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1] ◈ 不 如 歸 (불여귀)【한자】 아니 불 / 같을 여 / 돌아갈 귀【의미】 돌아감만 못하다라는 뜻으로, 소쩍새[杜鵑(두견)]를 의미하거나 소쩍새가 우는 소리의 의미로 돌아가지 못한 원혼(怨魂)의 의미로 사용됨.[歸蜀道(귀촉도), 子規(자규)]【유래】두우(杜宇)라는 蜀(촉) 황제인 망제(望帝)가 별령이라는 사람에게 속아 나라를 빼앗기고 쫓겨나 돌아가지 못하고 죽어 혼이 두견이 되어 밤마다 '不如歸'라고 울었다는 고사.【字意】⊙ 如(여) 중세 남성 중심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歸(귀) 멈추어 그친다는 의미에서 '돌아가다'는 의미 생성.
[812] ◈ 不 易 之 典 (불역지전)【한자】 아니 불 / 바꿀 역 / 어조사 지 / 법 전【의미】 바꿀 수 없는 규정이라는 뜻으로, 변경할 수 없는 규정이나 영구불변(永久不變)의 법칙, 혹은 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의 의미.【연관어】▶ 不易之論 (불역지논): 변경할 수 없는 바른 말.【字意】⊙ 易(역) 日과 月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이)발음은 '쉽다'는 의미. ⊙ 典(전) 책상 위에 책을 놓은 모양에서 법, 규정 등의 의미를 생성함.
813] ◈ 不 撓 不 屈 (불요불굴)【한자】 아니 불 / 흔들 요 / 아니 불 / 굽을 굴【의미】 흔들리지 않고 굽히지 않는다는 뜻으로, 의지가 굳어 온갖 어려움에도 굽히지 않는다는 의미. [ = 不搖不屈]【유의어】▶ 百折不屈 (백절불굴): 수없이 꺾여도 굽히지 않는다.【字意】⊙ 撓(요) 어지럽거나 구부러져 바르지 못한 상태의 의미. ⊙ 屈(굴) 구부러지거나 휘어진 것으로 인해 '굽다'는 의미를 생성함.▣ 불여귀, 불역지전, 불요불굴 - 교본파일(27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14] ◈ 不 虞 之 變 (불우지변)【한자】 아니 불 / 헤아릴 우 / 어조사 지 / 변할 변【의미】 뜻하지 않은 사변(事變)이라는 뜻으로, 뜻밖에 일어난 변고(變故)의 의미.【동의어】▶ 不意之變 (불의지변)【유의어】▶ 不虞之患 (불우지환): 뜻밖에 일어난 근심.【字意】⊙ 虞(우) 신성한 가상의 동물의 의미에서 확대되어 '헤아리다', '생각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變(변) 말이 오고 가면서 주제가 바뀌는 것으로 인해 '변하다'는 의미. 후에 '변고(變故)'나 '재앙(災殃)'의 의미 파생.
[815] ◈ 不 遠 千 里 (불원천리)【한자】 아니 불 / 멀 원 / 일천 천 / 거리 리【의미】 천 리를 멀다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천 리 길도 개의치 않고 열심히 찾아간다는 의미인데, 맹자(孟子)가 梁(양)나라를 방문할 때 양의 혜왕(惠王)이 맹자를 맞이하며 했던 말임.<孟子 梁惠王章句>【字意】⊙ 遠(원)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멀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부호. ⊙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숫자 '일천'을 의미함. ⊙ 里(리) 농사지을[田] 땅[土]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 의미를 생성했고,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의 단위로 사용됨.
[816] ◈ 不 忍 之 心 (불인지심)【한자】 아니 불 / 참을 인 / 어조사 지 / 마음 심【의미】 차마할 수 없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차마 어떠한 것을 할 수 없는 어진 마음의 의미인데, 맹자(孟子)가 성선설(性善說)과 왕도정치(王道政治)의 바탕으로 제시한 인간 본성의 가치에 대한 정의로 볼 수 있음.【관련어】▶ 四端 (사단): 네가지 실마리. 곧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字意】⊙ 忍(인) 칼날[刃] 같은 고통이 마음에 와도 '참고 인내한다'는 의미. 보통 형성자로 봄.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사람의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불우지변, 불원천리, 불인지심 - 교본파일(27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17] ◈ 不 撤 晝 夜 (불철주야)【한자】 아니 불 / 그만둘 철 / 낮 주 / 밤 야【의미】 밤낮을 그만두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골몰하여 전심전력(全心全力)함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不分晝夜 (불분주야): 밤낮을 가리지 않고 힘씀.▶ 不眠不休 (불면불휴): 자지도 않고 쉬지도 않고 힘씀.【字意】⊙ 撤(철) 거두어 치운다는 의미에서 제거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晝(주) 구획을 긋는다는 의미의 '畵(획)'의 생략형에 '日(일)'을 더해 해의 뜨고 짐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된다는 의미에서 '낮'의 의미 생성. ⊙ 夜(야) 달의 의미인 '夕(석)'을 사용해서 밤을 의미했고, '亦(역)'은 발음의 변화.
