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1] ◈ 同 床 異 夢 (동상이몽)【한자】 같을 동 / 평상 상 / 다를 이 / 꿈 몽【의미】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딴 생각을 지닌다는 의미.【유의어】▶ 同床各夢 (동상각몽): 같은 자리에서 각각 다른 꿈을 꿈.【字意】⊙ 床(상) 본래 '평상'의 의미인 '牀(상)'의 속자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별도로 "상"의 의미를 지닌 단독 글자로 봄. ⊙ 異(이) 물건을 주려고 두 손으로 나눈 상태를 표현해 '다르다'는 의미 도출. ⊙ 夢(몽)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꿈'의 의미 생성.
[392] ◈ 東 西 不 辨 (동서불변)【한자】 동녘 동 / 서녘 서 / 아니 불 / 분별할 변【의미】 동서가 분별이 안 된다는 뜻으로, 안개 따위가 짙어서 방향을 헤아릴 수 없다는 의미나, 몽매하여 아무 분별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유의어】▶ 不辨東西 (불변동서)【字意】⊙ 不(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辨(변) 판단하고 분별한다는 의미.
[393] ◈ 冬 扇 夏 爐 (동선하로)【한자】 겨울 동 / 부채 선 / 여름 하 / 화로 로【의미】 겨울철의 부채와 여름철의 화로라는 뜻으로, 시기에 맞지 아니하여 쓸모 없이 된 사물의 비유로 사용함. 【유의어】▶ 無用之物 (무용지물) : 쓸모 없는 물건.【字意】⊙ 扇(선) 본래 집의 문짝의 의미에서 생겨 후에 햇빛을 가리는 일산의 의미가 파생되고 후에 '부채'의 의미가지 파생됨. ⊙ 夏(하)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爐(로) 불을 지피는 화로의 의미. '盧(로)'는 발음 역할.▣ 동상이몽, 동서불변, 동선하로 - 교본파일(13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94] ◈ 凍 氷 寒 雪 (동빙한설)【한자】얼 동 / 얼음 빙 / 찰 한 / 눈 설【의미】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혹독(酷毒)한 겨울철의 추위를 이르는 말.【유의어】▶ 冬將軍 (동장군) / ▶ 酷寒 (혹한)【字意】⊙ 凍(동) 오른쪽 '얼(빙)'의 의미에서 '얼다'는 의미를 생성함. '東(동)'은 발음 역할. ⊙ 氷(빙) 물이 변한 얼음의 의미에서 '이수변[얼(빙)]'을 만듦. ⊙ 寒(한)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 ⊙ 雪(설) 빗자루 모양에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의미함.
[395] ◈ 東 閃 西 忽 (동섬서홀)【한자】동녘 동 / 번쩍일 섬 / 서녘 서 / 갑자기 홀【의미】 동에서 번쩍, 서에서 얼씬한다는 뜻으로, 여기저기로 옮겨다니는 동작이 빠름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神出鬼沒 (신출귀몰): 귀신처럼 나타났다가 귀신처럼 사라진다.【字意】⊙ 閃(섬) 문 안에 사람이 있어 어른거린다는 의미에서 '번쩍이다'는 의미 생성. ⊙ 忽(홀) 마음으로 탐탁하게 여기지 않아 소홀하다는 의미인데, 후에 '갑자기'의 의미 파생.
[396] ◈ 東 食 西 宿 (동식서숙)【한자】 동녘 동 / 먹을 식 / 서녘 서 / 잠잘 숙【의미】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이나 사람.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원어】▶ 東家食西家宿 (동가식서가숙)【참고-구별】▶ 東家食西家息 (동가식서가식): 동쪽의 부잣집 추남과 서쪽의 가난한집 미남을 두고, 시집갈 딸의 대답이 동쪽에서 먹고 서쪽에서 잔다는 대답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字意】⊙ 食(식)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宿(숙) 집안에서 사람이 자리에 누워 쉬고 있는 모양에서 '자다'는 의미 생성.▣ 동빙한설, 동섬서홀, 동식서숙 - 교본파일(13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97] ◈ 同 室 同 居 (동실동거)【한자】 같을 동 / 집 실 / 같을 동 / 살 거【의미】 같은 집에서 같이 산다는 뜻으로, 같은 방을 쓰는 부부(夫婦)를 의미하거나 일가(一家)를 이르기도 함.【관련어】▶ 琴瑟相和 (금슬상화): 부부사이의 애틋한 정.【字意】⊙ 室(실) 위의 '집(면)'자는 집의 내부의 의미로 사용했고, '至(지)'는 변화된 발음으로 사용됨. ⊙ 居(거) 본래 尸(시)는 구부리고 앉아있는 사람의 모양으로 평하게 앉아있는 의미에서 '살다'는 의미 파생.
