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1] ◈ 夫 爲 婦 綱 (부위부강)【한자】 지아비 부 / 될 위 / 아내 부 / 벼리 강【의미】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된다는 뜻으로, 남편이 아내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부부간에 관한 유교 도덕의 기본 가치 덕목의 의미.【참고】▶ 三綱 (삼강): 父爲子綱, 君爲臣綱(군위신강), 夫爲婦綱.【字意】⊙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爲(위) 위 부분의 손과 아래 부분의 코끼리의 결합으로 코끼리가 물건을 움직이는 것을 비유해 '하다', '만들다' 등의 의미 생성. ⊙ 婦(부)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 등의 의미 생성. ⊙ 綱(강) 벼리는 '그물이나 과녁을 버티는 줄'이기 때문에 가장 중심 되는 근본, 모범의 의미. '紀(기)'와 동일.
[752] ◈ 父 爲 子 綱 (부위자강)【한자】 뜰 부 / 구름 운 / 놀랄 경 / 용 룡【의미】 아버지가 자식의 벼리가 된다는 뜻으로, 아버지가 아들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부자간에 관한 유교 도덕의 기본 가치 덕목의 의미.【참고】▶ 三綱(삼강): 父爲子綱, 君爲臣綱(군위신강), 夫爲婦綱.【字意】⊙ 父(부) 손[又]과 돌도끼 혹은 채찍[|]의 결합으로 돌도끼나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家長)'의 의미를 생성함.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753] ◈ 父 子 有 親 (부자유친)【한자】 아비 부 / 아들 자 / 있을 유 / 친할 친【의미】 아버지와 자식간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자간의 도리는 사랑과 공경의 친애(親愛)함에 있다는 인간의 기본 도리인 오륜(五輪) 중의 하나.【참고】▶ 五倫 (오륜): 父子有親, 君臣有義(군신유의), 夫婦有別(부부유별), 長幼有序(장유유서), 朋友有信(붕우유신).【字意】⊙ 有(유)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의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月]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親(친)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어버이'와 '친하다', '몸소' 등의 의미 도출.▣ 부위부강, 부위자강, 부자유친 - 교본파일(25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54] ◈ 腐 腸 之 藥 (부장지약)【한자】 썪을 부 / 창자 장 / 어조사 지 / 약 약【의미】 창자를 썩이는 약이라는 뜻으로, 아주 맛있는 음식이나 술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관련어】▶ 山海珍味 (산해진미).【字意】⊙ 腐(부) 썩거나 쓸모 없다는 의미. '府(부)'는 발음 역할. ⊙ 腸(장) 창자의 의미. 내장인 오장[心(심장), 腎(신장), 肺(폐장), 肝(간장), 脾(비장)]과는 구별해서 육부[六腑:대장(大腸), 소장(小腸), 위(胃), 담(膽), 방광(膀胱), 삼초(三焦)] 중의 하나. ⊙ 藥(약) 병을 고치고 치료하는 '약'의 의미. '樂'은 발음요소.
