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1] ◈ 馬 脚 露 出 (마각노출)【한자】말 마 / 다리 각 / 드러날 로 / 나갈 출【의미】 말의 다리가 드러났다는 뜻으로, 가면극 등에서 말의 탈을 쓰고 연극을 하는 사람의 본래 다리가 보인 것에서 '숨기고 있던 나쁜 본체가 드러난다'는 의미로 사용됨.【관용어】▶ 馬脚(마각)을 드러내다.【字意】⊙ 馬(마)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脚(각) 정강이쪽 다리의 의미. ⊙ 露(로) 이슬의 의미에서 적시다는 뜻을 파생하고 후에 '드러나다'는 뜻까지 파생함. ⊙ 出(출)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성장하다', '출생하다' 등의 의미 파생.
[422] ◈ 馬 良 白 眉 (마량백미)【한자】말 마 / 어질 량 / 흰 백 / 눈썹 미【의미】 마량의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삼국시대 촉(蜀)의 마량이 마씨 5형제 가운데 가장 뛰어났는데, 그의 눈썹에 흰털이 있었다는 고사. 본래 『蒙求(몽구)』의 표제어임.【유의어】1. 群鷄一鶴 (군계일학) 2. 出衆 (출중) / 傑出 (걸출) / 絶倫 (절륜) 【字意】⊙ 良(량) 좋고 진실된 의미에서 '어질다'는 뜻을 생성함. ⊙ 白(백)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 眉(미) 눈 위의 눈썹에 치장을 한 모양을 본떠 '눈썹' 의미 생성.
[423] ◈ 磨 斧 爲 針 (마부위침)【한자】갈 마 / 도끼 부 / 할 위 / 바늘 침【의미】 도기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이루기 힘든 일도 끊임없는 노력과 끈기 있는 인내면 이룰 수 있다는 의미.【동의어】▶ 磨杵作針 (마저작침): 공이를 갈아 바늘을 만듦.【유의어】▶ 愚公移山 (우공이산): 우직한 노력으로 결국 이루어 냄.【字意】⊙ 磨(마) 돌로 갈아 문지르거나 부순다는 의미. '麻(마)'는 발음. ⊙ 斧(부) 벌목이나 의장(儀仗) 등 다양한 용도의 도끼의 의미. 父(부)는 발음. ⊙ 爲(위) 위 부분의 손과 아래 부분의 코끼리의 결합으로 코끼리가 물건을 움직이는 것을 비유해 '하다', '만들다' 등의 의미 생성. ⊙ 針(침) 바늘이나 바느질하다는 의미. 鍼(침)과 동자(同字)임.▣ 마각노출, 마량백미, 마부위침 - 교본파일(14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24] 馬 瘦 毛 長 (마수모장)【한자】 말 마 / 여윌 수 / 털 모 / 길 장【의미】 말이 야위면 털만 길어진다는 뜻으로, 빈천해지면 우둔해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동의어】▶ 馬疲毛長 (마피모장)【字意】⊙ 瘦(수) 몸이 마르고 여위다는 의미인 '파리하다'는 뜻. ⊙ 毛(모) 짐승의 가죽에 붙어 있는 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든 동물 털이나 열매의 털까지 통칭함. ⊙ 長(장) 긴 머리와 수염을 드리운 사람을 본떠 나이가 들어 길게 자란 머리와 수염을 표현해 '길다', '오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어른'의 의미 파생.
[425] ◈ 馬 耳 東 風 (마이동풍)【한자】 말 마 / 귀 이 / 동녘 동 / 바람 풍【의미】 말귀에 동풍이 불어온다는 뜻으로, 1.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린다는 의미나, 2. 그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 3. 무슨 말을 들어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의미로 사용됨.【유의어】▶ 牛耳讀經 (우이독경) / ▶ 對牛彈琴 (대우탄금)▶ 吾不關焉 (오불관언): 나는 상관하지 않는다.【字意】⊙ 耳(이)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 東(동) 해가 나무의 중간쯤 올라간 상태로, 해가 떠오르는 방향인 '동쪽'의 의미 생성. ⊙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은 널리 퍼진다는 의미에서 공기가 널리 퍼져 움직인다는 의미로 '바람'의 의미 도출. 후에 상징적인 벌레(충)를 추가함.