818] ◈ 不 肖 子 弟 (불초자제)【한자】 아니 불 / 닮을 초 / 아들 자 / 아우 제【의미】 닮지 못한 자제들이라는 뜻으로, 어버이의 덕망과 사업을 이어받지 못한 못난 자제라는 의미.【유의어】▶ 不肖子 (불초자): 不肖男 (불초남). 【字意】⊙ 肖(초) 골육(骨肉)이 서로 닮았다는 의미에서 '닮다'는 의미 생성. '小(소)'는 발음 요소.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弟(제) 본래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의 모양인데, 후에 아우나 제자의 의미로 변함. 사다리는 '竹'을 더해 '第'로 만들고 '순서'의 의미 파생.
[819] ◈ 不 恥 下 問 (불치하문)【한자】 아니 불 / 부끄러울 치 / 아래 아 / 물을 문【의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학문 연마에 정진하는 기본적인 자세.【유의어】▶ 耕當問奴 (경당문노): 밭가는 일은 응당 노비에게 묻는다.▶ 手不釋卷 (수불석권):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字意】⊙ 恥(치) 마음속으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의미. 羞(수)와 의미 통함.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問(문) 입으로 상대에게 묻는다는 의미에서 '묻다'는 뜻 생성. '門(문)'은 발음 역할.▣ 불철주야, 불초자제, 불치하문 - 교본파일(27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20] ◈ 不 偏 不 黨 (불편부당)【한자】 아니 불 / 치우칠 편 / 아니 불 / 무리 당【의미】 치우치지 않고 무리 짓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느 편에도 치우치지 않는 공평(公平), 중립(中立)의 의미.【유의어】▶ 無偏無黨 (무편무당):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음.【구별어】▶ 不便不當 (불편부당): 편리하지 않고 정당하지 않음.【字意】⊙ 偏(편) 한쪽으로 치우친다는 의미에서 신체의 반이 병드는 것까지 생성. 扁(편)은 발음 역할. ⊙ 黨(당) 의기(意氣)가 상통하며 귀추(歸趨)를 같이하는 사람들의 무리.
[821] ◈ 不 蔽 風 雨 (불폐풍우)【한자】 아니 불 / 가릴 폐 / 바람 풍 / 비 우【의미】 비바람도 가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집이 헐어 바람과 비도 가릴 수 없을 정도의 가난한 삶의 의미함.【유의어】▶ 三旬九食 (삼순구식): 삼 순 동안 아홉 번 먹음.▶ 釜中生魚 (부중생어):밥을 못지어 솥 안에 물고기가 생김.【구별어】▶ 不避風雨 (불피풍우): 풍우를 가리지 않고 한결같이 일함.【字意】⊙ 蔽(폐) 덮어서 가리거나 숨긴다는 의미. ⊙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雨(우)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비'와 '기후','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822] ◈ 不 必 多 言 (불필다언)【한자】 아니 불 / 반드시 필 / 많을 다 / 말씀 언【의미】 반드시 말을 많이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여러 말이 필요 없다는 의미.【유의어】▶ 不必再言 (불필재언): 두 말할 필요가 없음.【字意】⊙ 必(필)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多(다) 본래는 고기[肉]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는 의미 생성.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불편부당, 불폐풍우, 불필다언 - 교본파일(27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23] ◈ 不 協 和 音 (불협화음)【한자】 아니 불 / 화합할 협 / 화할 화 / 소리 음【의미】 음악에서 둘 이상의 樂音이 동시에 날 때, 전체가 조화, 융화되지 않아 불안정하고 불쾌한 느낌을 주는 화음의 의미에서 서로 뜻이 맞지 않아 일어나는 충돌의 의미로 확대됨.【관련어】▶ 氷炭不相容 (빙탄불상용): 얼음과 물이 서로 용납하지 않음.【字意】⊙ 協(협) 여럿이 힘을 합한다는 의미에서 '합하다', '화합하다'는 의미 생성. ⊙ 和(화) 입에 곡식이 골고루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뜻이 맞아 '화평하다'는 의미나 '화합한다'는 의미 생성. ⊙ 音(음) 본래 '言(언)'의 자형과 동일했는데, 후에 '口' 안에 가로선[一]을 더해 소리를 내는 부호로 표시됨. 보통 사람의 소리는 '聲(성)'이고, '音'은 악기 등 소리.
