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1] ◈ 氷 淸 玉 潔 (빙청옥결) 【한자】 얼음 빙 / 맑을 청 / 구슬 옥 / 깨끗할 결【의미】 얼음같이 맑고 옥처럼 깨끗하다는 뜻으로, 맑고 깨끗한 덕성(德性)을 비유하는 말.【동의어】▶ 氷淸玉粹 (빙청옥수) 【구별어】▶ 氷淸玉潤 (빙청옥윤): 훌륭한 장인과 훌륭한 사위를 비유.【字意】⊙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玉(옥) 옥에 구멍을 뚫어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인데, 임금[王]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해 놓음. 부수로 사용될 경우는 글자의 모양을 임금 왕(王)자로 표현함. ⊙ 潔(결) 더러움 없이 깨끗하거나 품행이 바르다는 의미.
[872] ◈ 氷 炭 不 相 容 (빙탄불상용)【한자】 얼음 빙 / 숯 탄 / 아니 불 / 서로 상 / 얼굴용【의미】 얼음과 숯이 서로 용납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서로 성질이 다른 얼음과 물처럼 서로 융화되거나 화합할 수 없는 사이를 이름.【동의어】▶ 氷炭不同器 (빙탄부동기) / ▶ 氷炭不相竝 (빙탄불상병)【字意】⊙ 炭(탄) 산에서 캐낸 석탄 등을 불에 구워 숯을 만들었다는 의미. ⊙ 相(상)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정승' 의미 파생. ⊙ 容(용) 본래 집이나 골짜기 모두 물건을 '담다'는 의미에서 확대되어 '받아들이다, 용서하다'는 의미와 일상의 동작에서 '용모'의 뜻 생성.
[873] ◈ 氷 炭 相 愛 (빙탄상애)【한자】 얼음 빙 / 숯 탄 / 서로 상 / 사랑할 애【의미】 얼음과 숯불이 서로 사랑한다는 뜻으로,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나, 얼음과 숯이 서로 본질을 보전한다는 의미에서 친구끼리 서로 훈계해 나감을 비유하기도 함.【반의어】▶ 氷炭不相容 (빙탄불상용)【字意】⊙ 相(상)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정승' 의미 파생. ⊙ 愛(애) 위쪽과 아래쪽이 사람의 손 모양으로 두 손으로 마음을 전달해 준다는 의미에서 '마음으로 전해준다'는 의미로 확대되어 '아끼다', '사랑하다'는 의미 파생.▣ 빙청옥결, 빙탄불상용, 빙탄상애 - 교본파일(29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74] ◈ 舍 車 而 徒 (시거이도)【한자】 집 사 / 수레 거 / 말이을 이 / 무리 도【의미】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불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반의어】▶ 曲學阿世 (곡학아세): 배움을 굽혀 세상에 아부함.【字意】⊙ 舍(사)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집'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捨(사)'와 가차로 사용됨. ⊙ 車(거) 마차의 수레를 본뜬 글자로, 현재는 바퀴가 하나로 생략된 상태임. ⊙ 徒(도) 길에서 걷는 사람들의 의미에서 '무리'의 의미를 생성함. 여기서는 '걷다'는 의미.
[875] ◈ 使 鷄 司 夜 (사계사야)【한자】 하여금 사 / 닭 계 / 맡을 사 / 밤 야【의미】 닭으로 하여금 밤을 맡긴다는 뜻으로, 닭에게 밤 시각을 알리는 일을 맡기는 것처럼, 알맞은 인재에 적합한 일을 맡긴다는 의미.【유의어】▶ 適材適所 (적재적소): 알맞은 인재를 알맞은 자리에 씀.【字意】⊙ 使(사)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에서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는 의미 생성함. 사역(使役)의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됨. ⊙ 鷄(계) 왼쪽 부분은 발음 (계), 가금(家禽)인 '닭'의 의미. ⊙ 司(사) 임금의 의미인 '后(후)'를 뒤집어 놓은 모양에서 임금의 상대인 신하의 의미를 생성하고 일을 담당한다는 '맡다'는 의미를 파생함. 혹은 손이 하는 일의 의미로도 봄. ⊙ 夜(야) 달의 의미인 '夕(석)'을 사용해서 밤을 의미했고, '亦(역)'은 발음의 변화.
