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361-390)

ria530 2012. 12. 4. 15:13

[361] 屠 門 大 嚼 (도문대작)한자잡을 도 / 문 문 / 큰 대 / 씹을 작의미고기 파는 집 앞에서 입을 크게 벌리고 씹는 흉내를 낸다는 뜻으로, 좋아하는 것을 실현하지 못하더라도 상상만 해도 유쾌하다는 의미.관련어】▶ 畵中之餠 (화중지병): 그림의 떡. 실용되지 못함.字意() 두 짝의 미닫이문을 본뜬 글자.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는다는 의미. ()은 발음.

 

 

362] 道 不 拾 遺 (도불습유)한자길 도 / 아니 불 / 주을 습 / 버릴 유의미길에 떨어진 것을 주워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백성의 풍속이 돈후(敦厚)함을 의미하거나,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않는다는 뜻으로도 사용됨.출전】▶ 子産爲政, 國無盜賊 道不拾遺 (자산위정,국무도적,도불습유) <韓非子>.字意() 떨어진 것을 줍는다는 의미. ()으로 발음하면 '()'의 의미. () 후세에 전해져 '끼치다'는 의미에서 '잃다','버리다'는 의미 생성. '()'과 구별에 유의

 

[363] 屠 所 之 羊 (도소지양)한자잡을 도 / 바 소 / 어조사 지 / 양 양의미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양이라는 뜻으로, 죽음이 목전에 닥친 사람이나, 덧없는 인생을 비유하는 말.字意() 짐승을 잡아서 죽이는 사람인 '백장'의 의미에서 '잡다', 무찌르다'는 의미 파생.()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하는 바'의 뜻으로 쓰이거나 '장소'의 의미로 사용됨. () 양의 둥근 뿔과 머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도문대작, 도불습유, 도소지양 - 교본파일(12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64] 途 中 下 車 (도중하차)한자길 조 / 가운데 중 / 아래 하 / 차 차의미길을 가고 있는 중에 차에서 내린다는 뜻으로, 일이 진행되는 과정에 중도에서 다른 일로 인해 포기하는 결과를 비유하는 말. [ = 中途下車]유의어】▶ 中途暴棄 (중도포기)字意() 걸어다니는 길과 도로의 의미. 보통 '()'보다는 작은 길의 의미로 사용함. ()와 통용되어 사용함.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마차의 수레를 본뜬 글자로, 현재는 바퀴가 하나로 생략된 상태임.

 

[365] 道 聽 塗 說 (도청도설)한자길 도 / 들을 청 / 길 도 / 말씀 설의미길에서 얻어듣고 이내 길에서 옮겨 말한다는 뜻으로, 천박한 사람은 좋은 말을 듣고도 이를 깊이 간직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관련어】▶ 道廳之徒 (도청지도): 道聽塗說하는 무리. 천박한 사람.字意() ()은 들은 것을 표현한다는 의미인데, 은 단순히 듣는 것만을 의미함. ()이나 ()의 첨가는 발음과 의미를 위해 첨가함. () 본래 진흙의 의미인데, 후에 길의 의미인 ''와 통용됨. () 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 / ()기쁘다 / ()달래다.

 

[366] 道 側 奇 寶 (도측기보)한자길 도 / 곁 측 / 기이할 기 / 보배 보의미길가에 떨어져 있는 진귀한 보화라는 뜻으로, 민간에 파묻혀 있는 현사(賢士)를 비유하는 말.참고】▶ 隱士 (은사): 세상에서 숨어사는 사람.字意()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을 나타냄. '()'은 발음 표시. () 본래 사람이 말 위에 올라타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특별한 상황을 전하는 것으로 인해 '기이하다'는 의미 생성. () 집안에 옥이나 재화가 가득 차 있는 모양으로 '보물', '보배'의 의미 생성.도중하차, 도청도설, 도측기보 - 교본파일(12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67] 桃 園 結 義 (도원결의)한자복숭아 도 / 동산 원 / 맺을 결 / 옳을 의의미복숭아 동산에서 의리를 맺다는 뜻으로,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 세 사람이 복숭아밭에서 형제의 의를 맺고 천하를 위해 힘쓰기를 맹세한 일.三國志演義유의어】▶ 結義兄弟 (결의형제) / 義兄弟 (의형제)字意() 복숭아나무의 의미. () 동산이 밭의 의미에서 별장의 의미까지 확대됨. () 실로 묶는다는 의미에서 '묶다'는 의미 생성. 후에 묶어서 끝맺었다는 의미로 '마치다','맺다'는 의미 파생. '()'은 발음부호.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동물의 결정체를 자신에게 비유해 바르고 깨끗한 '정의','옳다' 등의 의미 생성.

