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성어691-720

ria530 2012. 12. 11. 11:41

[691] 輔 車 相 依 (보거상의)한자도울 보 / 수레 거 / 서로 상 / 의지할 의의미보와 거가 서로 의지한다는 뜻으로, 수레의 덧방나무와 수레가 잘 맞물려 잘 돌아가듯이 서로 돕고 의지하는 서로 떠날 수 없는 깊은 관계를 의미함.동의어脣齒之間 (순치지간): 입술과 이의 관계.水魚之交 (수어지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字意() 수레바퀴에 끼는 덧방나무의 의미, 후에 수레를 잘 가게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돕다'는 의미 파생. ()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정승' 의미 파생. () 사람이 옷에 의지하기 때문에 '의지하다'는 의미 생성.

 

[692] 輔 國 安 民 (보국안민)한자도울 보 / 나라 국 / 편안할 안 / 백성 민의미나라를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국정을 보필하여 백성들을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관련어】▶ 國泰民安 (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들이 편안함.字意() 지역의 의미인 ''에 창[]으로 대지[]의 구역[]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영토''나라'의 의미 생성. () 제사장 안에서 제례를 올리는 무녀(巫女)의 모습에서 '모든 것이 다 잘 진행된다'는 의미에서 '편안하다'는 뜻 생성. () 칼로 눈을 찌르는 모양인데, 고대 전재 포로를 노예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만듦. 낮은 계급의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693] 步 武 堂 堂 (보무당당)한자걸음 보 / 무력 무 / 집 당 / 집 당의미걸음걸이가 당당하다는 뜻으로, 군인들의 행진 같이 걸음걸이가 활발하고 버젓함을 나타내는 말. 참고步武 : 6척의 한 걸음, 는 반보(半步)堂堂 : 의젓하고 버젓한 모양의 의태어(擬態語)字意() 위아래 모두 ''의 의미. 멈췄다가 간다는 의미로 '걷다'는 뜻을 생성함. () 무기를 들고 걸어가는 것에서 '무력'의 생성. () 여러 사람을 수용해서 거처할 수 있는 ''의 의미.보거상의, 보국안민, 보무당당 - 교본파일(23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694] 保 身 之 策 (보신지책)한자지킬 보 / 몸 신 / 어조사 지 / 계책 책의미몸을 지키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한 몸을 보전하여 가는 꾀의 의미.관련어】▶ 明哲保身 (명철보신): 사리에 밝아 지혜로 자신을 보존함.字意() 사람이 어린아이를 안아 보호하고 있는 의미에서 '지키다'는 의미 생성.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 대쪽에 새긴 술책의 의미. '채찍'의 의미도 있음.

 

