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1] ◈ 山 紫 水 明 (산자수명)【한자】 산 산 / 붉을 자 / 물 수 / 밝을 명【의미】 산은 보랏빛이요, 물은 맑다는 뜻으로, 산수의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유의어】▶ 山明水麗 (산명수려): 산은 밝고 물은 곱다.▶ 山明水淸 (산명수청): 산수가 맑고 깨끗하여 경치가 좋음.▶ 山明水紫 (산명수자): 산수의 경치가 아름다움.【字意】⊙ 山(산) 솟아 있는 산들의 모양의 형상화한 글자. ⊙ 紫(자) 붉은빛을 내는 넝쿨풀에서 '자줏빛'의 의미 생성. ⊙ 明(명)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日'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962] ◈ 山 底 貴 杵 (산저귀저)【한자】 산 산 / 밑 저 / 귀할 귀 / 공이 저【의미】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底(저) 사물의 바닥이나 아래쪽의 의미에서 '밑'의 의미 생성. ⊙ 貴(귀) 조개가 귀한 재화의 역할로 인해 '귀하다'는 의미 생성. ⊙ 杵(저) 절구의 공이나 다듬잇방망이 등의 의미.
[963] ◈ 山 戰 水 戰 (산전수전)【한자】 산 산 / 싸울 전 / 물 수 / 싸울 전【의미】 산과 물에서 싸웠다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고생과 시련을 다 겪어 경험이 많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百戰老將 (백전노장): 세상일을 많이 겪어 능란한 사람.▶ 萬古風霜 (만고풍상): 오랜 세월을 겪어 온 수많은 고생.【字意】⊙ 戰(전) 單(단)과 戈(과) 모두 무기를 의미해 무기들이 충돌하는 '전쟁'의 의미 생성. 후에 '두려워하다'는 의미 파생. ⊙ 水(수) 물이 흘러가는 모양.▣ 산자수명, 산저귀저, 산전수전 - 교본파일(32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64] ◈ 山 中 白 雲 (산중백운)【한자】 산 산 / 가운데 중 / 흰 백 / 구름 운【의미】 산 속의 흰 구름이라는 뜻으로, 山中의 白雲은 내 마음을 기쁘게 해 주지만 선물로 당신에게 줄 수 없다는 의미에서 방문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白(백)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후에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우)'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965] ◈ 山 川 草 木 (산천초목)【한자】 산 산 / 내 천 / 풀 초 / 나무 목【의미】 산과 물과 풀과 나무의 뜻으로, 곧 '자연'을 일컫는 말.【유의어】▶ 淸風明月 (청풍명월): 맑은 바람과 밝은 달. 곧 자연【字意】⊙ 川(천) 도랑에서 물이 흐르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내'의 의미를 생성함. ⊙ 草(초) 풀이 돋아나는 모양. 艸(초)가 부수로 활용되자 별도의 글자를 만듦. ⊙ 木(목)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은 나무를 자른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966] ◈ 山 海 珍 味 (산해진미)【한자】 산 산 / 바다 해 / 보배 진 / 맛 미【의미】 산과 바다의 진귀한 맛이라는 뜻으로, 산과 바다의 산물을 다 갖추어 썩 잘 차린 진귀한 음식의 의미.【동의어】▶ 山珍海味 (산진해미) : 水陸珍味 (수륙진미).【유의어】▶ 膏粱珍味 (고량진미): 기름지고 좋은 곡식의 진귀한 맛.▶ 珍羞盛饌 (진수성찬): 진귀한 맛있는 음식[羞]이 성대하게[盛] 차려짐[饌].【字意】⊙ 海(해) 큰물의 의미에서 '바다'의 의미를 생성함. ⊙ 珍(진) 보배스러운 '옥'의 의미에서 '보배'의 의미 생성. ⊙ 味(미) '입[口]'안에 있는 달콤한 음식의 의미에서 '맛'의 의미 도출. 未(미)는 발음.▣ 산중백운, 산천초목, 산해진미 - 교본파일(32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67] ◈ 殺 身 成 仁 (살신성인)【한자】 죽일 살 / 몸 신 / 이룰 성 / 어질 인【의미】 몸을 죽여 인을 이룬다는 뜻으로, 자기 몸을 희생해서 세상의 대의(大義)를 지킨다는 의미.【유의어】▶ 捨生取義 (사생취의): 목숨을 버리고 의를 취한다.▶ 粉骨碎身 (분골쇄신):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字意】⊙ 殺(살) 해를 끼치는 미상의 동물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의미의 글자. 부수가 '몽둥이(수)'. ⊙ 身(신)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仁(인) 사람이 둘[二]이는 표현으로, 혼자가 아닌 사회 속에서의 사랑과 친밀함을 지녀야 한다는 의미에서 ‘어질다’는 의미 생성.