 

[368] 桃 源 境 (도원경)한자복숭아 도 / 근원 원 / 지경 경의미무릉도원의 지경이라는 뜻으로, 별천지(別天地)를 비유하는 도가사상의 이상향의 세계로 설명함.고사()나라 무릉이라 곳의 한 어부가 복숭아꽃이 떠내려오는 강을 따라 올라갔더니 평화로운 마을이 나타나 진()의 난리를 피해 온 사람들의 마을이었고, 세상과 단절된 별천지와 같은 곳이었다는 이야기. <桃花源記 - 도연명>유의어】▶ 武陵桃源 (무릉도원) / 別天地 (별천지)]字意() 땅 속에서 샘이 흐르는 근원의 의미. 후에 ()과 통용됨. () 땅의 경계의 의미에서 '장소'의 의미로 확대됨. '()'은 발음.

 

[369] 塗 中 曳 尾 (도중예미)한자길 도 / 가운데 중 / 끌 예 / 꼬리 미의미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닌다는 뜻으로, 벼슬하여 속박 받기보다는 필부로 편안하게 살기를 원한다는 의미.고사()나라 왕의 재상 제의에 대해 장자가 '거북은 죽어서 점치는데 쓰여 귀하게 되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에 끌고 다니기를 더 좋아한다'고 거절한 이야기.<莊子>동의어】▶ 曳尾塗中 (예미도중)字意() 본래 진흙의 의미인데, 후에 길의 의미인 ''와 통용됨. () 손으로 물건을 끌다는 의미에서 '끌다'는 의미 생성. () 사람이 사냥을 할 때 짐승처럼 분장을 하고 있는 모양으로, 사람[]이 꼬리털을 붙이고 있는 모양임.도원결의, 도원경, 도중예미 - 교본파일(12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0] 盜 憎 主 人 (도증주인)한자도둑 도 / 미워할 증 / 주인 주 / 사람 인의미도둑이 주인을 미워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다만 자기 형편에 맞지 않으면 이것을 싫어한다는 의미.관련어】▶ 賊反荷杖 (적반하장)字意()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놓고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에서 '훔치다'는 의미인 '도둑'의 의미 생성. () 마음에서 꺼리고 미워한다는 의미. ()은 발음. () 촛대에서 촛불이 타고 있는 모양에서 집 안의 중심에 놓이는 것으로 인해 '주인', '중심'의 의미로 사용됨.

 