[695] 報 生 以 死 (보생이사)한자알릴 보 / 날 생 / 써 이 / 죽을 사의미죽음으로써 삶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삶의 은인인 군사부(君師父)에 대해서는 죽음으로써 보답한다는 의미.관련어】▶ 君師父一體 (군사부일체)字意()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알리다'는 의미. ()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696] 報 怨 以 德 (보원이덕)한자알릴 보 / 원망 원 / 써 이 / 덕 덕의미덕으로써 원망을 갚는다는 뜻으로, 자신을 원망하더라도 덕으로 대하거나, 또는 자신에게 원한을 품더라도 복수하지 말라는 의미. 출전】▶ 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大小多少 報怨以德. <老子>字意() 저녁에 사람이 구부리고 잠을 못자는 심정에서 '원망하다'는 의미 생성. () 본래 '그만두다''()'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를 생성하고 ''을 더함. () 본래 '+++'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이 행동과 관련하여 '두인변[걸어갈 척]'을 첨가함.보생이사, 보신이책, 보원이덕 - 교본파일(23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697] 普 天 之 下 (보천지하)한자널리 보 / 하늘 천 / 어조사 지 / 아래 하의미넓은 하늘의 아래라는 뜻으로, 하늘 아래 전체를 의미하는 온 세상, 또는 천하의 의미.동의어】▶ 普天率土 (보천솔토): 넓은 하늘 밑, 땅이 이어져 있는 한계. 곧 온 세상.[普天之下率土之濱(보천지하솔토지빈)] 字意() 두루 널리 미친다는 의미에서 '멀리', '보통'의 의미 생성.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698] 寶 學 之 人 (보학지인)한자보배 보 / 배울 학 / 어조사 지 / 사람 인의미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字意() 집안에 옥이나 재화가 가득 차 있는 모양으로 '보물', '보배'의 의미 생성. ()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의 '배우다'는 뜻 생성.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699] 寶 貨 難 (보화난수)한자보배 보 / 재화 화 / 어려울 난 / 팔 수[ () 밑에 입 () ]의미보물은 팔기 어렵다는 뜻으로, 너무 귀한 보물은 값이 비싸 쉽사리 팔리지 않는 것처럼 훌륭한 사람은 기량(器量)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출전】▶ 大器難成 寶貨難 (대기난성 보화난수) <論衡(논형)> 字意() 재화의 의미인 '()'를 사용하고, '()'는 발음인 동시에 모든 재화로 변화시킨다는 의미까지 내포함. () 본래 여자가 북을 치는 모양에서 적이 쳐들어오는 것을 알리던 의미인데, 후에 현재의 '(- )'자로 대치됨. 반의어는 '쉽다'는 의미의 '()'. () '팔다'는 의미[=()].보천지하, 보학지인, 보화난수 - 교본파일(233) 포함.

 

[700] 福 過 災 生 (복과재생)한자복 복 / 지날 과 / 재앙 재 / 날 생의미복이 지나면 재앙이 생긴다는 뜻으로, 인생은 즐거움과 괴로움이 서로 교차하며 살아간다는 의미.동의어】▶ 福過禍生 (복과화생)유의어】▶ 興盡悲來 (흥진비래) / 塞翁之馬 (새옹지마)字意() 신에게 술단지 같은 제물을 바치는 모양에서 '복을 빈다'는 의미로 '행복'의 의미 생성. () 오른쪽 모양은 '()'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의 의미에 '과거''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 등의 의미를 파생함. () 물이 넘쳐 생기는 재앙의 의미에서 후에 ''를 더함. ()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701] 伏 龍 鳳 雛 (복룡봉추)한자업드릴 복 / 용 룡 / 봉황 봉 / 병아리 추의미엎드려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숨어있는 큰 인물을 비유하는 말.유래】《삼국지(三國志)에 등장하는 인물 중 伏龍은 제갈량(諸葛亮)을 비유하고, 鳳雛는 방통(龐統)을 비유함.字意() 개가 사람 옆에서 엎드려 따르는 모양에서 '엎드리다', '복종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과 호응됨. () 병아리 같은 새의 새끼를 의미함. 왼쪽부분은 발음 역할,.

 

[702] 伏 魔 殿 (복마전)한자업드릴 복 / 마귀 마 / 큰집 전의미마귀가 숨어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악마가 숨어있는 곳처럼 악의 근원지를 의미하거나, 음모 등의 나쁜 일을 꾀하는 무리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의미.字意() 악귀나 마귀 같은 귀신의 의미. '()'는 발음 역할. 殿() 궁궐 같은 큰집의 의미.복과재생, 복룡봉추, 복마전 - 교본파일(23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03] 福 不 重 至 (복부중지)한자복 복 / 아니 부 / 무거울 중 / 이를 지의미복은 거듭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복은 한꺼번에 둘씩 오지 않는다는 의미.동의어】▶ 福無雙至 (복무쌍지)출전】▶ 福不重至 禍必重來(-- 화필중래)<說苑>字意() 신에게 술단지 같은 제물을 바치는 모양에서 '복을 빈다'는 의미로 '행복'의 의미 생성. () 사람이 짐을 메고 가는 모양에서 '무겁다'는 의미 생성. '()' 부수는 자형분류임. () 새가 날아 내려오는 모양에 땅에 닿았다[아래 ]는 의미를 합쳐 새가 날아 땅에 내려왔다는 의미의 '이르다', '미치다' 등의 뜻을 도출.

