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集註卷之六 滕文公章句下 凡十章 勿軒熊氏曰七章言出處之道二章言仁政一章言異端
<제1장> 陳代曰不見諸侯ㅣ 宜若小然하이다 今一見之하시면 大則以王이오 小則以覇니 且志에 曰枉尺而直尋이라 하니 宜若可爲也ㅣ로소이다 孟子ㅣ 曰昔에 齊景公이 田할새 招虞人以旌한대 不至어늘 將殺之러니 志士는 不忘在溝壑이오 勇士는 不忘喪其元이라 하시니 孔子는 奚取焉고 取非其招不往也ㅣ시니 如不待其招而往엔 何哉오 且夫枉尺而直尋者는 以利言也ㅣ니 如以利則枉尋直尺而利라도 亦可爲與아 昔者애 趙簡子ㅣ 使王良으로 與嬖奚乘한대 終日而不獲一禽하고 嬖奚ㅣ 反命曰天下之賤工也ㅣ러이다 或이 以告王良한대 良이 曰請復之호리라 彊而後可ㅣ라 하야늘 一朝而獲十禽하고 嬖奚ㅣ 反命曰天下之良工也ㅣ러이다 簡子ㅣ 曰我ㅣ 使掌與女乘호리라 하고 謂王良한대 良이 不可曰吾ㅣ 爲之範我馳驅호니 終日不獲一하고 爲之詭遇호니 一朝而獲十하니 詩云不失其馳어늘 舍矢如破ㅣ라 하니 我는 不貫與小人乘호니 請辭ㅣ라 하니라 御者ㅣ 且羞與射者比하야 比而得禽獸ㅣ 雖若丘陵이라도 弗爲也하니 如枉道而從彼엔 何也오 且子ㅣ 過矣로다 枉己者ㅣ 未有能直人者也ㅣ니라
<제2장> 景春이 曰公孫衍張儀는 豈不誠大丈夫哉리오 一怒而諸侯ㅣ 懼하고 安居而天下ㅣ 熄하니라 孟子ㅣ 曰是焉得爲大丈夫乎ㅣ리오 子ㅣ 未學禮乎아 丈夫之冠也에 父ㅣ 命之하고 女子之嫁에 母ㅣ 命之하나니 往에 送之門할새 戒之曰往之女嫁하야 必敬必戒하야 無違夫子ㅣ라 하나니 以順爲正者는 妾婦之道也ㅣ니라 居天下之廣居하며 立天下之正位하며 行天下之大道하야 得志하얀 與民由之하고 不得志하얀 獨行其道하야 富貴ㅣ 不能淫하며 貧賤이 不能移하며 威武ㅣ 不能屈이 此之謂大丈夫ㅣ니라
<제3장> 周霄ㅣ 問曰古之君子ㅣ 仕乎ㅣ잇가 孟子ㅣ 曰仕ㅣ니라 傳에 曰孔子ㅣ 三月無君則皇皇如也하샤 出疆에 必載質라 하고 公明儀ㅣ 曰古之人이 三月無君則弔ㅣ라 하니라 三月無君則弔ㅣ 不以急乎ㅣ잇가 曰士之失位也ㅣ 猶諸侯之失國家也ㅣ니 禮에 曰諸侯ㅣ 耕助하야 以供粢盛하고 夫人이 蠶繅하야 以爲衣服이라 하니 犧牲이 不成하며 粢盛이 不潔하며 衣服이 不備하면 不敢以祭하고 惟士ㅣ 無田則亦不祭하나니 牲殺器皿衣服이 不備하야 不敢以祭則不敢以宴이니 亦不足弔乎아 出疆에 必載質난 何也ㅣ잇고 曰士之仕也ㅣ 猶農夫之耕也ㅣ니 農夫ㅣ 豈爲出疆하야 舍其耒耜哉리오 曰晉國이 亦仕國也ㅣ로대 未嘗聞仕ㅣ 如此其急호니 仕ㅣ 如此其急也댄 君子之難仕는 何也ㅣ잇고 曰丈夫ㅣ 生而願爲之有室하며 女子ㅣ 生而願爲之有家는 父母之心이라 人皆有之언마는 不待父母之命과 媒妁之言하고 鑽穴隙相窺하며 踰牆相從하면 則父母國人이 皆賤之하나니 古之人이 未嘗不欲仕也ㅣ언마는 又惡不由其道하니 不由其道而往者는 與鑽穴隙之類也ㅣ니라
