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1] ◈ 西 河 之 痛 (서하지통)【한자】 서녘 서 / 물 하 / 어조사 지 / 아플 통【의미】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가 서하(西河)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西(서) 본래 새가 보금자리에 들어온다는 의미에서 저녁 무렵의 해가 지는 방향인 '서쪽'을 의미함. ⊙ 河(하) 강 이름에서 '강', '물'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江(강)'을 주로 사용함. ⊙ 痛(통) "병(녁)"부수는 모두 질병과 관련된 글자. 疾病(질병
[1022] ◈ 釋 階 登 天 (석계등천)【한자】 놓을 석 / 섬돌 계 / 오를 등 / 하늘 천【의미】 사다리를 버리고 하늘에 오르려 한다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緣木求魚 (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字意】⊙ 釋(석) 분별해 풀어내다는 의미에서 '풀다', '놓다' 등의 의미에서 '놓아주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階(계) 단계로 올라가는 '계단'의 의미에서 '품계(品階)' 등의 의미까지 확대됨. ⊙ 登(등) 제물을 담은 그릇을 가지고 오르는 모양에서 '오르다'는 의미 생성. ⊙ 天(천)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1023] ◈ 席 藁 待 罪 (석고대죄)【한자】 자리 석 / 마른나무 고 / 기다릴 대 / 죄 죄【의미】 거적을 깔고 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거적을 깔고 엎드려 처벌을 기다리듯 죄과(罪科)에 대한 처분을 기다린다는 의미.【유의어】▶ 叩頭謝罪 (고두사죄): 머리를 두드리며 죄를 사죄함.【字意】⊙ 席(석) 바닥에 까는 '자리'의 의미에서 '지위'까지 확대됨. ⊙ 藁(고) 마른 나무의 의미인데, '稿(고)' 등과 통용됨. ⊙ 待(대)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罪(죄) 칼로 형벌을 주는 의미에서 후에 변화됨. '죄'와 '형벌'의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음.▣ 서하지변, 석계등천, 석고대죄 - 교본파일(34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24] ◈ 碩 果 不 食 (석과불식)【한자】 클 석 / 과실 과 / 아니 불 / 먹을 식【의미】 큰 과실은 다 먹지 않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의 욕심을 억제하고 자손에게 복을 끼쳐줌을 이르는 말.【字意】⊙ 碩(석) 큰돌의 의미에서 '머리가 크다', '아름답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果(과) 나뭇가지에 달린 열매의 모양에서 '과실' 생성. 후에 맺어진 결과물의 의미에서 '결과'의 뜻 파생. ⊙ 食(식)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1025] ◈ 席 卷 之 勢 (석권지세)【한자】 자리 석 / 말 권 / 어조사 지 / 기세 세【의미】 자리를 말 듯한 형세라는 뜻으로, 자리를 둘둘 말 듯이 세차고 거침없이 세력을 펴는 기세의 의미. 준말은 석권(席卷) 혹은 석권(席捲).【유의어】▶ 破竹之勢 (파죽지세): 대를 쪼개는 형세.【字意】⊙ 席(석) 바닥에 펼쳐 깔아놓은 '자리'의 의미에서 '지위'까지 확대됨. ⊙ 卷(권) '두루마리'로 엮인 죽간을 두 손으로 잡은 형태에서 '책'의 의미를 전용됨. 손으로 '말다'는 '捲(권)'의 가차로 사용됨. ⊙ 勢(세) 힘의 세기, 기력에서 확대되어 권세(權勢), 남자 성기 '불알'의 의미까지 파생.[去勢(거세)].
