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1] ◈ 蜂 蝶 隨 香 (봉접수향)【한자】 벌 봉 / 나비 접 / 따를 수 / 향기 향【의미】 벌과 나비가 향기를 따른다는 뜻으로, 남자가 여자의 아름다움을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字意】⊙ 蜂(봉) 곤충의 총칭으로도 사용되며 '벌'의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역할. ⊙ 蝶(접) 나비의 의미. ⊙ 隨(수) 따라간다는 의미에서 '수행하다'는 의미 파생. '隋(수)'는 발음 역할. ⊙ 香(향) 기장[黍(서)]이 익으면서 나는 맛있는[口] 냄새에서 '향기'의 의미 생성
[722] ◈ 鳳 鳥 不 至 (봉조부지)【한자】 봉황 봉 / 새 조 / 아니 부 / 이를 지【의미】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유의어】▶ 河不出圖 (하불출도): 난세(亂世)라서 신기로운 상서(祥瑞)인 하도(河圖)도 나오지 않는다. <論語>【字意】⊙ 鳳(봉)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황(凰)'과 호응됨. ⊙ 鳥(조) 새의 눈과 날개, 다리 등을 강조한 모양. 다소 꽁지가 긴 큰 새의 의미로, 다소 작은 새인 (추)와 구별됨. ⊙ 至(지) 새가 날아 내려오는 모양에 땅에 닿았다[아래 ㅡ]는 의미를 합쳐 새가 날아 땅에 내려왔다는 의미의 '이르다', '미치다' 등의 뜻을 도출.
[723] ◈ 蜂 準 長 目 (봉준장목)【한자】 벌 봉 / 콧마루 준 / 길 장 / 눈 목【의미】 벌처럼 우뚝 솟은 콧마루와 가느스름한 긴 눈의 뜻으로, 영민(英敏)하고 사려(思慮)가 깊은 인상을 비유하는 말.【字意】⊙ 準(준) 물을 담아 막대로 수평을 재는 도구인 '수준기'의 의미에서 '기준'의 의미 생성. 후에 수준기의 모양이 삼각형 모양이라서 사람의 '콧마루'를 표현함. ⊙ 長(장) 긴 머리와 수염을 드리운 사람을 본떠 나이가 들어 길게 자란 머리와 수염을 표현해 '길다', '오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어른'의 의미 파생. ⊙ 目(목)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눈'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 등의 의미로 활용됨.'見(견)'은 '보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봉접수향, 봉조부지, 봉준장목, - 교본파일(24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24] ◈ 蓬 蒿 滿 宅 (봉호만택)【한자】쑥 봉 / 쑥 호 / 찰 만 / 집 택【의미】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유의어】▶ 蓬蒿沒人 (봉호몰인): 쑥이 자라 사람을 숨길만 함.【字意】⊙ 蓬(봉) 쑥의 의미. 逢(봉)은 발음. 후에 '흐트러지다'는 의미를 파생함. ⊙ 蒿(호) 사철쑥의 의미. ⊙ 滿(만)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 ⊙ 宅(택) 사람이 사는 주거(住居)의 의미에서 집이 들어있는 '대지(垈地)'의 의미까지 확대됨.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의 집이나 부인 등을 부르는 말로 (댁) 발음으로 사용됨.