[824] ◈ 不 惑 之 年 (불혹지년)【한자】 아니 불 / 미혹할 혹 / 어조사 지 / 해 년【의미】 미혹되지 않는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나이 40이 되어서 비로소 세상일에 미혹되지 않았다는 것에서 나이 40세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됨. [ 준말- 不惑 ]【출전】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논어>【字意】⊙ 惑(혹) 무엇에 홀려 정신을 못 차리는 '미혹하다'는 의미. ⊙ 年(년)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禾]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해', '나이' 등의 의미 생성.
[825] ◈ 不 朽 之 功 (불후지공)【한자】 아니 불 / 썩을 후 / 어조사 지 / 공 공【의미】 썩지 않는 공적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전하여 오래도록 빛나는 공의 의미.【유의어】▶ 不朽之芳 (불후지방): 영원히 남을 명성(名聲).【字意】⊙ 朽(후) 부패하여 썩거나, 기력과 능력이 약해진다는 의미. ⊙ 功(공) 힘써 일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공적'의 의미. '工'은 발음.▣ 불협화음, 불혹지년, 불후지공 - 교본파일(27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26] ◈ 朋 友 有 信 (붕우유신)【한자】 벗 붕 / 벗 우 / 있을 유 / 믿을 신【의미】 친구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인간 사이의 윤리인 오륜(五倫)의 하나.【참고】▶ 五倫: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朋友(붕우): '朋'은 동문(同門), '友'는 동지(同志).【字意】⊙ 朋(붕) 고대 화폐인 조개를 줄로 묶은 의미로 보거나, 봉황새의 모양에서 뭇 새의 따름을 벗으로 보기도 함. ⊙ 友(우) 두 개의 손이 서로 맞잡고 있는 모양에서 가까운 친구 사이를 의미함. ⊙ 有(유)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의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月]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信(신) 말로 사람을 평가할 수 있는, 그래서 신의가 있는 사람이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의미.
[827] ◈ 朋 友 責 善 (붕우책선)【한자】 벗 붕 / 벗 우 / 책망할 책 / 착할 선【의미】 붕우간에 선을 책한다는 뜻으로, 친구 사이에 서로 착한 일을 권한다는 의미.【관련어】▶ 責善輔仁 (책선보인): 벗에게 선을 책하고 인을 도와준다.【字意】⊙ 朋(붕) 고대 화폐인 조개를 줄로 묶어놓은 모양에서 동료의 의미가 파생된 것으로 보거나, 봉황새의 모양에서 뭇 새의 따른다는 의미에서 벗으로 보기도 함. ⊙ 責(책) 따져 밝힌다는 의미에서 꾸짖다, 책망, 바라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善(선)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의미하는 '착하다', '선'의 의미가 생성.
[828] ◈ 鵬 程 萬 里 (붕정만리) 【한자】 붕새 붕 / 노정 정 / 일만 만 / 마을 리【의미】 붕(鵬)새가 만리를 날아간다는 뜻으로, 먼 여로(旅路)의 도정(道程)이나 앞날이 양양한 장래를 뜻하는 말.【출전】《장자(壯子)》〈소요유편(逍遙遊遍)〉【유의어】▶ 鵬圖 (붕도): 붕새가 구만리장천(九萬里長天)를 날 큰 계획. 곧 큰 뜻이나 큰 사업의 의미.【字意】⊙ 鵬(붕) 길이가 수 천만리에 한 번 날면 구만리를 난다는 곤어(鯤魚)가 화하여 된다는 장자(莊子)에 나오는 가상의 새. ⊙ 程(정) 길이의 의미에서 노정, 한도 등의 의미를 생성함. ⊙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里(리) 농사지을[田] 땅[土]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의미를 생성했고,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의 단위로 사용됨.▣ 붕우유신, 붕우책선, 붕정만리 - 교본파일(27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29] ◈ 比 肩 隨 踵 (비견수종)【한자】 견줄 비 / 어깨 견 / 따를 수 / 발꿈치 종【의미】 어깨를 나란하게 하고 발꿈치를 따른다는 뜻으로, 연이어 이어져 끊어지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字意】⊙ 比(비) 사람 둘을 결합하여 나란하게 서 있는 모양에서 '나란히하다', '비교하다'는 의미로 보거나 '匕(비)'를 발음으로 형성자로 보기도 함. ⊙ 肩(견) 어깨의 모양에 '肉'을 더해 사람 어깨의 의미를 명확하게 함. ⊙ 隨(수) 따라간다는 의미에서 '수행하다'는 의미 파생. '隋(수)'는 발음 역할. ⊙ 踵(종) '발뒤꿈치'의 의미에서 후에 쫓다, 잇다 등의 의미를 확대함.
