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 齊宣王이 問曰 交鄰國이 有道乎잇가 孟子 對 曰有하니 惟仁者아 爲能以大事小하나니 是故로 湯이 事葛하시고 文王이 事昆夷하시니이다 惟智者아 爲能以小事大하나니 故로 大王이 事獯鬻하시고 句踐이 事吳하니이다
제선왕이 물어 가로대 “이웃 나라를 사귐에 방도가 있습니까? ” 하니, 맹자 대답하여 가로대 “오직 어진 자라야 능히 큰 것으로써 작은 것을 섬기나니 이에 湯임금이 갈(葛)나라를 섬기고 문왕이 (변방 족속인) 곤이(昆夷)를 섬기니이다. 오직 지혜로운 자라야 능히 小로써 大를 섬기나니 이에로 태왕이 (변방 족속인) 훈육(獯鬻)을 섬기고 (월왕) 구천이 오나라를 섬기니이다.
獯 : 흉노족의 다른 이름 鬻 : 변방족 육 |
▲ 仁人之心은 寬洪惻怛하야 而較計大小彊弱之私라. 故로 小國이 雖或不恭이나 而吾所以字之之心으로 自不能已요 智者는 明義理하고 識時勢라. 故로 大國이 雖見侵陵이나 而吾所以事之之禮로 尤不敢廢라. 湯事는 見後篇이오 文王事는 見詩大雅요 大王事는 見後章이라. 所謂狄人이니 則獯鬻也라. 句踐은 越王名이니 事見國語史記하니라.
어진 사람의 마음은 너그럽고 넓으며 측은하고 슬퍼하야 大小와 강약의 사사로움을 비교해서 계책을 부림이 없느니라. 이에 작은 나라가 비록 (혹여) 공순하지 아니하나 내가 (써한 바) 자식사랑하는 마음으로 스스로 (능히) 그치지 아니하며, 지혜로운 자는 의리에 밝고 시세를 아느니라.
이에 비록 큰 나라가 침노하고 능멸히 여김을 (내가) 보게 되나, 내가 (써 한 바) 섬기는 예를 (더욱) 감히 폐하지 않느니라. 탕임금의 일은 뒷편(등문공하편)에 나타나며, 문왕의 일은 『시경』대아편에 나타나고, 태왕의 일은 뒷장에 나타나느니라. 북쪽의 변방족인 狄人을 일컬어 곧 훈육(獯鬻)이라 하니라. 구천은 월왕 이름이며 『국어國語』와 『사기史記』에 나타나느니라.
字 : 사랑할 자 較 : 견줄 교
○ 以大事小者는 樂天者也오 以小事大者는 畏天者也니 樂天者는 保天下하고 畏天者는 保其國이니이다
大로써 小를 섬기는 자는 하늘을 즐거워하는 자요, 小로써 大를 섬기는 자는 하늘을 두려워하는 자이니, 하늘을 즐거워하는 자는 천하를 보전하고, 하늘을 두려워하는 자는 그 나라를 보전하니이다.
○ 詩云 畏天之威하야 于時保之라 하니이다
(이에)『시경』에 이르기를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하니 이에 그것을 보전한다’ 하니이다. |
▲ 天者는 理而已矣라 大之字小와 小之事大는 皆理之當然也라. 自然合理故로 曰樂天이오 不敢違理故로 曰畏天이라.
하늘이라는 것은 이치일 따름이라. 큰 것이 작은 것을 사랑함과 작은 것이 큰 것을 섬김은 다 이치의 당연함이라. 자연히 이치에 합당한 고로 하늘을 즐긴다 말하고, 감히 이치를 어기지 않는 고로 하늘을 두려워한다 말함이라.
▲ 包含徧覆하야 無不周徧은 保天下之氣象也오 制節謹度하야 不敢縱逸은 保一國之規模也라.
(모든 것을) 다 싸안고 두루 덮어 두루하고 또 두루하지 않음이 없음은 천하를 보전하는 기상이오, 절도를 짓고 법도를 삼가해서 감히 방종하고 게으르지 않는 것은 한 나라를 보전하는 법규(규모)니라.