[426] ◈ 麻 中 之 蓬 (마중지봉)【한자】 삼 마 / 가운데 중 / 어조사 지 / 쑥 봉【의미】 삼 밭 속의 쑥대라는 뜻으로, 삼 밭에 나는 쑥이 퍼지지 않고 위로 자라 올라가는 것처럼 좋은 환경에 의하여 악인(惡人)도 선인(善人)으로 변할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 교화의 효험(效驗)을 의미함.【유의어】▶ 橘化爲枳 (귤화위지) : 南橘北枳 (남귤북지).【字意】⊙ 麻(마) 지붕 처마나 언덕에 껍질을 벗긴 삼을 햇빛에 말리려고 펼쳐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 ⊙ 中(중) 깃발에 해가 중앙에 온 모양을 본뜬 글자로 '가운데'라는 의미 생성. ⊙ 蓬(봉) 쑥의 의미. 逢(봉)은 발음. 후에 '흐트러지다'는 의미를 파생함.▣ 마수모장, 마이동풍, 마중지봉 - 교본파일(14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27] ◈ 寞 寞 窮 山 (막막궁산)【한자】 쓸쓸할 막 / 쓸쓸할 막 / 다할 궁 / 산 산【의미】 쓸쓸하고 깊숙한 산이라는 뜻으로, 적막하고 쓸쓸한 깊은 산하(山河)를 비유하는 말.【유의어】▶ 寞寞江山 (막막강산).【字意】⊙ 寞(막) 고요하고 쓸쓸하다는 의미로 '漠(막)'과 통용됨. ⊙ 窮(궁) 본래 들어가기도 어려운 '좁은 굴'을 의미에서 '다하다', '궁구하다'는 뜻을 생성하고 후에 '궁색하다'는 의미까지 파생.
[428] ◈ 莫 上 莫 下 (막상막하)【한자】 없을 막 / 위 상 / 없을 막 / 아래 하【의미】 위도 없고 아래도 없다는 뜻으로, 우열(優劣)의 차이가 없어 가리기가 어렵다는 의미.【유의어】▶ 伯仲之勢 (백중지세)▶ 難兄難弟 (난형난제) ▶ 互角之勢 (호각지세)▶ 春蘭秋菊 (춘란추국)【字意】⊙ 莫(막) 해가 숲 사이로 사라졌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뜻 생성. ⊙ 上(상)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해 '아래'의 의미를 나타냄.
[429] ◈ 莫 逆 之 友 (막역지우)【한자】 없을 막 / 거스를 역 / 어조사 지 / 벗 우【의미】 거슬릴 것이 없는 친구라는 뜻으로, 마음에 거스름이 없는 의기투합(意氣投合)한 절친한 벗의 의미.【유의어】1. 莫逆之交 (막역지교)2. 莫逆之間 (막역지간)3. 竹馬故友 (죽마고우)4. 呼兄呼弟 (호형호제)【字意】⊙ 逆(역) 상반되게 여겨진 상태를 의미하는 '거스르다'는 의미. ⊙ 友(우) 두 개의 손이 서로 맞잡고 있는 모양에서 가까운 친구 사이를 의미함. ▣ 막막궁산, 막상막하, 막역지우 - 교본 파일(14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30] ◈ 幕 天 席 地 (막천석지)【한자】 장막 막 / 하늘 천 / 자리 석 / 땅 지【의미】 하늘로 막을 삼고 땅으로 자리를 삼았다는 뜻으로, 기개(氣槪)가 호탕하고 주저함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氣骨壯大 (기골장대): 건장한 체격과 씩씩한 의지.【字意】⊙ 幕(막) 공간을 막거나 덮는데 쓰는 물건의 의미에서 '장막'이나 '군대의 군막'까지 생성함. 莫(막)은 발음.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 席(석) 바닥에 까는 '자리'의 의미에서 '지위'까지 확대됨. ⊙ 地(지)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431] ◈ 萬 頃 蒼 波 (만경창파)【한자】 일만 만 / 이랑 경 / 푸를 창 / 물결 파【의미】 만 이랑이나 되는 푸른 파도라는 뜻으로, 한없이 너르고 너른 바다를 비유하는 표현.【유의어】▶ 茫茫大海 (망망대해)【예문】萬頃蒼波의 一葉片舟(일엽편주)【字意】⊙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頃(경) '匕'이 傾(경)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사람의 머리[頁]가 기울었다는 것에서 '기울다', '밭이랑'의 의미가 확대됨. ⊙ 蒼(창) 풀의 '푸른색'으로 만든 글자. 倉(창)은 발음. ⊙ 波(파) 물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물결','파도'의 의미 생성. 후에 '움직이다, 동요하다' 등의 의미 파생.
