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學錯簡攷正

[스크랩] 영조대왕어제서(英祖大王 御製序)

ria530 2012. 6. 15. 10:44
英祖大王 御製序


[아래 글은 『대학』에 붙인 조선시대 영조임금의 글이다. 『대학』이 어떤 책인지를 영조 임금의 글에 의거해서 살필 수 있고 아울러 영조임금이 얼마나 글을 잘 했는지 알 수 있는 기회이기에 소개한다. 대산 김석진 선생의 『대산대학강의』(한길사, 2000년)에서 발췌했다. - 家苑 註]


夫三代盛時에 設庠序學校而敎人하니 此正禮記所云家有塾하며 黨有庠하며 州有序하며 國有學者也ㅣ라 故로 人生八歲어든 皆入小學하고 於大學則天子之元子衆子로 以至公卿大夫元士之適子와 與凡民之俊秀者히 及其成童하야 皆入焉하니 可不重歟아
무릇 삼대(하 ․ 은 ․ 주 시대를 말하는데, 당시는 정치와 교육이 잘 이루어지는 때여서 政敎가 완비되었다고 한다)가 성할 때에 상(庠)과 서(序)와 학(學)을 베풀어서 사람을 가르치니, 이는 바로 『예기(禮記)』에 이른바 집(家)에는 서당(塾)이 있으며, 마을(黨 : 500인)에는 상(庠)이라는 학교가 있으며, 고을(州 : 2500인)에는 서(序)라는 학교가 있으며, 나라에는 학(學 : 태학)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나서 여덟 살이 되면 모두 소학에 들어가고 태학은 천자의 맏아들과 여러 아들로부터 공경대부와 원사(元士 : 관직명. 周代의 上士 中士 下士를 통칭하여 이름)의 맏아들과 또 보통 백성 중에서 특별히 재주 있는 사람과 그 성동(成童 : 다 자란 아이)에 이르기까지 다 들어가니 가히 중대하지 않은가.

歟 : 어조사 여

大學之書에 有三綱焉하니 曰明明德 曰新民 曰止於至善也ㅣ오 有八條焉하니 曰格物 曰致知 曰誠意 曰正心 曰修身 曰齊家 曰治國 曰平天下也ㅣ라 次序井井하고 條理方方하야 其學問之道는 紫陽朱夫子序文에 詳備하니 以予蔑學으로 何敢加一辭리오마는 然이나 是書ㅣ 與中庸으로 相爲表裏하야 次序條理ㅣ 若是暸然而學者ㅣ 其猶書自書我自我면 可勝歎哉아
대학의 글에 세 가지 강령이 있으니 가로되 밝은 덕을 밝히는 것과 가로되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과 가로되 지극히 선한 데 그치는 것이요, 여덟 가지 조목이 있으니 가로되 사물에 이르는 것과 가로되 앎을 이루는 것과 가로되 뜻을 성실히 하는 것과 가로되 마음을 바로하는 것과 가로되 몸을 닦는 것과 가로되 집을 가지런히 하는 것과 가로되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가로되 천하를 평치하는 것이다. 차서가 정연(井然)하고 조리가 반듯하여 그 학문의 도는 자양 땅에 사는 주부자(주희)의 서문에 자세히 갖추었으니 내가 배움이 없으면서 어찌 감히 한 말씀을 덧붙이리요마는, 그러나 이 글이 『중용』과 더불어 서로 표리가 되어서 차서와 조리가 이같이 밝은데 만약 배우는 자가 그 오히려 글은 글대로이고 나는 나대로이면 가히 어기어 탄식하랴(가히 탄식을 이겨낼 수 있으랴)!

蔑 : 없을 멸 暸 : 밝을 료

噫라 明德이 在何ㅣ오 卽在我一心이며 明明德之工이 在何ㅣ오 亦在我一心이니 若能實下工夫면 正若顔子所云舜何人이며 予何人者也ㅣ라
아! 밝은 덕이 어디에 있는가? 곧 내 한마음에 있으며, 밝은 덕을 밝히는 공부가 어디 있는가? 또한 내 한마음 속에 있으니 만약 능히 실지로 공부를 해나갈 것 같으면 정히 안자가 이르신 바와 같이 “순임금은 어떤 사람이며 나는 어떤 사람인가”와 같을 것이다.

噫 : 탄식할 희

而三代以後로 師道在下하고 學校不興하야 莫能行灑掃之敎故로 筋骸已强하고 利欲이 交中하야 在我之明德을 不能自明하니 旣不能格致요 又何以誠意며 旣不能正心이오 又何以修身이며 不能格致요 不能誠正이면 家齊國治를 其何望哉리오
삼대 이후로 스승의 도가 아래에 있고 학교가 일어나지 못하여 능히 쇄소(물 뿌리고 비로 쓺)의 가르침을 행하지 못한 까닭에 힘줄과 뼈가 이미 굳어지고 이로움과 욕심이 마음 속에 사귀어서 내게 있는 밝은 덕을 능히 스스로 밝히지 못하니, 이미 능히 격물치지(사물에 이르러서 그 속의 모든 이치를 알아냄)를 하지 못하고서 또 어찌 써 뜻을 성실히 할 수 있으며, 이미 능히 마음을 바루지 못하고 또 어찌 써 몸을 닦으며, 능히 격물치지도 못하고 능히 성의정심도 못하면서 집을 가지런히 하고 나라 다스림을 그 어찌 바라리요.