[725] ◈ 鳳 皇 來 儀 (봉황래의)【한자】 봉황 봉 / 임금 황 / 올 래 / 의례 의【의미】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유의어】▶ 鳳鳴朝陽 (봉명조양): 봉황이 산 동쪽을 보고 욺.【字意】⊙ 鳳(봉)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황(凰)'과 호응됨. ⊙ 皇(황) 본래 自[鼻(비)의 '처음' 의미]에 '王'을 더해 처음의 왕을 의미함. 여기서는 봉황새 '凰(황)'의 의미로 사용됨. ⊙ 來(래) 본래 '보리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를 생성함. '보리'는 별도의 '麥(맥)'자를 만듦. ⊙ 儀(의) 사람의 거동 등의 의미에서 '본뜨다', '법' 등의 의미로 확대됨
[726] ◈ 鳳 凰 于 飛 (봉황우비)【한자】 봉황 봉 / 봉황 황 / 어조사 우 / 날 비【의미】 봉황이 이에 난다는 뜻으로, 한 자웅의 봉황이 서로 짝지어 나는 것처럼 부부가 서로 화목함을 뜻하거나 타인의 혼인을 축하하는 의미로 사용됨. <詩經>【유의어】▶ 琴瑟相和 (금슬상화): 부부 사이가 화목하고 다정함.▶ 百年偕老 (백년해로): 百年佳約 (백년가약)【字意】⊙ 凰(황) 경사스러운 상상의 영조(靈鳥)인 봉황새라는 뜻으로, 봉황의 암컷의 의미. ⊙ 于(우) 내쉬는 숨이 장애에 막혀 잘 나오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탄식하는 숨'을 의미함. 여기서도 어조사의 의미로 사용됨. ⊙ 飛(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봉호만택, 봉황래의, 봉황우비 - 교본파일(24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27] ◈ 剖 棺 斬 屍 (부관참시)【한자】 쪼갤 부 / 널 관 / 벨 참 / 주검 시【의미】 관을 쪼개 시체를 벤다는 뜻으로, 사망한 뒤에도 큰 죄가 드러나면 무덤을 열어 목을 베어 극형(極刑)에 추시(追施)하던 제도. [ 戮屍(육시) ]【관련어】▶ 陵遲處斬 (능지처참): 사지(四肢)를 토막쳐 죽이는 형벌.【字意】⊙ 剖(부) 칼로 조각으로 나누거나 쪼갠다는 의미에서 '가르다','쪼개다' 등의 의미 생성. ⊙ 棺(관) 시체를 넣는 널[관]의 의미. '官(관)'은 발음 역할. ⊙ 斬(참) 날카로운 연장으로 자르거나 베는 의미. ⊙ 屍(시) 주검[尸(시)]에 다시 죽음[死]을 더해 주검[시체] 자체를 의미함
[728] ◈ 富 國 强 兵 (부국강병)【한자】 부유할 부 / 나라 국 / 굳셀 강 / 병사 병【의미】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병력을 강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강(富强)한 나라를 만든다는 의미.【유의어】▶ 富國安民 (부국안민): 나라를 넉넉하게 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함.【字意】⊙ 富(부) 집안에 재물이 많고 넉넉하다는 의미. ⊙ 國(국) 지역의 의미인 '口'에 창[戈]으로 대지[ㅡ]의 구역[ㅁ]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영토'인 '나라'의 의미 생성. ⊙ 强(강) 본래 벌레의 종류를 의미했는데, 후에 약한 벌레에 역설적으로 '강하다'는 의미를 부여함. 왼쪽의 弘(홍)은 발음 변화. ⊙ 兵(병) 도끼를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무기를 든 '병사'의 의미를 생성함
[729] ◈ 富 貴 榮 華 (부귀영화)【한자】 부유할 부 / 귀할 귀 / 영화 영 / 꽃 화【의미】 부귀와 영화. 곧 재산이 많고 신분이 귀하며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 빛낸다는 의미.【유의어】▶ 富貴功名 (부귀공명): 부귀와 공을 세워 드러난 명성.【字意】 ⊙ 貴(귀) 조개가 귀한 재화의 역할로 인해 '귀하다'는 의미 생성. ⊙ 榮(영) 나무 가지에 꽃들이 활짝 펴있는 모양에서 '화려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華(화) 나무에 달린 가지, 잎 등을 상세하게 표현해서 화려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전됨.▣ 부관참시, 부국강병 부귀영화 - 교본파일(24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30] ◈ 富 貴 在 天 (부귀재천)【한자】 부유할 부 / 귀할 귀 / 있을 재 / 하늘 천【의미】 부귀는 하늘의 운수에 달렸다는 뜻으로, 사람은 부귀를 하늘에 맡기고 자기의 행할 도리(道理)를 다할 것이라는 의미.【출전】▶ 死生有命 富貴在天. (사생유명 ----) <論語>.【字意】⊙ 在(재) '才(재)'의 변형에 '土(토)'를 더한 글자로, '才'는 본래 식물의 뿌리 모양이기 때문에 '흙에 뿌리가 있다'는 의미에서 '존재(存在)'의 의미인 '있다'는 뜻을 도출함.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731] ◈ 夫 貴 妻 榮 (부귀처영)【한자】 사내 부 / 귀할 귀 / 아내 처 / 영화로울 영【의미】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동의어】▶ 夫尊妻貴 (부존처귀): 남편이 존귀하면 아내도 귀하다.