 

[704] 覆 巢 破 卵 (복소파란)한자뒤집힐 복 / 집 소 / 깨뜨릴 파 / 알 란의미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넘어져 전도되었다는 의미에서 '뒤집히다'는 의미 생성. ()발음일 경우는 '덮다'는 의미. () 나무 위 새집에 새가 앉아있는 모양에서 '둥지', '' 등의 의미 생성. ()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알을 밴 벌레의 배가 불룩하게 나온 모양을 본떠 새나 물고기, 곤충 등의 ''을 의미.

 

[705] 覆 水 難 收 (복수난수)한자뒤집힐 복 / 물 수 / 어려울 난 / 거둘 수의미엎질러진 물은 다시 퍼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 기회를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음을 비유함.유의어覆水不返盆 (복수불반분): 엎질러진 물은 동이에 돌이킬 수 없다.字意() 본래 여자가 북을 치는 모양에서 적이 쳐들어오는 것을 알리던 의미인데, 후에 현재의 '(- )'자로 대치됨. 반의어는 '쉽다'는 의미의 '()'. () 수확으로 '거두어들이다'는 의미에서 '거두다', '받다' 등의 뜻을 생성함.복부중지, 복소파란, 복수난수 - 교본파일(23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06] 伏 地 流 涕 (복지유체)한자엎드릴 복 / 땅 지 / 흐를 류 / 눈물 체의미땅에 엎드려 눈물을 흘린다는 뜻으로, 좌절과 한탄으로 눈물을 흘리는 것을 의미.字意() 개가 사람 옆에서 엎드려 따르는 모양에서 '엎드리다', '복종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를 결합해서 만듦. ()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 () 눈물이나 눈물을 흘리며 운다는 의미. ()는 발음 역할

 

[707] 伏 地 不 動 (복지부동)한자엎드릴 복 / 땅 지 / 아니 부 / 움직일 동의미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안위(安慰)만을 꾀하면서 소극적 대처로 일관하는 공직자(公職者)를 비유하는 말.유의어伏地眼動 (복지안동): 땅에 엎드려 눈동자만 움직임.無事安逸 (무사안일): 하는 일 없이 편안함만 꾀함.字意()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무거운 것[]을 힘[]을 들여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움직이다'는 의미 생성

 

[708] 覆 車 之 戒 (복거지계)(복차지계)한자뒤집힐 복 / 수레 거 / 어조사 지 / 경계할 계의미넘어진 수레의 경계라는 뜻으로, 앞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가 미리 경계하는 것처럼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신을 경계함을 비유하는 말.원문】▶ 前車覆後車戒 (전거복후거계) <漢書>: 복철(覆轍) 혹은 전철(前轍)을 밟지 않는다.字意(/) 마차의 수레를 본뜬 글자로, 현재는 바퀴가 하나로 생략된 상태임. () 두 손으로 창을 높이 들고 있는 모양에서 '경계하다'는 의미 생성.복지유체, 복지부동, 복거지계 - 교본파일(23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09] 本 末 顚 倒 (본말전도)한자근본 본 / 끝 말 / 꼭대기 전 / 넘어질 도의미근본과 말단이 바꾸어 거꾸로 되었다는 뜻으로, 일의 순서가 잘못 바뀌거나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이 구별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관련어】▶ 主客顚倒 (주객전도): 사물의 경중·선후 등이 서로 바뀜.字意() 나무의 아래쪽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근본'의 의미 파생. () 나무의 위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인 '()'의 반대 개념으로 ''의 의미 생성. () 본래 '정수리'의 의미인데, 후에 '넘어지다'는 의미로 통용됨. () 사람이 넘어졌다는 의미에서 '거꾸로 하다'는 의미.

