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集註卷之十 萬章章句下 凡九章
<제1장> 孟子ㅣ 曰伯夷는 目不視惡色하며 耳不聽惡聲하고 非其君不事하며 非其民不使하야 治則進하고 亂則退하야 橫政之所出와 橫民之所止에 不忍居也하며 思與鄕人處호대 如以朝衣朝冠으로 坐於塗炭也ㅣ러니 當紂之時하야 居北海之濱하야 以待天下之淸也하니 故로 聞伯夷之風者는 頑夫ㅣ 廉하며 懦夫ㅣ 有立志하니라 伊尹이 曰何事非君이며 何사非民이리오 하야 治亦進하며 亂亦進하야 曰天之生斯民也는 使先知로 覺後知하며 使先覺으로 覺後覺이시니 予는 天民之先覺者也ㅣ니 予將以此道로 覺此民也ㅣ라 하며 思天下之民이 匹夫匹婦ㅣ 有不與被堯舜之澤者ㅣ어든 若己ㅣ 推而內之溝中하니 其自任以天下之重也ㅣ니라 柳下惠는 不羞汙君하며 不辭小官하며 進不隱賢하야 必以其道하며 遺佚而不怨하며 阨窮而不憫하며 與鄕人處호대 由由然不忍去也하야 爾爲爾오 我爲我ㅣ니 雖袒裼裸裎於我側인들 爾焉能浼我哉리오 하니 故로 聞柳下惠之風者는 鄙夫ㅣ 寬하며 薄夫ㅣ 敦하니라 孔子之去齊에 接淅而行하시고 去魯에 曰遲遲라 吾行也ㅣ여 하시니 去父母國之道也ㅣ라 可以速而速하며 可以久而久하며 可以處而處하며 可以仕而仕는 孔子也ㅣ시니라 孟子ㅣ 曰伯夷는 聖之淸者也ㅣ오 伊尹은 聖之任者也ㅣ오 柳下惠는 聖之和者也ㅣ오 孔子는 聖之時者也ㅣ시니라 孔子之謂集大成이시니 集大成也者는 金聲而玉振之也ㅣ라 金聲也者는 始條理也ㅣ오 玉振之也者는 終條理也ㅣ니 始條理者는 智之事也ㅣ오 終條理者는 聖之事也ㅣ니라 智를 譬則巧也ㅣ오 聖을 譬則力也ㅣ니 由射於百步之外也하니 其至는 爾力也ㅣ어니와 其中은 非爾力也ㅣ니라
<제2장> 北宮錡ㅣ 問曰周室班爵祿也는 如之何ㅣ잇고 孟子ㅣ 曰其詳은 不可得而聞也ㅣ로다 諸侯ㅣ 惡其害己也而皆去其籍이어니와 然而軻也ㅣ 嘗聞其略也ㅣ로라 天子ㅣ 一位오 公이 一位오 侯ㅣ 一位오 伯이 一位오 子男이 同一位니 凡五等也ㅣ라 君이 一位오 卿이 一位오 大夫ㅣ 一位오 上士ㅣ 一位오 中士ㅣ 一位오 下士ㅣ 一位니 凡六等이라 天子之制는 地方千里오 公侯는 皆方百里오 伯은 七十里오 子男은 五十里니 凡四等이라 不能五十里는 不達於天子하야 附於諸侯하나니 曰附庸이니라 天子之卿은 受地視侯하고 大夫는 受地視伯하고 元士는 受地視子男이니라 大國은 地方百里니 君은 十卿祿이오 卿祿은 四大夫ㅣ오 大夫는 倍上士ㅣ오 上士는 倍中士ㅣ오 中士는 倍下士ㅣ오 下士與庶人在官者는 同祿하니 祿足以代其耕也ㅣ니라 次國은 地方七十里니 君은 十卿祿이오 卿祿은 三大夫ㅣ오 大夫는 倍上士ㅣ오 上士는 倍中士ㅣ오 中士는 倍下士ㅣ오 下士與庶人在官者는 同祿하니 祿足以代其耕也ㅣ니라 小國은 地方五十里니 君은 十卿祿이오 卿祿은 二大夫ㅣ오 大夫는 倍上士ㅣ오 上士는 倍中士ㅣ오 中士는 倍下士ㅣ오 下士與庶人在官者는 同祿하니 祿足以代其耕也ㅣ니라 耕者之所獲은 一夫ㅣ 百畝ㅣ니 百畝之糞에 上農夫는 食九人하고 上次는 食八人하고 中은 食七人하고 中次는 食六人하고 下는 食五人이니 庶人在官者ㅣ 其祿이 以是爲差ㅣ니라