徧 : 두루 변 覆 : 덮을 부 縱 : 방종할 종 逸 : 나태할 일
▲ 周頌我將之篇이라. 時는 是也라 :「주송 아장」편이라. 時는 是라.
○ 王曰 大哉라 言矣여 寡人이 有疾호니 寡人은 好勇하노이다
왕이 가로대 “ 크도다! (그대의) 말이여, (허나) 과인에게 병통이 있으니 과인은 용맹을 좋아하오이다.” 하니라.
○ 對曰 王請無好小勇하쇼셔 夫撫劒疾視 曰彼惡敢當我哉리오 하나니 此는 匹夫之勇이라 敵一人者也니 王請大之하쇼셔
(맹자) 대답하여 가로대 “왕은 청컨대 작은 용맹을 좋아하지 마소서. 무릇 칼을 어루만지면서 눈을 부릅뜨고 (상대방을) 보아 가로대 ‘네 어찌 나를 감히 당하리오’ 하나니, 이는 필부의 용맹이며 한 사람을 대적하는 것이니 청컨대 왕은 (용맹을) 크게 하소서! ” 하니라.
撫 : 어루만질 무 劒 : 칼 검 疾 : 미워할 질 |
▲ 言 以好勇故로 不能事大而恤小也ㅣ라
(써) (왕이) 용맹을 좋아하는 고로 (능히) 큰 것은 섬기고, 작은 것은 긍률히 여기는 행동을 하지 못함을 말하느니라.
▲ 疾視는 怒目而視也라. 小勇은 血氣所爲며 大勇은 義理所發이라.
질시는 눈을 부릅뜨고 봄이라. 작은 용맹은 혈기로 행하는 바요, 큰 용맹은 의리로 드러내는 바라.
○ 詩云 王赫斯怒하샤 爰整其旅하야 以遏徂莒하야 以篤周祜하야 以對于天下라 하니 此는 文王之勇也니 文王이 一怒而安天下之民하시니이다
『시경』에 이르되 “왕이 분연히 (이렇게) 怒하니 (이에) 그 군사를 정돈해서 (써) (침략하려) 가는 무리를 막고는 (써) 주나라 복을 돈독히 하여 (써) 천하에 응대한다” 하니, 이는 문왕의 용맹에 해당하니 문왕이 한번 怒하심에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시니이다.
徂 : 갈 조 赫 : 盛한 모양 爰 : 이에 원 莒 : 땅이름 려, 여기서는 무리 려 祜 : 복 호 遏 : 막을 알 |
▲ 詩는 大雅皇矣篇이라. 赫은 赫然怒貌라. 爰은 於也라. 旅는 衆也라. 遏은 詩에 作按이니 止也라. 徂는 往也라. 莒는 詩에 作旅니 徂旅는 謂密人이 侵阮徂共之衆也라. 篤은 厚也라. 祜는 福也라. 對는 答也니 以答天下仰望之心也라. 此는 文王之大勇也라.
詩는 대아 황의편이라. 혁(赫)은 혁연히 성내는 모양이라. 원(爰)은 ‘이에’라는 뜻이라. 려(旅)는 무리라. 알(遏)은 詩에 按(알)로 짓느니 그침이라. 조(徂)는 ‘가다’는 뜻이라. 려(莒)는 詩에 려(旅)로 짓느니, 조려(徂旅)는 밀 땅의 사람이 완나라를 침략하기 위해 共 땅으로 가는 무리를 일컬음이라. 독(篤)은 후함이라. 호(祜)는 福과 같은 뜻이라. 대(對)는 응대함이니 (써) 천하의 앙망하는 마음에 응대함이라. 이는 문왕의 큰 용맹을 말함이라.