[432] ◈ 萬 古 不 變 (만고불변)【한자】 일만 만 / 예 고 / 아니 불 / 변할 변【의미】 오랜 세월을 두고도 변함이 없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함 없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동의어】1. 萬古不易 (만고불역)2. 萬代不變 (만대불변)3. 萬世不變 (만세불변) 【유의어】▶ 萬古不滅 (만고불멸): 오랜 세월에도 길이 없어지지 않음.【字意】⊙ 古(고) 앞 세대의 일이 입을 통해 십 세대를 전해졌다는 의미에서 '옛날'의 의미 생성. ⊙ 變(변) 말이 오고 가면서 주제가 바뀌는 것으로 인해 '변하다'는 의미. 후에 '변고(變故)'나 '재앙(災殃)'의 의미 파생. ▣ 막천석지, 만경창파, 만고불변 - 교본파일(14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33] ◈ 萬 古 常 靑 (만고상청)【한자】일만 만 / 예 고 / 항상 상 / 푸를 청【의미】 한없이 오랜 세월동안 항상 푸르다는 뜻으로, 언제나 변함 없이 푸름을 지닌 강인한 의지와 같은 절개의 의미.【유의어】▶ 獨也靑靑 (독야청청): 홀로 높은 지조와 절개를 드러냄.【字意】⊙ 常(상) 본래 치마 종류의 의복[巾(건)수건]의 뜻이었는데, 항상 옷을 입어야 하는 의미에서 '항상'의 의미로 사용됨. '尙(상)'은 발음. ⊙ 靑(청) '生+井'이나 '生+丹'의 결합으로 보는데, 만물이 생성되는 색깔로 '푸르다'는 의미로 보거나, '붉다'의 역설적 표현인 '푸르다'로 보기도 함.
[434] ◈ 萬 古 風 霜 (만고풍상)【한자】 일만 만 / 예 고 / 바람 풍 / 서리 상【의미】 오랜 세월 동안 겪어온 서릿바람 같은 고통이라는 뜻으로, 살면서 겪는 여러 가지 고생과 역경의 의미.【관련어】▶ 山戰水戰 (산전수전): 여러 일에 경험이 풍부함.【字意】⊙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은 널리 퍼진다는 의미에서 공기가 널리 퍼져 움직인다는 의미로 '바람'의 의미 도출. 후에 상징적인 벌레(충)를 추가함. ⊙ 霜(상) '서리'의 의미에서 후에 '세월'의 뜻을 파생하고, 차갑거나 법의 엄함 등의 의미까지 확대됨.
