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31] ◈ 胡 不 歸 (호불귀)【한자】 오랑캐 호 / 아니 불 / 돌아갈 귀【의미】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출전】▶ 歸去來兮 田園將蕪 胡不歸.(귀거래혜 전원장무 호불귀) : 돌아가련다. 전원이 장차 거칠어지려 하니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오. <歸去來辭>【字意】◎ 胡(호) 달[月]을 지나간 시간이나 비문명으로 보아 ‘오랑캐’로 사용함. 자형 구분시 ‘肉’부수에 포함됨. 후에 ‘어찌’의미 파생. ◎ 不(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歸(귀) 아녀자가 빗자루를 들고 ‘시집가다’는 의미에서 친정으로 ‘돌아가다’는 의미의 멈추어 그친다는 ‘돌아가다’는 뜻을 생성함.
[2731] ◈ 胡 不 歸 (호불귀)【한자】 오랑캐 호 / 아니 불 / 돌아갈 귀【의미】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출전】▶ 歸去來兮 田園將蕪 胡不歸.(귀거래혜 전원장무 호불귀) : 돌아가련다. 전원이 장차 거칠어지려 하니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오. <歸去來辭>【字意】◎ 胡(호) 달[月]을 지나간 시간이나 비문명으로 보아 ‘오랑캐’로 사용함. 자형 구분시 ‘肉’부수에 포함됨. 후에 ‘어찌’의미 파생. ◎ 不(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歸(귀) 아녀자가 빗자루를 들고 ‘시집가다’는 의미에서 친정으로 ‘돌아가다’는 의미의 멈추어 그친다는 ‘돌아가다’는 뜻을 생성함.
[2732] ◈ 呼 不 給 吸 (호불급흡)【한자】 불 호 / 아니 불 / 넉넉할 급 / 마실 흡【의미】 불었다가 마시기를 더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너무 놀라서 숨을 내쉬고는 들이쉬지 못하는 것처럼 사물의 진행이 너무 빨라서 미처 응할 시간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呼(호) 오라고 ‘부른다’는 의미에서 ‘호통치다’나 ‘숨쉬다’, 또 감탄사 ‘아!’ 등 파생. ‘乎(호)’는 발음. ◎ 給(급) 실로 이어 더해서 넉넉하게 연결한다는 의미를 생성함. ‘合(합)’은 발음 요소. ◎ 吸(흡) 입으로 들이마시거나 먹는다는 의미에서 ‘마시다’는 뜻을 생성함. 及(급)은 발음 요소.
[2733] ◈ 狐 不 二 雄 (호불이웅)【한자】 여우 호 / 아니 불 / 두 이 / 수컷 웅【의미】 여우는 수놈이 짝을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수놈 두 마리가 동거하지 못하는 여우처럼 양웅(兩雄)은 병립(竝立)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유의어】▶ 兩雄不俱立 (양웅불구립) : 두 영웅은 함께 설 수 없다.【字意】◎ 狐(호) 혼자 생활하는 '여우'의 속성으로 만든 글자. ◎ 二(이) 가로 그은 획 두 개로 ‘둘’이라는 수를 나타낸 글자. ◎ 雄(웅) 왼쪽 부분은 변화된 발음 표현. 새를 상징한 동물의 수컷 의미. 후에 영웅의 의미 파생. 암컷은 雌(자). ▣ 호불귀, 호불급흡, 호불이웅 - 교본파일(91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34] ◈ 胡 思 亂 想 (호사난상)【한자】 오랑캐 호 / 생각 사 / 어지러울 란 / 생각 상【의미】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생각이라는 뜻으로, 이것저것 쓸데없는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참고】▶ 胡亂 (호란) : 1.확실하지 않은 일. 대충대충. 적당히. 2. 괴이하고 의심스러움. 3.호인(胡人)의 난리【字意】◎ 胡(호) 달[月]을 지나간 시간이나 비문명으로 보아 ‘오랑캐’로 사용함. 자형 구분시 ‘肉’부수에 포함됨. 후에 ‘어찌’의미 파생. ◎ 思(사) ‘田’은 사람 뇌의 모양. 마음과 뇌에서 결정하는 생각이라는 의미 생성. ◎ 亂(란) 실타래가 물레에 얽혀있는 것을 칼로 자르는 모양에서 ‘어지럽다’는 의미 생성. ‘乙’은 칼날의 변형으로 봄. ◎ 想(상) 마음으로 '생각한다'는 의미. '相(상)'은 발음.