[755] ◈ 富 在 知 足 (부재지족)【한자】 부유할 부 / 있을 재 / 알 지 / 만족할 족【의미】 부유함은 만족함을 아는 것에 있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를 알아 이에 만족해야 한다는 의미.【유의어】▶ 安分知足 (안분지족): 분수를 편히 여기고 만족함을 안다.【字意】⊙ 富(부) 집안에 재물이 많고 넉넉하다는 의미. ⊙ 在(재) '才(재)'의 변형에 '土(토)'를 더한 글자로, '才'는 본래 식물의 뿌리 모양이기 때문에 '흙에 뿌리가 있다'는 의미에서 '존재(存在)'의 의미인 '있다'는 뜻을 도출함. ⊙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의미 생성. ⊙ 足(족) 발 모양의 '止'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ㅁ'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756] ◈ 釜 底 抽 薪 (부저추신)【한자】 솥 부 / 밑 저 / 뺄 추 / 땔나무 신【의미】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일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동의어】▶ 抽薪止沸 (추신지비)【字意】⊙ 釜(부) 발이 없는 큰솥의 의미에서 솥의 범칭으로 사용됨. ⊙ 底(저) 사물의 바닥이나 아래쪽의 의미에서 '밑'의 의미 생성. ⊙ 抽(추) 당겨서 뽑아낸다는 의미. ⊙ 薪(신) 섶나무나 땔나무의 의미. '新(신)'은 발음 역할.▣ 부장지약, 부재지족, 부저추신 - 교본파일(25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57] ◈ 父 傳 子 傳 (부전자전)【한자】 아비 부 / 전할 전 / 아들 자 / 전할 전【의미】 아버지가 전하고 아들이 전한다는 뜻으로, 대대로 아버지가 아들에게 전해주며 이어준다는 의미.【동의어】▶ 父傳子承 (부전자승)【字意】⊙ 父(부) 손[又]과 돌도끼 혹은 채찍[|]의 결합으로 돌도끼나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家長)'의 의미를 생성함. ⊙ 傳(전) 사람[人]에게 방적 기술[專(전)]을 전한다는 의미에서 '전하다' 생성.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758] ◈ 釜 中 生 魚 (부중생어)【한자】 가마 부 / 가운데 중 / 날 생 / 물고기 어【의미】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오래도록 밥을 짓지 못해서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길 정도로 극빈(極貧)함을 비유하는 말.【관련어】▶ 不蔽風雨 (불폐풍우): 비바람도 가리지 못함.▶ 三旬九食 (삼순구식): 한 달에 아홉 끼니를 먹음.【字意】⊙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하고 후에 '적중(的中)하다'는 뜻도 파생. ⊙ 生(생)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759] ◈ 釜 中 之 魚 (부중지어)【한자】 솥 부 / 가운데 중 / 어조사 지 / 물고기 어 【의미】 솥 안에 든 물고기라는 뜻으로, 앞으로 오래지 않아 곧 죽게될 목숨이 위태로운 상태를 비유하거나, 닥칠 위험을 모르고 방탕에 빠진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유의어】▶ 遊於釜中 (유어부중): 솥 안에서 논다.▶ 轍[魚+付]之急 (철부지급):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 속 붕어의 다급함.▣ 부전자전, 부중생어, 부중지어 - 교본파일(25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60] ◈ 不 知 甘 苦 (부지감고)【한자】 아니 불 / 알 지 / 달 감 / 쓸 고【의미】 단지 쓴지를 모른다는 뜻으로, 도리에 어두운 사람이나 극히 알기 쉬운 이치도 알지 못하는 사람의 비유로 사용함.【관련어】▶ 不知輕重 (부지경중): 판단을 그르침을 비유함.【字意】⊙ 不(부)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의미 생성. ⊙ 甘(감) 사람의 혀에 맛있다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점으로 표시해서 '달다'는 의미 생성.⊙ 苦(고)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古'는 발음.