[435] ◈ 萬 口 一 談 (만구일담)【한자】 일만 만 / 입 구 / 하나 일 / 이야기 담【의미】 수많은 사람들의 입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의 의견이 일치한다는 의미.【유의어】▶ 異口同聲 (이구동성): 여러 사람들의 말이 한결 같음.【字意】⊙ 口(구)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 파생. ⊙ 談(담) 말이 불꽃이 이어서 타듯이 계속 이어진다는 의미에서 '이야기'의 의미 생성. 보통 토론과 달리 조용한 이야기의 성격. ▣ 만고상청, 만고풍상, 만구일담 - 교본파일(14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36] ◈ 萬 端 愁 心 (만단수심)【한자】 일만 만 / 실마리 단 / 근심 수 / 마음 심【의미】 수 만 가지의 수심이라는 뜻으로, 기슴 속에 서리고 서린 온갖 근심 걱정의 의미.【참고】▶ 萬端 (만단): 1.여러 가지 얼크러진 일의 실마리. 2.갖은 방법. 3.온갖.【字意】⊙ 端(단) 비뚤어지지 않고 바로잡는다는 의미에서 '실마리', '끝' 등의 뜻을 파생함. ⊙ 愁(수) 마음 속의 근심과 시름겨워하다는 의미. ⊙ 心(심) 사람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고대에는 심장에서 두뇌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인식함.
[437] ◈ 萬 萬 不 當 (만만부당)【한자】일만 만 / 일만 만 / 아니 불 / 마땅할 당【의미】 매우 당연하지 않다는 뜻으로, 조금도 가당치 않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千萬不當 (천만부당) / ▶ 千不當萬不當 (천부당만부당)【字意】⊙ 不(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當(당) 서로 비슷한 재산을 가졌다는 의미에서 '田(전)'을 사용해 '맞대응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마땅하다'는 뜻 파생. 尙(상)은 발음부호.
[438] ◈ 滿 面 喜 色 (만면희색)【한자】 찰 만 / 낯 면 / 기쁠 희 / 빛 색【의미】 온 얼굴에 기쁜 색을 띤다는 뜻으로, 얼굴에 가득히 나타나는 기쁜 빛의 의미.【동의어】▶ 滿面春色 (만면춘색)【字意】⊙ 滿(만)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 ⊙ 面(면) 코{自}에 양쪽 뺨과 이마를 더해 사람의 얼굴을 표현. 후에 '대면하다', '방면' 등의 의미 파생. ⊙ 喜(희) 변형된 북의 모양에 사람의 입을 더해 기쁨의 소리를 낸다는 의미에서 '기쁘다'는 의미를 생성함. ⊙ 色(색) 무릎을 꿇은 사람[巴] 위에 또 사람을 더해 남녀 사이의 정을 의미하는 '색정'의 의미 생성, 후에 얼굴 색으로 인해 '색깔'의 의미 파생. ▣ 만단수심, 만만부당, 만면희색 - 교본파일(14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39] ◈ 萬 事 如 意 (만사여의)【한자】 일만 만 / 일 사 / 같을 여 / 뜻 의【의미】 만사가 뜻과 같다는 뜻으로, 모든 일이 뜻하는 대로 잘 이루어짐을 의미함.【유의어】▶ 萬事亨通 (만사형통): 만사가 형통하게 잘 이루어짐.【字意】⊙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如(여) 중세 남성 중심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意(의) 마음 속의 생각을 겉으로 나타낸다는 의미로 주관적인 '의미'의 뜻을 지님. 義는 객관적인 '의미'.
[440] ◈ 萬 事 休 矣 (만사휴의)【한자】 일만 만 / 일 사 / 쉴 휴 / 어조사 의【의미】 모든 일이 끝장났다는 뜻으로, 어떻게 달리 해 볼 도리가 없다는 말.【고사】오대십국(五代十國)시대에 형남(荊南)이라는 작은 나라에서 왕 고종회는 아들 고보욱(高保勖)은 남이 아무리 노한 눈으로 보아도 싱글벙글 웃어 버리고 마는 것이었다. 이 사실을 안 백성들 '모든 일이 끝장났다' 고보욱의 대(代)에 이르러 형남은 멸망하고 말았다. 【유의어】▶ 能事畢矣 (능사필의)【字意】⊙ 休(휴) 사람이 나무그늘 밑에 있는 모양에서 '쉬다'는 의미 생성. ⊙ 矣(의) 단정이나 결정 등의 어기를 표현하는 어조사 역할[=也].