398] ◈ 同 心 同 力 (동심동력)【한자】같을 동 / 마음 심 / 같을 동 / 힘 력【의미】 마음과 힘을 같이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합쳐 서로 도와주거나 한 마음으로 힘을 합친다는 의미.【유의어】▶ 同心合力 (동심합력) / ▶ 同心協力 (동심협력) 【字意】⊙ 心(심) 사람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고대에는 심장에서 두뇌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인식함. ⊙ 力(력)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힘'의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힘, 힘쓰다' 등의 뜻으로 사용됨.
[399] ◈ 同 心 之 言 (동심지언)【한자】 같을 동 / 마음 심 / 어조사 지 / 말씀 언【의미】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원문】▶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동심지언 기취여난) :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도 자를 수 있고, 마음을 같이하는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易經>【유의어】▶ 金蘭之交 (금란지교) / ▶ 斷金之交 (단금지교)【字意】⊙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동실동거, 동심동력, 동심지언 - 교본파일(13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00] ◈ 同 而 不 和 (동이불화)【한자】 같을 동 / 말이을 이 / 아니 불 / 화합할 화【의미】 서로 편당(偏黨)을 할뿐 화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附和雷同(부화뇌동)만하고 진정으로 화합(和合)하지 못하는 소인(小人)의 사귐을 이르는 말.【반의어】▶ 和而不同 (화이부동): [ 君子(군자)의 사귐 ]【字意】⊙ 而(이)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和(화) 입에 곡식이 골고루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뜻이 맞아 '화평하다'는 의미나 '화합한다'는 의미 생성.
[401] ◈ 凍 足 放 尿 (동족방뇨)【한자】 얼 동 / 발 족 / 놓을 방 / 오줌 뇨【의미】 '언 발에 오줌누기'라는 속담의 한역(漢譯)으로, 한 때의 급함을 구할 뿐, 곧 효력이 없어지는 상황을 비유함.【유의어】▶ 彌縫策 (미봉책): ▶ 臨時方便 (임시방편) / ▶ 臨機應變 (임기응변)▶ 姑息之計 (고식지계): 잠시[姑] 쉬는[息] 계책[策].【字意】⊙ 足(족) 발 모양의 '止'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ㅁ'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 放(방) 구속된 상태를 풀거나 버려지다는 의미에서 후에 그만두다는 의미 파생. ⊙ 尿(뇨) 물이 죽었다는 의미에서 '오줌'의 의미 생성.
[402] ◈ 東 走 西 顧 (동주서고)【한자】 동녘 동 / 달릴 주 / 서녘 서 / 돌아볼 고【의미】 동쪽에 가서는 서쪽을 돌아본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여러 곳에 마음을 쓰고 있다는 의미.【字意】⊙ 走(주) 사람이 두 팔을 벌리고 달리는 모양에서 '달리다', '바쁘다'는 의미 생성. ⊙ 顧(고) 머리를 돌려 뒤를 돌아보는 것에서 사방을 둘러보거나, 마음에 두고 생각한다는 의미 생성.▣ 동이불화, 동족방뇨, 동주서고 - 교본파일(14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03] ◈ 東 取 西 貸 (동취서대)【한자】 동녘 동 / 취할 취 / 서녘 서 / 빌릴 대【의미】 동에서 취하고 서에서 빌린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여러 곳에 빚을 진다는 의미.【동의어】▶ 東推西貸 (동추서대)【字意】⊙ 取(취) 전쟁에서 이겨 손[又]으로 적군의 귀[耳]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貸(대) 금품을 대여하거나 베푼다는 의미에서 '빌리다'는 의미 생성.