[2735] ◈ 好 事 多 魔 (호사다마)【한자】 좋아할 호 / 일 사 / 많을 다 / 마귀 마【의미】 좋은 일에 마귀가 많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있을 때는 이를 방해하는 일이 따라 들기 쉬워 일이 완성되기까지는 풍파를 많이 겪어야 한다는 말. 【동의어】▶ 好事多妨 (호사다방) : 좋은 일은 방해가 많음.【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多(다) 본래는 고기[肉]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 생성. ◎ 魔(마) 악귀나 마귀 같은 귀신의 의미. '麻(마)'는 발음 역할
[2736] ◈ 狐 死 首 丘 (호사수구)【한자】 여우 호 / 죽을 사 / 머리 수 / 언덕 구【의미】 여우가 죽을 때 언덕에 머리를 향한다는 뜻으로, 죽을 때 태어난 언덕에 머리를 향하는 여우처럼 근본을 잊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고향을 그리워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首丘初心 (수구초심) : 언덕을 향해 머리를 대는 초심.【字意】◎ 狐(호) 혼자 생활하는 '여우'의 속성으로 만든 글자.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首(수) 사람의 코[自]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 丘(구) 언덕 봉우리가 솟아있는 모양에서 ‘언덕’의 의미 생성. 공자(孔子)의 이름자로 인해 휘(諱)하고 주로 邱(구)를 사용. ▣ 호사난상, 호사다마, 호사수구 - 교본파일(91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37] ◈ 虎 死 留 皮 (호사유피)【한자】 범 호 / 죽을 사 / 머무를 류 / 가죽 피【의미】 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성을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 豹死留皮 (표사유피) :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김.【유의어】▶ 人死留名 (인사유명) : 사람은 죽어서 명성을 남김.【출전】▶ 豹死留皮, 人死留名 - <五代史(오대사)>【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留(류) 밭에서 오래도록 농사일을 담당한다는 의미에서 ‘머무르다’는 의미 생성. 卯(묘)는 발음 요소. ◎ 皮(피) 손으로 짐승의 껍질을 벗기는 모양에서 ‘가죽’ 의미 생성.
[2738] ◈ 狐 死 兎 泣 (호사토읍)【한자】 여우 호 / 죽을 사 / 토끼 토 / 울 읍【의미】 여우의 죽음에 토끼가 운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를 슬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 兎死狐悲 (토사호비) : 토끼의 죽음에 여우가 슬퍼함.▶ 狐兎之悲 (호토지비) : 여우와 토끼의 슬픔.【字意】◎ 狐(호) 혼자 생활하는 '여우'의 속성으로 만든 글자.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兎(토) 쭈그리고 앉아 있는 토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의 귀와 아래의 꼬리를 강조함. ◎ 泣(읍) 흐느끼듯 우는 울음을 의미하는 글자. 立(립)은 발음 요소.
[2739] ◈ 互 相 入 葬 (호상입장)【한자】 서로 호 / 서로 상 / 들 입 / 장사지낼 장【의미】 서로 장례를 들인다는 뜻으로, 친족을 한 묘지에 장사지낸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주인이 없는 산에 아무나 마음대로 장사지냄을 이르는 말. 【字意】◎ 互(호) 두 가지의 상황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모양에서 ‘서로’, ‘함께’ 등의 의미 생성. ◎ 相(상)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얼굴’과 ‘정승’ 등 의미 파생. ◎ 入(입)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葬(장) 죽은 시체를 풀숲[茻(망)] 위에 올려놓는 것에서 ‘장사지내다’는 의미를 생성함▣ 호사유피, 호사토읍, 호상입장 - 교본파일(91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40] ◈ 好 色 不 淫 (호색불음)【한자】 좋아할 호 / 색 색 / 아니 불 / 음란할 음【의미】 여색을 좋아하나 음란하지 않다는 뜻으로, 정도(定度)를 넘지 않는 기본적인 가치를 지킨다는 의미인데,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을 평하여 이르는 의미임. 【대구어】▶ 小雅 怨誹而不亂 (소아 원비이불란) : 소아편은 원망과 비방을 하나 어지럽지 않음. <史記>【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色(색) 무릎을 꿇은 사람[巴] 위에 또 사람을 더해 남녀 사이의 정을 의미하는 ‘색정’의 의미 생성, 후에 얼굴색으로 인해 ‘색깔’의 의미 파생. ◎ 淫(음) 물에 ‘적시다’는 의미에서 ‘범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되어 ‘어지럽다’나 ‘음란하다’ 등을 파생함
[2741] ◈ 虎 生 文 炳 (호생문병)【한자】 범 호 / 날 생 / 문채 문 / 빛날 병【의미】 범은 나면서부터 문채가 빛난다는 뜻으로, 영준(英俊)한 사람은 어릴 때부터 기량(器量)이 비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유의어】▶ 鳳生五色 (봉생오색) : 봉황은 나면서부터 오색을 띤다.【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文(문)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 ‘채색’ 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나 ‘글’의 의미로 변천. ◎ 炳(병) 퍼져나가는 불의 의미에서 ‘빛나다’, ‘밝다’ 등 의미 생성. ‘丙’은 발음역할.
