시는 사람을 사람들이 천하게 여기나니 그 작음을 길러서 써 큰 것을 잃음을 위함이니라.

飮食之人은 專養口腹者也ㅣ라

먹고 마시는 사람은 오로지 입과 배를 기르는 자라.

飮食之人이 無有失也ㅣ면 則口腹이 豈適爲尺寸之膚哉리오

먹고 마시는 사람이 잃음이 있지 않다면 입과 배가 어찌 다만 척촌의 살이 될 뿐이리오.

此는 言若使專養口服而能不失其大體면 則口腹之養은 軀命所關이니 不但爲尺寸之膚而已라 但養小之人은 無不失其大者라 故로 口腹이 雖所當養이나 而終不可以小害大 賤害貴也ㅣ니라

이것은 가령 오로지 입과 배를 기르면서 능히 그 큰 몸을 잃지 않는다면 구복의 기름은 몸과 생명이 관계하는 바이니 다만 척촌의 살을 될 뿐이 아니라. 다만 작은 것을 기르는 사람은 그 큰 것을 잃지 않음이 없음이라. 그러므로 구복이 비록 마땅히 기르는 바이나 마침내 가히 작은 것으로써 큰 것을 해치고 천함이 귀함을 해쳐서는 아니됨을 말씀하심이라.

軀 : 몸 구

<제15장>

公都子ㅣ 問曰鈞是人也ㅣ로대 或爲大人하며 或爲小人은 何也ㅣ잇고 孟子ㅣ 曰從其大體ㅣ 爲大人이오 從其小體ㅣ 爲小人이니라

공도자가 묻자와 가로대 똑같이 사람이로되 혹 대인이 되며 혹 소인이 됨은 어찌잇고? 맹자 가라사대 그 큰 몸을 따르는 이 대인이 되고 그 작은 몸을 따르는 이 소인이 되니라.

鈞 : 고를 균

鈞은 同也ㅣ라 從은 隨也ㅣ라 大體는 心也ㅣ오 小體는 耳目之類也ㅣ라

균은 같음이라. 종은 따름이라. 큰 몸은 마음이오, 작은 몸은 귀와 눈의 유이라.

曰鈞是人也ㅣ로대 或從其大體하며 或從其小體는 何也ㅣ잇고 曰耳目之官은 不思而蔽於物하나니 物이 交物則引之而已矣오 心之官則思ㅣ라 思則得之하고 不思則不得也ㅣ니 此ㅣ 天之所與我者ㅣ라 先立乎其大者ㅣ면 則其小者ㅣ 不能奪也ㅣ니 此ㅣ 爲大人而已矣니라

가로대 똑같이 사람이로대 혹 그 큰 몸을 따르며 혹 그 작은 몸을 따름은 어찌잇고? 가라사대 귀와 눈의 기능은 생각지 못하여 물건에 가리나니, 물건이 물건을 만나면 끌 따름이오, 마음의 기능은 생각이라.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아니하면 얻지 못하나니 이것이 하늘이 나에게 준 바이라. 먼저 그 큰 것을 세운다면 그 작은 것이 능히 빼앗지 못하나니 이것이 대인이 될 따름이니라.

官之爲言은 司也ㅣ니 耳司聽하고 目司視하여 各有所職이나 而不能思라 是以로 蔽於外物하나니 旣不能思而蔽於外物이면 則亦一物而已라 又以外物로 交於此物이면 其引之而去不難矣라 心則能思하야 而以思爲職하니 凡事物之來에 心得其職이면 則得其理而物不能蔽요 失其職이면 則不得其理而物來蔽之라 此三者는 皆天之所以與我者로대 而心爲大하니 若能有以立之면 則事無不思하야 而耳目之欲이 不能奪之矣니 此所以爲大人也ㅣ라 然이나 此天之此를 舊本에 多作比하고 而趙註에 亦以比方으로 釋之어늘 今本엔 旣多作此하고 而註亦作此하니 乃未詳孰是라 但作比字는 於義爲短故로 且從今本云이라 ○范浚心箴에 曰茫茫堪輿 俯仰無垠이라 人於其間에 眇然有身하니 是身之微ㅣ 太倉稊米로대 參爲三才는 曰惟心爾라 往古來今에 孰無此心이리오마는 心爲形役하야 乃獸乃禽이라 惟口耳目과 手足動靜이 投間抵隙하야 爲厥心病이라 一心之微를 衆欲攻之하니 其與存者ㅣ 嗚呼幾希로다 君子存誠하야 克念克敬하나니 天君泰然하야 百體從令하나니라