[876] ◈ 四 顧 無 親 (사고무친)【한자】 넉 사 / 돌아볼 고 / 없을 무 / 친할 친【의미】 사방을 돌아보아도 친한 이가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만한 사람이 도무지 없는 외로움을 의미함.【유의어】▶ 孤立無援 (고립무원): 외로운 신세로 의지할 데가 없다.▶ 四顧無人 (사고무인): 주위에 사람이 없어 쓸쓸함.【字意】⊙ 四(사) 사방[口]으로 나누어지는[八]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인 '넷'의 의미를 나타냄. ⊙ 顧(고) 머리를 돌려 뒤를 돌아보는 것에서 사방을 둘러보거나, 마음에 두고 생각한다는 의미 생성. ⊙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를 만듦. ⊙ 親(친)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어버이', '친하다', '몸소' 등의 의미 도출.▣ 사거이도, 사계사야, 사고무친 - 고본파일(29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77] ◈ 四 君 子 (사군자)【한자】 넉 사 / 임금 군 / 아들 자【의미】 네 군자라는 뜻으로, 군자의 고결함과 비유될 수 있는 네 식물, 곧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이름. 혹은 묵화(墨畵)에서 네 나무를 그린 그림을 이르기도 함.【동의어】▶ 梅蘭菊竹 (매란국죽):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字意】⊙ 四(사) 사방[口]으로 나누어지는[八]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인 '넷'의 의미를 나타냄. ⊙ 君(군) 호령하는 의미를 지닌 막대를 들고 있는 지도자인 '尹(윤)'의 모양에 명령의 상징인 '口(구)'를 더함.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878] ◈ 事 君 以 忠 (사군이충)【한자】 일 사 / 임금 군 / 써 이 / 충성 충【의미】 임금 섬기기를 충성으로써 한다는 뜻으로, 신라(新羅) 때에 화랑(花郞)의 다섯 가지 계율(戒律)인 세속오계(世俗五戒)중의 하나.【참고】▶ 세속오계 : 事君以忠, 事親以孝(사친이효), 交友以信(교우이신), 臨戰無退(임전무퇴), 殺生有擇(살생유택)【字意】⊙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以(이) 본래 '그만두다'는 '已(이)'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人을 더함. ⊙ 忠(충) '中心'의 의미로 본래 자신의 마음을 다한다는 '정성', '진심'의 의미였는데, 중세에 그 대상이 임금이었기에 '충성'의 의미로 변함.
[879] ◈ 射 空 中 鵠 (사공중곡)【한자】 쏠 사 / 빌 공 / 가운데 중 / 고니 곡【의미】 허공에 대고 쏘았는데 과녁에 적중한다는 뜻으로, 무턱대고 한 일에 성공하게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우리나라 성어.【관련속담】▶ 소가 뒷걸음질하다가 쥐 잡는다.【상대속담】▶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 鷄卵有骨 (계란유골)]【字意】⊙ 射(사) 본래 오른쪽 모양이 矢(시)에서 寸(촌)으로 바뀐 것으로 몸에서 화살이 나간다는 의미에서 활을 쏘는 법도의 의미로 확대됨. ⊙ 空(공) 구멍[穴(혈)]이 비어있다는 의미에서 '비다', '헛되다' 등의 의미 생성. ⊙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여기서는 '적중하다'는 의미. ⊙ 鵠(곡) 머리부분만 검은 고니[백조]의 의미에서 활의 과녁의 한 가운데를 의미를 파생함.[ 正鵠(정곡)]▣ 사군자, 사군이충, 사공중곡 - 교본파일(29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80] ◈ 舍 近 交 遠 (사근교원)【한자】 버릴 사 / 가까울 근 / 사귈 교 / 멀 원【의미】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곳과 사귄다는 뜻으로, 가까운 친척은 버리고 소원(疏遠)한 사람과 사귄다는 의미.【유의어】▶ 捨近取遠 (사근취원): 가까운 곳을 버리고 먼 곳을 취함.▶ 遠交近攻 (원교근공): 먼 곳은 사귀고 가까운 곳은 공격함.【字意】⊙ 舍(사)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집'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捨(사)'와 가차로 사용됨. ⊙ 近(근)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곁'이나 '친척' 등의 의미 파생. ⊙ 交(교) 두 발을 서로 교차해서 꺾고 있는 모양에서 서로 '사귄다'는 의미 생성. 후에 '서로 주고받다'는 뜻 파생. ⊙ 遠(원)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멀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부호.