[404] ◈ 東 漂 西 浪 (동표서랑)【한자】 동녘 동 / 떠돌 표 / 서녘 서 / 물결 랑【의미】 동서로 떠다닌다는 뜻으로, 정처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이르는 말.【유의어】▶ 東家食西家宿 (동가식서가숙)【字意】⊙ 漂(표) 물결에 떠서 '떠돌거나 뜬다'는 의미 생성. 票(표)는 발음 역할. ⊙ 浪(랑) 물결이 이는 것에서 파도나 물결의 의미인데, 후에 '떠돌아다닌다'나 '함부로' 등의 의미를 파생함.
[405] ◈ 東 海 揚 塵 (동해양진)【한자】 동녘 동 / 바다 해 / 오를 양 / 티끌 진【의미】 동해에 티끌이 오른다는 뜻으로, 바다가 육지로 변한다는 큰 변화를 이르는 말.【유의어】▶ 桑田碧海 (상전벽해):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字意】⊙ 海(해) 큰물의 의미에서 '바다'의 의미를 생성함. ⊙ 揚(양) 위로 쳐들어 올린다는 의미에서 '오르다', '날리다', '알려지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塵(진) 본래는 사슴 록(鹿)자 세 개와 아래 흙 토(土)를 결합한 것으로, 사슴무리가 달리면서 흙먼지를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먼지',나 '티끌'의 뜻을 생성함. 후에 속세(俗世)나 속사(俗事)의 의미가 파생됨.▣ 동취서대, 동표서랑, 동해양진 - 교본파일(13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06] ◈ 杜 口 呑 聲 (두구탄성)【한자】 닫을 두 / 입 구 / 삼킬 탄 / 소리 성【의미】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유의어】▶ 閉口不言 (폐구불언): 입을 닫고 말을 하지 않음.【字意】⊙ 杜(두) 능금과의 과수나무인 '팥배나무'의 의미인데, 후에 '막다', '닫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呑(탄) 음식을 입에 머금고 있다는 의미. ⊙ 聲(성) 석경과 같은 악기를 손에 막대를 들고 때리는 모양에 아래에 귀와 입을 그린 형태로, 음악을 연주하는 '소리'의 의미 생성.
[407] ◈ 杜 門 不 出 (두문불출)【한자】 닫을 두 / 문 문 / 아니 불 / 나갈 출【의미】 문을 닫고 나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집 안에만 틀어박혀 밖으로 나다니지 않는다는 의미.【관련어】▶ 隱遁 (은둔) / ▶ 蟄居 (칩거)【字意】⊙ 門(문)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혀진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문'의 의미를 지님. ⊙ 出(출)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 등의 의미 파생.
[408] ◈ 豆 剖 瓜 分 (두부과분)【한자】 콩 두 / 쪼갤 부 / 오이 과 / 나눌 분【의미】 콩을 가르고 오이를 나눈다는 뜻으로, 분열(分裂)되거나 분할(分割)됨을 의미함.【유의어】▶ 四分五裂 (사분오열): 여러 갈래로 찢어짐.【字意】⊙ 豆(두) 본래 제수(祭需)를 담는 받침 높은 제기(祭器)를 뜻인데, 후에 콩의 의미인 (답)자와 통용해 '콩'의 의미로 가차(假借)됨. ⊙ 剖(부) 칼로 조각으로 나누거나 쪼갠다는 의미에서 '가르다', '쪼개다' 등의 의미 생성. ⊙ 瓜(과) 넝쿨식물의 대표격인 '오이'나 '박'의 모양. ⊙ 分(분) 칼[刀]로 나눈다[八]의 의미에서 '나누다', '구별하다' 등의 의미 생성.▣ 두구탄성, 두문불출, 두부과분 - 교본파일(13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09] ◈ 斗 酒 不 辭 (두주불사)【한자】말 두 / 술 주 / 아니 불 / 사양할 사【의미】 말술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주량(酒量)이 아주 세다는 의미로 사용됨.【고사】▶ 항우가 유방을 제거할 기회에 유방의 장수인 번쾌가 유방을 위해 호기(豪氣)를 띠며 말술과 돼지고기를 먹으면서 유방을 위기에서 구하게 된 이야기.《史記·項羽本紀》【字意】⊙ 斗(두) 액체의 용량을 재거나 퍼낼 때 쓰는 도구인 국자 모양을 본뜬 글자로, 양을 '재다' 등으로 활용되고, 후에 북두성(北斗星)의 의미로도 사용됨. ⊙ 酒(주) 항아리[酉] 속의 액체[水]로 '술'의 의미 도출한 것으로 보거나, 발효시켜 만든 음식[酉]의 한 종류로 '술'의 의미로 봄. ⊙ 辭(사) 죄인에게 낙인찍는 칼의 모양인 '辛(신)'에서 본래 '잘잘못을 따지다'는 의미인데, 후에 '말'이나 '글', 또 '감사', '사양' 등의 의미를 파생함
[410] ◈ 杜 撰 (두찬)【한자】 팥배나무 두 / 지을 찬【의미】 두묵(杜默)이 지은 작품이라는 뜻으로, 전거(典據)나 출처(出處)가 없는 문자를 써서 틀린 곳이 많은 글의 의미.【고사】▶ 송(宋)나라 문인인 두묵은 규칙에 어긋난 운율(韻律)이 맞지 않는 시를 많이 지어 그 파격(破格) 때문에 유명해짐으로 인해 격식에 맞지 않는 시문(詩文)을 "두묵의 작품[杜撰]"이라고 부르게 됨.【字意】⊙ 杜(두) 능금과의 과수나무인 '팥배나무'의 의미인데, 후에 '막다', '닫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撰(찬) 시문(詩文) 등의 작품을 짓는 의미로 사용됨.