[968] ◈ 三 間 斗 屋 (삼간두옥)【한자】 석 삼 / 사이 간 / 말 두 / 집 옥【의미】 세 칸의 썩 작은 집이라는 뜻으로, 몇 칸 안 되는 작은 오막살이집을 의미함.【유의어】▶ 草家三間 (초가삼간): 세 칸으로 된 규모가 작은 초가.【字意】⊙ 三(삼)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 ⊙ 間(간) 문 틈 사이로 달빛이 들어온다는 의미에서 사이나 틈의 의미 생성. '閒(간,한)'이 본래자임. ⊙ 斗(두) 액의 용량을 재거나 퍼낼 때 쓰는 도구인 국자 모양을 본뜬 글자로, 양을 '재다' 등으로 활용되고, 후에 북두성(北斗星)의 의미로도 사용됨. ⊙ 屋(옥)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집'의 의미로 사용됨.
[969] ◈ 三 綱 五 倫【한자】 석 삼 / 벼리 강 / 다섯 오 / 윤리 륜【의미】 세 가지 벼리와 다섯 가지 질서라는 뜻으로, 유가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대강(大綱)과 다섯 가지 인륜(人倫)의 의미.【三綱】▶ 父爲子綱 (부위자강), 君爲臣綱 (군위신강), 夫爲婦綱 (부위부강).【五倫】▶ 父子有親 (부자유친), 君臣有義 (군신유의), 夫婦有別 (부부유별), 長幼有序 (장유유서), 朋友有信 (붕우유신).【字意】⊙ 綱(강) 벼리는 '그물이나 과녁을 버티는 줄'이기 때문에 가장 중심 되는 근본, 모범의 의미. '紀(기)'와 동일. ⊙ 倫(륜) 사람 사이의 질서체계인 윤리 도덕의 의미.▣ 살신성인, 삼간두옥, 삼강오륜 - 교본파일(32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70] ◈ 三 顧 草 廬 (삼고초려)【한자】 석 삼 / 돌아볼 고 / 풀 초 / 초가집 려【의미】 초가집을 세 번 돌아본다는 뜻으로,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제갈량(諸葛亮)의 초옥(草屋)을 세 번이나 방문해서 군사(軍師)로 맞아들인 고사에서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해 참을성 있게 마음을 씀을 의미.【동의어】▶ 三顧之禮 (삼고지례).【字意】⊙ 顧(고) 머리를 돌려 뒤를 돌아보는 것에서 사방을 둘러보거나, 마음에 두고 생각한다는 의미 생성. ⊙ 草(초) 풀이 돋아나는 모양. 艸(초)가 부수로 활용되자 별도의 글자를 만듦. ⊙ 廬(려) 주막이나 여막 같은 오두막집의 의미.
[971] ◈ 三 軍 可 奪 帥 (삼군가탈수)【한자】 석 삼 / 군사 군 / 옳을 가 / 빼앗을 탈 / 장수 수【의미】 아무리 많은 군졸의 호위도 화합하지 못한 부하들이라면 그 대장도 탈취할 수 있다는 뜻으로, 반대로 필부의 의지는 절대로 빼앗을 수 없다는 의미.【원문】▶ 子曰 三軍可奪帥 匹夫不可奪志也 (자왈 삼군가탈수 필부불가탈지야): 공자가 말하기를 삼군은 장수를 빼앗을 수 있지만, 필부는 의지를 빼앗을 수 없다.【字意】⊙ 軍(군) 수레[전차]가 건축물 안에 있는 모양에서 군대가 주둔한 상태를 나나내 '군대'의 의미를 생성함. ⊙ 可(가) 옳고 찬성한다는 의미에서 '옳다'는 의미 생성. ⊙ 奪(탈) 손으로 새를 잡으려다가 놓친다는 의미에서 '빼앗다'는 의미를 생성함. ⊙ 帥(수) 부하를 데리고 거느리는 장군의 의미. '거느리다'는 (솔)발음.[=率(솔)]
