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901-930

ria530 2012. 12. 11. 11:52

[901] 事 半 功 倍 (사반공배)한자일 사 / 반 반 / 공 공 / 곱 배의미일은 반이면서 공은 배라는 뜻으로, 적은 노력으로 많은 효과를 거둠을 이르는 말.반의어】▶ 事倍功半 (사배공반): 많은 노력에도 효과가 적음.字意()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에서 사건 자체인 ''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본래 소를 도살한 후 반으로 가른다는 의미에서 '절반' 의미 생성. () 힘써 일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공적'의 의미. ''은 발음. () 더한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902] 沙 鉢 農 事 (사발농사)한자모래 사 / 바리때 발 / 농사 농 / 일 사의미사발에 짓는 농사라는 뜻으로, 빌어먹는 일을 이르는 우리나라 성어.참고】▶ 沙鉢 (사발) : 우리나라에서 사기로 만든 밥그릇을 말함.字意() 보통 물[]이 줄어들면[] 모래가 드러난다는 의미에서 '모래'의 의미를 생성함. () 중의 밥그릇의 의미인 '바리때'로 범어의 음역임. () 곡식을 베는 모양에서 '농사'의 의미를 생성함.

 

[903] 沙 鉢 通 文 (사발통문)한자모래 사 / 바리때 발 / 통할 통 / 글월 문의미사발처럼 쓴 통문이라는 뜻으로, 누가 주모자(主謀者)인지 알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필두(筆頭)가 없이 관계자의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삥 돌려 가며 적은 통문.참고】▶ 通文 (통문): 여러 성명을 적어 차례로 돌려보는 통지문.字意()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채색' 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의 의미로 변천.사반공배, 사발농사, 사발통문 - 교본파일(30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04] 四 方 八 方 (사방팔방) 한자넉 사 / 모 방 / 여덟 팔 / 모 방의미네 방향 여덟 방면이라는 뜻으로, 모든 방향이나 방면을 의미함.유의어】▶ 四面八方 (사면팔방): 사면과 팔방. 모든 곳.字意() 사방[]으로 나누어지는[]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의 의미를 나타냄. () 농기구 모양이나 벌판의 영역표시 등에서 방향이나 모서리 등의 의미를 생성함. ()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를 표시해 '분별하다'는 의미에서 음수(陰數: 짝수)의 완성으로 설정해 '()'의 네 배를 의미하는 '여덟'의 뜻을 도출함.

 

[905] 駟 不 及 舌 (사불급설)한자사마 사 / 아니 불 / 미칠 급 / 혀 설의미(빠른) 사마라도 자기 혀엔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 한 번 내뱉은 말은 네 마리가 끄는 빠른 마차도 따라 잡지 못하듯이 뜬소문이 쉽게 퍼짐을 비유하는 '말조심'을 하라는 의미.유의어】▶ 駟馬難追 (사마난추): 사마라도 쫓기 어렵다. [ = 駟馬不能追 (사마불능추) ].字意() 한 수레에 메우는 네 마리의 말이나, 네 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 의미. ()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를 표현해 '아니다'는 의미 도출. () 사람[]과 손[]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 () 입과 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거나 입과 범한다는 의미의 결합으로도 봄.

 

[906] 事 不 如 意 (사불여의)한자일 사 / 아니 불 / 같을 여 / 뜻 의의미일이 뜻과 같지 않다는 뜻으로, 일이 뜻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이르는 말.반의어】▶ 事事如意 (사사여의): 일마다 뜻대로 다 됨.字意()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에서 사건 자체인 ''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중세 남성 중심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마음 속의 생각을 겉으로 나타낸다는 의미로 주관적인 '의미'의 뜻을 지님. 는 객관적인 '의미'.사방팔방, 사불급설, 사불여의 - 교본파일(30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07] 舍 本 治 末 (사본치말)한자집 사 / 근본 본 / 다스릴 치 / 끝 말의미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일의 본말이 전도된 상황을 의미함.유의어主客顚倒 (주객전도): 사물의 경중·선후 등이 서로 바뀜.本末顚倒 (본말전도): 근본과 말단이 바뀌어 뒤바뀜.字意()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와 가차로 사용. () 나무의 아래쪽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근본'의 의미 파생. ()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을 생성함. () 나무의 위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인 '()'의 반대 개념으로 ''의 의미 생성