 

[710] 本 非 我 物 (본비아물)한자근본 본 / 아닐 비 / 나 아 / 물건 물의미본래 나의 물건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本非我土 (본비아토)字意()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 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를 만듦. () 몸을 구부려 자신을 드러내는 의미[施身謂自]에서 '자신'의 의미를 파생함. () 피 뭍은 칼[]로 소를 잡는 모양인데, 고대 희생으로 쓰인 소로 인해 모든 중요한 물건의 의미로 '만물'의 의미 생성.

 

[711] 本 第 入 納 (본제입납)한자근본 본 / 차례 제 / 들 입 / 거둘 납의미본집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이 자기 집에 편지를 할 때 편지 겉봉의 어른의 성함 대신에 자기 이름을 쓰고 그 밑에 쓰는 용어.동의어】▶ 本家入納 (본가입납)字意() 본래 사다리의 의미인데, 후에 '차례'의 의미로 확대됨. 여기서는 '[=()]'의 의미. ()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본래 어떤 공간으로 들어온다는 의미의 '()'에서 파생된 것으로 受納(수납)의 의미로 쓰임. 후에 들인다는 의미에서 '바친다'는 의미 생성.본말전도, 본비아물, 본제입납 - 교본파일(23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12] 鳳 去 臺 空 (봉거대공)한자봉새 봉 / 갈 거 / 돈대 대 / 빌 공의미봉황은 가고 대는 비어있다는 뜻으로, 봉황이 떠난 자리에 봉황대만 남아 있다는 것에서, 찾아갔던 사람이 이미 떠나고 없거나, 기녀를 찾아갔으나 이미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의 의미.字意()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과 호응됨. () 위의 ''모양은 본래 사람의 의미인 '' 모양임. 사람이 일정 방향으로 가는 것을 의미. 후에 '지나간 때''버리다', '죽이다' 등의 의미 파생. () 위 부분은 전망할 수 있는 건축물의 입구까지 표현한 망대의 의미이고 아래 '()'는 사방을 바라보기 위해 '이르렀다'는 의미로 더해짐. () 구멍[()]이 비어있다는 의미에서 '비다', '헛되다' 등의 의미 생성.

 

[713] 蓬 頭 亂 髮 (봉두난발)한자쑥 봉 / 머리 두 / 어지러울 란 / 터럭 발의미쑥대같이 어지러운 머리카락이라는 뜻으로, 머리를 빚지 않아 다북쑥처럼 흐트러져 있는 용모의 의미.유의어】▶ 蓬頭垢面 (봉두구면): 흐트러진 머리털과 때 낀 얼굴.字意() 쑥의 의미. ()은 발음. 후에 '흐트러지다'는 의미를 파생함. () '()'는 발음,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실타래가 물레에 얽혀있는 것을 칼로 자르는 모양에서 '어지럽다'는 의미 생성. ''은 칼날의 변형으로 봄. ()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714] 蓬 萊 弱 水 (봉래약수)한자쑥 봉 / 명아주 래 / 약할 약 / 물 수의미봉래산(蓬萊山)은 약수(弱水) 너머에 있다는 뜻으로, 신선이 사는 봉래산은 멀리 약수를 사이에 두고 있다는 의미에서, 서로 아득히 떨어져 있다는 의미.참고】▶ 弱水 : 고대 중국에서 신선이 사는 곳의 물이름으로, 부력(浮力)이 약해 기러기 털도 가라앉았다고 해서 사람도 건널 수 없는 곳이어서 이별한 사람들의 장애물로 많이 사용됨.字意() 명아주 풀의 의미. 혹 묵은 농경지의 의미. ()는 발음 역할. () 나무 기둥들이 휘어서 쪼개지는 모양을 본떠 '약하다'는 의미 파생.봉거대공, 봉두난발, 봉래약수 - 교본파일(23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15] 鳳 鳴 朝 陽 (봉명조양)한자봉새 봉 / 울 명 / 아침 조 / 볕 양의미봉황이 아침해를 보며[산 동쪽]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太平)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에서 뛰어난 행동 등의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함.字意()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과 호응됨. () 새가 입으로 지저귀는 의미를 나타내, 새가 '운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우는 경우는 '()'이나 '()'을 사용함. () 해가 떠서 햇빛을 빛내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아침'의 의미 생성. () 해가 떠올라 제단에 걸쳐지도록 만든 언덕의 의미에서 '양지'의 의미 생성.