[881] ◈ 事 急 計 生 (사급계생)【한자】 일 사 / 급할 급 / 꾀 계 / 날 생【의미】 일이 다급하면 계책이 생긴다는 뜻으로, 일이 급박(急迫)하면 좋은 계책(計策)이 생겨난다는 의미.【유의어】▶ 窮卽通 (궁즉통): 궁하면 통한다.【字意】⊙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急(급) 마음이 바빠 서두르고 바쁘다는 의미. ⊙ 計(계) 숫자의 완성인 '十'을 놓고 말한다[言]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 ⊙ 生(생)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882] ◈ 使 驥 捕 鼠 (사기포서)【한자】 하여금 사 / 천리마 기 / 잡을 포 / 쥐 서【의미】 천리마로 하여금 쥐를 잡게 한다는 뜻으로, 사람을 쓸 줄 몰라 유능한 사람을 말직(末職)에 임명함을 비유하는 말.【반의어】▶ 適材適所 (적재적소): 알맞은 인재를 알맞은 자리에 씀.【字意】⊙ 使(사)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에서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는 의미 생성함. 사역(使役)의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됨. ⊙ 驥(기) 하루에 천리를 달린다는 천리마의 의미에서 후에 뛰어난 인재의 의미로 확대됨. ⊙ 捕(포) 사로잡아 붙잡는다는 의미. ⊙ 鼠(서)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사근교원, 사급계생, 사기포서 - 교본파일(29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83] ◈ 士 農 工 商 (사농공상)【한자】 선비 사 / 농사 농 / 장인 공 / 장사 상【의미】 선비와 농민, 장인, 상인의 뜻으로, 과거 계급제 사회의 신분 계급의 순서처럼 여겨지던 바로잡아야 할 중세 관념.【관련어】▶ 班常序列 (반상서열): 양반과 상민의 서열.【字意】⊙ 士(사) 넓적한 날로 된 도끼의 모양에서 도끼를 다루는 남자의 상징으로 사용됨. 후에 신분의 계급으로 변화. ⊙ 農(농) 곡식을 베는 모양에서 '농사'의 의미를 생성함. ⊙ 工(공) 공구와 같은 도구를 잡고 있는 모양에서 '장인'의 의미 생성. ⊙ 商(상) 주거지 위에 새의 상징을 표시한 중국 고대 부족으로 고대 '商나라'의 의미인데, 멸망한 후에 떠돌면서 장사를 해 '상인'의 의미 생성. 또 많은 계산으로 '헤아리다'는 의미 파생.
[884] ◈ 四 端 (사단)【한자】 넉 사 / 실마리 단【의미】 네 실마리라는 뜻으로, 인간의 마음 속에 선천적으로 내재된 네 가지 도덕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도덕적 실마리를 의미함.【四端】▶ 惻隱之心 (측은지심): 불쌍하고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 羞惡之心 (수오지심): 미워하고 부끄러워하는 마음.▶ 辭讓之心 (사양지심): 사양하고 양보하는 마음.▶ 是非之心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字意】⊙ 四(사) 사방[口]으로 나누어지는[八]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인 '넷'의 의미를 나타냄. ⊙ 端(단) 비뚤어지지 않고 바로잡는다는 의미에서 '실마리', '끝' 등의 뜻을 파생함.