[2742] ◈ 好 生 惡 死 (호생오사)【한자】 좋아할 호 / 날 생 / 미워할 오 / 죽을 사【의미】 삶을 좋아하고 죽음을 싫어한다는 뜻으로, 모든 생물은 살기를 좋아하고 죽기를 꺼린다는 의미.【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惡(악/오) 죽음과 같은 나쁜 것의 의미에서 ‘악하다’ 등을 생성. ‘미워하다’는 (오)발음.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호색불음, 호생문병, 호생오사 - 교본파일(91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43] ◈ 湖 上 不 鬻 魚 (호상불육어)【한자】 호수 호 / 윗 상 / 아니 불 / 팔 육 / 물고기 어【의미】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林中不賣薪 (임중불매신) : 숲 속에서는 땔나무를 팔지 않음.【字意】◎ 湖(호) 연못[淵(연)]보다 큰물의 의미인 '호수'. ‘胡(호)’는 발음. ◎ 上(상)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 鬻(육/죽) 솥에서 삶은 쌀의 의미인 ‘죽(죽)’인데, ‘賣’와 통하여 ‘팔다’는 의미 파생.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2744] ◈ 好 生 之 德 (호생지덕)【한자】 좋아할 호 / 날 생 / 어조사 지 / 덕 덕【의미】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는 덕이라는 뜻으로, 남의 목숨을 소중하게 여기고 살상을 꺼리는 어진 마음을 이르는 말. 【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德(덕) 본래 ‘十+目+一+心’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德)이 행동과 관련하여 ‘彳’을 첨가함.
[2745] ◈ 好 生 之 物 (호생지물)【한자】 좋아할 호 / 날 생 / 어조사 지 / 물건 물【의미】 매우 잘 사는 사물이라는 뜻으로, 되는대로 굴러도 잘 사는 식물을 이르는 말.【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物(물) 피 뭍은 칼[勿]로 소를 잡는 모양인데, 고대 희생으로 쓰인 소로 인해 모든 중요한 물건의 의미로 ‘만물’ 의미 생성.
[2746] ◈ 狐 鼠 之 盜 (호서지도)【한자】 여우 호 / 쥐 서 / 어조사 지 / 도둑 도【의미】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 여우와 쥐를 소인(小人)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유의어】▶ 狐鼠輩 (호서배) 【字意】◎ 狐(호) 혼자 생활하는 '여우'의 속성으로 만든 글자. ◎ 鼠(서)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 盜(도)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놓고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에서 ‘훔치다’는 의미인 ‘도둑’의 의미 생성
[2747] ◈ 虎 嘯 風 生 (호소풍생)【한자】 범 호 / 휘바람불 소 / 바람 풍 / 날 생【의미】 범이 울어 바람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만나 떨쳐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虎嘯而谷風至 (호소이곡풍지) : 범이 우니 골에 바람이 이름.▶ 虎嘯而風冽 (호소이풍렬): 범이 우니 바람이 차게 일어남.