[761] ◈ 不 知 其 數 (부지기수)【한자】 아니 불 / 알 지 / 그 기 / 헤아릴 수【의미】 그 수를 알 수 없다는 뜻으로, 주로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음을 이르는 말.【字意】⊙ 其(기) 본래 대나무 등으로 만든 곡식을 까부는 데 쓰는 '키'인데, 후에 '그'라는 대명사로 전이됨. '키'는 '竹'을 더해 만듦[箕(기)]. ⊙ 數(수) 여자가 상자 안의 물건을 따져본다는 의미에서 '세다'는 의미 생성. '수'의 의미로 확대됨
[762] ◈ 不 知 不 識 間 (부지불식간)【한자】 아니 불 / 알 지 / 아니 불 / 알 식 / 사이 간【의미】 알지 못하는 사이라는 뜻으로, 인식하고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 일어나는 일이나 현상에 대해 이르는 말.【유의어】▶ 不知不覺 (부지불각): 알지 못하는 사이.【字意】⊙ 識(식) 말로 설명해 '안다'는 의미. '기억하다','외다'는 의미로는 (지)발음. 모두 오른쪽 부분[音+戈]이 발음 역할. ⊙ 間(간) 문 틈 사이로 달빛이 들어온다는 의미에서 사이나 틈의 의미 생성. '閒(간,한)'이 본래자임. ▣ 부지감고, 부지기수, 부지불식간 - 교본파일(25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63] ◈ 不 知 肉 味 (부지육미)【한자】 아니 부 / 알 지 / 고기 육 / 맛 미【의미】 고기 맛을 모른다는 뜻으로, 고기를 먹으면서도 그 맛을 모르는 것처럼 한 가지 일에 몰두하여 다른 일을 건성으로 하고 있다는 의미.【字意】⊙ 肉(육) 짐승을 잡아 고기를 썰어놓은 모양으로, 부수자로 사용되어 신체, 근육, 고기 등의 의미로 활용됨. ⊙ 味(미) '입[口]'안에 있는 달콤한 음식의 의미에서 '맛'의 의미 도출. 未(미)는 발음
[764] ◈ 不 知 何 歲 月 (부지하세월)【한자】 아니 부 / 알 지 / 어찌 하 / 해 세 / 달 월【의미】 어느 세월일 줄 모른다는 뜻으로, 언제 될 지 그 기한을 알 수 없는 상황을 표현함.【유의어】▶ 百年河淸 (백년하청): 기약할 수 없는 상황 비유.【字意】⊙ 何(하) 불특정한 사람의 의미에서 후에 의문사의 대표격으로 사용됨. '可(가)'는 발음 작용. ⊙ 歲(세) 발 모양으로 시간의 흘러감을 표현해 '세월', '해' 등의 의미를 생성함.
[765] ◈ 不 知 香 臭 (부지향취)【한자】 아니 부 / 알 지 / 향기 향 / 냄새 취【의미】 향기와 악취를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방향(芳香)과 악취(惡臭)를 구별 못한다는 것처럼, 시비(是非)나 선악(善惡)을 판별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字意】⊙ 香(향) 기장[黍(서)]이 익으면서 나는 맛있는[口] 냄새에서 '향기'의 의미 생성. ⊙ 臭(취) 코[自]의 의미에 개[犬]의 특성을 더해 '냄새'의 의미를 생성.▣ 부지육미, 부지하세월, 부지향취 - 교본파일(25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66] ◈ 夫 唱 婦 隨 (부창부수)【한자】 남편 부 / 노래 창 / 아내 부 / 따를 수【의미】 남편이 노래하고 아내가 따른다는 뜻으로, 남편과 아내가 서로 정겨운 가정의 부부가 화합(和合)하는 도리의 의미.[ = 夫倡婦隨(부창부수)]【유의어】▶ 琴瑟之樂 (금실지락): 부부사이의 화목한 즐거움.【字意】⊙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唱(창) 소리내어 노래부른다는 의미. '昌(창)'은 발음 역할. ⊙ 婦(부)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 등의 의미 생성. ⊙ 隨(수) 따라간다는 의미에서 '수행하다'는 의미 파생. '隋(수)'는 발음 역할.
[767] ◈ 浮 虛 之 說 (부허지설)【한자】 뜰 부 / 빌 허 / 어조사 지 / 말씀 설【의미】 들뜨고 헛된 말이라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는 허황한 헛된 말의 의미.【유의어】▶ 流言蜚語 (유언비어):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浮言浪說 (부언낭설): = 浮言流說(부언유설).【字意】⊙ 浮(부) 물위에 떠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후에 신중하지 못한 '천하다', '가볍다' 등의 의미 파생.'孚(부)'는 발음부호. ⊙ 虛(허) 범의 다리를 2개만 표현해서 비다, 없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說(설) 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 / (열)기쁘다 / (세)달래다.