885] ◈ 舍 短 取 長 (사단취장)【한자】 버릴 사 / 짧을 단 / 취할 취 / 길 장【의미】 단점은 버리고 장점은 취한다는 뜻으로, 나쁜 점은 버리고 좋은 점을 취한다는 의미.【관련어】▶ 絶長輔短 (절장보단):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강한다. 곧, 장점으로 단점을 보충함을 일컬음.【字意】⊙ 舍(사)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집'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捨(사)'와 가차로 사용. ⊙ 短(단) 길지 않은 것으로 矢와 豆를 비유해서 '짧다'는 의미 생성. ⊙ 取(취) 전쟁에서 이겨 손[又]으로 적군의 귀[耳]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長(장) 긴 머리와 수염을 드리운 사람을 본떠 나이가 들어 길게 자란 머리와 수염을 표현해 '길다', '오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어른'의 의미 파생.▣ 사농공상, 사단, 사단취장 - 교본파일(29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86] ◈ 士 大 夫 (사대부)【한자】 선비 사 / 큰 대 / 사내 부【의미】 사와 대부라는 뜻으로, 관직이 있는 사람이나 군대의 장교 등을 의미하거나 우리나라에서는 글 읽는 선비[士]와 벼슬하는 관리[大夫] 등의 개념으로 문벌(門閥)이 높은 집안의 사람인 사족(士族)의 의미로 사용됨.【관련어】▶ 士君子 (사군자): 학문과 덕행이 높은 사람. 紳士(신사)【字意】⊙ 士(사) 넓적한 날로 된 도끼의 모양에서 도끼를 다루는 남자의 상징으로 사용됨. 후에 신분의 계급으로 변화. ⊙ 大(대)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887] ◈ 事 大 主 義 (사대주의)【한자】 일 사 / 큰 대 / 주인 주 / 옳을 의【의미】 큰 것을 섬기는 주의라는 뜻으로, 일정한 주견도 없이 세력이 큰 쪽을 붙좇아 섬기면서 자기의 안전을 꾀하려고 하는 주의.【관련어】▶ 事大思想 (사대사상) / ▶ 事大黨 (사대당)【字意】⊙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主(주) 촛대 위에서 타고 있는 촛불의 모양으로 밤에 집안을 밝히는 중심이라는 의미에서 '주인' 의미 생성. ⊙ 義(의) 羊(양)과 我(아)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동물의 결정체를 자신에게 비유해 바르고 깨끗한 '정의', '옳다' 등의 의미 생성.
[888] ◈ 査 頓 八 寸 (사돈팔촌)【한자】 조사할 사 / 조아릴 돈 / 여덟 팔 / 마디 촌【의미】 사돈의 팔촌이라는 뜻으로, 소원(疎遠)한 친척으로 남이나 다를 바 없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참고】▶ 査頓 : 혼인한 두 집의 부모끼리, 또는 그 두 집의 같은 항렬되는 친족끼리 서로 부르는 말.【字意】⊙ 査(사) 사실을 조사하는 의미. 且(차)가 발음 요소. 여기서는 사돈의 의미. ⊙ 頓(돈) 머리를 숙여 절하는 '조아리다'는 의미. ⊙ 八(팔)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를 표시해 '분별하다'는 의미에서 음수(陰數: 짝수)의 완성으로 설정해 '二(이)'의 네 배를 의미하는 '여덟'의 뜻을 도출함. ⊙ 寸(촌) 손 의미의 '又(우)'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임.▣ 사대부, 사대주의, 사돈팔촌 - 교본파일(29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89] ◈ 辭 達 而 已 矣 (사달이이의)【한자】 말 사 / 통달할 달 / 말이을 이 / 이미 이 / 어조사 의【의미】 말이 통달할 뿐이라는 뜻으로, 말은 그 뜻이 남에게 전달되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말의 정교함[辭巧]보다는 의미의 전달[辭達]에 역점을 둔 공자(孔子)의 입장. <論語>【字意】⊙ 辭(사) 죄인에게 낙인찍는 칼의 모양인 '辛(신)'에서 본래 '잘잘못을 따지다'는 의미인데, 후에 '말'이나 '글', 또 '감사', '사양' 등의 의미를 파생함. ⊙ 達(달) 다다라 이르렀다는 의미에서 '통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통달하다'는 의미 파생. ⊙ 而(이)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矣(의) 단정이나 결정 등의 어기를 표현하는 어조사 역할[=也].