【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嘯(소) 입을 오므리어 소리를 내는 ‘휘바람’과 ‘울부짖다’ 등 생성. ◎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지다’는 의미가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를 더함. ◎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2748] ◈ 胡 孫 入 袋 (호손입대)【한자】 턱밑살 호 / 손자 손 / 들 입 / 자루 대【의미】 원숭이가 자루 속에 들어갔다는 뜻으로, 일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참고】▶ 胡孫 : 원숭이의 별칭. 외모가 호인(胡人)과 닮아서 생긴 이름. 猢猻 (호손) - ‘猢猻入袋’로도 표현함.【字意】◎ 胡(호) 소의 턱밑에 늘어진 살을 의미하거나, 달[月]을 지나간 시간이나 비문명으로 보아 ‘오랑캐’로 사용함. 자형 구분시 ‘肉’부수에 포함됨. 후에 가차되어 ‘어찌’의 의미도 파생. ◎ 孫(손) 자식[子]을 끈으로 연계[系]해 나간다는 의미에서 ‘손자’, ‘후손’의 의미 생성. ◎ 入(입)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袋(대) 자루나 부대, 주머니의 의미. ‘代(대)’는 발음.▣ 호서지도, 호소풍생, 호손입대 - 교본파일(91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49] ◈ 虎 視 眈 眈 (호시탐탐)【한자】 범 호 / 볼 시 / 노려볼 탐 / 노려볼 탐【의미】 범이 노려보고 있다는 뜻으로, 범이 먹이를 노려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는 모양이나, 강한 자가 약자의 것을 먹으려고 기회를 노리고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참고】▶ 眈眈 : 범이 아래를 노려보는 모양. [‘耽耽’은 잘못임]【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視(시) 가시적으로 ‘보다’는 의미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는 의미까지 확대. ◎ 眈(탐) 열중하여 보다는 의미에서 ‘노려보다’는 의미 생성.
[2750] ◈ 好 心 好 報 (호심호보)【한자】 좋아할 호 / 마음 심 / 좋아할 호 / 갚을 보【의미】 좋은 마음에 좋은 보답이라는 뜻으로, 착한 마음을 쓰면 좋은 갚음을 받는다는 의미.【유의어】▶ 陰德陽報 (음덕양보) : 숨은 덕행이 훗날 보답을 받음.【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 의미로 활용됨. ◎ 報(보)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2751] ◈ 胡 言 亂 語 (호언난어)【한자】 턱밑살 호 / 말씀 언 / 어지러울 란 / 말씀 어【의미】 오랑캐의 어지러운 말이라는 뜻으로, 얼토당토 않는 말을 하거나, 터무니없는 말을 함을 이르는 말.【동의어】▶ 胡言亂說 (호언난설) : 胡言亂道 (호언난도).【참고】▶ 胡言 : 터무니없는 말. 엉터리없는 말.【字意】◎ 胡(호) 소의 턱밑에 늘어진 살을 의미하거나, 달[月]을 지나간 시간이나 비문명으로 보아 ‘오랑캐’로 사용함. 자형 구분시 ‘肉’부수에 포함됨. 후에 가차되어 ‘어찌’의 의미도 파생.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亂(란) 실타래가 물레에 얽혀있는 것을 칼로 자르는 모양에서 ‘어지럽다’는 의미 생성. ‘乙’은 칼날의 변형으로 봄. ◎ 語(어) 말과 이야기의 의미. ‘吾(오)’는 발음요소.
[2752] ◈ 豪 言 壯 談 (호언장담)【한자】 호탕할 호 / 말씀 언 / 씩씩할 장 / 말씀 담【의미】 호기스러운 말과 씩씩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의기양양(意氣揚揚)하게 큰 소리로 장담하는 말이나, 제 분수에 맞지 않는 말로 지껄이는 큰 소리.【유의어】▶ 大言壯談 (대언장담) 【字意】◎ 豪(호) 큰집에서 돼지를 사용해 제례나 행사를 하는 의미에서 뛰어나다는 의미로 ‘호걸스럽다’나 그런 사람 의미 생성.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壯(장) 선비 중의 씩씩한 남자를 이르는 '장사'나 ‘씩씩하다’는 의미.