[972] ◈ 三 年 不 蜚 (삼년불비)【한자】 석 삼 / 해 년 / 아니 불 / 날 비【의미】 3년 동안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훗날 큰 일을 행하려고 얼마동안 자중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취함을 비유하는 말.【고사】▶ 三年不蜚又不鳴 (삼년불비우불명) : 초(楚)나라의 장왕(莊王)이 왕위에 오른 지 3년이 지나도 영을 내리지 않았으므로 신하 오거(伍擧)가 간한 말.【字意】⊙ 年(년)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禾]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해', '나이' 등의 의미 생성. ⊙ 蜚(비) 바퀴벌레 등의 곤충 의미에서 후에 '날다'는 의미 생성.▣ 삼고초려, 삼군가탈수, 삼년불비 - 교본파일(32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73] ◈ 森 羅 萬 象 (삼라만상)【한자】 빽빽할 삼 / 그물 라 / 일만 만 / 코끼리 상【의미】 온갖 만물과 온갖 현상이라는 뜻으로, 우주 사이에 벌려 있는 모든 물건과 현상을 의미함.【동의어】▶ 萬彙群象 (만휘군상): 수많은 사물들과 무리의 형상.【字意】⊙ 森(삼) 나무가 빽빽하게 서있어 벌려져 있다는 의미. ⊙ 羅(라) 그물과 벼리[維]의 결합으로 새 잡는 그물을 의미함. ⊙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象(상) 코끼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발자국으로 인해 '본뜨다'는 의미를 파생하고, 형상의 의미까지 확대됨.
[974] ◈ 三 昧 境 (삼매경)【한자】 석 삼 / 새벽 매 / 지경 경【의미】 잡념이 없이 오직 한가지 일에만 정신력을 집중하는 일심불란(一心不亂)의 경지를 의미하는 불교의 범어(梵語).【관련어】▶ 讀書三昧 (독서삼매): 독서에 마음을 집중하는 경지.【字意】⊙ 昧(매) 동이 틀 무렵인 '새벽'의 의미에서, '어둡다', '어리석다' 등의 의미 파생. 여기서는 범어. ⊙ 境(경) 땅의 경계의 의미에서 '장소'의 의미로 확대됨. '竟(경)'은 발음.
[975] ◈ 三 分 鼎 足 (삼분정족)【한자】 석 삼 / 나눌 분 / 솥 정 / 발 족【의미】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유의어】▶ 三國鼎立 (삼국정립): 삼국에 세 발 솥처럼 나누고 있음.【字意】⊙ 分(분) 칼[刀]로 나눈다[八]의 의미에서 '나누다', '구별하다' 등의 의미 생성. ⊙ 鼎(정) 발이 세 개 달리고 위에 귀도 두 개 달린 고대에 사용하던 솥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세발솥'의 뜻을 지님. 왕위(王威)의 상징. ⊙ 足(족) 발 모양의 '止'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ㅁ'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삼라만상, 삼매경, 삼분정족 - 교본파일(32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76] ◈ 三 三 五 五 (삼삼오오)【한자】 석 삼 / 석 삼 / 다섯 오 / 다섯 오【의미】 서너 사람이나 네댓 사람이라는 뜻으로, 여기저기 몇몇씩이 떼를 지어 다니거나 무엇을 하고 있는 모양.【字意】⊙ 三(삼)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 ⊙ 五(오) .음양의 조화로 인해 오행이 만들어지는 것에서 '二'에 조화의 부호를 더함
[977] ◈ 三 生 緣 分 (삼생연분)【한자】 석 삼 / 날 생 / 인연 연 / 나눌 분【의미】 삼생의 연분이라는 뜻으로, 전세(前世), 현세(現世), 후세(後世)의 三生에 걸쳐 끊어질 수 없는 가장 깊은 연분의 의미로 부부간의 인연을 의미함.【대립어】▶ 三生怨讐 (삼생원수) : 삼생에 걸쳐 뼈에 사무친 원수.【字意】⊙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緣(연) 옷의 가장자리에서 묶는다는 의미와 연줄의 의미를 파생해 인연, 연분의 의미까지 생성함. ⊙ 分(분) 칼[刀]로 나눈다[八]의 의미에서 '나누다', '구별하다' 등의 의미 생성.