[768] ◈ 附 和 雷 同 (부화뇌동)【한자】 붙을 부 / 화합할 화 / 우레 뢰 / 한가지 동【의미】 붙어서 따라하거나 번개에 똑같이 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주관 없이 경솔하게 무조건 남의 주장에 동조한다는 의미.【유의어】▶ 邯鄲之步 (한단지보): 덩달아 남의 흉내를 냄.【字意】⊙ 附(부) 언덕을 기어올라간다는 의미에서 '붙다'는 의미 생성. ⊙ 和(화) 입에 곡식이 골고루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뜻이 맞아 '화평하다'는 의미나 '화합한다'는 의미 생성. ⊙ 雷(뢰) 본래 '밭갈피(뢰)[田 세 개]'에서 현재의 하나로 변화되어 발음부호 역할. 기상현상 하나로 '雨(우)'부수에 속함. ⊙ 同(동) '口(구)'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口]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의미에서 '한가지', '같다' 등의 의미 파생.▣ 부창부수, 부허지설, 부화뇌동 - 교본파일(25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69] ◈ 北 窓 三 友 (북창삼우)【한자】 북녘 북 / 창 창 / 석 삼 / 벗 우【의미】 북쪽으로 난 창가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 백거이(白居易)의 <북창삼우시(北窓三友詩)>에서 유래된 거문고[琴(금)]와 술[酒(주)], 시(詩)를 의미함.【字意】⊙ 北(북)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추위에 체온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추운 겨울을 북풍을 상징해 '북녘'의 의미 생성. ⊙ 窓(창) 구멍으로 밝은 빛을 들이게 한다는 의미에서 '창문'의 의미 파생. ⊙ 友(우) 두 개의 손이 서로 맞잡고 있는 모양에서 가까운 친구 사이를 의미함.
[770] ◈ 北 風 寒 雪 (북풍한설)【한자】 북녘 북 / 바람 풍 / 찰 한 / 눈 설【의미】 북풍과 차가운 눈이라는 뜻으로, 몹시 차고 추운 겨울 바람과 눈의 의미.【유의어】▶ 凍氷寒雪 (동빙한설): 혹독(酷毒)한 겨울철의 추위.▶ 冬將軍 (동장군): 겨울의 매운 추위.▶ 嚴冬雪寒 (엄동설한): 눈이 오는 한 겨울 추위.【字意】⊙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寒(한)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 ⊙ 雪(설) 빗자루 모양에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의미함.
[771] ◈ 北 行 至 楚 (북행지초)【한자】 북녘 북 / 갈 행 / 이를 지 / 나라이름 초【의미】 북쪽으로 가면서 초(楚)나라에 이른다는 뜻으로, 남쪽의 초나라로 간다면서 북쪽을 향해 가는 것처럼 행동이 뜻한 바와 모순됨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동의어】▶ 北轅適楚 (북원적초): 북으로 수레를 향하고서 남쪽의 초나라에 간다.【字意】⊙ 行(행)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至(지) 새가 날아 내려오는 모양에 땅에 닿았다[아래 ㅡ]는 의미를 합쳐 새가 날아 땅에 내려왔다는 의미의 '이르다', '미치다' 등의 뜻을 도출. ⊙ 楚(초) 인삼초, 가시나무 의미. 중국 양자강 하류 일대 지역을 지칭.▣ 북창삼우, 북풍한설, 북행지초 - 교본파일(25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72] ◈ 分 甘 共 苦 (분감공고)【한자】 나눌 분 / 달 감 / 함께 공 / 쓸 고【의미】 즐거움을 나누고 괴로움을 함께 한다는 뜻으로, 고락(苦樂)을 함께 한다는 의미.【유의어】▶ 同苦同樂 (동고동락): 고락을 함께 함.【字意】⊙ 分(분) 칼[刀]로 나눈다[八]의 의미에서 '나누다', '구별하다' 등의 의미 생성. ⊙ 甘(감) 사람의 혀에 맛있다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점으로 표시해서 '달다'는 의미 생성. ⊙ 共(공) 많은 사람[卄(입)]이 손을 뻗쳐 올린다는 의미에서 ‘함께’의 의미 생성. ⊙ 苦(고)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古'는 발음