[2753] ◈ 浩 然 之 氣 (호연지기)【한자】 넒을 호 / 그럴 연 / 어조사 지 / 기운 기【의미】 넓고 큰 기운이라는 뜻으로, 천지간(天地間)에 가득 차 있는 지대지강(至大至剛)의 원리. 곧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정대(公明正大)하여 조금도 부끄러울 바 없는 도덕적 용기를 이르는 말 . 맹자가 처음으로 주창함.【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然(연) 개고기를 불에 굽는 모양에서 독특한 냄새로 인해 안 보고도 알 수 있다는 의미의 ‘그러하다’는 뜻 생성. ◎ 氣(기)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2754] ◈ 號 曰 百 萬 (호왈백만)【한자】 부르짖을 호 / 말할 왈 / 일백 백 / 일만 만【의미】 외치면 백만을 말한다는 뜻으로, 실제로는 얼마 안 되는 것을 과장하여 많다고 떠들어 말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號(호) 입을 크게 벌리고 외친다는 의미에 호랑이의 울부짖음을 더해 확실하게 표현함. 号(호)는 약자이고, 虎는 발음역할도 함. ◎ 曰(왈) 입의 모양에 말소리의 의미를 표시해 ‘말하다’는 의미 생성. ◎ 百(백) ‘白’에 ‘一’을 더해 으뜸의 의미로 ‘일백’의 수를 의미함. ◎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2755] ◈ 呼 牛 呼 馬 (호우호마)【한자】 부를 호 / 소 우 / 부를 호 / 말 마【의미】 소라 부르고, 말이라 부른다는 뜻으로, 남이 나를 소나 말이라 불러도 이에 거역 않고 응하는 것에서 남들이 나를 무어라 비판해도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字意】◎ 呼(호) 오라고 ‘부른다’는 의미에서 ‘호통치다’나 ‘숨쉬다’, 또 감탄사 ‘아!’ 등 파생. ‘乎(호)’는 발음. ◎ 牛(우) 뿔을 강조한 소의 머리 부분을 본뜬 글자. ◎ 馬(마) 말’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
[2756] ◈ 狐 濡 尾 (호유미)【한자】 여우 호 / 젖을 유 / 꼬리 미【의미】 여우가 꼬리를 적신다는 뜻으로, 여우가 물을 건너 가다가 막판에 꼬리가 물에 젖어 건너가지 못했다는 이야기에서 일은 시작하기 쉬우나 끝마무리를 하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狐(호) 혼자 생활하는 '여우'의 속성으로 만든 글자. ◎ 濡(유) 물이 묻어 젖거나 적신다는 의미. ‘需(수)’는 발음 역할. ◎ 尾(미) 사람이 사냥을 할 때 짐승처럼 분장을 하고 있는 모양으로, 사람[尸]이 꼬리털을 붙이고 있는 모양임.
[2757] ◈ 虎 而 冠 (호이관)【한자】 범 호 / 말이을 이 / 갓 관【의미】 호랑이면서 관을 쓰고 있다는 뜻으로, 마음은 범처럼 잔인 횡포(殘忍橫暴)하면서도, 사람의 의관(衣冠)을 하여 외모를 꾸미고 있음을 이르는 말 .【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而(이)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冠(관) ‘元(원)’은 ‘首(수)’의 의미라서 머리를 덮어 가리는 ‘갓’ 의미 도출. 후에 갓을 신분에 따라 달리 쓰게 되어 ‘헤아리다’는 의미의 ‘寸(촌)’을 더함.
[2758] ◈ 好 敵 手 (호적수)【한자】 좋아할 호 / 적 적 / 손 수【의미】 좋은 적수라는 뜻으로, 알맞은 상대자(相對者)를 이르는 말.【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敵(적) 공격의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원수’의 의미를 지님. 후에 ‘맞서다’는 의미 파생. ‘適(적: 가다)’, ‘摘(적: 따다)’, ‘滴(적: 물방울)’ 등과 구별에 유의. ◎ 手(수)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
[2759] ◈ 虎 前 乞 肉 (호전걸육)【한자】 범 호 / 앞 전 / 구걸할 걸 / 고기 육【의미】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前(전) 본래 사람 발[止]이 배[舟] 앞에 있는 모양에서 ‘앞서다’는 의미 생성. ‘刀(도)’부수는 자형에 따른 분류. ◎ 乞(걸) 본래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가차의 개념으로 ‘빌다’는 의미 생성. ◎ 肉(육) 짐승을 잡아 고기를 썰어놓은 모양으로, 부수자로 사용되어 ‘신체’, ‘근육’, ‘고기’ 등의 의미로 활용