[1026] ◈ 釋 根 灌 枝 (석근관지)【한자】 놓을 석 / 뿌리 근 / 물댈 관 / 가지 지【의미】 뿌리를 버려 두고 가지에 물을 준다는 뜻으로, 근본(根本)을 잊고 지엽(枝葉)에만 힘씀을 이르는 말.【유의어】▶ 舍本治末 (사본치말):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다스린다.【字意】⊙ 釋(석) 분별해 풀어내다는 의미에서 '풀다', '놓다' 등의 의미에서 '놓아주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根(근) 나무의 뿌리에서 '근본'의 의미까지 파생. ⊙ 灌(관) 물을 흐르게 방향을 '끌어대다'는 의미. ⊙ 枝(지) 나무의 가지를 의미. '支(지)'는 발음.▣ 석과불식, 석권지세, 석근관지 - 교본파일(34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27] ◈ 釋 服 從 吉 (석복종길)【한자】 놓을 석 / 옷 복 / 따를 종 / 길할 길【의미】 상복을 벗고 즐거움을 따른다는 뜻으로,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이 스스로 상복(喪服)을 벗고 즐거움을 탐닉(耽溺)하면서 애도(哀悼)의 뜻을 잊어버리는 의미로 불효(不孝)의 十惡(십악) 가운데 하나임.【字意】⊙ 釋(석) 분별해 풀어내다는 의미에서 '풀다', '놓다' 등의 의미에서 '놓아주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服(복) 배에 사람이 있는 모양에서 '좇다'는 의미인데, 후에 '의복'의 의미로 확대됨. ⊙ 從(종) 두 사람이 서로 따라간다[人人]는 의미에서 후에 걸어갈 척[두인변]과 '止(지)'가 추가되어 움직임을 나타나게 됨. ⊙ 吉(길) 도끼를 들고 특정 지역을 지키고 있는 모양에서 '좋고 편안한 길함'의 의미 생성. 상대자는 '凶(흉)'.
[1028] ◈ 席 不 暇 暖 (석불가난)【한자】 자리 석 / 아니 불 / 겨를 가 / 따뜻할 난【의미】 앉은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매우 바쁘게 돌아다니며 행동한다는 의미.【유의어】▶ 東奔西走 (동분서주): 동서로 분주하다.【字意】⊙ 席(석) 바닥에 펼쳐 깔아놓은 '자리'의 의미에서 '지위'까지 확대됨. ⊙ 暇(가) 겨를과 틈의 의미에서 여유있게 지낸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暖(난) 온도가 따뜻하다는 의미에서 '따뜻하다'는 뜻 생성
[1029] ◈ 石 心 鐵 腸 (석심철장)【한자】 돌 석 / 마음 심 / 쇠 철 / 창자 장【의미】 돌 심장과 쇠 창자라는 뜻으로, 단단한 돌 같은 마음과 쇠 같은 창자처럼 지조가 굳음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 獨也靑靑 (독야청청) : 홀로 푸르듯 높은 지조와 절개.【字意】⊙ 石(석)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心(심) 사람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고대에는 심장에서 두뇌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인식함. ⊙ 鐵(철)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쇠'의 의미. ⊙ 腸(장) 창자의 의미. 내장인 오장[心(심장), 腎(신장), 肺(폐장), 肝(간장), 脾(비장)]과는 구별해서 육부[六腑:대장(大腸), 소장(小腸), 위(胃), 담(膽), 방광(膀胱), 삼초(三焦)] 중의 하나.▣ 석복종길, 석불가난, 석심철장 - 교본파일(34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30] ◈ 惜 玉 憐 香 (석옥연향)【한자】 아낄 석 / 구슬 옥 / 불쌍히여길 련 / 향기 향【의미】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 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동의어】▶ 憐香惜玉 (연향석옥).【字意】⊙ 惜(석) 마음에 아깝다는 뜻에서 후에 안타깝다는 의미 파생. '昔(석)'은 발음. ⊙ 玉(옥)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王(왕)'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憐(련) 마음으로 불쌍하고 가엽게 여긴다는 의미에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한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오른쪽 부분은 발은 작용. ⊙ 香(향) 기장[黍(서)]이 익으면서 나는 맛있는[口] 냄새에서 '향기'의 의미 생성