[978] ◈ 三 旬 九 食 (삼순구식)【한자】 석 삼 / 열흘 순 / 아홉 구 / 먹을 식【의미】 서른 날에 아홉 끼니 밖에 못 먹는다는 뜻으로, 집안이 매우 가난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不蔽風雨 (불폐풍우) : 비바람도 가리지 못하는 가난함.▶ 釜中生魚 (부중생어) :밥을 못 지어 솥 안에 물고기가 생김.【字意】⊙ 旬(순) 날짜를 둘러싸 한 번 돌린다는 의미에서 십간(十干)의 순환인 '열 개'의 의미에서 '열흘' 의미 생성. ⊙ 九(구) 9는 양(陽)의 완성된 숫자이기 때문에 활동성이 강한 굴곡의 표현으로 나타냄. ⊙ 食(식)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삼삼오오, 삼생연분, 삼순구식 - 교본파일(32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79] ◈ 三 豕 金 根 (삼시금근)【한자】 석 삼 / 돼지 시 / 쇠 금 / 뿌리 근【의미】 三豕와 金根이라는 뜻으로, '己亥(기해)'를 三豕로 '金銀(금은)'을 金根으로, 모두 잘못 보았다는 고사에서 글자의 오용오독(誤用誤讀)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三豕渡河 (삼시도하) : 己亥渡河(기해도하)를 잘못 읽음.【字意】⊙ 豕(시) 돼지의 주둥이와 몸통, 다리, 꼬리 등의 모양을 본뜬 글자. ⊙ 金(금) 땅 속에 금속의 물질을 있는 것을 표현함. 후에 今(금)을 더해 발음으로 사용함. ⊙ 根(근) 나무의 뿌리에서 '근본'의 의미 생성.
[980] ◈ 三 十 六 計 (삼십육계)【한자】 석 삼 / 열 십 / 여섯 륙 / 계책 계【의미】 삼십 여섯 번째 계책이라는 뜻으로, 싸움터에서 불리할 경우, 우물쭈물하다가 시기를 놓치는 것보다는 기회를 보아 달아나는 것이 상책이라는 의미로, 곤란할 때는 달아나는 것이 제일 좋다는 뜻으로 사용됨.【원문】▶ 三十六計不如逃 (삼십육계불여도) : 삼십육계는 도망보다 못하다.▶ 三十六策走爲上計 (삼십육책주위상계) : 삼십육계는 도망이 상책이다.【字意】⊙ 十(십) 남북의 'ㅣ'과 동서의 'ㅡ'이 서로 교차되어 합쳐 중앙까지 모두 갖추었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수(數)에서 모두 갖춘 '10'의 의미로 '열'이라는 뜻으로 설명함. ⊙ 六(륙) 음수의 완성인 八을 따라간다는 의미에서 六을 만듦. ⊙ 計(계) 숫자의 완성인 '十'을 놓고 말한다[言]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981] ◈ 三 十 而 立 (삼십이립)【한자】 석 삼 / 열 십 / 말이을 이 / 설 립【의미】 나이 서른이 되어 독립했다는 뜻으로, 나이 삼십에 이르러 비로소 어떠한 일에도 움직이지 않는 신념이 서게 되었다는 <論語(논어)>에 제시된 공자(孔子)의 경험담에서, 나이 30세를 '而立'이라 함.【파생어】▶ 而立之年 (이립지년): 나이 30세.▣ 삼시금근, 삼십육계, 삼십이립 - 교본파일(32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82] ◈ 三 位 一 體 (삼위일체)【한자】 석 삼 / 자리 위 / 한 일 / 몸 체【의미】 세 가지 지위가 한 몸이라는 뜻으로, 세 가지 것이 서로 연관, 통합하여 목적하는 것의 하나가 되는 일인데, 종교에서 성부(聖父)와 성자(聖子), 성신(聖神)을 동일한 신격(神格)으로 여기는 교의(敎義)로도 봄.【字意】⊙ 位(위) 임금의 좌우에 쭉 늘어 서 있는 것에서 '자리', '지위'의 의미를 생성함. ⊙ 體(체) 신체 골격을 중심으로 몸의 형상을 의미
[983] ◈ 三 人 成 虎 (삼인성호)【한자】 석 삼 / 사람 인 / 이룰 성 / 범 호【의미】 세 사람이 호랑이를 만든다는 뜻으로,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통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근거 없는 말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되게 믿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衆口[金+樂]金 (중구삭금) : 뭇사람의 참소하는 말은 쇠도 녹임.【字意】⊙ 人(인) 본래 사람[大]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984] ◈ 三 日 天 下 (삼일천하)【한자】 석 삼 / 날 일 / 하늘 천 / 아래 하【의미】 삼일동안 천하를 얻었다는 뜻으로, 극히 짧은 기간 정권을 잡았다가 실권(失權)함을 비유하는 말.【유래】조선조 인조때 이괄의 난이나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개화당의 실각한 일에서 유래를 설명함.【字意】⊙ 日(일)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의 흑점으로 설명. ⊙ 天(천)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해 '아래'의 의미를 나타냄.▣ 삼위일체, 삼인성호, 삼일천하 - 교본파일(3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85] ◈ 三 從 之 道 (삼종지도)【한자】 석 삼 / 따를 종 / 어조사 지 / 도 도【의미】 세가지 따르는 도리라는 뜻으로, 봉건시대에 여자가 따라야 하는 도리로 어려서는 아버지, 시집가서는 남편, 늙어서는 아들을 따른다는 봉건적 잔재.【유의어】▶ 三從之義 (삼종지의).▶ 女必從夫 (여부종부) : 여자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字意】⊙ 從(종) 두 사람이 서로 따라간다[人人]는 의미에서 후에 걸어갈 척[두인변]과 '止(지)'가 추가되어 움직임을 나타나게 됨. ⊙ 道(도) 首(수)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갈 (착)[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의 의미 파생.