[830] ◈ 匪 躬 之 節 (비궁지절)【한자】 아닐 비 / 몸소 궁 / 어조사 지 / 절개 절【의미】 자신을 돌보지 않는 절개라는 뜻으로,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지 않고 오직 국가의 일에 정성을 다하는 충절(忠節)의 의미.【유의어】▶ 憂國忠節 (우국충절): 나라를 걱정하는 충성스러운 절개.【字意】⊙ 匪(비) 폐백을 담던 대나무 상자에서 후에 非의 의미로까지 확대되어 '도적'의 의미를 파생함. ⊙ 躬(궁) 자신의 몸에서 자신이 모소 행하는 의미로까지 확대됨. '弓(궁)'은 발음역할. ⊙ 節(절) 대나 초목의 마디의 의미에서 후에 '절개', '규칙' 등의 의미를 파생함.
[831] ◈ 飛 禽 走 獸 (비금주수)【의미】날 비 / 새 금 / 달릴 주 / 짐승 수【의미】 나는 새와 달리는 짐승이라는 뜻으로, 날짐승과 길짐승을 모두 포함한 미물(微物)의 총칭의 의미.【준말】▶ 飛走 (비주)【字意】⊙ 飛(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 禽(금) 짐승의 발과 머리[凶]의 모양을 더하고 '今(금)'은 발음요소로 사용됨. ⊙ 走(주) 사람이 두 팔을 벌리고 달리는 모양. ⊙ 獸(수) 짐승을 사냥하는 개의 모양까지 더해 '길짐승'의 의미를 생성함.▣ 비견수종, 비궁지절, 비금주수 - 교본파일(27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32] ◈ 非 禮 勿 動 (비례물동)【한자】 아닐 비 / 예 례 / 말 물 / 움직일 동【의미】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출전】▶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 <論語>【字意】⊙ 勿(물) 본래 칼에 피가 묻은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단죄(斷罪)했다는 의미로 전용되어 금지의 의미인 '하지 말라'는 뜻으로 사용됨.[毋(무)와 동일한 의미]. ⊙ 動(동) 무거운 것[重]을 힘[力]을 들여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움직이다'는 의미 생성.
[833] ◈ 非 禮 之 禮 (비례지례)【한자】 아닐 비 / 예 례 / 어조사 지 / 예 례【의미】 예의가 아닌 예라는 뜻으로, 예의에 맞는 듯하면서 실상은 위배된 예절의 의미.【유의어】▶ 似而非禮 (사이비례): 겉으로만 차려지는 예의.【字意】⊙ 非(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 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飛(비)'를 만듦. ⊙ 禮(례)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인 '예도(禮度)'의 의미 생성.
[834] ◈ 飛 龍 乘 雲 (비룡승운)【한자】 날 비 / 용 룡 / 탈 승 / 구름 운【의미】 용이 구름을 타고 하늘에 오른다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만나 세력을 얻음을 비유하는 말. <韓非子>【유의어】▶ 騰蛇遊霧 (등사유무): 뱀이 안개를 타고 올라 노닌다.【字意】⊙ 飛(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 龍(룡)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乘(승) '人+桀'의 결합으로 桀(걸)이 나무 위에 두 발이 얹혀 있는 모양인데 여기에 人을 더해 두 발로 '오른다'는 의미를 파생함. ⊙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단순히 '云'을 발음이고 '雨'로 기후현상의 하나인 구름의 뜻으로 보기도 함.▣ 비례물동, 비례지례, 비룡승운 - 교본파일(27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35] ◈ 非 命 橫 死 (비명횡사)【한자】 아닐 비 / 목숨 명 / 가로 횡 / 죽을 사【의미】 천명을 다하지 못하고 뜻밖에 죽는다는 뜻으로, 뜻밖의 재변(災變)으로 제명대로 살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字意】⊙ 命(명) 제사장이 신전에서 신의 계시를 받는 모양으로 설명하거나 왕이 명령[令]을 입[口]으로 한다는 것에서 '목숨'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으로 '목숨'이나 '명령'의 의미로 분석함. ⊙ 橫(횡) 나무를 동서의 가로로 놓는 의미에서 가로지르다 혹은 '멋대로하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836] ◈ 非 夢 似 夢 (비몽사몽)【한자】 아닐 비 / 꿈 몽 / 같을 사 / 꿈 몽【의미】 꿈이 아니면서 꿈인 것 같다는 뜻으로, 꿈인지 생시인지 어렴풋하고 흐리멍덩한 상태를 의미함.【동의어】▶ 似夢非夢 (사몽비몽)【유의어】▶ 非夢似夢間 (비몽사몽간):꿈인지 생시인지 어렴풋한 동안.【字意】⊙ 非(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 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飛(비)'를 만듦. ⊙ 夢(몽)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꿈'의 의미 생성. ⊙ 似(사) 흉내내 닮은 의미에서 '같다' 등의 의미 생성.