[371] 塗 炭 之 苦 (도탄지고)한자진흙 도 / 숯 탄 / 어조사 지 / 쓸 고의미진흙탕과 숯불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탐관오리의 학정(虐政)에 시달려 고통스러운 생활을 한다는 의미.유의어1. 苛斂誅求 (가렴주구): 탐관오리(貪官汚吏)의 행태 2. 酒池肉林 (주지육림): 퇴폐와 향락에 빠진 위정자의 행태.반의어1. 堯舜時代 (요순시대)2. 太平聖代 (태평성대) 字意() 산에서 캐낸 석탄 등을 불에 구워 숯을 만들었다는 의미. ()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372] 倒 行 逆 施 (도행역시)한자넘어질 도 / 갈 행 / 거스를 역 / 베풀 시의미거꾸로 바꾸어서 시행한다는 뜻으로, 상도(常道)에 어그러진 행동을 비유하는 말.字意() 사람이 넘어졌다는 의미에서 '거꾸로 하다'는 의미. ()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상반되게 여겨진 상태를 의미하는 '거스르다'는 의미. () 일을 벌이거나 시행한다는 의미에서 '베풀다'는 뜻 생성.도증주인, 도탄지고, 도행역시 - 교본파일(12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 獨 見 之 明 (독견지명)한자홀로 독 / 볼 견 / 어조사 지 / 밝을 명의미홀로 보는 총명함이라는 뜻으로, 사른 사람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 다른 사람이 깨닫지 못하는 것을 깨닫는 총명(聰明)함을 의미함.유의어1. 先見之明 (선견지명)2. 獨見之慮 (독견지려)字意() 가상의 전설적 동물을 표현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홀로'의 의미로 사용됨. () 사람의 눈을 강조해 눈으로 '보다'는 의미 생성. () 해와 달의 '밝다'는 의미로 보나, 혹 창문에 달빛이 비추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374] 獨 不 將 軍 (독불장군)한자홀로 독 / 아니 불 / 장수 장 / 군사 군의미홀로 장군이 될 수 없다는 뜻으로, [1] 다른 사람과 협조해야 된다는 의미. [2] 한 무리 중에 들지 못하고 사람들에게 따돌림을 받은 외로운 사람의 의미. [3] 무슨 일이나 혼자 처리하는 사람의 의미.관련어】▶ 眼下無人 (안하무인) 무례한 사람字意() 나무 위에 고기를 놓고 요리하려는 의미에서 '앞으로 일어날 상황''장차'의 의미 생성. 후에 '장수'의 의미 파생. () 수레[전차]가 건축물 안에 있는 모양에서 군대가 주둔한 상태를 나나내 '군대'의 의미를 생성함.

 

[375] 讀 書 亡 羊 (독서망양)한자읽을 독 / 책 서 / 잃을 망 / 양 양의미책을 읽다가 기르던 양을 잃는다는 뜻으로, '마음을 딴 곳에 쓰느라고 본디의 길을 잃는다'는 의미.동의어】▶ 讀書之羊 (독서지양)字意() 소리내어 말로 글을 읽는 의미나, 설명하다는 의미 생성, ()발음은 '구두''이두'의 의미. ()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에서 '쓰다''' 의미 생성. ()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 등의 의미 생성. () 양의 둥근 뿔과 머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독견지명, 독불장군, 독서망양 - 교본파일(12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6] 讀 書 三 昧 (독서삼매)한자읽을 독 / 책 서 / 석 삼 / 새벽 매의미독서에 마음을 집중하는 경지라는 뜻으로, 오직 책 읽는 것에 골몰하는 일을 의미함.참고】▶ 三昧 (삼매): 불교용어로,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경지[= 三昧境(삼매경)].관련어1. 讀書三到 (독서삼도):구도(口到), 안도(眼到), 심도(心到)2. 讀書三餘 (독서삼여):독서의 호시기 [겨울, , 비올때]3. 讀書百遍義自見 (독서백편의자현)字意() 동이 틀 무렵인 '새벽'의 의미에서, 어둡다, 어리석다 등의 의미 파생.

 

[377] 獨 善 其 身 (독선기신)한자홀로 독 / 착할 선 / 그 기 / 몸 신의미홀로 자신을 좋게 한다는 듯으로, 혼자서 제 몸만 온전하게 잘하여간다는 의미. [준말] 獨善(독선) 자기만 옳다고 생각하는 의미와는 다름.字意()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의미하는 '착하다', ''의 의미가 생성. () 본래 대나무 등으로 만든 곡식을 까부는 데 쓰는 ''인데, 후에 ''라는 대명사로 전이됨. ''''을 더해 만듦[()].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378] 獨 守 空 房 (독수공방)한자홀로 독 / 지킬 수 / 빌 공 / 방 방의미홀로 빈방을 지킨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별거한다는 의미인데, 주로 여자가 남편 없이 지냄을 이르는 말.동의어】▶ 獨宿空房 (독숙공방)字意() [관청의 의미]에서 법도[]를 적용한다 뜻에서 파생하여 '지키다'는 의미 생성. () 구멍[()]이 비어있다는 의미에서 '비다', '헛되다' 등의 의미 생성. () 정당(正堂)의 뒤쪽에 있는 거처하는 방의 의미. ()은 발음독서삼매, 독선기신, 독수공방 - 교본파일(12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9] 獨 也 靑 靑 (독야청청)한자홀로 독 / 어조사 야 / 푸를 청 / 푸를 청의미홀로 푸르다는 뜻으로, 홀로 높은 지조와 절개를 드러내고 있다는 의미.관련시조-[성삼문]이 몸이 죽어 가서 무어시 될고 하니, 봉래산(蓬萊山) 제일봉(第一峯)에 낙락장송(落落長松)되야 이셔백설(白雪)이 만건곤(滿乾坤)할 제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字意() 가상의 전설적 동물을 표현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홀로'의 의미로 사용됨. () 본래 여자의 성기를 본뜬 글자인데, 후에 그 의미는 사라지고, 어감이 나온다는 의미에서 '어조사'로 사용됨. () '+'이나 '+'의 결합으로 보는데, 만물이 생성되는 색깔로 '푸르다'는 의미로 보거나, '붉다'의 역설적 표현인 '푸르다'로 보기도 함.