【字意】⊙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妻(처) 손에 비를 들고 서있는 여자의 의미에서 '집안의 아내'라는 의미 생성함. ⊙ 榮(영) 나무 가지에 꽃들이 활짝 펴있는 모양에서 '화려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732] ◈ 不 達 時 變 (부달시변)【한자】 아니 불 / 통달할 달 / 때 시 / 변할 변【의미】 시대의 변화에 통달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시대의 변화에 따르지 못하는 완고(頑固)하고 변통성(變通性)이 없음을 의미함.【연관어】▶ 刻舟求劍 (각주구검):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음.【字意】⊙ 達(달) 다다라 이르렀다는 의미에서 '통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통달하다'는 의미 파생. ⊙ 時(시) 때를 구분하는 시간의 의미. ⊙ 變(변) 말이 오고 가면서 주제가 바뀌는 것으로 인해 '변하다'는 의미. 후에 '변고(變故)'나 '재앙(災殃)'의 의미 파생.▣ 富貴在天, 夫貴妻榮, 不達時變 - 교본파일(24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33] ◈ 不 同 戴 天 (부동대천)【한자】 아니 불 / 같을 동 / 일 대 / 하늘 천【의미】 같이 하늘을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을 같이 살아갈 수 없다는 부모의 원수를 이르는 말.【동의어】▶ 不俱戴天 (불구대천): 함께 하늘을 이지 못함.【유의어】▶ 徹天之寃 (철천지원): 하늘에 사무친 원한.【字意】⊙ 不(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同(동) '口(구)'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口]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의미에서 '한가지', '같다' 등의 의미 파생. ⊙ 戴(대) 두 손으로 물건을 머리에 '이다'는 의미. 후에 '받들다'는 의미 파생.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734] ◈ 不 動 心 (부동심)【한자】 아니 불 / 움질일 동 / 마음 심【의미】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일이나 외적 충격으로도 마음이 동요되는 일이 없는 굳은 마음의 의미.<孟子 公孫丑章句>【관련어】▶ 浩然之氣 (호연지기): 공명 정대하고 강한 도덕적 용기를 지닌 넓고 큰 원기(元氣).【字意】⊙ 動(동) 무거운 것[重]을 힘[力]을 들여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움직이다'는 의미 생성.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사람의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735] ◈ 不 得 要 領 (부득요령)【한자】 아니 불 / 얻을 득 / 구할 요 / 요긴할 령【의미】 요령을 얻지 못한다는 뜻으로, 주요 골자를 얻지 못하고 우물쭈물한다는 의미.【관련어】▶ 不得意 (부득의): 뜻을 얻지 못함.[= 不得志(부득지)].【字意】⊙ 得(득)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 要(요) 여자의 가는 허리의 의미에서 요긴하다는 의미가 생성됨. '허리'의 의미는 후에 '肉(육)'을 더해 별도의 腰(요)를 만듦. ⊙ 領(령) 본래 사람의 목인데, 몸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의미에서 '호령하다'. '다스리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부동대천, 부동심, 부득요령 - 교본파일(24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36] ◈ 浮 浪 悖 類 (부랑패류)【한자】 뜰 부 / 물결 랑 / 어그러질 패 / 무리 류【의미】 떠돌아다니며 어그러진 행동을 하는 무리라는 뜻으로, 일정한 주소나 떳떳한 직업이 없이 떠돌아다니며 못된 짓이나 하는 무리들의 의미.【관련어】▶ 浮浪輩 (부랑배) / ▶ 不良輩 (불량배).【字意】⊙ 浮(부) 물위에 떠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후에 신중하지 못한 '천하다', '가볍다' 등의 의미 파생.'孚(부)'는 발음부호. ⊙ 浪(랑) 물결이 이는 것에서 파도나 물결의 의미인데, 후에 '떠돌아다닌다'나 '함부로' 등의 의미를 파생함. ⊙ 悖(패) 사리나 도리, 기준에서 벗어나 '어그러지다'는 의미.
[737] ◈ 婦 老 爲 姑 (부로위고)【한자】 며느리 부 / 늙을 로 / 될 위 / 시어머니 고【의미】 며느리가 늙어서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의미의 우리나라 성어.【字意】⊙ 婦(부)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 등의 의미 생성. ⊙ 老(로) 늙었다는 의미를 긴 백발로 표현하고 지팡이에 의지하고 있는 모양을 만들어 '늙다'는 의미 생성. ⊙ 爲(위) 위 부분의 손과 아래 부분의 코끼리의 결합으로 코끼리가 물건을 움직이는 것을 비유해 '하다', '만들다' 등의 의미 생성. ⊙ 姑(고) 본래 '시어머니'의 의미로 만든 글자인데, 문장 속에서 부사로 사용될 때, '우선', '잠시'의 의미로 쓰임.