[2760] ◈ 胡 蝶 之 夢 (호접지몽)【한자】 오랑캐 호 / 나비 접 / 어조사 지 / 꿈 몽【의미】 나비의 꿈이라는 뜻으로, 장자(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어 즐기는데, 나비가 나인지, 내가 나비인지 분간하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로, 물아(物我)의 구별을 잊음을 비유하여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境地)나 인생의 무상(無常)함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莊周之夢(장주지몽)]【字意】◎ 胡(호) 달[月]을 지나간 시간이나 비문명으로 보아 ‘오랑캐’로 사용함. 자형 구분시 ‘肉’부수에 포함됨. ◎ 蝶(접) 나비의 의미. ◎ 夢(몽)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꿈'의 의미 생성. ▣ 호적수, 호전걸육, 호접지몽 - 교본파일(92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61] ◈ 壺 中 天 地 (호중천리)【한자】 병 호 / 가운데 중 / 하늘 천 / 땅 지【의미】 병 속의 세상이라는 뜻으로, 한대(漢代)의 선인(仙人) 호공(壺公)이 항아리 하나를 집으로 삼고 술을 즐기며 속세를 잊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여 별천지(別天地)나 선경(仙境)의 의미로 사용됨. [= ‘壺中天’, ‘壺裏乾坤 (호리건곤)’]【유의어】▶ 武陵桃源 (무릉도원) : 무릉의 복숭이 근원. 理想鄕(이상향)【字意】◎ 壺(호) 뚜껑 달린 병의 모양을 본뜬 글자에서 ‘병’, ‘항아리’ 등의 의미 생성. ◎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地(지)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2762] ◈ 戶 庭 出 入 (호정출입)【한자】 집 호 / 뜰 정 / 날 출 / 들 입【의미】 집안의 뜰에 출입한다는 뜻으로, 앓던 사람이나 노인이 겨우 마당 안에나 드나듦을 이르는 말.【字意】◎ 戶(호) '부수자'로 본래 양쪽으로 된 문의 한쪽을 표현. 문이 확대되어 '집'의 의미로 활용. ◎ 庭(정) 지붕이 있는 건물의 의미를 더해 궁궐의 마당의 의미로부터 일반적인 ‘뜰’의 의미를 생성함. ◎ 出(출)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 등의 의미 파생. ◎ 入(입)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2763] 護 疾 忌 醫 (호질기의)【한자】 지킬 호 / 병 질 / 꺼릴 기 / 의원 의 【의미】 병을 보호하며 의원을 꺼린다는 뜻으로, 수양 과정에 있는 사람이 충언(忠言)을 꺼린다는 의미. 【字意】◎ 護(호) 말로 변호하고 지킨다는 의미에서 ‘보호하다’는 뜻을 생성함. 오른쪽 부분은 발음 요소. ◎ 疾(질) 병[病]을 의미하는 의미. 失(실)은 발음 요소. 여기서는 ‘빠르다’는 의미. ◎ 忌(기) 마음속으로 두려워하여 멀리하고 미워한다는 의미에서 ‘꺼리다’는 뜻을 생성함. ‘己(기)’는 발음. ◎ 醫(의) 병자(病者)의 모습이나 아픈 신음소리에 병을 고친다는 약의 의미로 술[酉]를 더해 치료하는 '의원'의 의미를 생성함.▣ 호중천리, 초정출입, 초질기의 - 교본파일(92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64] ◈ 虎 擲 龍 拏 (호척용나)【한자】 범 호 / 던질 척 / 용 룡 / 붙잡을 나【의미】 범은 던지고 용은 잡는다는 뜻으로, 범과 용이 맞잡고 치는 것처럼 영웅끼리 다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龍虎相搏 (용호상박) : 용과 범이 서로 싸움. 두 강자가 서로 승패를 겨룸.[= 兩雄相鬪 (양웅상투)]【字意】◎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擲(척) 손[手]으로 '던지다'는 의미에서 '내기를 '걸다'는 의미 파생. ◎ 龍(룡)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拏(나) 노예처럼 손으로 붙잡는다는 의미.
[2765] ◈ 昊 天 罔 極 (호천망극)【한자】 하늘 호 / 하늘 천 / 그물 망 / 다할 극【의미】 하늘이 끝이 없다는 뜻으로, 하늘이 넓고 크며 끝이 없음과 같이 부모의 은혜가 넓고 커서 다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罔極之恩 (망극지은) : 끝이 없는 한없는 부모의 높은 은혜.【字意】◎ 戶(호) '부수자'로 본래 양쪽으로 된 문의 한쪽을 표현. 문이 확대되어 '집'의 의미로 활용.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罔(망) 금수(禽獸)나 어류를 잡는 그물의 의미인데, 후에 가차의 의미로 '없다[無]'는 의미까지 사용함. ◎ 極(극) 집의 가장 높은 곳인 일종의 용마루 의미에서 ‘최고’의 의미로 인해 ‘극한’, ‘다하다’는 의미 파생.