[411] ◈ 頭 寒 足 熱 (두한족열)【한자】 머리 두 / 찰 한 / 발 족 / 더울 열【의미】 머리는 차게 하고 발은 따뜻하게 한다는 뜻으로, 한방에서 말하는 건강법의 하나임.【字意】⊙ 寒(한)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 ⊙ 足(족) 발 모양의 '止'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ㅁ'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 熱(열) '火(화)'로 인해 '따뜻하다'는 의미에서 '덥다'는 의미를 생성함. 위쪽은 발음 요소임.▣ 두주불사, 두찬, 두한족열 - 교본파일(13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12] ◈ 得 롱 望 蜀 (득롱망촉)▶ (롱)자는 {좌부방[阜]에 龍}을 쓴 자입니다.【한자】 얻을 득 / 땅이름 롱 / 바랄 망 / 땅이름 촉【의미】 농 땅을 얻고는 촉 땅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가 서역의 농 땅을 평정하고서는 다시 촉 지역을 치려한 고사에서 유래해 사람의 욕심이 한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後漢書》【유의어】1. 借廳入房 (차청입방):마루를 빌려주니 방에 들어가려한다.2. 騎馬欲率奴 (기마욕솔노):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어한다.【字意】⊙ 得(득)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 (롱) 지명(地名). ⊙ 望(망) 없는 것을 찾는다는 의미나 신하가 임금 보기를 하늘 보듯이 한다는 의미에서 '바라다', '바라보다' 등의 의미 생성. ⊙ 蜀(촉) 유비의 촉한(蜀漢)으로 지명이자 국명.
[413] ◈ 得 魚 忘 筌 (득어망전)【한자】 얻을 득 / 물고기 어 / 잊을 망 / 통발 전【의미】 고기를 잡고는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일을 달성하고는 그에 소용되었던 것을 잊는다는 의미인데, 주로 은혜를 잊는다[受恩不報(수은불보)]는 의미로 사용됨.【고사】《장자(莊子)》<외물편>에서는 목적을 달성하고 나면 그 목적을 위해 사용한 수단에는 더 이상 구애받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모든 것을 초월한 참된 경지에 이르는 것으로 표현함.【字意】⊙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忘(망) 생각을 잃었다는 의미에서 '잊다'는 뜻을 생성함. ⊙ 筌(전) 대나무로 만든 물고기를 잡는 도구로 '통발'이라 함.