<제4장> 彭更이 問曰後車數十乘과 從者數百人으로 以傳食於諸侯ㅣ 不以泰乎ㅣ잇가 孟子ㅣ 曰非其道則一簞食ㅣ라도 不可受於人이어니와 如其道則舜이 受堯之天下하샤대 不以爲泰하시니 子ㅣ 以爲泰乎아 曰否ㅣ라 士ㅣ 無事而食이 不可也ㅣ니이다 曰子ㅣ 不通功易事하야 以羨補不足이면 則農有餘粟하며 女有餘布ㅣ어니와 子如通之면 則梓匠輪輿ㅣ 皆得食於子하리니 於此有人焉하니 入則孝하고 出則悌하야 守先王之道하야 以待後之學者호대 而不得食於子하나니 子ㅣ 何尊梓匠輪輿而輕爲仁義者哉오 曰梓匠輪輿는 其志ㅣ 將以求食也ㅣ어니와 君子之爲道也도 其志ㅣ 亦將以求食與잇가 曰子ㅣ 何以其志爲哉오 其有功於子에 可食而食之矣니 且子는 食志乎아 食功乎아 曰食志니이다 曰有人於此하니 毁瓦畫墁이오 其志ㅣ 將以求食也則子ㅣ 食之乎아 曰否ㅣ라 曰然則子ㅣ 非食志也ㅣ라 食功也ㅣ로다
<제5장> 萬章이 問曰宋은 小國也ㅣ라 今에 將行王政하나니 齊楚ㅣ 惡而伐之則如之何ㅣ니잇고 孟子ㅣ 曰湯이 居亳하실새 與葛爲鄰이러시니 葛伯이 放而不祀ㅣ어늘 湯이 使人問之曰何爲不祀오 曰無以供犧牲也ㅣ로이다 湯이 使遣之牛羊하신대 葛伯이 食之하고 又不以祀ㅣ어늘 湯이 又使人問之曰何爲不祀오 曰無以供粢盛也ㅣ로이다 湯이 使亳衆으로 往爲之耕이어시늘 老弱이 饋食ㅣ러니 葛伯이 帥其民하야 要其有酒食黍稻者하야 奪之호대 不授者를 殺之하더니 有童子ㅣ 以黍肉餉이어늘 殺而奪之하니 書에 曰葛伯이 仇餉이라 하니 此之謂也ㅣ니라 爲其殺是童子而征之하신대 四海之內ㅣ 皆曰非富天下也ㅣ나 爲匹夫匹婦하야 復讐也ㅣ라 하니라 湯이 始征을 自葛로 載하샤 十一征而無敵於天下하니 東面而征에 西夷怨하며 南面而征에 北狄이 怨하야 曰奚爲後我오 하야 民之望之ㅣ 若大旱之望雨也하야 歸市者ㅣ 弗止하며 芸者ㅣ 不變이어늘 誅其君弔其民하신대 如時雨降이라 民이 大悅하니 書에 曰徯我后하노소니 后來하시면 其無罰아 하니라 有攸不爲臣이어늘 東征하샤 綏厥士女하신대 匪厥玄黃하야 紹我周王見休하야 惟臣附于大邑周하니 其君子는 實玄黃于匪하야 以迎其君子하고 其小人은 簞食壺漿으로 以迎其小人하니 救民於水火之中하야 取其殘而已矣니라 太誓에 曰我武를 惟揚하야 侵于之疆하야 則取于殘하야 殺伐用張하니 于湯에 有光이라 하니라 不行王政云爾언정 苟行王政이면 四海之內ㅣ 皆擧首而望之하야 欲以爲君하리니 齊楚ㅣ 雖大나 何畏焉이리오