灑 : 물 뿌릴 쇄 掃 : 쓸 소 筋 : 힘줄 근 骸 : 뼈 해

[강의]
하 ․ 은 ․ 주 삼대 이후로는 위에 높이 있어야 할 스승의 도가 아래에 떨어져 버렸으므로 학교교육이 아주 부진했다. 예전에는 여덟 살이 되면 『소학』을 공부하여 맨 처음에 쓸고 물 뿌리는 것부터 가르쳤는데 삼대 이후엔 어린 아이들에게 이것을 가르치지 않았다. 물 뿌리고 쓰는 게 하찮은 것이지만 거기서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해야 어린 아이가 크면서 사람다워지고 어른을 알고 행동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당초에 물 뿌리고 쓰는 가르침을 하지 못했으니, 그 어린 아이가 커가면서 힘줄과 뼈가 이미 굳어지고 억세졌다. 그러다 보니 利欲이 마음 속에 잔뜩 사귀어서 내게 있는 밝은 덕이 본래 하늘에서 타고난 것인데도 자신의 밝은 덕이 어디 있는 줄 모르고 잊어버려 능히 스스로 밝히지를 못하게 된다. 이렇게 밝은 덕을 밝히지 못하는데 팔조목의 이른바 격물 ․ 치지 ․ 성의 ․ 정심 ․ 수신 ․ 제가 ․ 치국 ․ 평천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겠는가.

予於十九歲에 始讀大學하고 二十九歲에 入學也하야 又講此書而自顧其行컨대 其亦書自我自라 心常恧焉이러니 六十三에 視學明倫堂也할새 先讀序文하고 仍令侍講官及儒生으로 次第以講하니 其日은 則甲子也ㅣ라
與朱夫子作序文之日로 偶然相符하니 日雖相符나 功效愈邈이라
내가 열아홉 살에 비로소 『대학』을 읽고 스물아홉 살에 성균관에 들어가서 또 이 글을 강(講)하고 스스로 그 행실을 돌아보건대 그 또한 글은 글이고 나는 나였다. 마음에 항상 부끄럽더니 예순세 살에 명륜당에서 볼 적에 먼저 서문을 읽고, 인하여 시강관과 유생으로 하여금 차례대로 강하게 하니 그날은 곧 갑자일이었다. 주부자가 서문 지은 날로 더불어 우연히 서로 일진이 갑자(甲子)로 맞아 떨어졌으나 공과 효력은 더욱더 멀었다.

恧 : 부끄러울 뉵 仍 : 인할 잉 愈 : 나을 유, 더욱 유 邈 : 멀 막

又切靦然이러니 望七之年에 因追慕하야 行三講而欲取反約하야 以中庸으로 循環以講하고 因經筵官之請하야 繼講此書하니 自此以後로 庸學을 將輪回以講이라 少時講此에 未見其效어든 暮年重講에 其何望效리오
더욱 간절히 부끄럽더니 칠십을 바라보는 나이(69세)에 인하여 추모해서 세 번 강함을 행하고 도리어 간략함을 취하고자 해서 『중용』으로 순환하면서 써 강하고 경연관의 청함을 인하여 이어서 이 글을, 이로부터 써 뒤로 『중용』과 『대학』을 장차 돌려가며 강하였다. 젊을 때에 이 『대학』을 강했는데도 그 효력을 보지 못하였는데, 늙은 나이에 거듭 강함에 그 어찌 효력을 바라리요.

靦: 부끄러울 전 筵: 자리 연

尤爲慨然者는 紫陽序文에 豈不云乎아 一有能盡其性者면 天必命之하사 以爲億兆之君師라 하시니 以予晩學凉德으로 旣無誠正之工하고 亦無修齊之效하야 而白首衰耗에 三講此書하니 豈不自恧乎아
더욱 슬퍼지는 것은 자양 땅 주자 서문에 어찌 이르지 아니했는가! “하나라도 능히 그 성품을 다하는 자가 있으면 하늘이 반드시 명하사 억조창생의 인군과 스승을 삼는다” 하시니 나의 늦은 배움과 박한 덕으로써 이미 성의정심의 공부도 없고 또한 수신제가의 효력도 없어서 흰머리 쇠한 터럭에 세 번 이 글을 강하니 어찌 스스로 부끄럽지 아니하랴!

尤 : 더욱 우 慨 : 슬플 개 耗 : 쇠할 모

然이나 孔聖이 云 溫故而知新이라 하시니 若能因此而知新이면 於予에 豈不大有益也哉리오 仍作序文하야 自勉靈臺하노라
歲戊寅十月甲寅에 序하노라
그러나 공자 성인이 이르시기를 옛 것을 익혀서 새로운 것을 안다고 하시니, 만약 이로 인해서 새로운 걸 알게 되면 나에게 어찌 크게 유익함이 있지 아니하리요! 그러므로 인하여 이 서문을 지어서 스스로 영대를 밝히려 하노라.

歲戊寅十月甲寅에 序하노라
해는 무인년이요 시월 갑인일에 이 글을 서하노라.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가원이윤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