[1031] ◈ 惜 指 失 掌 (석지실장)【한자】 아낄 석 / 가리킬 지 잃을실 손바닥장【의미】 손가락을 아끼려다가 손바닥마저 잃는다는 뜻으로, 작을 것을 아끼려다 큰 일을 그르치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1. 小貪大失 (소탐대실) : 작은 것을 탐내다 큰 것을 잃음2. 矯角殺牛 (교각살우) : 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임.【字意】⊙ 指(지) 손가락의 의미에서 '가리키다', '지시하다' 등의 뜻 파생. ⊙ 失(실) 떨어뜨리거나 놓쳐 잃는다는 의미. '손해본다[반대는 得(득)]'는 의미 파생. ⊙ 掌(장) 사람 손바닥의 의미. 위의 '尙(상)'은 변화된 발음
[1032] ◈ 石 破 天 驚 (석파천경)【한자】 돌 석 / 깨뜨릴 파 / 하늘 천 / 놀랄 경【의미】 돌을 깨뜨려 하늘도 놀란다는 뜻으로, 아주 의표(意表)를 찔러 형용할 수 없다는 것에서, '착상이 기발하다'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石(석)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破(파)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 등의 의미 생성. ⊙ 天(천)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驚(경) 말이 놀랄 때 크게 앞발을 올리면서 울기 때문에, '놀라다'는 의미 생성. '敬(경)'은 발음부호.▣ 석옥연향, 석지실장, 석파천경 - 교본파일(34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33] ◈ 旋 乾 轉 坤 (선건전곤)【한자】 돌 선 / 하늘 건 / 구를 전 / 땅 곤【의미】 하늘과 땅을 돌려 뒤집는다는 뜻으로, 천지가 회전하듯이 온 세상을 일신(日新)하거나, 나라의 폐풍(弊風)을 크게 고침을 의미함.【字意】⊙ 旋(선) 깃발의 움직임에 따라 발을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되돌아오다', '돌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乾(건) 아침에 해가 뜨는 것이나 초목의 싹이 돋아 나오는 상황[乙]을 모두 '하늘'에서 시작한다는 의미. ⊙ 轉(전) 수레의 바퀴가 빙빙 도는 것에서 '회전하다', '변하다'는 의미로 확대됨. ⊙ 坤(곤) '土'가 십이지의 '申'에 해당하기에, 괘(卦)의 '땅'의 의미 생성.
[1034] ◈ 先 見 之 明 (선견지명)【한자】 먼저 선 / 볼 견 / 어조사 지 / 밝을 명【의미】 먼저 보는 밝은 눈이라는 뜻으로, 닥쳐올 일을 미리 아는 슬기로움의 의미.【유의어】▶ 獨見之明 (독견지명) : 홀로 보는 슬기로움.【字意】⊙ 先(선) 윗 부분이 '之(지)'의 의미여서 밑에 '人(인)'을 더해 남보다 앞서간다는 의미를 생성함. ⊙ 見(견) 사람의 눈을 강조해 눈으로 '보다'는 의미 생성. ⊙ 明(명)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日'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1035] ◈ 善 供 無 德 (선공무덕)【한자】 착할 선 / 이바지할 공 / 없을 무 / 덕 덕【의미】 부처에게 공양을 잘하여도 공덕이 없다는 뜻으로, 남을 위하여 힘껏 노력하더라도 아무런 보람이 없었음을 이르는 말.【字意】⊙ 善(선)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선'의 의미 생성. ⊙ 供(공) 보태어 이비지하거나 '받들다'는 의미. '共(공)'은 발음.⊙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의 의미를 추가해 '舞(무)'를 만듦. ⊙ 德(덕) 본래 '十+目+一+心'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德)이 행동과 관련하여 '두인변[걸어갈 척]'을 첨가함.▣ 선건전곤, 선견지명, 선공무덕 - 교본파일(34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36] ◈ 先 公 後 私 (선공후사)【한자】 먼저 선 / 공변될 공 / 뒤 후 / 사사로울 사【의미】 공적인 것을 먼저하고 사적인 일을 나중에 한다는 뜻으로, 公事를 우선시하고 私事를 귀로 한다는 의미.【유의어】▶ 滅私奉公 (멸사봉공) : 私(사)를 버리고 公(공)을 힘씀.▶ 大義滅親 (대의멸친) : 대의가 친분(親分)을 멸한다.【字意】⊙ 先(선) 윗 부분이 '之(지)'의 의미여서 밑에 '人(인)'을 더해 남보다 앞서간다는 의미를 생성함. ⊙ 公(공) 사사로움을 배반한다는 의미에서 '공변되다'는 생성. 후에 '공적인 내용이나 임금, 높은 벼슬아치' 등의 의미 파생. ⊙ 後(후) 작은 발걸음으로 천천히 걷는 다는 의미에서 '뒤'의 뜻 생성. ⊙ 私(사) 사사로운 개인의 상징으로 벼[禾]를 사용해 '사사롭다'는 의미 생성.
