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스크랩] 孟子集註卷之七 離婁章句上 凡二十八章 본문

ria530 2012. 6. 7. 10:08
孟子集註卷之七
離婁章句上
凡二十八章

<제1장>
孟子ㅣ 曰離婁之明과 公輸子之巧로도 不以規矩ㅣ면 不能成方員이오 師曠之聰으로도 不以六律이면 不能正五音이오 堯舜之道로도 不以仁政이면 不能平治天下ㅣ니라
今有仁心仁聞而民不被其澤하야 不可法於後世者는 不行先王之道也새니라
故로 曰徒善이 不足以爲政이오 徒法이 不能以自行이라 하니라
詩云不愆不忘은 率由舊章이라 하니 遵先王之法而過者ㅣ 未之有也ㅣ니라
聖人이 旣竭目力焉하시고 繼之以規矩準繩하시니 以爲方員平直에 不可勝用也ㅣ며 旣竭耳力焉하시고 繼之以六律하시니 正五音에 不可勝用也ㅣ며 旣竭心思焉하시고 繼之以不忍人之政하시니 而仁覆天下矣시니라
故로 曰爲高호대 必因丘陵하며 爲下호대 必因川澤이라 하니 爲政호대 不因先王之道ㅣ면 可謂智乎아
是以惟仁者ㅣ아 宜在高位니 不仁而在高位면 是는 播其惡於衆也ㅣ니라
上無道揆也하며 下無法守也하야 朝不信道하며 工不信度하야 君子ㅣ 犯義오 小人이 犯刑이면 國之所存者ㅣ 幸也ㅣ니라
故로 曰城郭不完하며 兵甲不多ㅣ 非國之災也ㅣ며 田野不辟하며 貨財不聚ㅣ 非國之害也ㅣ라 上無禮하며 下無學이면 賊民이 興하야 喪無日矣라 하니라
詩曰天之方蹶시니 無然泄泄라 하니
泄泄난 猶沓沓也ㅣ니라
事君無義하며 進退無禮하고 言則非先王之道者ㅣ 猶沓沓也ㅣ니라
故로 曰責難於君을 謂之恭이오 陳善閉邪를 謂之敬이오 吾君不能을 謂之賊이라 하니라

<제2장>
孟子ㅣ 曰規矩는 方員之至也ㅣ오 聖人은 人倫之至也ㅣ니라
欲爲君인댄 盡君道ㅣ오 欲爲臣인댄 盡臣道ㅣ니 二者를 皆法堯舜而已矣니 不以舜之所以事堯로 事君이면 不敬其君者也ㅣ오 不以堯之所以治民으로 治民이면 賊其民者也ㅣ니라
孔子ㅣ曰道ㅣ 二니 仁與不仁而已矣라 하시니라
暴其民이 甚則身弑國亡하고 不甚則身危國削하나니 名之曰幽厲ㅣ면 雖孝子慈孫이라도 百世에 不能改之ㅣ니라
詩云殷鑒不遠이라 在夏后之世라 하니 此之謂也ㅣ니라

<제3장>
孟子ㅣ 曰三代之得天下也는 以仁이오 其失天下也는 以不仁이니라
國之所以廢興存亡者ㅣ 亦然하니라
天子ㅣ 不仁이면 不保四海하고 諸侯ㅣ 不仁이면 不保社稷하고 卿大夫ㅣ 不仁이면 不保宗廟하고 士庶人이 不仁이면 不保四體니라
今에 惡死亡而樂不仁하나니 是猶惡醉而强酒ㅣ니라

<제4장>
孟子ㅣ 曰愛人不親이어든 反其仁하고 治人不治어든 反其智하고 禮人不答이어든 反其敬이니라
行有不得者ㅣ어든 皆反求諸己니 其身이 正而天下ㅣ 歸之니라
詩云永言配命이 自求多福이라 하니라

<제5장>
孟子ㅣ 曰人有恒言호대 皆曰天下國家ㅣ라 하나니 天下之本은 在國하고 國之本은 在家하고 家之本은 在身하니라

<제6장>
孟子ㅣ 曰爲政이 不難하니 不得罪於巨室이니 巨室之所慕를 一國이 慕之하고 一國之所慕를 天下ㅣ 慕之하나니 故로 沛然德敎ㅣ 溢乎四海하나니라

<제7장>
孟子ㅣ 曰天下ㅣ 有道엔 小德이 役大德하며 小賢이 役大賢하고 天下ㅣ 無道엔 小役大하며 弱役强하나니 斯二者는 天也ㅣ니 順天者는 存하고 逆天者는 亡하나니라
齊景公이 曰旣不能令하고 又不受命이면 是는 絶物也ㅣ라 하고 涕出而女於吳하니라
今也에 小國이 師大國而恥受命焉하나니 是猶弟子而恥受命於先師也ㅣ니라
如恥之ㄴ댄 莫若師文王이니 師文王이면 大國은 五年이오 小國은 七年에 必爲政於天下矣리라
詩云商之孫子ㅣ 其麗不億이언마는 上帝旣命이라 侯于周服이로다 侯服于周하니 天命靡常이라 殷士膚敏이 祼將于京이라 하야늘 孔子ㅣ 曰仁不可爲衆也ㅣ니 夫國君이 好仁이면 天下無敵이라 하시니라
今也에 欲無敵於天下而不以仁하나니 是猶執熱而不以濯也ㅣ니 詩云誰能執熱하야 逝不以濯이리오 하니라

