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스크랩] 제3권 商書 제3편 湯誥(탕고) 6장~9장 해설

ria530 2012. 6. 18. 10:08

<湯誥6章>
俾予一人으로 輯寧爾邦家하시니 玆朕이 未知獲戾于上下하야 慄慄危懼하야 若將隕于深淵하노라
나 한 사람으로 하여금 너희 나라를 화목하고 편안케 하시니 이에 짐이 죄를 상하에서 얻을 줄을 알지 못하여 벌벌 떨며 위태롭고 두려워 장차 깊은 연못에 떨어질 듯하노라.

輯은 和요 戾는 罪요 隕은 墜也라 天使我로 輯寧爾邦家하시니 其付予之重을 恐不足以當之요 未知己得罪於天地與否하여 驚恐憂畏하여 若將墜於深淵하니 蓋責逾重則憂逾大也라

집(輯)은 화목함이오, 려(戾)는 죄요, 운(隕)은 떨어짐이라. 하늘이 나로 하여금 너희 나라를 화목하게 하고 편안케 하시니 그 나에게 부여하신 중함을 족히 당해내지 못할까를 두려워하고, 내 몸이 하늘과 땅에 죄를 얻을지의 여부를 알지 못하여 놀라고 두려워하며 근심하고 두려워하여 장차 깊은 연못에 떨어질 것 같으니 대개 책임이 더욱 무거워지면 근심이 더욱 커짐이라.

<湯誥7章>
凡我造邦은 無從匪彛하며 無卽慆淫하야 各守爾典하야 以承天休하라
무릇 우리가 만든 나라는 떳떳함이 아닌 것을 따르지 말며, 교만함과 음탕함에 나아가지 말아 각각 네 법을 지켜서 하늘의 아름다움을 받들라.

夏命已黜에 湯命惟新하니 侯邦雖舊나 悉與更始라 故로 曰造邦이라 彛는 法이오 卽은 就요 慆는 慢也라 匪彛는 指法度言이오 慆淫은 指逸樂言이라 典은 常也니 各守其典常之道하여 以承天之休命也라

하나라의 명이 이미 축출됨에 탕의 명이 오직 새로우니, 제후의 나라가 비록 옛 것이나 다 더불어 다시 시작하므로 조방(造邦)이라 하니라. 이(彛)는 법이고, 즉(卽)은 나아감이고, 도(慆)는 오만함이라. 비이(匪彛)는 법도를 가리켜 말한 것이고, 도음(慆淫)은 안일하게 즐김을 가리켜 말함이라. 전(典)은 떳떳함이니, 각각 그 법과 떳떳함의 도를 지켜서 하늘의 아름다운 명을 받드는 것이라.

<湯誥8章>
爾有善이면 朕弗敢蔽오 罪當朕躬이면 弗敢自赦니 惟簡이 在上帝之心하니라 其爾萬方의 有罪는 在予一人이오 予一人의 有罪는 無以爾萬方이니라
너희가 선을 두면 짐이 감히 가리지 못할 것이오, 죄가 짐의 몸에 해당하면 감히 스스로 용서하지 못하니 잘 살핌이 상제의 마음에 있느니라. 그 너희 만방의 죄 있음은 나 한 사람에게 있고, 나 한 사람의 죄 있음은 너희 만방 때문이 아니니라.

簡은 閱也라 人有善이면 不敢以不達이오 己有罪면 不敢以自恕하니 簡閱은 一聽於天이라 然이나 天以天下로 付之我하니 則民之有罪는 實君所爲요 君之有罪는 非民所致라 非特聖人이 厚於責己而薄於責人이나 是乃理之所在요 君道當然也니라

간(簡)은 열람함이라. 사람들이 선을 두면 감히 통달하지 아니하지 못하고, 몸에 죄를 두면 감히 스스로 용서하지 못하니, 잘 살핀다는 것은 한결같이 하늘(의 뜻)을 들음이라. 그러나 하늘이 천하로써 나에게 주시니 백성의 죄 있음은 실로 임금이 하는 바이고, 임금의 죄 있음은 백성들이 이룬 바가 아니라, 다만 성인이 자기에게 책임을 두텁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 책임 지움을 가볍게 한 것이니, 이는 여기에 이치가 있는 바이고, 군도의 당연함이라.

<湯誥9章>
嗚呼라 尙克時忱이라사 乃亦有終하리라
아아, 거의 능히 이에 미더워져 이에 또한 마침이 있으리라.

忱은 信也라 歎息言庶幾能於是而忱信焉이라야 乃亦有終也리라 吳氏曰 此는 兼人己而言이라

침(忱)은 미더움이라. 탄식하여 말하기를 거의 능히 이에 정성되고 미더워져야 이에 또한 마침이 있으리라. 오씨 가로대 이는 다른 사람과 자신을 아울러 말함이라.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法故創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