[2766] ◈ 呼 天 不 聞 (호천불문)【한자】 부를 호 / 하늘 천 / 아니 불 / 들을 문【의미】 하늘을 불러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하늘을 부르며 죄의 억울함을 하소연하여도 하늘에 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관련어】▶ 呼天痛哭 (호천통곡) : 하늘을 향해 보며 큰 소리로 슬피 움.【字意】◎ 呼(호) 오라고 ‘부른다’는 의미에서 ‘호통치다’나 ‘숨쉬다’, 또 감탄사 ‘아!’ 등 파생. ‘乎(호)’는 발음.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不(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聞(문) 본래 사람이 귀로 듣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모양인데, 후에 ‘耳’만 남고 발음의 의미인 ‘門’을 추가함.▣ 호척용나, 호천망극. 호천불문 - 교본파일(92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67] ◈ 戶 樞 不 蠹 (호추부두)【한자】 집 호 / 지도리 추 / 아니 불 / 좀 두【의미】 문지도리는 좀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늘 활동하면 안전하고 무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流水不腐 (유수불부) : 흐르는 물은 썩지 않음.【字意】◎ 戶(호) '부수자'로 본래 양쪽으로 된 문의 한쪽을 표현. 문이 확대되어 '집'의 의미로 활용. ◎ 樞(추) 여닫이문을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고안된 축의 의미인 ‘지도리’의미 생성. ◎ 蠹(두) 나무좀이나 빈대좀 벌레의 의미인 좀 의미.
[2768] ◈ 好 學 近 乎 知 (호학근호지)【한자】 좋아할 호 / 배울 학 / 가까울 근 / 어조사 호 / 알 지【의미】 배움을 좋아하면 앎에 가깝다는 뜻으로, 학문은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길이므로, 학문 좋아하는 것 자체가 벌써 ‘知’에 가까움을 이르는 말.【출전】▶ 好學近乎知 力行近乎仁 知恥近乎勇(호학근호지 역행근호인 지치근호용): 행하기를 힘쓰면 ‘仁’데 가깝고, 부끄러움을 알면 ‘勇’에 가깝다. <中庸(중용)>【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봄. ◎ 學(학) 아이가 본받는다[爻]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 생성. ◎ 近(근) 거리가 ‘가깝다’에서 ‘곁’, ‘친척’ 등 파생. ◎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에서 ‘알다’는 뜻 생성.
[2769] ◈ 好 學 不 倦 (호학불권)【한자】 좋아할 호 / 배울 학 / 아니 불 / 게으를 권【의미】 배움을 좋아하여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즐겨 배우며 노력한다는 학문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유의어】▶ 手不釋卷 (수불석권) :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음.▶ 不恥下問 (불치하문) :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음.【字意】◎ 好(호)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 不(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倦(권) 피곤하게 무릎을 구부린 것에서 ‘고달프다’, ‘싫증나다’, ‘게으르다’ 등 생성.▣ 호추부두, 호학근호지, 호학불권 - 교본파일(92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770] ◈ 號 寒 啼 饑 (호한제기)【한자】 부를 호 / 찰 한 / 울 제 / 주릴 기【의미】 추위에 울부짖고 굶주림에 운다는 뜻으로, 추위와 굶주림에 우는 극빈함을 이르는 말.【출전】▶ 冬暖而兒號寒 年豊而妻啼饑 (동난이아호한 연풍이처제기): 겨울이 따뜻해도 아이는 추위에 울고, 해가 풍년이 들어도 아내는 굶주림에 흐느끼네. <韓愈, 進學解(한유, 진학해)>【字意】◎ 號(호) 입을 크게 벌리고 외친다는 의미에 호랑이의 울부짖음을 더해 확실하게 표현함. 号(호)는 약자이고, 虎는 발음역할도 함. ◎ 寒(한)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 ◎ 啼(제) 새나 짐승의 울음소리에서 '울다'라는 의미를 생성함. ◎ 饑(기) 흉년이 들어 먹지 못해 '굶주리다'는 의미. '幾(기)'는 발음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2801-2830 (0) | 2013.02.12 |
---|---|
이야기한자성어2771-2800 (0) | 2013.02.12 |
이야기한자성어2701-2730 (0) | 2013.02.12 |
이야기한자성어2671-2700 (0) | 2013.02.12 |
이야기한자성어2631-2670 (0) | 201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