738] ◈ 父 母 俱 存 (부모구존)【한자】 아비 부 / 어미 모 / 함께 구 / 있을 존【의미】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출전】<孟子>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 형제무고 일락야)【반의어】▶ 父母俱沒 (부모구몰): 양친이 다 돌아가심.【字意】⊙ 父(부) 손[又]과 돌도끼 혹은 채찍[|]의 결합으로 돌도끼나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家長)'의 의미를 생성함. ⊙ 母(모) '女'에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여자, 곧 '어머니'의 표현으로 양쪽 젖가슴을 강조해 두 점으로 표현함. ⊙ 俱(구) 함께 같아한다는 의미. '具(구)'는 발음 역할. ⊙ 存(존) 在의 생략형에 子를 더해 어린이를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객관적, 현실적인 존재의 의미인 '있다'는 뜻 생성.▣ 부랑패류, 부로위고, 부모구존 - 교본파일(24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39] ◈ 剖 腹 藏 珠 (부복장주)【한자】 쪼갤 부 / 배 복 / 감출 장 / 구슬 주【의미】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字意】⊙ 剖(부) 칼로 조각으로 나누거나 쪼갠다는 의미에서 '가르다','쪼개다' 등의 의미 생성. ⊙ 腹(복) 사람의 '배'를 의미. 오른쪽은 발음. ⊙ 藏(장) 깊이 속에 감춘다는 의미에서 '저장하다'는 뜻을 생성함. ⊙ 珠(주) 조개에서 나온 진주와 같은 구슬의 의미. '朱(주)'는 발음
[740] ◈ 夫 婦 有 別 (부부유별)【한자】 지아비 부 / 아내 부 / 있을 유 / 구별할 별【의미】 남편과 아내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오륜(五倫)의 하나로 엄격한 구별이 있어야 하는 내외 간의 도리 의미.【참고】▶ 五倫 -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字意】⊙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婦(부)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 등의 의미 생성. ⊙ 有(유)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의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月]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別(별) 왼쪽은 '骨(골:뼈)'의 변형. 칼로 가른다는 의미에서 '나누다'는 뜻 생성
[741] ◈ 父 父 子 子 (부부자자)【한자】 아비 부 / 아비 부 / 아들 자 / 아들 자【의미】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출전】<論語> 君君臣臣父父子子 (군군신신부부자자)【字意】⊙ 父(부) 손[又]과 돌도끼 혹은 채찍[|]의 결합으로 돌도끼나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家長)'의 의미를 생성함.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부복장주, 부부유별, 부부자자 - 교본파일(2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42] ◈ 夫 死 從 子 (부사종자)【한자】 남편 부 / 죽을 사 / 따를 종 / 아들 자【의미】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유의어】▶ 三從之道 (삼종지도): 아녀자의 도리. 어려서는 아버지, 시집가서는 남편,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따라야 한다.【字意】⊙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從(종) 두 사람이 서로 따라간다[人人]는 의미에서 후에 걸어갈 척[두인변]과 '止(지)'가 추가되어 움직임을 나타나게 됨.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743] ◈ 扶 桑 (부상)【한자】 도울 부 / 뽕나무 상【의미】 중국의 전설에 동해(東海) 속에 있다는 신령스러운 상상의 나무로, 해가 뜨는 동쪽 바다라는 의미로 사용됨. 또 그 나무가 있는 나라를 부상국(扶桑國)이라고 함.【반의어】▶ 咸池 (함지): 전설에 해가 진다고 하는 큰 연못.【字意】⊙ 扶(부) 손으로 받들어 도와준다는 의미. '夫(부)'는 발음 역할. ⊙ 桑(상) 많은 잎사귀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뽕나무의 의미
[744] ◈ 浮 生 若 夢 (부생약몽)【한자】 뜰 부 / 날 생 / 같을 약 / 꿈 몽【의미】 덧없는 인생이 마치 꿈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꿈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유의어】▶ 一場春夢 (일장춘몽): 한 바탕 봄꿈과 같은 부질없는 헛된 꿈을 의미.【字意】⊙ 浮(부) 물위에 떠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후에 신중하지 못한 '천하다', '가볍다' 등의 의미 파생.'孚(부)'는 발음부호. ⊙ 生(생)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 ⊙ 若(약) 손으로 나물을 따는 것인데, 후에 '너'나 '같다'의 의미 파생. ⊙ 夢(몽)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꿈'의 의미 생성.▣ 부사종자, 부상, 부생약몽 - 교본파일(24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45] ◈ 扶 植 綱 常 (부식강상)【한자】 도울 부 / 심을 식 / 벼리 강 / 항상 상【의미】 삼강오륜을 도와서 세운다는 뜻으로, 인륜의 도리인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확고하게 세운다는 의미.【참고】▶ 三綱(삼강) : 君爲臣綱·父爲子綱·夫爲婦綱.▶ 五常(오상) : 父子有親·君臣有義·夫婦有別·長幼有序·朋友有信.【字意】⊙ 扶(부) 손으로 받들어 도와준다는 의미. '夫(부)'는 발음 역할. ⊙ 植(식) 땅 속에 심는다는 의미에서 '세우다' 등의 의미 파생. ⊙ 綱(강) 벼리는 '그물이나 과녁을 버티는 줄'이기 때문에 가장 중심되는 근본의 의미를 지님. '紀(기)'와 동일. ⊙ 常(상) 변함 없는 불변의 도(道)를 의미.