[414] ◈ 得 意 揚 揚 (득의양양)【한자】 얻을 득 / 뜻 의 / 오를 양 / 오를 양【의미】 뜻을 얻고 자랑스러워한다는 뜻으로, 뜻하는 바를 이루어 뽐내고 으쓱댄다는 의미.【유의어】▶ 得意滿面 (득의만면): 뜻한 바를 얻어 그 기쁨이 얼굴에 가득하다【字意】⊙ 意(의) 마음 속의 생각을 겉으로 나타낸다는 의미로 주관적인 '의미'의 뜻을 지님. 義는 객관적인 '의미'. ⊙ 揚(양) 위로 쳐들어 올린다는 의미에서 '오르다', '날리다', '알려지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득롱망촉, 득어망전, 득의양양 - 교본파일(13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15] ◈ 登 高 自 卑 (등고자비)【한자】 오를 등 / 높을 고 / 스스로 자 / 낮을 비【의미】 높은 곳에 오를 때는 낮은 곳으로부터 한다는 뜻으로, 일을 하는 데는 순서가 있음을 비유하거나, 혹은 지위가 높아질수록 스스로를 낮춘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속담】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字意】⊙ 登(등) 제물을 담은 그릇을 가지고 오르는 모양에서 '오르다'는 의미 생성. ⊙ 高(고) 입구와 전망대가 있는 높은 누각의 모양을 본뜬 글자. ⊙ 自(자)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卑(비) 머리의 모양인 '甲'에 왼손[左]을 더해 右가 높고 左가 낮다는 의미에서 '낮다' 생성
[416] ◈ 登 樓 去 梯 (등루거제)【한자】 오를 등 / 다락 루 / 갈 거 / 사다리 제【의미】 다락에 오르게 하고 사다리를 치운다는 뜻으로, 사람을 꾀어서 난처한 처지에 빠지게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字意】⊙ 樓(루) 전망을 할 수 있도록 지어 놓은 건축물인데, '다락' 의미로 쓰임. ⊙ 去(거) 위의 '土' 모양은 본래 사람의 의미인 '大' 모양임. 사람이 일정 방향으로 가는 것을 의미. 후에 '지나간 때'나 '버리다', '죽이다' 등의 의미 파생. ⊙ 梯(제) 본래 사다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가 弟(제)인데, 후에 구분을 위해 '木'을 더해 별도로 만듦
417] ◈ 登 龍 門 (등용문)【한자】오를 등 / 용 룡 / 문 문【의미】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 뜻을 이루어 크게 영달(榮達)한다는 의미나, 입신출세(立身出世)의 관문을 이르기도 함.【고사】황하 상류의 급류가 흐르는 하진(河津)이란 곳에 잉어가 이곳을 오르면 용이 된다는 전설로 인해 용문(龍門)이라고도 불리게 된 이야기《後漢書》【字意】⊙ 龍(용)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門(문)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혀진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문'의 의미를 지님.▣ 등고자비, 등루거제, 등용문 - 교본파일(13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18] ◈ 燈 下 不 明 (등하불명)【한자】 등잔 등 / 아래 하 / 아니 불 / 밝을 명【의미】 등잔 아래가 밝지 않다는 뜻으로,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의 한역으로, 가까운 데 생긴 일을 먼 데 일 보다 도리어 더 모른다는 비유.【속담】등잔 밑이 어둡다.【字意】⊙ 燈(등) 밤을 밝히는 '등잔', '등불'의 의미. 登(등)은 발음.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明(명) 해와 달의 의미 결합으로 '밝다'는 의미로 보나, 혹 창문에 달빛이 비추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419] ◈ 燈 火 可 親 (등화가친)【한자】 등잔 등 / 불 화 / 가할 가 / 친할 친【의미】 등잔불이 친할 만 하다는 뜻으로, 가을밤은 시원하므로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을 읽기 좋다는 의미. 독서의 계절.【구별어】▶ 天高馬肥 (천고마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찌는 풍요와 결실의 가을을 의미.【字意】⊙ 火(화) 불꽃이 위로 솟아오르는 모양을 본뜬 형태. ⊙ 親(친)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어버이'와 '친하다', '몸소' 등의 의미 도출.
[420] ◈ 燈 火 之 喜 (등화지희)【한자】 등잔 등 / 불 화 / 어조사지 / 기쁠 희【의미】 등화가 핀 기쁨이라는 뜻으로, 등화가 생기면 길사(吉事)가 있을 조짐이라는 의미.【유의어】▶ 燈上生花 (등상생화): 기쁜 일이나 반가운 손님이 올 조짐의 의미.【字意】⊙ 喜(희) 변형된 북의 모양에 사람의 입을 더해 기쁨의 소리를 낸다는 의미에서 '기쁘다'는 의미를 생성함.▣ 등하불명, 등화가친, 등화지희 - 교본파일(14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451-480 (0) | 2012.12.05 |
---|---|
이야기한자성어(421-450) (0) | 2012.12.04 |
이야기한자성어(361-390) (0) | 2012.12.04 |
이야기한자성어(331-360) (0) | 2012.12.04 |
이야기한성어(301-330) (0) | 201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