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公孫丑ㅣ 問曰不見諸侯ㅣ 何義잇고 孟子ㅣ 曰古者에 不爲臣하야는 不見하더니라 공손추가 물어 가로대 제후를 보지 아니하니 어떤 의리잇고. 맹자 가라사대 옛적에 신하가 되지 아니하고서는 보지 아니하더니라. 不爲臣은 謂未仕於其國者也ㅣ라 此는 不見諸侯之義也ㅣ라 신하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나라에서 벼슬을 아니함을 이름이라. 이는 제후를 보지 않는 의리라. 段干木은 踰垣而辟之하고 泄柳는 閉門而不內하니 是皆已甚하니 迫이어든 斯可以見矣니라 단간목은 담을 넘어서 피하고, 설류는 문을 닫고 들이지 아니하니, 이 다 너무 심하니 절박하거든 이 가히 써 보느니라.
段 : 조각 단 內 : 안 내, 여기서는 ‘드릴 납(納)’
[본문 해설] 위나라 때의 단간목은 문후가 보자는 데도 담을 넘어 피하고, 노나라의 설류는 목공이 보자는 데에도 아예 문을 닫고 들이지도 않았다. 이에 대해 맹자는 지나친 처신이라며 제후가 그렇게도 절박하게 보자는데 어찌 보지 않는가, 적어도 자신은 그 정도는 아니라 하였다. 다만 맹자가 제후를 보지 않는 것은 그들이 보자고 간절히 청하지도 않는데 어찌 먼저 찾아 보겠는가라는 뜻이다. 段干木은 魏文侯時人이오 渫柳는 魯繆公時人이니 文侯 繆公이 欲見此二人호대 而二人이 不肯見之하니 蓋未爲臣也ㅣ라 已甚은 過甚也ㅣ라 迫은 謂求見之切也ㅣ라 단간목은 위나라 문후 때 사람이오, 설류는 노나라 목공 때 사람이니 문후 목공이 이 두 사람을 보고자 하되 두 사람이 즐기어 보지 아니하니 대개 신하가 되지 않음이라. 이심은 지나치게 심함이라. 박은 보기를 구함이 간절히 함을 이름이라.
繆 : 얽을 무, 여기서는 ‘(악한) 시호 목’ 陽貨ㅣ 欲見孔子而惡無禮하야 大夫ㅣ 有賜於士ㅣ어든 不得受於其家ㅣ면 則往拜其門일새 陽貨ㅣ 矙孔子之亡也而饋孔子蒸豚한대 孔子ㅣ 亦矙其亡也而往拜之하시니 當是時하야 陽貨ㅣ 先이면 豈得不見이시리오 양화가 공자를 보고자 하되 무례하다 함을 싫어해서 대부가 선비에게 줌이 있거든 시러곰(얻어) 그 집에서 받지 못하면 곧 가서 그 문에 절할새, 양화가 공자의 없으심을 엿보고 공자에게 찐 돼지를 준대, 공자가 또한 그 없음을 엿보고, 가서 절하시니 이때를 당해서 양화가 먼저 했으면(깍듯이 예를 갖췄더라면) 어찌 얻어 보지 아니하시리오.
矙 : 엿볼 감 饋 : 줄 궤 此는 又引孔子之事하야 以明可見之節也ㅣ라 欲見孔子는 欲召孔子하야 來見己也ㅣ라 惡無禮는 畏人以己爲無禮也ㅣ라 受於其家는 對使人하야 拜受於家也ㅣ라 其門은 大夫之門也ㅣ라 瞰은 窺也ㅣ라 陽貨는 於魯에 爲大夫요 孔子ㅣ 爲士故로 以此物로 扱其不在而饋之하야 欲其來拜而見之也ㅣ라 先은 謂先來加禮也ㅣ라 이는 또 공자의 일을 이끌어서 써 가히 보는 절차를 밝힘이라. 공자를 보고자 함은 공자를 불러서 와서 자기(양화)를 보게 하고자 함이라. 예가 없다함을 싫어함은 사람이 자기(양화)로써 무례하다함을 두려워함이라. 그 집에서 받는다는 것은 사인을 대하여 집에서 절하고 받음이라. 그 문은 대부의 문이라. 감은 엿봄이라. 양화는 노나라에서 대부가 되고 공자는 선비가 되는 고로 이 물건으로써 그 있지 않음에 미쳐서 주어 그 와서 절하고 보게 하고자 함이라. 선은 먼저 와서 예를 더함을 이름이라. 曾子ㅣ 曰脅肩諂笑ㅣ 病于夏畦ㅣ라 하며 子路ㅣ 曰未同而言을 觀其色컨댄 赧赧然이라 非由之所知也ㅣ라 하니 由是觀之則君子之所養을 可知已矣니라 증자 가라사대 어깨를 으쓱거리며 아첨하게(간사스럽게) 웃는 것이 여름 밭두둑에서 일하는 것보다 괴롭다 하며, 자로 가로대 (뜻이) 같지 않은데 말하는 것을 그 얼굴빛을 보건대 부끄러워서 붉어짐이라. 유(자로의 이름)의 아는 바가 아니라 하니, 이로 말미암아 본즉 군자의 기르는 바를 가히 알지니라.
脅 : 옆구리 협, 으를 협 畦 : 밭두둑 규(휴) 赧 : 얼굴 붉힐 난, 부끄러워할 난 脅肩은 竦體이오 諂笑는 彊笑니 皆小人側媚之態也ㅣ라 病은 勞也ㅣ라 夏畦는 夏月治畦之人也ㅣ라 言爲此者는 其勞ㅣ 過於夏畦之人也ㅣ라 未同而言은 與人未合하여 而彊與之言也ㅣ라 赧赧은 慙而面赤之貌라 由는 子路名이라 言非己所知는 甚惡之之辭也ㅣ라 孟子ㅣ 言由此二言으로 觀之則二子之所養을 可知니 必不肯不俟其禮之至하야 而輒往見之也ㅣ라 하시니라 ○此章은 言聖人禮義之中正이니 過之者는 傷於迫切而不洪하고 不及者는 淪於汚賤而不恥니라 협견은 몸을 솟구침이오, 첨소는 어거지로 웃음이니 다 소인이 아첨하는 데로 기울어지는 태도라. 병은 수고로움이라. 하규는 여름달에 밭두둑을 다스리는 사람이라. 말하되 이를 하는 자는 그 수고로움이 여름 밭두둑에서 일하는 사람보다 더함이라. 같지 않은데 말하는 것은 사람과 더불어 합하지 않는데 어거지로 더불어 말함이라. 난난은 부끄러워서 얼굴이 붉어지는 모양이라. 유는 자로의 이름이라. 자기의 알 바 아니라는 것은 심히 미워하는 말을 말함이라. 맹자가 이 두 말로 말미암아 본즉 두 분의 기르는 바를 가히 알지니 반드시 즐기어 그 예의 지극함을 기다리지 아니하고서 문득 가서 보지 아니함을 말씀하심이라. ○ 이 장은 성인의 예의의 중정함을 말함이니, 지나친 자는 박절한데 상해서 넓지 못하고, 불급자는 더럽고 천한데 빠져서 부끄러워하지 아니함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