<제3장> 萬章이 問曰敢問友하노이다 孟子ㅣ 曰不挾長하며 不挾貴하며 不挾兄弟而友ㅣ니 友也者는 友其德也ㅣ니 不可以有挾也ㅣ니라 孟獻子는 百乘之家也ㅣ라 有友五人焉하더니 樂正裘와 牧仲이오 其三人則予ㅣ 忘之矣로라 獻子之與此五人者로 友也에 無獻子之家者也ㅣ니 此五人者ㅣ 亦有獻者之家ㅣ면 則不與之友矣리라 非惟百乘之家ㅣ 爲然也ㅣ라 雖小國之君이라도 亦有之하니 費惠公이 曰吾ㅣ 於子思則師之矣오 吾ㅣ 於顔般則友之矣오 王順長息則事我者也ㅣ라 하니라 非惟小國之君이 爲然也ㅣ라 雖大國之君이라도 亦有之하니 晉平公之於亥唐也에 入云則入하며 坐云則坐하며 食云則食하야 雖疎食菜羹이라도 未嘗不飽하니 蓋不敢不飽也ㅣ라 然이나 終於此而已矣오 弗與共天位也하며 弗與治天職也하며 弗與食天祿也하니 士之尊賢者也ㅣ라 非王公之尊賢也ㅣ니라 舜이 尙見帝어시늘 帝ㅣ 館甥于貳室하시고 亦饗舜하샤 迭爲賓主하시니 是는 天子而友匹夫也ㅣ니라 用下敬上을 謂之貴貴오 用上敬下를 謂之尊賢이니 貴貴尊賢이 其義ㅣ 一也ㅣ니라
<제4장> 萬章이 問曰敢問交際는 何心也ㅣ잇고 孟子ㅣ 曰恭也ㅣ니라 曰卻之卻之ㅣ 爲不恭은 何哉잇고 曰尊者ㅣ 賜之어든 曰其所取之者ㅣ 義乎아 不義乎아 而後受之라 以是爲不恭이니 故로 不卻也ㅣ니라 曰請無以辭卻之오 以心卻之曰其取諸民之不義也而以他辭로 無受ㅣ 不可乎ㅣ잇가 曰其交也ㅣ 以道ㅣ오 其接也ㅣ 以禮면 斯는 孔子도 受之矣시니라 萬章이 曰今有禦人於國門之外者ㅣ 其交也ㅣ 以道ㅣ오 其餽也以禮ㅣ면 斯可受禦與잇가 曰不可하니 康誥에 曰殺越人于貨하야 閔不畏死를 凡民이 罔不譈라 하니 是는 不待敎而誅者也ㅣ니 殷受夏周受殷所不辭也於今爲烈如之何其受之리오 曰今之諸侯ㅣ 取之於民也ㅣ 猶禦也ㅣ어늘 苟善其禮際矣면 斯는 君子도 受之라 하시니 敢問何說也ㅣ니잇고 曰子ㅣ 以爲有王者作인댄 將比今之諸侯而誅之乎아 其敎之不改而後에 誅之乎아 夫謂非其有而取之者를 盜也는 充類至義之盡也ㅣ라 孔子之仕於魯也에 魯人이 獵較이어늘 孔子ㅣ 亦獵較하시니 獵較도 猶可ㅣ온 而況受其賜乎ㅣ따녀 曰然則孔子之仕也는 非事道與잇가 曰事道也ㅣ시니라 事道ㅣ어시니 奚獵較也ㅣ잇고 曰孔子ㅣ 先簿正祭器하샤 不以四方之食으로 供簿正하시니라 曰奚不去也ㅣ시니잇고 曰爲之兆也ㅣ시니 兆ㅣ 足以行矣而不行而後에 去하시니 是以로 未嘗有所終三年淹也ㅣ시니라 孔子ㅣ 有見行可之仕하시며 有際可之仕하시며 有公養之仕하시니 於季桓子엔 見行可之仕也ㅣ오 於衛靈公엔 際可之仕也ㅣ오 於衛孝公엔 公養之仕也ㅣ니라
<제5장> 孟子ㅣ 曰仕ㅣ 非爲貧也而有時乎爲貧하며 娶妻ㅣ 非爲養也而有時乎爲養이니라 爲貧者는 辭尊居卑하며 辭富居貧이니라 辭尊居卑하며 辭富居貧은 惡乎宜乎오 抱關擊柝이니라 孔子ㅣ 嘗爲委吏矣샤 曰會計를 當而已矣라 하시고 嘗爲乘田矣샤 曰牛羊을 茁壯長而已矣라 하시니라 位卑而言高ㅣ 罪也ㅣ오 立乎人之本朝而道不行이 恥也ㅣ니라