○ 書曰 天降下民하샤 作之君 作之師하셔든 惟曰 其助上帝라 寵之四方이시니 有罪無罪에 惟我 在커니 天下 曷敢有越厥志리오 하니 一人이 衡行於天下어늘 武王이 恥之하시니 此는 武王之勇也니 而武王이 亦一怒而安天下之民하시니이다
『서경』에 말하기를 “하늘이 백성들을 내려 주시어 인군을 짓고 스승을 지으심은 오직 그 상제를 돕기 때문이라. 사방에서 (인군과 스승을) 사랑한다 하시니 죄가 있고 죄가 없음은 오직 내게(무왕) 있으니 천하가 어찌 감히 그 뜻을 넘음이 있겠는가?” 하니, 한 사람(紂왕)이 천하에 횡행하거늘(폭정을 행하거늘) 무왕이 이를 부끄러워하니 이는 무왕의 용맹이니, 무왕이 (또한) 한번 怒하사 천하의 백성을 편안히 하시니이다.
曷 : 어찌 갈 衡 : 저울대 형, 여기서는 ‘비낄 횡’ |
▲ 書는 周書泰誓之篇也라. 然이나 所引이 與今書文으로 小異하니 今且依此解之하노라. 寵之四方은 寵異之於四方也라. 有罪者를 我得而誅之하며 無罪者를 我得而安之하니 我旣在此則天下 何敢有過越其心志하야 而作亂者乎아 衡行은 謂作亂也라. 孟子 釋書意如此하시고 而言武王도 亦大勇也라.
書는 주서 태서편이라. 그러나 여기 인용한 바는 지금의 『서경』의 글과 (더불어) 약간 다르니, 지금은 (또한) 이에 의지하여 해석하니라. 사방에서 사랑한다 함은 사방에서 특별히 사랑함이라. 죄있는 자(폭군 紂)를 내(무왕)가 (얻어) 베며, 죄없는 자(백성)를 내가 (얻어) 편안히 하니 내가 이미 이에 있은즉 천하에 어찌 감히 그 마음과 뜻이 지나쳐 넘음이 있어 어지러움을 일으키겠는가? 횡행은 작난(作亂)을 이름이라. 맹자가 서경의 뜻을 해석함이 이와 같고 무왕 또한 큰 용맹에 해당함을 말함이라.
○ 今王이 亦一怒而安天下之民하시면 民이 惟恐王之不好勇也리이다
이제 왕이 (또한) 한번 怒함으로 해서 천하의 백성을 편안히 하신다면 백성들은 오직 왕께서 용맹만을 좋아하지 않을까 두려워할 것입니다. |
▲ 王이 若能如文武之爲면 則天下之民이 望其一怒以除暴亂하고 而拯己於水火之中하야 惟恐王之不好勇耳라.
왕이 만약 능히 문왕 무왕이 하는 것과 같으면 곧 천하의 백성이 (그) 한번 노함으로써 포악한 어지러움을 제거하고 자신들을 물과 불의 도탄에서 구원함을 바라기 때문에 (혹여) 오직 왕이 용맹을 좋아하지 않을까 두려워할 뿐이니라.
▲ 此章은 言 人君이 能懲小忿이면 則能恤小事大하야 以交隣國이오 能養大勇이면 則能除暴救民하야 以安天下라.
이 장은 인군이 능히 작은 분노를 징계하면 즉 능히 작은 것을 긍률히 여기고 큰 것을 섬겨서 (써) 이웃나라를 사귀며, 능히 큰 용맹을 기르면 즉 능히 포악한 자를 제거하고 백성을 구제해서 (써) 천하를 편안히 함을 말하니라.
▲ 張敬夫曰 小勇者는 血氣之怒也오 大勇者는 理義之怒也니 血氣之怒는 不可有하고 理義之怒는 不可無하니 知此則可以見性情之正하고 而識天理人欲之分矣리라. (拯 : 구원할 증)
장경부가 가로대 “작은 용맹은 혈기로 성내는 것이오, 큰 용맹은 의리로 성내는 것이니, 혈기의 성냄은 (가히) 있어서는 아니되지만 의리의 성냄은 (가히) 없어서는 아니되니라. 이를 알면 (즉) (가히 써) 性情의 바름을 볼 수 있으며, 하늘의 이치와 사람의 욕심을 분별할 줄 아느니라.”하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