관이라는 말은 맡음이니 귀는 듣는 것을 맡고, 눈을 보는 것을 맡아서 각각 맡는 바가 있으나 능히 생각하지 못하니라. 이로써 외물에 가리나니 이미 생각할 수 없고 외물에 가려지면 또한 한 물건일 뿐이라. 또 외물로써 이 물건(耳目)을 사귀면 그 끌려서 가는 것이 어렵지 않음이라. 마음이라면 능히 생각하여 생각으로써 직분을 삼나니 무릇 사물이 옴에 마음이 그 직분을 얻으면 그 이치를 얻어서 물건이 능히 가리지 못하고, 그 직분을 잃으면 그 이치를 얻지 못하여 물건이 와서 가리니라. 이 세 가지(耳目心)는 다 하늘이 나에게 준 바이로되 마음이 큼이 되나니 만약에 능히 써 세움이 있으면 일이 생각하지 아니함이 없어서 이목의 욕심이 능히 빼앗지 못하니 이것이 써한 바 대인이 됨이라. 그러나 ‘此天’의 ‘此’를 구본에서는 대부분이 比라 짓고, 조주에서도 또한 比方(비교함)으로써 해석하거늘 금본에서는 이미 대부분 此로 짓고 주 또한 此로 지으니 이에 누가 옳은지 상세하지 못함이라. 다만 比자로 지음은 뜻에 부족한 고로 또한 금본이 이른대로 따르니라. ○범준(南宋人)의 심잠에 가로대 “망망한 감여(天地)는 굽어보고 우러러보아도 끝이 없음이라. 사람이 그 사이에 자그마하게 몸을 두었으니 이 몸의 미미함이 큰 창고의 돌피로되, 참여하여 삼재(天地人)가 됨은 가로대 오직 마음이라(마음 때문이라). 예나 지금이나 누가 이 마음이 없으리오마는 마음이 형체에 부림을 당하여 마침내 금수가 되니라. 오직 입과 귀와 눈과 수족의 동정이 (마음의) 빈틈사이로 파고들어 그 마음병이 되니라. 한 마음의 미미함을 여러 욕심이 공격하니 그 더불어 보존된 것이 오호라, 거의 드물도다. 군자가 성실함을 보존하여 능히 생각하고 능히 공경하나니, 천군(心)이 태연하여 백체(온갖 몸)가 명을 따르나니라.”

浚 : 깊을 준 堪輿(감여) : 하늘과 땅 垠 : 땅끝 은 稊 : 돌피 제 稊米 : 돌피 抵 : 거스를 저, 막을 저 眇 : 애꾸눈 묘, 작을 묘

[참고] 天君과 心
마음을 천군이라 표현한 것은 도가적 색채가 짙기도 하나, 예로부터 동양의학에서는 마음을 담는 그릇인 심장은 오장육부 가운데서도 으뜸가는 ‘군주의 기관’이라고 하였다.『黃帝內經』의 『靈樞(영추)』 邪客篇(사객편)을 보면 “심장은 오장육부를 크게 주장하는 곳이며, 정신이 거처하는 집이다”라고 하고, 『素問(소문)』靈蘭秘典論에는 “심장은 君主之官”이라 하고 “ 심장이 밝으면 모든 것이 평안하나 심장이 밝지 못하면 十二官이 모두 위태롭다”하고 六節藏象論에는 “심장은 생존하는 근본이고, 神이 변하는 곳”이라 하였다. 인체를 우주의 축소판이라고 보았던 옛 선조들은 몸 또한 우주와 천지자연의 원리인 음양과 오행에 대비시켜 보았기에 군주지관인 心을 天君이라 즐겨 표현하였다.

<제16장>

孟子ㅣ 曰有天爵者하며 有人爵者하니 仁義忠信樂善不倦은 此ㅣ 天爵也ㅣ오 公卿大夫는 此ㅣ 人爵也ㅣ니라

맹자 가라사대 천작(하늘 벼슬)이 있으며 인작(사람 벼슬)이 있나니 인의 충신과 선을 즐거워함과 게을리하지 않음은 이 하늘 벼슬이오, 공경대부는 이 사람 벼슬이니라.

天爵者는 德義可尊이니 自然之貴也ㅣ라

천작이란 것은 덕의가 가히 높으니 자연의 귀함이라.

古之人은 修其天爵而人爵從之러니라

옛 사람은 그 천작을 닦음에 인작이 따르더니라.

修其天爵은 以爲吾分之所當然者耳요 人爵從之는 蓋不待求之而自至也ㅣ라

그 천작을 닦음은 써 내 분수의 당연한 바를 할 뿐이오, 인작이 따르는 것은 대개 기다려 구하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이르니라.

今之人은 修其天爵하야 以要人爵하고 旣得人爵而棄其天爵하나니 則惑之甚者也ㅣ라 終亦必亡而已矣니라

지금 사람들은 그 천작을 닦아서 써 인작을 요구하고 이미 인작을 얻으면 그 천작을 버리나니 곧 미혹함이 심한 것이라. 마침내 또한 (인작을) 반드시 잃을 뿐이니라.

要는 求也ㅣ라 修天爵하야 以要人爵하니 其心이 固已惑矣요 得人爵而棄天爵이면 則其惑이 又甚焉이니 終必並其所得之人爵而亡之也ㅣ라

요는 구함이라. 천작을 닦아서 써 인작을 구하니 그 마음이 진실로 이미 미혹됨이요, 인작을 얻고서 천작을 버리면 그 미혹됨이 더욱 심하니 마침내 반드시 그 얻은 바 인작을 아울러 잃을 것이라.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家苑 이윤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