 

[380] 同 價 紅 裳 (동가홍상)한자같을 동 / 값 가 / 붉을 홍 / 치마 상의미같은 값이면 붉은 치마라는 뜻으로, 우리말 속담인 '이왕이면 다홍치마'의 의미로, 이왕이면 좀 낫고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잡는다는 의미. 주의구별어】▶ 綠衣紅裳 (녹의홍상): 푸른 저고리에 붉은 치마. 미인字意() 오른쪽 '()'가 발음인 동시에 의미까지 포함. ()와 동자(同字). () 붉은 빛을 내는 색의 의미에서 '붉다'의 의미 생성. '()'은 발음 역할. () 하의(下衣)인 치마의 의미. ()은 발음 역할.

 

[381] 同 苦 同 樂 (동고동락)한자같을 동 / 쓸 고 / 같을 동 / 즐거울 락의미고통과 즐거움을 같이한다는 뜻으로, 서로 함께 고통과 즐거움을 나누면서 생활한다는 의미.字意() '()'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의미에서 '한가지', '같다' 등의 의미 파생. ()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는 발음. ()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좋아한다[]'는 의미 파생.독야청청, 동가홍상, 동고동락 - 교본파일(12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82] 同 工 異 曲 (동공이곡)한자같을 동 / 장인 공 / 다를 이 / 굽을 곡의미기술은 같으나 곡이 다르다는 뜻으로, [1]음악의 재능은 같으나 그 표현방식이 다르다. [2]시문(詩文) 등의 주는 같으나 그 취지가 다르다. [3]엇비슷함. 거의 같다.유의어】▶ 大同小異 (대동소이): 비슷함字意() 같은 영역 안에서 동일한 구성원의 의미를 지녀 '같다'는 의미 도출. () 공구와 같은 도구의 모양에서 '장인'의 의미 생성. () 물건을 주려고 두 손으로 나눈 상태를 표현해 '다르다'는 의미 도출. () 곡선을 그리는 자의 모양. 후에 굽은 성질로 인해 노래의 의미로도 사용됨

 