 

[908] 四 分 五 裂 (사분오열)한자넉 사 / 나눌 분 / 다섯 오 / 찢어질 렬의미넷 다섯 등 여러 갈래로 갈기갈기 찢긴다는 뜻으로, 천하가 어지러운 모양을 의미하는 것에서 내부적으로 여러 갈래로 갈라서는 상황을 비유함.유의어】▶ 自中之亂 (지중지란): 같은 패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관련어】▶ 離合集散 (이합집산): 헤어졌다가 모였다가 하는 일.字意() 사방[]으로 나누어지는[]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의 의미를 나타냄. () []로 나눈다[]의 의미에서 '나누다', '구별하다' 등의 의미 생성. () 음양의 조화로 인해 오행이 만들어지는 것에서 에 조화의 부호를 더함. () 찢어지고 갈라진다는 의미. ()은 발음.

 

[909] 事 事 件 件 (사사건건)한자일 사 / 일 사 / 사건 건 / 사건 건의미일마다 사건마다라는 뜻으로, 모든 일 또는 온갖 사건을 의미하거나 일마다의 부사적 의미로 사용됨.동의어】▶ 件件事事 (건건사사).字意()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에서 사건 자체인 ''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일이나 조건의 의미로 후에 사물을 수를 세는 단위로도 사용됨.사본치말, 사분오열, 사사건건 - 교본파일(30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10] 四 捨 五 入 (사사오입)한자넉 사 / 버릴 사 / 다섯 오 / 들 입의미) 4는 버리고 5는 들인다는 뜻으로, 수학에서 우수리를 처리할 때 4이하면 잘라 버리고 5이상이면 잘라 올리는 셈법인데, 우리 현대사에서 자유당의 부정 개헌(改憲) 파동에 사용되었던 용어로 알려짐.字意() 사방[]으로 나누어지는[]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의 의미를 나타냄. () 내버리거나 내버려두다는 의미. ()는 발음 요소. () 음양의 조화로 인해 오행이 만들어지는 것에서 에 조화의 부호를 더함. ()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911] 沙 上 樓 閣 (사상누각)한자모래 사 / 윗 상 / 다락 루 / 누각 각의미모래 위의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비유하는 헛된 것을 의미함.[ = 砂上樓閣 ]字意() 보통 물[]이 줄어들면[] 모래가 드러난다는 의미에서 '모래'의 의미를 생성함. ()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 '올라가다' 등의 의미를 나타냄. '()'는 반대. () 전망을 할 수 있도록 지어 놓은 건축물인데, '다락' 의미로 쓰임. () 본래 문설주의 의미로 만들어졌으나, 후에 '정자[]'와 유사한 '누각'의 의미로 활용되었고, 또 조직 속의 구성원이란 의미에서 '각료'의 뜻을 파생함.

 

[912] 泗 上 弟 子 (사상제자)한자사사 사 / 윗 상 / 아우 제 / 아들 자의미사수가의 제자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사수(泗水)의 근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의미에서 공자의 제자나 공자의 학파를 의미함.字意() 물이름. () 본래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의 모양인데, 후에 아우나 제자의 의미로 변함. 사다리는 ''을 더해 ''로 만들고 '순서'의 의미 파생.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사사오입, 사상누각, 사상제자 - 교본파일(30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13] 死 生 決 斷 (사생결단)한자죽을 사 / 날 생 / 결단할 결 / 끊을 단의미죽음과 삶을 놓고 결단을 내린다는 뜻으로, 죽음을 각오하고 대들어 끝장을 낸다는 의미.字意()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 본래 제방이 무너져 물이 넘쳐흐른다는 의미에서 '갈라지다', '결정되다' 등의 의미 생성. () 실타래의 묶음에 도끼를 더해 확실하게 자른다는 의미.