<제6장> 孟子ㅣ 謂戴不勝曰子欲子之王之善與아 我ㅣ 明告子호리라 有楚大夫於此하니 欲其子之齊語也則使齊人傅諸ㅣ아 使楚人傅諸ㅣ아 曰使齊人傅之니라 曰一齊人이 傅之어든 衆楚人이 咻之면 雖日撻而求其齊也ㅣ라도 不可得矣어니와 引而置之莊嶽之間數年이면 雖日撻而求其楚ㅣ라도 亦不可得矣리라 子ㅣ 謂薛居州를 善士也ㅣ라 하야 使之居於王所하나니 在於王所者ㅣ 長幼卑尊이 皆薛居州也ㅣ면 王誰與爲不善이며 在王所者ㅣ 長幼卑尊이 皆非薛居州也ㅣ면 王誰與爲善이리오 一薛居州ㅣ 獨如宋王에 何ㅣ리오
<제7장> 公孫丑ㅣ 問曰不見諸侯ㅣ 何義잇고 孟子ㅣ 曰古者에 不爲臣하야는 不見하더니라 段干木은 踰垣而辟之하고 泄柳는 閉門而不內하니 是皆已甚하니 迫이든어 斯可以見矣니라 陽貨ㅣ 欲見孔子而惡無禮하야 大夫ㅣ 有賜於士ㅣ어든 不得受於其家ㅣ면 則往拜其門일새 陽貨ㅣ 矙孔子之亡也而饋孔子蒸豚한대 孔子ㅣ 亦矙其亡也而往拜之하시니 當是時하야 陽貨ㅣ 先이면 豈得不見이시리오 曾子ㅣ 曰脅肩諂笑ㅣ 病于夏畦ㅣ라 하며 子路ㅣ 曰未同而言을 觀其色컨댄 赧赧然이라 非由之所知也ㅣ라 하니 由是觀之則君子之所養을 可知已矣니라
<제8장> 戴盈之曰什一와 去關市之征을 今玆未能이란대 請輕之하야 以待來年然後에 已호대 何如하니잇고 孟子ㅣ 曰今有人이 日攘其鄰之鷄者ㅣ어든 或이 告之曰是非君子之道ㅣ라한대 曰請損之하야 月攘一鷄하야 以待來年然後에 已로다 如知其非義ㄴ댄 斯速已矣니 何待來年이리오
<제9장> 公都子ㅣ 曰外人이 皆稱夫子好辯하나니 敢問何也잇고 孟子ㅣ 曰予豈好辯哉리오 予ㅣ 不得已也ㅣ로라 天下之生이 久矣라 一治一亂이니라 當堯之時하야 水ㅣ 逆行하야 氾濫於中國하야 蛇龍이 居之하니 民無所定하야 下者는 爲巢하고 上者는 爲營窟하니 書에 曰洚水ㅣ 警余ㅣ라 하니 洚水者는 洪水也ㅣ니라 使禹治之어시늘 禹ㅣ 掘地而注之海하시고 驅蛇龍而放之菹하신대 水由地中行하니 江淮河漢이 是也ㅣ라 險阻ㅣ 旣遠하며 鳥獸之害人者ㅣ 消然後에 人得平土而居之하니라 堯舜이 旣沒하시니 聖人之道ㅣ 衰하야 暴君이 代作하야 壞宮室以爲汙池하야 民無所安息하며 棄田以爲園囿하야 使民不得衣食하고 邪說暴行이 又作하야 園囿汙池沛澤이 多而禽獸ㅣ 至하니 及紂之身하야 天下ㅣ 又大亂하니라 周公이 相武王하샤 誅紂하시고 伐奄三年에 討其君하시고 驅飛廉於海隅而戮之하시니 滅國者ㅣ 五十이오 驅虎豹犀象而遠之하신대 天下ㅣ 大悅하니 書에 曰丕顯哉라 文王謨ㅣ여 丕承哉라 武王烈이여 佑啓我後人하샤대 咸以正無缺이라 