[746] ◈ 負 薪 入 火 (부신입화)【한자】 짊어질 부 / 섶나무 신 / 들 입 / 불 화【의미】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관련어】▶ 飛蛾赴火 (비아부화): 나방이 불로 달려듦.【字意】⊙ 負(부) 본래 사람이 화패를 가졌다는 의미에서 '믿다'는 의미인데, 후에 '빚을 지다'는 의미에서 '지다'는 의미를 파생하고 '짊어지다', '당하다' 등의 의미까지 파생함. ⊙ 薪(신) 섶나무나 땔나무의 의미. '新(신)'은 발음 역할. ⊙ 入(입)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火(화) 불꽃이 위로 솟아오르는 모양을 본뜬 형태
[747] ◈ 負 薪 之 憂 (부신지우)【한자】 짊어질 부 / 섶나무 신 / 어조사 지 / 근심할 우【의미】 섶을 짊어진 근심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를 졌던 피로로 인해 얻은 병이라고 보거나 병으로 섶나무도 질 수 없게 되었다고 보기도 하는데, 모두 자신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로 사용됨.【구별어】▶ 負薪之資 (부신지자): 천하고 못난 자질.▶ 負薪之才 (부신지재): 소인의 재능.【字意】⊙ 憂(우) '面(면)'의 변형인 '얼굴'에 마음이 근심스러움을 덮고 있어 느리게 걷고 있다는 의미에서 '근심'의 의미 생성.▣ 부식강상, 부신입하, 부신지우 - 교본파일(24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48] ◈ 浮 言 流 說 (부언유설)【한자】 뜰 부 / 말씀 언 / 흐를 류 / 말씀 설【의미】 뜬소문과 흘러다나는 말이라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는 근거 없는 말의 의미.[ = 浮言浪說 (부언낭설)].【유의어】▶ 浮虛之說 (부허지설): 떠돌아다니는 허황한 말.▶ 流言蜚語 (유언비어):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字意】⊙ 浮(부) 물위에 떠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후에 신중하지 못한 '천하다', '가볍다' 등의 의미 파생.'孚(부)'는 발음부호.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流(류)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 ⊙ 說(설) 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 / (열)기쁘다 / (세)달래다.
[749] ◈ 浮 雲 驚 龍 (부운경룡)【한자】 뜰 부 / 구름 운 / 놀랄 경 / 용 룡【의미】 떠다니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필세(筆勢)가 매우 자유분방(自由奔放)함을 비유하는 말.【字意】⊙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云'을 발음으로 보기도 함. ⊙ 驚(경) 말이 놀랄 때 크게 앞발을 올리면서 울기 때문에, '놀라다'는 의미 생성. '敬(경)'은 발음부호. ⊙ 龍(룡)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750] ◈ 浮 雲 朝 露 (부운조로)【한자】 뜰 부 / 구름 운 / 아침 조 / 이슬 로【의미】 뜬구름과 아침 이슬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人生無常 (인생무상): 인생은 덧없는 것.【字意】⊙ 朝(조) 해가 떠서 햇빛을 빛내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아침'의 의미 생성. ⊙ 露(로) 공기중 수중기가 엉겨 생긴 물방울인 이슬의 의미인데, 후에 '적시다', '드러나다' 등의 의미 파생. '路(로)'는 발음 역할.▣ 부언유설, 부운경룡, 부운조로 - 교본파일(25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781-810 (0) | 2012.12.11 |
---|---|
이야기한자성어751-780 (0) | 2012.12.11 |
이야기한성어691-72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661-690 (0) | 2012.12.06 |
이야기한자성어631-660 (0) | 201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