 

[914] 死 生 榮 辱 (사생영욕)한자죽을 사 / 날 생 / 영화 영 / 욕될 욕의미죽음과 삶과 영예와 치욕의 뜻으로, 인간 삶의 파란만장(波瀾萬丈) 인생 역정의 의미.유의어】▶ 生死苦樂 (생사고락): 죽음과 삶과 괴로움과 즐거움.字意() 나무 가지에 꽃들이 활짝 펴있는 모양에서 '화려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이고, ()'()'의 의미. 별로 때를 알아서 농사짓던 것에서 때를 잃었을 때 ''으로 '욕보인다'는 의미 생성.

 

[915] 捨 生 取 義 (사생취의)한자버릴 사 / 날 생 / 취할 취 / 옳을 의의미목숨을 버리고 의를 취한다는 뜻으로, 비록 목숨을 버릴지언정 옳은 일은 그만두지 않겠다는 의미.관련어】▶ 殺身成仁 (살신성인): 자신을 희생해서 옳은 인을 이룸.字意() 내버리거나 내버려두다는 의미. '()'는 발음 요소. ()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동물의 결정체를 자신에게 비유해 바르고 깨끗한 '정의', '옳다' 등의 의미 생성.사생결단, 사생영욕, 사생취의 - 교본파일(30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16] 社 鼠 城 狐 (사서성호)한자땅신 사 / 쥐 서 / 성 성 / 여우 호의미사당의 쥐와 성곽의 여우라는 뜻으로, 사람들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신전(神殿)이나 성곽(城郭)에 깃들어 사는 쥐나 여우처럼 임금 측근에 있는 간신들을 비유하는 말.유래】▶ 社鼠不可熏去 (사서불가훈거): 신전에 사는 쥐는 불을 지펴서 쫓을 수 없다.유의어】▶ 至當大臣 (지당대신): 간언 없이 무조건 당연하다는 간신.字意() 토지의 주신의 의미에서 후에 신을 모신 사당의 의미로 확대됨. ()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 지역을 지키는 성의 의미. '()'은 발음. '內城外郭(내성외곽)'을 합해 '城郭(성곽)'이라 함. () 혼자 생활하는 '여우'의 속성으로 만든 글자.

 

[917]四 書 五 經 (사서오경)한자넉 사 / 글 서 / 다섯 오 / 날실 경의미사서와 오경이라는 뜻으로, 유학(儒學)의 경전(經傳)을 의미함.참고四書 : 論語(논어), 孟子(맹자), 大學(대학), 中庸(중용).五經 : 詩經(시경), 書經(서경), 易經(역경)[三經(삼경)] / 禮記(예기), 春秋(춘추).字意() 사방[]으로 나누어지는[]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의 의미를 나타냄. ()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에서 '쓰다''' 의미 생성. () 음양의 조화로 인해 오행이 만들어지는 것에서 ''에 조화의 부호[X]를 더함. () 본래 옷감을 짤 때 베틀의 세로로 엮는 날줄 의미. 후에 '지나가다', '세로', '다스리다' 등 파생.

 