[441] ◈ 萬 世 不 易 (만세불역)【한자】일만 만 / 세상 세 / 아니 불 / 바꿀 역【의미】 오랜 세월이 흘러도 바뀌지 않는다는 뜻으로, 언제까지나 변함 없이 영원하다는 의미.【동의어】▶ 萬代不易 (만대불역)【유의어】▶ 萬世不朽 (만세불후): 영원히 썩지 않음.【字意】⊙ 世(세) '十十十'으로 30년을 의미. 후에 한 '세대'의 의미와 '세상', '시대' 의미 파생. ⊙ 易(역) 日과 月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이)발음은 '쉽다'는 의미.▣ 만사여의, 만사휴의, 만세불역 - 교본파일(1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42] ◈ 萬 壽 無 疆 (만수무강)【한자】 일만 만 / 목숨 수 / 없을 무 / 지경 강【의미】 오래도록 장수함이 끝이 없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에게 한없이 오래 살도록 기원하는 의미.【유의어】▶ 壽福康寧 (수복강령): 장수와 행복과 건강과 편안함.▶ 壽命長壽 (수명장수): 장수함.【字意】⊙ 壽(수) 오래 산 늙은 노인의 모양에서 사람이 살아 있는 연한인 '목숨'의 의미나 '장수'의 의미를 표현함. ⊙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를 만듦. ⊙ 疆(강) 영역과 영토를 의미하는 '지경'의 의미. 후에 '한계', '끝'의 의미를 파생함. '彊(강)'은 '굳세다'는 뜻으로 별도의 글자임.
[443] ◈ 萬 乘 之 國 (만승지국)【한자】 일만 만 / 탈 승 / 어조사 지 / 나라 국【의미】 전차 만대의 나라라는 뜻으로, 일 만대의 병거(兵車)를 갖춰 낼 만한 힘을 가진 천자의 나라를 의미.【관련어】▶ 萬乘之尊 (만승지존): 천자(天子)의 지위.【字意】⊙ 乘(승) '人+桀'의 결합으로 桀(걸)이 나무 위에 두 발이 얹혀 있는 모양인데 여기에 人을 더해 두 발로 '오른다'는 의미를 파생함. 여기서는 수레를 세는 단위로 사용됨. ⊙ 國(국) 지역의 의미인 '口'에 창[戈]으로 대지[ㅡ]의 구역[ㅁ]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영토'인 '나라'의 의미 생성.
[444] ◈ 晩 食 當 肉 (만식당육)【한자】 늦을 만 / 먹을 식 / 마땅할 당 / 고기 육【의미】 때늦게 먹는 음식은 고기 음식과 같다는 뜻으로, 시장할 때 먹으면 맛없는 음식도 고기 만큼이나 맛이 있게 여겨진다는 말.【字意】⊙ 晩(만) 해가 저물어 가는 시기의 의미에서 '늦다'는 의미 생성. ⊙ 食(식)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當(당) 서로 비슷한 재산을 가졌다는 의미에서 '田(전)'의 사용해 '맞대응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마땅하다'는 뜻 파생. 尙(상)은 발음부호. ⊙ 肉(육) 짐승을 잡아 고기를 썰어놓은 모양으로, 부수자로 사용되어 신체, 근육, 고기 등의 의미로 활용됨.▣ 만수무강, 만승지국, 만식당육 - 교본파일(1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45] ◈ 萬 人 之 上 (만인지상)【한자】 일만 만 / 사람 인 / 어조사 지 / 위 상【의미】 수많은 사람들의 위라는 뜻으로, 과거에 영의정 (領議政)의 지위를 이르는 말인데, 높은 권력자를 칭함.【유의어】▶ 一人之下萬人之上 (일인지하만인지상)【字意】⊙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上(상)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 '올라가다' 등의 의미를 나타냄. '下(하)'는 반대.