<제8장>
孟子ㅣ 曰不仁者는 可與言哉아 安其危而利其菑하야 樂其所以亡者하나니 不仁而可與言이면 則何亡國敗家之有ㅣ리오
有孺子ㅣ 歌曰滄浪之水ㅣ 淸兮어든 可以濯我纓이오 滄浪之水ㅣ 濁兮어든 可以濯我足이라 하야늘
孔子ㅣ 曰小子아 聽之하라 淸斯濯纓이오 濁斯濯足矣로소니 自取之也ㅣ라 하시니라
夫人必自侮然後에 人이 侮之하며 家必自毁而後에 人이 毁之하며 國必自伐而後에 人이 伐之하나니라
太甲에 曰天作孼은 猶可違어니와 自作孼은 不可活이라 하니 此之謂也ㅣ니라

<제9장>
孟子ㅣ 曰桀紂之失天下也는 失其民也ㅣ니 失其民者는 失其心也ㅣ라 得天下ㅣ 有道하니 得其民이면 斯得天下矣리라 得其民이 有道하니 得其心이면 斯得民矣리라 得其心이 有道하니 所欲을 與之聚之오 所惡를 勿施爾也ㅣ니라
民之歸仁也ㅣ 猶水之就下ㅣ며 獸之走壙也ㅣ니라
故로 爲淵敺魚者는 獺也ㅣ오 爲叢敺爵者는 鸇也ㅣ오 爲湯武敺民者는 桀與紂也ㅣ니라
今天下之君이 有好仁者ㅣ면 則諸侯ㅣ 皆爲之敺矣리니 雖欲無王이나 不可得已니라
今之欲王者는 猶七年之病에 求三年之艾也ㅣ니 苟爲不畜이면 終身不得하리니 苟不志於仁이면 終身憂辱하야 以陷於死亡하리라
詩云其何能淑이리오 載胥及溺이라 하니 此之謂也ㅣ니라

<제10장>
孟子ㅣ 曰自暴者는 不可與有言也ㅣ오 自棄者는 不可與有爲也ㅣ니 言非禮義를 謂之自暴也ㅣ오 吾身不能居仁由義를 謂之自棄也ㅣ니라
仁은 人之安宅也ㅣ오 義는 人之正路也ㅣ라
曠安宅而弗居하며 舍正路而不由하나니 哀哉라

<제11장>
孟子ㅣ 曰道在爾而求諸遠하며 事在易而求諸難하나니 人人이 親其親하며 長其長이면 而天下ㅣ 平하리라

<제12장>
孟子ㅣ 曰居下位而不獲於上이면 民不可得而治也ㅣ리라 獲於上이 有道하니 不信於友ㅣ면 弗獲於上矣리라 信於友ㅣ 有道하니 事親弗悅이면 弗信於友矣리라 悅親이 有道하니 反身不誠이면 不悅於親矣리라 誠身이 有道하니 不明乎善이면 不誠其身矣리라
是故로 誠者는 天之道也ㅣ오 思誠者는 人之道也ㅣ니라
至誠而不動者ㅣ 未之有也ㅣ니 不誠이면 未有能動者也ㅣ니라

<제13장>
孟子ㅣ 曰伯夷ㅣ 辟紂하야 居北海之濱이러니 聞文王作興하고 曰盍歸乎來리오 吾聞西伯은 善養老者ㅣ라 하고 太公이 辟紂하야 居東海之濱이러니 聞文王作興하고 曰盍歸乎來리오 吾聞西伯은 善養老者ㅣ라 하니라
二老者는 天下之大老也而歸之하니 是는 天下之父ㅣ 歸之也ㅣ라 天下之父ㅣ 歸之어니 其子ㅣ 焉往이리오
諸侯ㅣ 有行文王之政者ㅣ면 七年之內에 必爲政於天下矣리라

<제14장>
孟子ㅣ 曰求也ㅣ 爲季氏宰하야 無能改於其德이오 而賦粟이 倍他日한대 孔子ㅣ 曰求는 非我徒也ㅣ로소니 小子아 鳴鼓而攻之ㅣ 可也ㅣ라 하시니라
由此觀之컨댄 君不行仁政而富之면 皆棄於孔子者也ㅣ니 況於爲之强戰하야 爭地以戰에 殺人盈野하며 爭城以戰에 殺人盈城잇따녀 此ㅣ 所謂率土地而食人肉이라 罪不容於死ㅣ니라
故로 善戰者는 服上刑하고 連諸侯者ㅣ 次之하고 辟草萊任土地者ㅣ 次之니라