[1037] ◈ 善 騎 者 墮 (선기자타)【한자】 착할 선 / 말탈 기 / 놈 자 / 떨어질 타【의미】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 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유의어】▶ 善遊者溺 (선유자익) : 헤엄 잘 치는 사람이 물에 빠짐.【字意】⊙ 騎(기) 말 위에 올라탄다는 의미에서 '타다'는 뜻 생성. '奇(기)'는 발음.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墮(타) 무너뜨리고 부서진다는 의미에서 '떨어뜨리다'는 의미를 파생함
[1038] ◈ 善 男 善 女 (선남선녀)【한자】 착할 선 / 사내 남 / 착할 선 / 계집 녀【의미】 착한 사람과 착한 여자라는 뜻인데, 불가(佛家) 에서는 불법(佛法)에 귀의한 재속(在俗)의 사람들을 의미로 사용함.【字意】⊙ 善(선)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선'의 의미 생성. ⊙ 男(남) 갑골문에서는 밭에 농기구인 쟁기를 더해 '밭에서 쟁기를 다루는 사람'인 '남자'로 설명함. 후에 자형에 따라 힘의 의미인 '力(력)'으로 보기도 함. ⊙ 女(녀) 얌전하게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으로 동양의 윤리 의식으로 인해 '여자'의 의미.▣ 선공후사, 선기자타, 선남선녀 - 교본파일(34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39] ◈ 先 病 服 藥 (선병복약)【한자】 먼저 선 / 병 병 / 입을 복 / 약 약【의미】 병이 걸리기 전에 미리 약을 복용한다는 뜻으로, 병을 미연에 막음을 의미하는 말.【유의어】▶ 先亂任善 (선난임선) : 난리가 나기 전에 선한 이를 미리 임명한다.【字意】⊙ 病(병) 사람이 병이 걸려 침상에 누워있는 의미에서 '병'의 의미 생성. '丙(병)'은 발음. ⊙ 服(복) 배에 사람이 있는 모양에서 '좇다'는 의미인데, 후에 '의복'의 의미로 확대되었고, 여기서는 약을 '복용하다'는 의미. ⊙ 藥(약) 병을 고치고 치료하는 '약'의 의미. '樂'은 발음요소
[1040] ◈ 先 病 者 醫 (선병자의)【한자】 먼저 선 / 병 병 / 놈 자 / 의원 의【의미】 먼저 병을 앓은 사람이 의사라는 뜻으로, 병을 앓아 본 사람은 경험으로 뒤에 앓는 사람의 병을 고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경험 있는 사람이 남을 인도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者(자) 본래 장작불을 태우면서 제사지내는 모양에서 출발해, 후에 단순한 대명사로 전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 醫(의) 병자(病者)의 모습이나 아픈 신음소리에 병을 고친다는 약의 의미로 술[酉]를 더해 치료하는 '의원'의 의미를 생성함.