[918] 射 石 飮 羽 (사석음우)한자쏠 사 / 돌 석 / 마실 음 / 깃 우의미돌을 쏘았는데 터럭에 박혔다는 뜻으로,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는데 깃까지 들어가 박혔다는 초()의 양유기(養由基)와 한()의 이광(李廣)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열성(熱誠)을 다하면 어떤 일이든지 성취할 수 있다는 의미.관련어】▶ 精神一到 何事不成 (정신일도하사불성).字意() 본래 오른쪽이 '()'에서 '()'으로 바뀐 것으로 몸에서 화살이 나간다는 뜻에서 '활을 쏘는 법도'의 의미로 확대됨. () 벼랑에서 돌을 떼어내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석재(石材)'의 의미 생성. () 음료를 '마신다'는 의미. 여기서는 '화살 깊숙이 들어가다'는 의미. () 새의 날개나 긴 깃털의 모양의 글자로 '', '날개'를 의미함.사서성호, 사서오경, 사석음우 - 교본파일(30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19] 四 時 長 春 (사시장춘)한자넉 사 / 때 시 / 길 장 / 봄 춘의미사시절이 늘 봄빛이라는 뜻으로, 늘 잘 지내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구별어】▶ 四時春風 (사시춘풍): 누구에게나 늘 좋은 낯으로 대하며 무사태평한 사람.字意() 사방[]으로 나누어지는[]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의 의미를 나타냄. () 때를 구분하는 시간의 의미. () 긴 머리와 수염을 드리운 사람을 본떠 나이가 들어 길게 자란 머리와 수염을 표현해 '길다', '오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어른'의 의미 파생. ()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920] 蛇 心 佛 口 (사심불구)한자뱀 사 / 마음 심 / 부처 불 / 입 구한자뱀 같은 간악한 마음에 부처 같은 자비로운 말 이라는 뜻으로, 속은 악독하면서도 겉으로는 후덕(厚德)한 체 함을 의미함.관련어】▶ 口蜜腹劍 (구밀복검): 입에는 꿀, 뱃속에는 칼.字意() 본래 뱀의 모양인데 변형되자 의미를 살리기 위해 '벌레()'을 더함. () 사람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고대에는 심장에서 두뇌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인식함. () 부처의 의미로 범어인 'Buddha'의 음역 '불타'를 의미함. ()은 발음 역할. ()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 파생.

 

[921] 師 心 自 用 (사심자용)한자스승 사 / 마음 심 / 스스로 자 / 쓸 용의미마음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쓴다는 뜻으로, 자기가 생각하는 일은 다 옳다 하여 그대로만 하고 남의 말은 귀기울이지 않는다는 의미.유의어】▶ 師心自是 (사심자시): 자기 생각만 옳다고 함.字意() 고대 군대의 단위에서 사람들을 이끈다는 의미에서 '스승'의 의미를 파생함. ()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 '자신' 등의 의미 파생. () 나무 조각으로 만든 통으로 보거나, 점을 친다는 의미의 '()'과 맞다는 의미의 '()'을 합한 글자로, 점을 쳐서 맞으면 반드시 시행했다는 의미에서 '쓰다','사용하다'는 의미로 활용됨.사시장춘, 사심불구, 사심자용 - 교본파일(30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22] 四 十 而 不 惑 (사십이불혹)한자넉 사 / 열 십 / 말이을 이 / 아니 불 / 미혹할 혹의미나이 사십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의 도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어 어떠한 일에도 의혹되는 일이 없었다는 공자의 말로, '不惑'은 나이 40세로 사용됨. [ 不惑之年(불혹지년) ]출천】▶ 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慾不踰矩. <論語>字意() 남북과 동서가 서로 교차되어 합쳐 중앙까지 모두 갖추었다는 의미에서 수()에서 모두 갖춘 '10', ''의 뜻으로 설명.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무엇에 홀려 정신을 못 차리는 '미혹하다'는 의미.

 

[923] 四 十 初 襪 (사십초말)한자넉 사 / 열 십 / 처음 초 / 버선 말의미갓 마흔에 첫 버선이라는 뜻으로, 늙어서야 마음먹은 일이 이루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성어.관련어】▶ 大器晩成 (대기만성): 큰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字意() 사방[]으로 나누어지는[]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의 의미를 나타냄. () 옷을 만들 때 옷감을 마름질하는 의미로 옷 만드는 첫 번째 과정이라는 의미에서 '처음'의 의미 생성. () 버선의 의미. 족의(足衣).