[890] ◈ 祠 堂 養 子 (사당양자)【한자】 사당 사 / 집 당 / 기를 양 / 아들 자【의미】 사당의 양자라는 뜻으로, 죽은 사람을 양자로 삼아서 대를 잇게 하는 일의 의미.【동의어】▶ 白骨養子 (백골양자)【字意】⊙ 祠(사) '제사'를 지내는 의미에서 '사당'의 뜻으로 확대됨. ⊙ 堂(당) 여러 사람을 수용해서 거처할 수 있는 '집'의 의미. ⊙ 養(양) 양을 사육하는 의미에서 '기르다'는 의미 생성.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891] ◈ 私 利 私 慾 (사리사욕)【한자】 사사 사 / 이로울 리 / 사사 사 / 욕심 욕【의미】 사사로운 이익과 사사로운 욕심이라는 뜻으로, 공리(公利)를 버리고 자기 일신의 이익을 탐하는 행위의 의미.【유의어】▶ 私利私腹 (사리사복): 사사로운 이익으로 배를 채움.【字意】⊙ 私(사) 사사로운 개인의 상징으로 벼[禾]를 사용해 '사사롭다'는 의미 생성. ⊙ 利(리) 벼[禾]를 베는 칼[刀]의 의미에서 '날카롭다'는 의미 생성. 후에 수확의 결과로 인해 '이익', '편하다' 등의 의미 파생. ⊙ 慾(욕) 본래 '欲'과 통용되는 글자나, 우리나라에서는 '욕심'의 의미로 사용함. '欲(욕)'은 '하고자 하다'는 의미.▣ 사달이이의, 사당양자, 사리사욕 - 교본파일(29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92] ◈ 徙 木 之 信 (사목지신)【한자】 옮길 사 / 나무 목 / 어조사 지 / 믿을 신【의미】 나무를 옮긴 것에 대한 신의라는 뜻으로, 위정자가 백성을 속이지 않는 백성에 대한 신의를 밝힌다는 의미.【고사】진의 상앙이 법령을 제정할 때 남문에 큰 나무를 세워놓고 북문으로 옮기는 사람에게 상금을 준다는 소문을 내고는 짐짓 옮기는 사람에게 상금을 주자 사람들이 법령도 신뢰하게 되었다는 고사.《史記(사기)》〈商君列專(상군열전)〉【동의어】▶ 移木之信 (이목지신)【반의어】▶ 食言 (식언) 말을 안 지킴.【字意】⊙ 徙(사) 장소를 옮겨서 자리를 바꾼다는 의미. ⊙ 信(신) 말로 사람을 평가할 수 있는, 그래서 신의가 있는 사람이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의미.
[893] ◈ 四 面 楚 歌 (사면초가)【한자】 넉 사 / 얼굴 면 / 가시나무 초 / 노래 가【의미】 사방에서 초나라 노랫소리가 들린다는 뜻으로, 적에게 포위되어 고립된 상태나 주위 사람들이 모두 자기 의견을 반대하여 고립된 상태를 의미함.【고사】초한(楚漢)의 싸움에서 초의 항우(項羽)가 해하(垓下)에서 포위되어 한에게 모두 투항해 초의 노래를 구슬프게 부른다고 생각한 탄식. <史記(사기)> <項羽本紀(항우본기)>【유의어】▶ 進退維谷 (진퇴유곡) : 進退兩難 (진퇴양난)▶ 孤立無援 (고립무원) : 도와줄 데 없이 홀로 서 있음.【字意】⊙ 楚(초) 인삼초, 가시나무 의미. 중국 양자강 하류 일대 지역을 지칭함. ⊙ 歌(가) '可'는 발음이면서 소리를 낸다는 의미까지 포함. '欠(흠)'은 입을 벌린다는 의미.