[773] ◈ 粉 骨 碎 身 (분골쇄신)【한자】 가루 분 / 뼈 골 / 부술 쇄 / 몸 신【의미】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자기 몸을 희생할 각오로 전력을 다함을 비유하거나, 혹은 참혹한 죽음을 이르기도 함.[= 碎身粉骨 ]【유의어】▶ 殺身成仁 (살신성인): 자신을 희생해 대의를 이룸.【字意】⊙ 粉(분) 쌀을 빻아 가루로 만든 것에서 '가루'의 뜻을 생성하고, 후에 '단장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骨(골)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 碎(쇄) 돌로 '깨뜨리고 부순다'는 의미. '卒(졸)'은 발음 요소.⊙ 身(신)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774] ◈ 憤 氣 衝 天 (분기충천)【한자】 분할 분 / 기운 기 / 찌를 충 / 하늘 천【의미】 분한 기운이 하늘을 찌른다는 뜻으로, 분한 마음이 하늘을 찌를 듯 격렬하게 북받쳐 오른다는 의미.[ = 憤氣沖天 ]【동의어】▶ 憤氣탱天 (분기탱천): 분한 기운이 하늘 높이 솟음.[버틸(탱)]【字意】⊙ 憤(분) '성을 내거나 흥분하다'는 의미. '賁(분)'은 발음 역할. ⊙ 氣(기)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米(미)는 발음 작용. ⊙ 衝(충) '향하다'는 의미에서 '부딪히다', '찌르다' 등의 의미 파생. 重(중)은 발음 요소.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분감공고, 분골쇄신, 분기충천 - 교본파일(25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75] ◈ 粉 白 黛 綠 (분백대록)【한자】 가루 분 / 흰 백 / 눈썹먹 대 / 푸를 록【의미】 흰 분과 푸른 눈썹먹이라는 뜻으로, 분과 눈썹먹으로 화장했다는 의미에서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유의어】▶ 粉白黛黑 (분백대흑)【유의어】▶ 綠衣紅裳 (녹의홍상): 푸른 저고리에 붉은 치마.▶ 花容月態 (화용월태): 꽃 같은 용모에 달 같은 자태.▶ 丹脣皓齒 (단순호치): 붉은 입술에 흰 치아.【字意】⊙ 粉(분) 쌀을 빻아 가루로 만든 것에서 '가루'의 뜻을 생성하고, 후에 '단장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白(백)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 黛(대) 여자의 눈썹을 화장하기 위해 그리는 먹의 의미. '代(대)'는 발음 역할. ⊙ 綠(록) 식물의 즙을 짜내는 모양에서 '푸르다'는 의미 생성. '緣(연)'과 자형 구별 유의.
776] ◈ 焚 書 坑 儒 (분서갱유)【한자】 불사를 분 / 책 서 / 구덩이 갱 / 선비 유【의미】 책을 불사르고 선비를 묻는다는 뜻으로, 진시황이 시서육경(詩書六經)을 불태우고 유학자를 생매장한 사건에 의거해, 학문과 사상이 탄압을 당한다는 의미.【동의어】▶ 坑儒焚書 (갱유분서)【字意】⊙ 焚(분) 숲에 불을 놓아 사냥한다는 의미에서 '불사르다'는 의미 파생. ⊙ 書(서)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에서 '쓰다'와 '책' 의미 생성. ⊙ 坑(갱) 땅이 움푹 패인 곳을 의미. 후에 그 구덩이에 묻는다는 의미 파생. ⊙ 儒(유) '需(수)'가 (유)발음으로 변했는데, '需'에 온화한 도(道)의 의미를 적용해 덕을 지닌 사람이나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 주로 공자의 교(敎)를 닦는 유학자의 의미.