<제15장>
孟子ㅣ 曰存乎人者ㅣ 莫良於眸子라 하니 眸子 不能掩其惡하나니 胸中이 正則眸子ㅣ 瞭焉하고 胸中이 不正則眸子ㅣ 眊焉이니라
聽其言也ㅣ오 觀其眸子ㅣ면 人焉廋哉리오

<제16장>
孟子ㅣ 曰恭者는 不侮人하고 儉者는 不奪人하나니 侮奪人之君은 惟恐不順焉이어니 惡得爲恭儉이리오 恭儉은 豈加以聲音笑貌爲哉리오

<제17장>
淳于髡이 曰男女ㅣ 授受不親이 禮與잇가 孟子ㅣ 曰禮也ㅣ니라 曰嫂溺則援之以手乎잇가 曰嫂溺不援이면 是는 豺狼也ㅣ니 男女ㅣ 授受不親은 禮也ㅣ오 嫂溺이어든 援之以手者는 權也ㅣ니라
曰今天下ㅣ 溺矣어늘 夫子之不援은 何也잇고
曰天下ㅣ 溺이어든 援之以道ㅣ오 嫂溺이어든 援之以手ㅣ니 子欲手援天下乎아

<제18장>
公孫丑ㅣ 曰君子之不敎子는 何也ㅣ잇고
孟子ㅣ 曰勢不行也ㅣ니라 敎者는 必以正이니 以正不行이어든 繼之以怒하고 繼之以怒則反夷矣니 夫子ㅣ 敎我以正하샤대 夫子도 未出於正也ㅣ라 하면 則是父子相夷也ㅣ니 父子相夷則惡矣니라
古者에 易子而敎之하니라
父子之間은 不責善이라 責善則離하나니 離則不祥이 莫大焉이니라

<제19장>
孟子ㅣ 曰事孰爲大오 事親이 爲大하니라 守孰爲大오 守身이 爲大하니라 不失其身而能事其親者를 吾聞之矣오 失其身而能事其親者를 吾未之聞也ㅣ로라
孰不爲事ㅣ리오마는 事親이 事之本也ㅣ오 孰不爲守ㅣ리오마는 守身이 守之本也ㅣ니라
曾子ㅣ 養曾晳호대 必有酒肉이러시니 將徹할새 必請所與하시며 問有餘ㅣ어든 必曰有ㅣ라 하더시다 曾晳이 死커늘 曾元이 養曾子호대 必有酒肉하더니 將徹할새 不請所與하며 問有餘ㅣ어시든 曰無矣라 하니 將以復進也ㅣ라 此ㅣ 所謂養口軆者也ㅣ니 若曾子則可謂養志也ㅣ니라
事親을 若曾子者ㅣ 可也ㅣ니라

<제20장>
孟子ㅣ 曰人不足與適也ㅣ며 政不足間也ㅣ라 惟大人이아 爲能格君心之非니 君仁이면 莫不仁이오 君義면 莫不義오 君正이면 莫不正이니 一正君而國이 定矣니라

<제21장>
孟子ㅣ 曰有不虞之譽하며 有求全之毁하니라

<제22장>
孟子ㅣ 曰人之易其言也ㅣ는 無責耳矣니라

<제23장>
孟子ㅣ 曰人之患이 在好爲人師ㅣ니라

<제24장>
樂正子ㅣ 從於子敖하야 之齊러니
樂正子ㅣ 見孟子한대 孟子ㅣ 曰子亦來見我乎아 曰先生은 何爲出此言也ㅣ시니잇고 曰子來幾日矣오 曰昔者ㅣ니이다 曰昔者則我出此言也ㅣ 不亦宜乎아 曰舍館을 未定이라이다 曰子ㅣ 聞之也아 舍館을 定然後에 求見長者乎아
曰克이 有罪니이다

<제25장>
孟子ㅣ 謂樂正子曰子之從於子敖來는 徒餔啜也ㅣ로다 我ㅣ 不意子ㅣ 學古之道而以餔啜也호라

<제26장>
孟子ㅣ 曰不孝有三하니 無後爲大하니라
舜이 不告而娶는 爲無後也ㅣ시니 君子ㅣ 以爲猶告也ㅣ라 하니라

<제27장>
孟子ㅣ 曰仁之實은 事親이 是也ㅣ오 義之實은 從兄이 是也ㅣ니라
智之實은 知斯二者하야 弗去ㅣ 是也ㅣ오 禮之實은 節文斯二者ㅣ 是也오 樂之實은 樂斯二者ㅣ니 樂則生矣니 生則惡可已也ㅣ리오 惡可已則不知足之蹈之하며 手之舞之니라

<제28장>
孟子ㅣ 曰天下ㅣ 大悅而將歸己어든 視天下悅而歸己호대 猶草芥也는 惟舜이 爲然하시니 不得乎親이란 不可以爲人이오 不順乎親이란 不可以爲子ㅣ러시다
舜이 盡事親之道而瞽瞍ㅣ 底豫하니 瞽瞍ㅣ 底豫而天下ㅣ 化하며 瞽瞍ㅣ 底豫而天下之爲父子者ㅣ 定하니 此之謂大孝ㅣ니라


孟子集註卷之七 終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家苑 이윤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