<제6장> 萬章이 曰士之不託諸侯는 何也ㅣ잇고 孟子ㅣ 曰不敢也ㅣ니라 諸侯ㅣ 失國而後에 託於諸侯는 禮也ㅣ오 士之託於諸侯는 非禮也ㅣ니라 萬章이 曰君이 餽之粟則受之乎ㅣ잇가 曰受之니라 何義也ㅣ잇고 曰君之於氓也에 固周之니라 曰周之則受하고 賜之則不受는 何也ㅣ잇고 曰不敢也ㅣ니라 曰敢問其不敢은 何也ㅣ잇고 曰抱關擊柝者ㅣ 皆有常職하야 以食於上하나니 無常職而賜於上者를 以爲不恭也ㅣ니라 曰君이 餽之則受之라 하시니 不識게이다 可常繼乎ㅣ잇가 曰繆公之於子思也에 亟問하시고 亟餽鼎肉이어시늘 子思ㅣ 不悅하샤 於卒也에 摽使者하야 出諸大門之外하시고 北面稽首再拜而不受曰今而後에 知君之犬馬畜伋이라 하시니 蓋自是로 臺無餽也하니 悅賢不能擧ㅣ오 又不能養也ㅣ면 可謂悅賢乎아 曰敢問國君이 欲養君子댄 如何ㅣ라아 斯可謂養矣리잇고 曰以君命將之어든 再拜稽首而受하나니 其後에 廩人이 繼粟하고 庖人이 繼肉하야 不以君命將之니 子思ㅣ 以爲鼎肉이 使己僕僕爾亟拜也ㅣ라 非養君子之道也ㅣ라 하시니라 堯之於舜也에 使其子九男으로 事之하며 二女로 女焉하시고 百官牛羊倉廩을 備하야 以養舜於畎畝之中이러시니 後에 擧而加諸上位하시니 故로 曰王公之尊賢者也ㅣ니라
<제7장> 萬章이 曰敢問不見諸侯는 何義也ㅣ잇고 孟子ㅣ 曰在國曰市井之臣이오 在野曰草莽之臣이라 皆謂庶人이니 庶人이 不傳質爲臣하얀 不敢見於諸侯ㅣ 禮也ㅣ니라 萬章이 曰庶人이 召之役則往役하고 君이 欲見之하야 召之則不往見之는 何也ㅣ잇고 曰往役은 義也ㅣ오 往見은 不義也ㅣ니라 且君之欲見之也는 何爲也哉오 曰爲其多聞也ㅣ며 爲其賢也ㅣ니이다 曰爲其多聞也則天子도 不召師ㅣ온 而況諸侯乎아 爲其賢也則吾未聞欲見賢而召之也케라 繆公이 亟見於子思曰古에 千乘之國이 以友士하니 何如하니잇고 子思ㅣ 不悅曰古之人이 有言曰事之云乎ㅣ언정 豈曰友之云乎ㅣ리오 하시니 子思之不悅也는 豈不曰以位則子는 君也ㅣ오 我는 臣也ㅣ니 何敢與君友也ㅣ며 以德則子는 事我者也ㅣ니 奚可以與我友리오 千乘之君이 求與之友而不可得也ㅣ온 而況加召與아 齊景公이 田할새 招虞人以旌한대 不至어늘 將殺之러니 志士는 不忘在溝壑이오 勇士는 不忘喪其元이라 하시니 孔子는 奚取焉고 取非其招不往也ㅣ시니라 曰敢問招虞人何以니잇고 曰以皮冠이니 庶人은 以旃이오 士는 以旂오 大夫는 以旌이니라 以大夫之招로 招虞人이어늘 虞人이 死不敢往하니 以士之招로 招庶人이면 庶人이 豈敢往哉리오 況乎以不賢人之招로 招賢人乎아 欲見賢人而不以其道ㅣ면 猶欲其入而閉之門也ㅣ니라 夫義는 路也ㅣ오 禮는 門也ㅣ니 惟君子ㅣ 能由是路하며 出入是門也ㅣ니 詩云周道如底하니 其直如矢로다 君子所履오 小人所視라 하니라 萬章이 曰孔子는 君이 命召ㅣ어신든 不俟駕而行하시니 然則孔子ㅣ 非與ㅣ잇가 曰孔子는 當仕有官職而以其官으로 召之也ㅣ니라
<제8장> 孟子ㅣ 謂萬章曰一鄕之善士ㅣ아 斯友一鄕之善士하고 一國之善士ㅣ아 斯友一國之善士하고 天下之善士ㅣ아 斯友天下之善士ㅣ니라 以友天下之善士로 爲未足하야 又尙論古之人하나니 頌其詩하며 讀其書호대 不知其人이 可乎아 是以로 論其世也ㅣ니 是尙友也ㅣ니라
<제9장> 齊宣王이 問卿한대 孟子ㅣ 曰王은 何卿之問也ㅣ시니잇고 王曰卿이 不同乎ㅣ잇가 曰不同하니 有貴戚之卿하며 有異姓之卿하니이다 王曰請問貴戚之卿하노이다 曰君이 有大過則諫하고 反覆之而不聽則易位니이다 王이 勃然變乎色하신대 曰王은 勿異也하쇼서 王이 問臣하실새 臣이 不敢不以正對호이다 王이 色定然後에 請問異姓之卿하신대 曰君이 有過則諫하고 反覆之而不聽則去ㅣ니이다 |
| |
| |
|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