[986] ◈ 三 尺 童 子 (삼척동자)【한자】 석 삼 / 자 척 / 아이 동 / 아들 자【의미】 세자 밖에 안 되는 어린 아이라는 뜻으로, 어린애를 의미함. 삼척(三尺)은 작음을 형용하는 말.【字意】⊙ 尺(척) 길이를 재는 도구인 '자'의 의미. ⊙ 童(동) 보통 15살 이하의 아이를 표현. '兒(아)'는 젖먹이부터 젊은 남자까지 모두 사용.
[987] ◈ 三 遷 之 敎 (삼천지교)【한자】 석 삼 / 옮길 천 / 어조사 지 / 가르칠 교【의미】 세 번이나 옮긴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의 교육에 나쁜 영향을 주는 환경을 피하여 세 번이나 집을 옮긴 고사로, 자식교육에 대한 태도가 용의주도함을 비유함.【유의어】▶ 孟母三遷之敎 (맹모삼천지교) / ▶ 孟母三遷 (맹모삼천)【字意】⊙ 遷(천) 위치를 바꾸어 놓는다는 뜻에서 '옮기다'는 의미 생성. ⊙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敎(교) 아버지가 자식에게 글자를 가르치는 모양에서 '가르치다'는 의미 생성.▣ 삼종지도, 삼척동자, 삼천지교 - 교본파일(32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88] ◈ 三 寒 四 溫 (삼한사온)【한자】 석 삼 / 찰 한 / 넉 사 / 따뜻할 온【의미】 삼일은 차고 사일은 따뜻하다는 뜻으로, 겨울의 추위가 3∼4일을 두고 추위와 따뜻함이 변경되는 대륙성 기후현상의 하나임.【字意】⊙ 寒(한)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 ⊙ 溫(온) 온천의 의미에서 따뜻하고 온화하다는 의미 파생함
[989] ◈ 喪 家 之 狗 (상가지구)【한자】 잃을 상 / 집 가 / 어조사 지 / 개 구【의미】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字意】⊙ 喪(상) 哭(곡)과 亡(망)의 결합으로 잃어버린 것을 애타게 여겨 운다는 의미에서 후에 확대되어 '죽다'는 뜻 생성. ⊙ 家(가)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집', '가정'의 의미로 사용. ⊙ 狗(구) 犬(견)이 주로 부수자로 사용되자 별도 '개'의 의미로 만듦.
[990] ◈ 傷 弓 之 鳥 (상궁지조)【한자】 상할 상 / 활 궁 / 어조사 지 / 새 조【의미】 활을 맞은 새라는 뜻으로, 한 번 활을 맞았던 새는 전에 있었던 일에 질려서 뒤에 일을 몹시 경계한다는 의미.【준말】▶ 傷弓 (상궁)【字意】⊙ 傷(상) 몸을 다쳐 상처가 났다는 의미에서 '상하다'는 뜻 생성. ⊙ 弓(궁) 화살을 매기지 않은 활의 모양을 본뜬 글자. ⊙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鳥(조) 새의 눈과 날개, 다리 등을 강조한 모양. 다소 꽁지가 긴 큰 새의 의미로, 다소 작은 새인 '(추)'와 구별됨.▣ 삼한사온, 상가지구, 상궁지조 - 교본파일(33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021-0150 (0) | 2012.12.13 |
---|---|
이야기한자성어991-102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931-96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901-93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870-900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