[837] ◈ 誹 謗 之 木 (비방지목)【한자】 헐뜯을 비 / 헐뜯을 방 / 어조사 지 / 나무 목【의미】 비방하는 나무라는 뜻으로, 순(舜)임금 때 궁궐 밖에 나무를 세워놓고 나라에 불만을 쓸 수 있는 있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여 민의(民意)를 정치에 반영하였다는 나무의 의미.【유의어】▶ 華表木 (화표목): 백성들에게 위정자의 불만을 적도록 하기 위해 길가에 세워둔 나무[= 華表柱 (화표주)]【字意】⊙ 誹(비) 비방하고 헐뜯는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생김. ⊙ 謗(방) 헐뜯고 꾸짖는다는 의미에서 생성함.▣ 비명횡사, 비몽사몽, 비방지목 - 교본파일(27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38] ◈ 飛 蓬 隨 風 (비봉수풍)【한자】 날 비 / 쑥 봉 / 따를 수 / 바람 풍【의미】 마른 쑥이 바람 부는 대로 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의나 방침이 없이 정세나 환경에 따라 움직임을 비유하는 말.【관련어】▶ 飛蓬乘風 (비봉승풍): 기세에 편승한다는 의미【字意】⊙ 飛(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 蓬(봉) 쑥의 의미. 逢(봉)은 발음. 후에 '흐트러지다'는 의미를 파생함. ⊙ 隨(수) 따라간다는 의미에서 '수행하다'는 의미 파생. '隋(수)'는 발음 역할. ⊙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839] ◈ 悲 憤 慷 慨 (비분강개)【한자】 슬플 비 / 성낼 분 / 강개할 강 / 분개할 개【의미】 슬프고 분하여 마음이 몹시 북받친다는 뜻으로, 슬프고 분한 느낌이 마음속에 가득 차 있다는 의미.【유의어】▶ 含憤蓄怨 (함분축원): 분하고 원통한 마음을 품음.【字意】⊙ 悲(비) 마음이 서럽고 슬프다는 의미. 非(비)는 발음. 불교에서는 가엾게 여겨 은혜를 베푸는 '동정'의 의미로 사용됨. ⊙ 憤(분) '을 내거나 흥분하다'는 뜻에서 '분발하다'는 의미 파생. '賁(분)'은 발음 역할. ⊙ 慷(강) 의기(義氣)가 복받쳐 원통하고 슬프다는 의미. 康(강)은 발음 역할. ⊙ 慨(개) '분개하다'는 의미와 함께 '슬퍼하다'는 의미 .
840] ◈ 臂 不 外 曲 (비불외곡)【한자】팔 비 / 아니 불 / 밖 외 / 굽을 곡【의미】 팔이 밖으로 굽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기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인정이 쏠리거나 또는 자기에게 이익되게 처리함이 사람의 상정(常情)임을 비유하는 우리나라 속담.【字意】⊙ 臂(비)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팔'의 의미. ⊙ 外(외) 외지에 나가면 두려움에 점을 많이 치게 된다는 것에 의해 '저녁에 점을 친다'는 의미에서 '밖'의 의미 생성. ⊙ 曲(곡)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자의 모양에서 '굽다'는 의미와 음률의 조화로 인해 '노래'의 뜻 생성.▣ 비봉수풍, 비분강개, 비불외곡 - 교본파일(28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870-900 (0) | 2012.12.11 |
---|---|
이야기한자성어841-87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781-81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751-78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721-750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