[1041] ◈ 先 賞 後 罰 (선상후벌)【한자】 먼저 선 / 상 상 / 뒤 후 / 벌 벌【의미】 상을 먼저하고 벌을 나중한다는 뜻으로, 벌주는 일보다 상을 내리는 일을 먼저 하는 위무(慰撫)하는 태도를 유지한다는 의미.【字意】⊙ 先(선) 윗 부분이 '之(지)'의 의미여서 밑에 '人(인)'을 더해 남보다 앞서간다는 의미를 생성함. ⊙ 賞(상) 제물을 숭상하다[尙]는 의미에서 '즐기다', '상주다'는 의미 생성. ⊙ 後(후) 작은 발걸음으로 천천히 걷는 다는 의미에서 '뒤'의 뜻 생성. ⊙ 罰(벌) 다소 작은 죄에 대해 칼로 으르고 말로 꾸짖다는 의미에서 '벌을 준다'는 의미를 생성함.▣ 선병복약, 선병자의, 성상후벌 - 교본파일(34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42] ◈ 先 憂 後 樂 (선우후락)【한자】 먼저 선 / 근심 우 / 뒤 후 / 즐거울 락【의미】 먼저 근심하고 나중에 즐긴다는 뜻으로, 지사(志士)나 인자(仁者) 등 훌륭한 사람들이 자신보다 세상을 사랑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字意】⊙ 先(선) 윗 부분이 '之(지)'의 의미여서 밑에 '人(인)'을 더해 남보다 앞서간다는 의미를 생성함. ⊙ 憂(우) '面(면)'의 변형에 마음이 근심스러움을 덮고 있어 느리게 걷고 있다는 의미에서 '근심'의 의미 생성. ⊙ 後(후) 작은 발걸음으로 천천히 걷는 다는 의미에서 '뒤'의 뜻 생성. ⊙ 樂(락)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락)'나 '좋아한다(요)'는 의미 파생.
[1043] ◈ 仙 姿 玉 質 (선자옥질)【한자】 신선 선 / 자태 자 / 구슬 옥 / 바탕 질【의미】 신선 같은 자태와 옥 같은 자질이라는 뜻으로, 기품(氣品)이 높은 미인(美人)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花容月態 (화용월태) : 꽃 같은 용모에 달 같은 자태.▶ 絶世美人 (절세미인) : 세상에서 빼어난 미인.【字意】⊙ 仙(선) 산에 살며 不老長生의 도를 닦는 사람의 의미로 '신선'이라 함. ⊙ 姿(자) 맵시나 자태의 의미에서 풍취 등의 의미를 파생함. ⊙ 玉(옥) 옥에 구멍을 뚫어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인데, 임금[王]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해 놓음. 부수로 사용될 경우는 글자의 모양을 임금 왕(王)자로 표현함. ⊙ 質(질) 꾸미지 않은 본연 그대로의 성질인 '바탕'의 의미.
[1044] ◈ 仙 風 道 骨 (선풍도골)【한자】 신선 선 / 바람 풍 / 도리 도 / 뼈 골【의미】 신선(神仙)의 풍모(風貌)와 도사(道士)의 골격(骨格)이라는 뜻으로, 남달리 뛰어나고 고아(高雅)한 풍채를 이르는 말.【유의어】▶ 氣骨壯大 (기골장대): 기혈(氣血)과 골격이 건장하고 큼.【字意】⊙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道(도) 首(수)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갈 (착)[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의 의미 파생. ⊙ 骨(골)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선우후락, 선자옥질, 선풍도골 - 교본파일(34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45] ◈ 善 敗 由 己 (선패유기)【한자】 착할 선 / 부술 패 / 말미암을 유 / 자기 기【의미】 성공과 실패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 일의 성패는 자기 자신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字意】⊙ 善(선)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선'의 의미 생성. ⊙ 敗(패) 화패 개념의 '貝(패)'를 두드려 깬다는 의미에서 '깨뜨리다', '패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由(유) 인연해서 말미암다는 의미. ⊙ 己(기) 만물이 자신을 숨기고 있는 개념에서 '나'의 의미 도출.