하니라 世衰道微하야 邪說暴行이 有作하야 臣弑其君者ㅣ 有之하며 子弑其父者ㅣ 有之하니라 孔子ㅣ 懼하샤 作春秋하시니 春秋는 天子之事也ㅣ라 是故로 孔子ㅣ 曰知我者도 其惟春秋乎ㅣ며 罪我者도 其惟春秋乎뎌 하시니라 聖王이 不作하야 諸侯ㅣ 放恣하며 處士ㅣ 橫議하야 楊朱墨翟之言이 盈天下하야 天下之言이 不歸楊則歸墨하니 楊氏는 爲我하니 是는 無君也ㅣ오 墨氏는 兼愛하니 是는 無父也ㅣ니 無父無君은 是ㅣ 禽獸也ㅣ니라 公明儀ㅣ 曰庖有肥肉하며 廐有肥馬ㅣ어든 民有饑色하며 野有餓莩ㅣ면 此는 率獸而食人也ㅣ라 하니 楊墨之道ㅣ 不息하면 孔子之道ㅣ 不著하리니 是는 邪說이 誣民하야 充塞仁義也ㅣ니 仁義充塞則率獸食人하다가 人將相食하리라 吾ㅣ 爲此懼하야 閑先聖之道하야 距楊墨하며 放淫辭하야 邪說者ㅣ 不得作케 하노니 作於其心하야 害於其事하며 作於其事하야 害於其政하나니 聖人이 復起사도 不易吾言矣시리라 昔者에 禹ㅣ 抑洪水而天下ㅣ 平하고 周公이 兼夷狄驅猛獸而百姓이 寧하고 孔子ㅣ 成春秋而亂臣賊子ㅣ 懼하니라 詩云戎狄是膺하니 荊舒是懲하야 則莫我敢承이라 하니 無父無君은 是周公所膺也ㅣ니라 我ㅣ 亦欲正人心하야 息邪說하며 距詖行하며 放淫辭하야 以承三聖者ㅣ로니 豈好辯哉리오 予ㅣ 不得已也ㅣ니라 能言距楊墨者는 聖人之徙也ㅣ니라
<제10장> 匡章이 曰陳仲子는 豈不誠廉士哉리오 居於陵할새 三日不食하야 耳無聞하며 目無見也ㅣ러니 井上有李ㅣ 螬食實者ㅣ 過半矣어늘 匍匐往將食之하야 三咽然後에아 耳有聞하며 目有見하니라 孟子ㅣ 曰於齊國之士에 吾必以仲子로 爲巨擘焉이어니와 雖然이나 仲子는 惡能廉이리오 充仲子之操ㅣ면 則蚓而後可者也ㅣ니라 夫蚓은 上食槁壤하고 下飮黃泉하나니 仲子所居之室은 伯夷之所築與아 抑亦盜跖之所築與아 所食之粟은 伯夷之所樹與아 抑亦盜跖之所樹與아 是未可知也ㅣ로다 曰是何傷哉리오 彼ㅣ 身織屨하고 妻辟纑하야 以易之也ㅣ니라 曰仲子는 齊之世家也ㅣ라 兄戴ㅣ 蓋祿이 萬鍾이러니 以兄之祿으로 爲不義之祿而不食也하며 以兄之室로 爲不義之室而不居也하고 辟兄離母하야 處於於陵이러니 他日에 歸則有饋其兄生鵝者ㅣ어늘 己頻顣曰惡用是鶃鶃者爲哉리오 他日에 其母ㅣ 殺是鵝也하야 與之食之러니 其兄이 自外至曰是ㅣ 鶃鶃之肉也ㅣ라 한대 出而哇之하니라 以母則不食하고 以妻則食之하며 以兄之室則弗居하고 以於陵則居之하니 是尙爲能充其類也乎아 若仲子者는 蚓而後充其操者也ㅣ니라
孟子集註卷之六 終
|
| |
| |
|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