 

[716] 蜂 目 豺 聲 (봉목시성)한자벌 봉 / 눈 목 / 승냥이 시 / 소리 성語義벌과 같은 눈매와 승냥이 같은 목소리라는 뜻으로, 아주 흉악한 인상(人相)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字意() 곤충의 총칭으로도 사용되며 ''의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역할. () 개과에 딸린 이리 비슷한 맹수인 '승냥이'의 의미. () 석경(石磬)과 같은 악기를 손에 막대를 들고 때리는 모양에 아래에 귀와 입을 그린 형태로, 음악을 연주하는 '소리'의 의미 생성.

 

[717] 捧 腹 絶 倒 (봉복절도)한자받들 봉 / 배 복 / 끊을 절 / 넘어질 도의미배를 잡고 까무러치듯 넘어진다는 뜻으로, 배를 움켜쥐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는다는 의미.유의어抱腹絶倒 (포복절도): 배를 그러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字意() 두 손으로 '받들다'는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역할. () '()'으로 사람의 ''를 의미함. () 실타래를 끊는다는 의미에서 '끊다'는 뜻 생성. 후에 '뛰어나다'는 의미 파생. () 사람이 넘어졌다는 의미에서 '거꾸로 하다'는 의미.봉명조양, 봉목시성, 봉복절도 - 교본파일(23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18] 封 豕 長 蛇 (봉시장사)한자봉할 봉 / 돼지 시 / 길 장 / 뱀 사의미큰 돼지와 긴 구렁이라는 뜻으로, 탐욕(貪慾)스러운 악인(惡人)을 비유하는 말.字意() 제후를 영지[]에 보내서[] 법도[]에 맞게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봉하다'는 의미 생성. 여기서는 '크다'는 의미. () 돼지의 주둥이와 몸통, 다리, 꼬리 등의 모양을 본뜬 글자. () 긴 머리와 수염을 드리운 사람을 본떠 나이가 들어 길게 자란 머리와 수염을 표현해 '길다', '오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어른'의 의미 파생. () 본래 뱀의 모양인데 변형되자 의미를 살리기 위해 벌레()을 더함.

 

[719] 縫 衣 淺 帶 (봉의천대)한자꿰맬 봉 / 옷 의 / 얕을 천 / 띠 대의미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字意() 떨어진 곳을 꿰맨다는 의미. ()은 발음. () 상의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웃옷'의 의미였는데, 후에 옷의 대표성으로 사용됨. 하의 치마는 '()'. () 물의 깊이가 얕다는 의미. () 두르거나 동여매는 ''의 의미에서 후에 띠처럼 '너비가 좁고 기다랗게 되어 있는 장소'의 의미까지 확대됨.

 

[720] 逢 場 作 戱 (봉장작희)한자만날 봉 / 마당 장 / 지을 작 / 놀이 희의미공터를 만나자 놀이를 한다는 뜻으로, 아무데서나 유희(遊戱)를 행하듯이 임기응변(臨機應變)의 조치를 취하거나 미봉책(彌縫策)을 쓴다는 의미.구별어】▶ 逢場風月 (봉장풍월): 아무데서나 그 자리서 즉흥적으로 시를 지음.字意() 마주치거나 만난다는 의미. () 마당이나 평지의 의미. () 사람이 어떤 일을 한다는 의미에서 '만들다', '짓다'는 의미 생성. '()'는 변화된 음. () 본래 '()'의 의미에서 군사의 훈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해 동작이나 '놀이'의 의미가 파생됨.봉시장사, 봉의천대, 봉장작희 - 교본파일(24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751-780  (0) 2012.12.11
이야기한자성어721-750  (0) 2012.12.11
이야기한자성어661-690  (0) 2012.12.06
이야기한자성어631-660  (0) 2012.12.06
이야기한자성어601-630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