[446] ◈ 萬 全 之 計 (만전지계)【한자】 일만 만 / 온전할 전 / 어조사 지 / 계책 계 【의미】 아주 완전한 계책이라는 뜻으로, 조금도 소홀함이나 실수가 없는 계책의 의미.【동의어】▶ 萬全之策 (만전지책)【字意】⊙ 全(전) 사람이 옥을 가공하는 모양을 본떠, 모두 완성한다는 의미에서 '완전하다'는 의미 도출. ⊙ 計(계) 숫자의 완성인 '十'을 놓고 말한다[言]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447] ◈ 萬 波 息 笛 (만파식적)【한자】 일만 만 / 물결 파 / 쉴 식 / 피리 적【의미】 온갖 파고를 쉬게 하는 피리라는 뜻으로, 신라 신문왕 때 있었다는 피리인데, 이 피리를 불면 세상의 어지러움이 가라앉았다는 전설의 피리.<三國遺事>【관련어】▶ 太平聖代 (태평성대)【字意】⊙ 波(파) 물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물결','파도'의 의미 생성. 후에 '움직이다, 동요하다' 등의 의미 파생. ⊙ 息(식) 사람의 '코'의 의미인 '自(자)'와 마음[心]을 합해 마음을 차분하게 지니면 숨도 차분하게 쉰다는 의미에서 '숨 고르다', '쉬다'는 의미 도출. ⊙ 笛(적)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서 부는 악기인 '피리'의 의미▣ 만인지상, 만전지계, 만파식적 - 교본파일(14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48] ◈ 萬 覇 不 聽 (만패불청)【한자】 일만 만 / 으뜸 패 / 아니 불 / 들을 청【의미】 많은 패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본래 바둑에서 큰 패가 생겼을 때 상대자가 어떤 패를 써도 응하지 않고 팻자리를 해소하는 일인데, 후에 아무리 싸움을 걸려고 집적거려도 못들은 체 하고 응하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字意】⊙ 覇(패) 본자는 위 부분이 '雨(우)'임. 곧 비오는 시기처럼 초승달이 뜨는 것에서 '무력' 등의 의미를 생성하고,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를 파생함. ⊙ 聽(청) 聞(문)은 들은 것을 표현한다는 의미인데, 聽은 단순히 듣는 것만을 의미함. 王(왕)이나 德(덕)의 첨가는 발음과 의미를 위해 첨가함.
[449] ◈ 萬 壑 千 峰 (만학천봉)【한자】일만 만 / 골 학 / 일천 천 / 봉우리 봉【의미】 수많은 골짜기와 수많은 봉우리라는 뜻으로, 깊은 산 속이나 중첩된 산의 모양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됨.【유의어】1. 高峰峻嶺 (고봉준령): 우뚝한 산봉우리와 험준한 산마루.2. 疊疊山中 (첩첩산중): 겹겹이 깊은 산 속.【字意】⊙ 壑(학) 골짜기나 구렁 등의 의미를 지닌 글자로, 위 부분은 발음 역할. ⊙ 峰(봉) 산의 봉우리를 의미. 오른쪽은 발음부호.
[450] 萬 彙 群 象 (만휘군상)【한자】일만 만 / 무리 휘 / 무리 군 / 형상 상【의미】 수많은 사물들과 무리의 형상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사물들을 의미함.【유의어】▶ 森羅萬象 (삼라만상): 우주의 온갖 사물과 모든 형상.【字意】⊙ 彙(휘) 무리의 의미에서 '모으다'는 뜻을 파생함. ⊙ 群(군) 모여 사는 양떼의 의미에서 '무리'의 의미로 만듦. ⊙ 象(상) 코끼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발자국으로 인해 '본뜨다'는 의미를 파생하고, 형상의 의미까지 확대됨. ▣ 만패불청, 만학천봉, 만휘군상 - 교본파일(15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481-510 (0) | 2012.12.05 |
---|---|
이야기한자성어451-480 (0) | 2012.12.05 |
이야기한자성어(391-420) (0) | 2012.12.04 |
이야기한자성어(361-390) (0) | 2012.12.04 |
이야기한자성어(331-360) (0) | 201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