[383] 東 塗 西 抹 (동도서말)한자동녘 동 / 칠할 도 / 서녘 서 / 바를 말의미여기저기 칠하고 바른다는 뜻으로, 문필(文筆)에 종사하는 사람이 자신을 낮추어 이르는 말의 의미.字意() 해가 나무의 중간쯤 올라간 상태로, 해가 떠오르는 방향인 '동쪽'의 의미 생성. () 본래 진흙의 의미인데, 후에 길의 의미인 ''와 통용됨. 西() 본래 새가 보금자리에 들어온다는 의미에서 저녁 무렵의 해가 지는 방향인 '저쪽'을 의미함. () 손으로 문지르거나 칠한다는 의미로 '바르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384] 棟 梁 之 材 (동량지재)한자용마루 동 / 대들보 량 / 어조사 지 / 재주 재의미마룻대와 들보의 재목이라는 뜻으로, 한 나라의 기둥이 될만한 훌륭한 인재의 의미.유의어】▶ 干城之材 (간성지재): 나라를 지킬만한 인재.字意() 마룻대나 용마루의 의미에서 집이나 건축물을 세는 단위나 건물 자체를 의미하기도 함. () 집 안의 대들보의 의미에서 '들보'의 뜻 생성. 후에 을 다시 더해 '()'을 다시 만들기도 함. () 재목의 의미에서 재주의 의미까지 확대됨.동공이곡, 동도서말, 동량지재 - 교본파일(1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85] 同 文 同 軌 (동문동궤)한자같을 동 / 글월 문 / 같을 동 / 궤도 궤의미각국(各國)의 문자가 같고 수레를 만드는 법이 같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되어 한 임금을 따른다는 의미.출전】▶ 今天下 車同軌, 書同文, 行同倫.(금천하 거동궤, 서동문, 행동륜.) <中庸>字意() '()'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의미에서 '한가지', '같다' 등의 의미 파생. ()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 '채색' 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의 의미로 변천. () 수레바퀴의 지나간 자국으로 인해 '', '궤도' 등의 의미가 생성되고 후에 '법도', '규칙' 등으로 확대됨.

[386] 東 問 西 答 (동문서답)한자동녘 동 / 물을 문 / 서녘 서 / 답할 답의미동을 묻는데 서를 대답한다는 뜻으로, 물음에 대하여 엉뚱한 대답을 한다는 의미.동의어】▶ 問東答西(문동답서)字意() 입으로 상대에게 묻는다는 의미에서 '묻다' 생성. ''은 발음 역할. () 이 음식을 답는 그릇의 개념에서 '갚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은 발음 요소로 작용함.

 

 

[387] 同 文 受 學 (동문수학)한자같을 동 / 글월 문 / 받을 수 / 배울 학의미한 스승 밑에서 같이 학문을 닦고 배운다는 의미. 동의어1. 同文修學 (동문수학)2. 同門同學 (동문동학)字意() 손에 물건을 주고받는 모양에서 주다와 받다를 다 사용하다가 후에 ''를 더해 '주다'는 별도로 ()를 만듦. ()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의 '배우다'는 뜻 생성.동문동궤, 동문서답, 동문수학 - 교본파일(12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88] 洞 房 華 燭 (동방화촉)한자마을 동 / 방 방 / 꽃 화 / 촛불 촉의미부녀자의 방에 불빛이 밝다는 뜻으로, 결혼식의 밤이나 혼인의 의미로 사용됨.참고】▶ 洞房 (동방): 1.깊은 밤, 2.부녀자의 방, 3.신혼의 방.字意() 물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의 의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동네, 마을이나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됨. ()발음은 '통하다','꿰뚫다'는 의미. () 정당(正堂)의 뒤쪽에 있는 거처하는 방의 의미. ()은 발음. () 나무에 달린 가지, 잎 등을 상세하게 표현해서 화려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전됨.

 

[389] 同 病 相 憐 (동병상련)한자같을 동 / 병 병 / 서로 상 / 불쌍히여길 련의미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불쌍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곤란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딱하게 여기고 동정한다는 의미.유의어同憂相救 (동우상구): 같은 근심[]을 서로 구원함[].字意() 사람이 병이 걸려 침상에 누워있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은 발음. () '나무에 올라 눈으로 먼 곳을 본다'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의미 파생. () 마음으로 불쌍하고 가엽게 여긴다는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은 작용

 

[390] 東 奔 西 走 (동분서주)한자동녘 동 / 달릴 분 / 서녘 서 / 달릴 주의미동서로 달린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바쁘게 돌아다닌다는 의미. 유의어】▶ 東行西走 (동행서주)字意() 빨리 가거나 온다는 의미에서 '달리다'는 의미 생성. () 사람이 두 팔을 벌리고 달리는 모양에서 '달리다', '바쁘다'는 의미 생성.동방화촉, 동병상련, 동분서주 - 교본파일(13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421-450)  (0) 2012.12.04
이야기한자성어(391-420)  (0) 2012.12.04
이야기한자성어(331-360)  (0) 2012.12.04
이야기한성어(301-330)  (0) 2012.12.04
이야기한자성어271-300  (0) 201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