[777] ◈ 奮 戰 力 鬪 (분전역투)【한자】 떨칠 분 / 싸울 전 / 힘 력 / 싸울 투【의미】 떨쳐 힘써 싸운다는 뜻으로, 있는 힘을 다하여 맹렬하게 싸운다는 의미.【관련어】▶ 孤軍奮鬪 (고군분투): 외로운 군사가 떨쳐 싸운다.【字意】⊙ 奮(분) 새가 날개를 크게 벌리고 농토에서 날고 있는 모양에서 '힘쓰다','떨치다'는 의미 생성. ⊙ 戰(전) 單(단)과 戈(과) 모두 무기를 의미해 무기들이 충돌하는 '전쟁'의 의미 생성. 후에 '두려워하다'는 의미 파생. ⊙ 力(력)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힘'의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힘, 힘쓰다' 등의 뜻으로 사용됨. ⊙ 鬪(투) 사람이 서로 머리를 잡고 싸우는 모양에서 확대되어 무기 등을 들고 싸우는 '전쟁'의 의미로 확대.▣ 분백대록, 분서갱유, 분전역투 - 교본파일(25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78] ◈ 分 形 連 氣 (분형연기)【한자】 나눌 분 / 모양 형 / 이을 련 / 기운 기【의미】 나눈 형체에 이어진 기운이라는 뜻으로, 형제는 같은 부모에게서 났으므로 형체는 나누어져 있지만 그 기맥(氣脈)은 서로 이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형제, 자매를 의미함.【字意】⊙ 分(분) 칼[刀]로 나눈다[八]의 의미에서 '나누다', '구별하다' 등의 의미 생성. ⊙ 形(형) 외형적인 모양을 표시한 '형상'을 의미함. ⊙ 連(련) 이어서 연결한다는 의미에서 '잇닿다'는 의미 생성. ⊙ 氣(기)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米(미)는 발음 작용
[779] ◈ 不 可 思 議 (불가사의)【한자】 아니 불 / 가할 가 / 생각 사 / 의논할 의【의미】 생각하고 의논할 수가 없다는 뜻으로, 이상야릇해 상식으로는 헤아려 알 수 없는 상황이나 현상을 이르는 말.【字意】⊙ 不(불)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를 표현해 '아니다'는 의미 도출. ⊙ 可(가) 옳고 찬성한다는 의미에서 '옳다'는 의미 생성. ⊙ 思(사) '田'은 사람 뇌(腦)의 모양이어서, 머리에서 생각하고 마음으로 느낀다는 의미에서 '생각하다'는 의미 생성. ⊙ 義(의) 대화와 토론으로 의논하고 논의한다는 의미. '義(의)'는 발음 역할.
[780] ◈ 不 可 抗 力 (불가항력)【한자】 아니 불 / 가할 가 / 막을 항 / 힘 력【의미】 막을 수 없는 힘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힘으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의 의미인데, 법률에서는 외부에서 생긴 사고가 사회 관념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주의나 예방 방법으로 방지할 수 없는 일의 의미함.【관련어】▶ 天災地變 (천재지변): 자연현상에 의해 빚어지는 재앙.【字意】⊙ 抗(항) 저지하거나 들어올린다는 의미. '亢(항)'은 발음 역할. ⊙ 力(력)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힘'의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힘', '힘쓰다' 등의 뜻으로 사용됨.▣ 분형연기, 불가사의, 불가항력 - 교본파일(26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사자성어811-840 (0) | 2012.12.11 |
---|---|
이야기한자성어781-81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721-750 (0) | 2012.12.11 |
이야기한성어691-72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661-690 (0) | 201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