[894] ◈ 四 面 春 風 (사면춘풍)【한자】 넉 사 / 얼굴 면 / 봄 춘 / 바람 풍【의미】 모든 면이 두루 다 봄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누구에게나 모나지 않고 둥글둥글 대하는 일이나 또는 그러한 사람을 의미하는 우리나라 성어.【字意】⊙ 四(사) 사방[口]으로 나누어지는[八]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인 '넷'의 의미를 나타냄. ⊙ 面(면) 코{自}에 양쪽 뺨과 이마를 더해 사람의 얼굴을 표현. 후에 '대면하다', '방면' 등의 의미 파생. ⊙ 春(춘)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사목지신, 사면초가, 사면춘풍 - 교본파일(29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95] ◈ 蛇 無 頭 不 行 (사무두불행)【한자】 뱀 사 / 없을 무 / 머리 두 / 아니 불 / 행할 행【의미】 뱀이 머리가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무리를 지어 횡행하는 자는 두목이 없으면 일을 할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字意】⊙ 蛇(사) 본래 뱀의 모양인데 변형되자 의미를 살리기 위해 벌레(충)을 더함. ⊙ 頭(두) '豆(두)'는 발음, '頁(혈)'은 '머리'의 '목 위 부분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行(행)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896] ◈ 死 無 餘 恨 (사무여한)【한자】 죽을 사 / 없을 무 / 남을 여 / 한할 한【의미】 죽어도 남은 한이 없다는 뜻으로, 죽는 한이 있어도 아무런 여한이 없을 정도로 간절한 바램이나 그 바램을 이룬 상태를 의미함.【관련어구】▶ 朝聞道夕死可矣 (조문도석사가의):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字意】⊙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餘(여) 먹을 것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여유롭다', '남다'는 의미 생성. ⊙ 恨(한) 원통하다, 한. '限(한)'은 '한계, 제한'의 의미 .
[897] ◈ 事 無 二 成 (사무이성)【한자】 일 사 / 없을 무 / 두 이 / 이룰 성【의미】 일은 두 가지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에 두 가지 일이 모두 이루어질 수 없어 적어도 한 가지는 실패한다는 의미.【字意】⊙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를 만듦.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회의형성자.▣ 사무두불행, 사무여한, 사무이성 - 교본파일(29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98] ◈ 斯 文 亂 賊 (사문난적)【한자】 이 사 / 글 문 / 어지러울 란 / 도적 적【의미】 이 문, 곧 유학을 어지럽히는 적이라는 뜻으로, 유교에서 그 교리에 어긋나는 언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참고】▶ 斯文 : 이 글이라는 뜻으로, 중세 유학이념이 지배하던 사회 속에서 다른 이념을 불인정한 상태를 반영한 용어임.【字意】⊙ 斯(사) 본래 '쪼개다'는 의미에서 후에 사물을 나타내는 대명사로 사용됨. ⊙ 文(문)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채색' 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나 '글'의 의미로 변천. ⊙ 亂(난) 실타래가 물레에 얽혀있는 것을 칼로 자르는 모양에서 '어지럽다'는 의미 생성. '乙'은 칼날의 변형으로 봄. ⊙ 賊(적) 재물[貝]을 창[戈]으로 빼앗는다는 의미에서 '도적'의 의미 생성. '十'은 'ㄱ'의 입성 표현을 위해 사용.
[899] ◈ 使 蚊 負 山 (사문부산)【한자】 하여금 사 / 모기 문 / 질 부 / 산 산【의미】 모기로 하여금 산을 지게 한다는 뜻으로, 적은 힘으로 무거운 임무를 감당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衆寡不敵 (중과부적) : 적은 수로는 많은 수에 맞서지 못함.【字意】⊙ 使(사)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에서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는 의미 생성함. 사역(使役)의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됨. ⊙ 蚊(문) '모기'의 의미. ⊙ 負(부)본래 사람이 화폐를 가졌다는 의미에서 '믿다'는 의미인데, 후에 '빚을 지다'는 의미에서 '지다'는 의미를 파생하고 '짊어지다', '당하다' 등의 의미까지 파생함. ⊙ 山(산) 솟아 있는 산들의 모양의 형상화한 글자
[900] ◈ 使 民 以 時 (사민이시)【한자】 시킬 사 / 백성 민 / 써 이 / 때 시【의미】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말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출전】▶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 <論語>【字意】⊙ 民(민) 칼로 눈을 찌르는 모양인데, 고대 전재 포로를 노예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만듦. 낮은 계급의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 以(이) 본래 '그만두다'는 '已(이)'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人을 더함. ⊙ 時(시) 때를 구분하는 시간의 의미.▣ 사문난적, 사문부산, 사민이시 - 교본파일(30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931-960 (0) | 2012.12.11 |
---|---|
이야기한자성어901-93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841-870 (0) | 2012.12.11 |
이야기사자성어811-84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781-810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