 

[924] 使 羊 將 狼 (사양장랑)한자하여금 사 / 양 양 / 장수 장 / 이리 랑의미양으로 하여금 이리의 장수가 되게 한다는 뜻으로, 약자에게 강자를 통솔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羊將狼 (양장랑).字意使()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에서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는 의미 생성함. 후에 사역(使役)의 의미로도 확대되어 사용됨. () 양의 둥근 뿔과 코 등을 강조해서 표현함. () 나무 위에 고기를 놓고 요리하려는 의미에서 '앞으로 일어날 상황''장차'의 의미 생성. 후에 '장수'의 의미 파생. () 산짐승인 이리의 의미. 사는 동굴의 어지러움으로 인해 '어수선하다'는 의미 파생.사십이불혹, 시십초말, 사양장랑 - 교본파일(30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25] 射 魚 指 天 (사어지천)한자쏠 사 / 물고기 어 / 가리킬 지 / 하늘 천의미물고기를 쏘는데 하늘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물고기를 잡는데 하늘을 바라보는 것처럼 당치 않은 일을 하려한다는 의미.유의어】▶ 緣木求魚 (연목구어):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字意() 본래 오른쪽 모양이 ()에서 ()으로 바뀐 것으로 몸에서 화살이 나간다는 의미에서 활을 쏘는 법도의 의미로 확대됨.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손가락의 의미에서 '가리키다', '지시하다' 등의 뜻 파생.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926] 乍 往 乍 來 (사왕사래)한자갑자기 사 / 갈 왕 / 갑자기 사 / 올 래의미갑자기 갔다가 갑자기 온다는 뜻으로, 변화(變化)가 심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變化無雙 (변화무쌍): 더없이 변화가 많음.字意() 그쳐 멈춘다는 의미에서 '잠깐', '갑자기' 등의 뜻을 파생함. () 발의 의미인 ()에서 '가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는 본래 '()'에서 변한 것임[발음 역할]. () 본래 '보리' 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를 생성함. '보리'는 별도의 '()'자를 만듦.

[927] 似 而 非 (사이비)한자같을 사 / 말이을 이 / 아닐 비의미비슷하지만 아니라는 뜻으로, 같아 보이나 실제로는 다르다는 의미.유의어】▶ 似是而非 (사시이비): 옳은 것 같으나 실은 틀림.字意() 흉내내 닮은 의미에서 '같다' 등의 의미 생성.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 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를 만듦.사어지천, 사왕사래, 사이비 - 교본파일(30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928] 死 而 後 已 (사이후이)한자죽을 사 / 말이을 이 / 뒤 후 / 그칠 이의미죽은 뒤에야 그친다는 뜻으로, 죽을 때까지 노력하여 그치지 않음을 의미.유의어】▶ 斃而後已 (폐이후이): 쓰러져 죽은 뒤에야 그만둠.字意()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작은 발걸음으로 천천히 걷는 다는 의미에서 ''의 뜻 생성. () 그만두다, 그치다 등의 의미. 문장 속에서는 부사 '이미'의 의미로 많이 쓰임.

 

 

[929] 事 人 如 天 (사인여천)한자섬길 사 / 사람 인 / 같을 여 / 하늘 천의미사람 섬기기를 하늘 같이 하라는 뜻으로, 사람들 사이의 서로 공경함을 한울님 공경하듯이 하라는 천도교(天道敎)의 윤리 강령.관련어】▶ 人乃天 (인내천): 사람이 곧 하늘이라.字意()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에서 사건 자체인 ''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930] 獅 子 吼 (사자후)한자사자 사 / 아들 자 / 울 후의미사자의 으르렁거리는 소리라는 뜻으로, 부처의 설법에 뭇 악마가 굴복한 데서 '부처의 설법'을 의미하거나, 진리나 정도를 설하여 사설(邪說)을 갈파하는 것을 의미함.관련어】▶ 天上天下唯我獨尊(천상천하 유하독존): 우주 가운데 나 하나만이 존귀하다.字意() 사자의 의미.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사나운 짐승이 우는 소리의 의미.사이후이, 사인여천, 사자후 - 교본파일(3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961-990  (0) 2012.12.11
이야기한자성어931-960  (0) 2012.12.11
이야기한자성어870-900  (0) 2012.12.11
이야기한자성어841-870  (0) 2012.12.11
이야기사자성어811-840  (0) 2012.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