[1046] ◈ 善 行 無 鐵 迹 (선행무철적)【한자】 착할 선 / 갈 행 / 없을 무 / 쇠 철 / 자취 적【의미】 길을 잘 가는 사람은 수레 자국이나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된 선행은 남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의미.【관련어】▶ 謙讓之德 (겸양지덕): 겸손하고 사양하는 미덕.【字意】⊙ 行(행)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鐵(철)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쇠'의 의미. ⊙ 迹(적) 걸어간 발자국의 의미에서 '자취', '쫓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1047] ◈ 先 花 後 果 (선화후과)【한자】 먼저 선 / 꽃 화 / 뒤 후 / 과실 과【의미】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는다는 뜻으로, 먼저 딸을 낳고 나중에 아들을 낳음을 비유하는 말.【字意】⊙ 先(선) 윗 부분이 '之(지)'의 의미여서 밑에 '人(인)'을 더해 남보다 앞서간다는 의미를 생성함. ⊙ 花(화) 꽃이 발화하는 의미에서 '변하다'는 의미의 '化(화)'를 넣었는데, '化'는 발음으로도 사용됨. ⊙ 後(후) 작은 발걸음으로 천천히 걷는 다는 의미에서 '뒤'의 뜻 생성. ⊙ 果(과) 나뭇가지에 달린 열매의 모양에서 '과실' 생성. 후에 맺어진 결과물의 의미에서 '결과'의 뜻 파생.▣ 선패유기, 선행무철적, 선화후과 - 교본파일(34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48] ◈ 舌 乾 脣 焦 (설건순초)【한자】 혀 설 / 마를 건 / 입술 순 / 태울 초【의미】 혀가 마르고 입술이 탄다는 뜻으로, 혀와 입술이 타고 마를 정도로 말을 빨리 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초조해 안절부절못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유의어】▶ 坐不安席 (좌불안석):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못함.【字意】⊙ 舌(설) 입과 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거나 입과 범한다는 의미의 결합으로도 봄. ⊙ 乾(건) 아침에 해가 뜨는 것이나 초목의 싹이 돋아 나오는 상황[乙]을 모두 '하늘'에서 시작한다는 의미. ⊙ 脣(순) 입술의 의미 '辰(진)'은 발음 역할. ⊙ 焦(초) 새 밑에 불을 놓고 태우는 모양에서 '태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마음을 조리거나 난해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애태우다'는 뜻 파생.
1049] ◈ 舌 根 未 乾 (설근미건)【한자】 혀 설 / 뿌리 근 / 아닐 미 / 마를 건【의미】 혀뿌리의 침이 아직 마르지 않았다는 뜻으로, 금시 한 말을 번복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말.【유의어】▶ 朝變夕改 (조변석개): 아침에 변했다가 저녁에 고친다.【字意】⊙ 根(근) 나무의 뿌리에서 '근본'의 의미 생성. ⊙ 未(미) 나무의 위에 가지를 더해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후에 가지가 무성해 저 쪽을 볼 수 없다는 의미에서 부정사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를 확대함. ⊙ 乾(건) 아침에 해가 뜨는 것이나 초목의 싹이 돋아 나오는 상황[乙]을 모두 '하늘'에서 시작한다는 의미.
[1050] ◈ 雪 泥 鴻 爪 (설니홍조)【한자】 눈 설 / 진흙 니 / 큰기러기 홍 / 손톱 조【의미】 눈 흙탕 위의 기러기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눈이 내린 흙탕 위의 기러기 발자국이 시간이 지나 눈이 녹으면 자취도 없이 사라지듯이 인생이 무상(無常)하고 아무 자취가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雪(설) 빗자루 모양에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의미함. ⊙ 泥(니) 질척질척한 흙인 진흙의 의미. '尼(니)'는 발음 요소. ⊙ 鴻(홍) 기러기 종 중에서 더 큰기러기의 의미. '江(강)'은 발음 역할. ⊙ 爪(조) 물건을 덮어 움켜쥐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잡고 있는 손을 강조해 손가락 끝인 '손톱'의 뜻으로 사용되고, 부수 역할도 '손으로 잡는다' 등의 손의 동작으로 주로 활용됨.▣ 설건순초, 설근미건, 설니홍조 - 교본파일(35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081-1120 (0) | 2012.12.15 |
---|---|
이야기한자성어1051-1080 (0) | 2012.12.13 |
이야기한자성어991-102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961-990 (0) | 2012.12.11 |
이야기한자성어931-960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