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스크랩] 盡心章句上 제41장~제46장 해설

ria530 2012. 6. 13. 12:34
<제41장>

公孫丑ㅣ 曰道則高矣美矣나 宜若似登天然이라 似不可及也ㅣ니 何不使彼로 爲可幾及而日孶孶也잇고 孟子ㅣ 曰大匠이 不爲拙工하야 改廢繩墨하며 羿ㅣ 不爲拙射하야 變其彀率이니라

공손추가 가로대 도가 곧 높고도 아름다우나 마땅히 하늘에 오름과 같은지라. 가히 미치지 못할 듯하니, 어찌 저로 하여금 가히 거의 미치게 하여 날로 부지런 부지런히 아니하시니잇고? 맹자 가라사대 큰 장인 서투른 공인을 위하여 먹줄과 먹통을 고치고 버리지 아니하며, 예가 서투른 사수를 위하여 그 활 당김의 비율을 바꾸지 아니하니라.

孶 : 부지런할 자 彀 : 활당길 구. 활을 쏘기에 알맞은 거리

彀率은 彎弓之限也ㅣ라 言敎人者ㅣ 皆有不可易之法하니 不用自貶하야 以徇學者之不能也ㅣ라

구율은 활을 당기는 한계라. 말하건대 사람을 가르친다는 것은 다 가히 바꾸지 못하는 법이 있으니 스스로 낮추어서 써 배우는 자의 능치 못함을 따르지 않느니라.

君子ㅣ 引而不發하야 躍如也하야 中道而立이어든 能者從之니라

군자가 활을 당기고 쏘지 아니하여 뛰는 듯하여 중도로 섰거든 능한 자 따르니라.

引은 引弓也ㅣ오 發은 發矢也ㅣ라 躍如는 如踊躍而出也ㅣ라 因上文彀率하야 而言君子敎人에 但授以學之之法이오 而不告以得之之妙니 如射者之引弓而不發矢라 然이나 其所不告者ㅣ 已如踊躍而見於前矣니라 中者는 無過不及之謂니 中道而立은 言其非難非易요 能者從之는 言學者當自勉也ㅣ라 ○此章은 言道有定體하고 敎有成法하니 卑不可抗이오 高不可貶이오 語不能顯이오 黙不能藏이니라

인은 활을 당김이오, 발은 화살을 쏨이라. 약여는 뛰어서 나옴과 같음이라. 윗글의 구율을 인하여 말함은, 군자가 사람을 가르침에 다만 써 배우는 법을 줌이오, 써 얻음의 묘미는 말하지 아니하니, 쏘는 자가 활을 당겨서 화살을 발하지 않음과 같음이라. 그러나 그 말하지 아니한 바가 이미 뛰어서 앞에 나타난 것과 같으니라. 중이라는 것은 과불급함이 없음을 이름이니 중도로 섬은 그 어렵지도 않고 쉽지도 않음을 말함이오, 능한 자 따름은 배우는 자가 마땅히 스스로 힘씀을 말함이라. ○이 장은 말하건대 도는 정한 체가 있고, 가르침은 이루어진 법이 있으니 낮은 것은 가히 높이지 못하고, 높은 것은 가히 낮추지 못하고, 말해도 능히 드러내지 못하고, 침묵해도 가히 감추지 못하니라.

<제42장>

孟子ㅣ 曰天下ㅣ 有道엔 以道殉身하고 天下ㅣ 無道엔 以身殉道하나니

맹자 가라사대 천하가 도가 있음엔 도로써 몸을 따르고, 천하가 도가 없음엔 몸으로써 도를 따르나니,

殉은 如殉葬之殉이니 以死隨物之名也ㅣ라

순은 순장의 순과 같으니 죽음으로써 물건을 따름의 이름이라.

未聞以道로 殉乎人者也케라

도로써 남을 따름을 듣지 못케라

以道從人은 妾婦之道니라

도로써 남을 따름은 첩부의 도이니라.

<제43장>

公都子ㅣ 曰滕更之在門也에 若在所禮而不答은 何也잇고

공도자 가로대 등경이 문하에 있음에 예하는 바에 있을 듯한대 대답하지 아니함은 어찌잇고?

趙氏曰滕更은 滕君之弟로 來學者也ㅣ라

조씨 가로대 등경은 등나라 인군의 아우로 와서 배우는 자라.

孟子ㅣ 曰挾貴而問하며 挾賢而問하며 挾長而問하며 挾有勳勞而問하며 挾故而問이 皆所不答也ㅣ니 滕更이 有二焉하니라

맹자 가라사대 귀함을 끼고(믿고) 물으며, 어짊을 끼고 물으며, 나이 많음을 끼고 물으며 공로가 있음을 끼고 물으며, 까닭(저의)을 끼고 물음이 다 대답하지 아니하는 바이니, 등경이 두 가지가 있나니라.

趙氏 曰二는 謂挾貴, 挾賢也ㅣ라 尹氏 曰有所挾이면 則受道之心이 不專하니 所以不答也ㅣ라 ○此는 言君子ㅣ 雖誨人不倦이나 又惡夫意之不誠者니라

조씨 가로대 둘은 협귀와 협현을 이름이라. 윤씨 가로대 끼는 바가 있으면 도를 받는 마음이 오로지 하지 못하니 써 대답하지 않는 바라. 이는 말하건대 군자가 비록 사람 가르침을 게을리 하지 아니하나 또한 무릇 뜻이 성실하지 못한 자를 미워하니라.

<제44장>

孟子ㅣ 曰於不可已而已者는 無所不已오 於所厚者薄이면 無所不薄也ㅣ니라

맹자 가라사대 가히 그만두어서는 아니 됨에 그만두는 자는 그만두지 못할 바가 없음이오, 후해야 할 바에 박하면 박하지 아니함이 없느니라.

***대학착간고정본 전문 제4장 격물(格物)장 참조할 것.

已는 止也ㅣ니 不可止는 謂所不得不爲者也ㅣ라 所厚는 所當厚者也ㅣ라 此는 言不及者之獘라

이는 그침(그만둠)이니 가히 그치지 못함은 시러곰 하지 아니하지 못함을 이름이라. 소후는 마땅히 두텁게 하는 바이라. 이는 불급한 자의 폐단을 말씀함이라.

其進이 銳者는 其退ㅣ 速이니라

그 나아감이 재빠른 자는 그 물러남이 빠르니라.

進銳者는 用心太過하야 其氣ㅣ 易衰故로 退速이라 ○三者之弊는 理勢必然이니 雖過不及之不同이나 然이나 卒同歸於廢弛니라

재빠르게 나아가는 자는 마음 씀이 너무 지나쳐 그 기운이 쉽게 쇠하는 고로 물러남이 빠르니라. ○세 가지의 폐단은 이치와 형세가 반드시 그러하니 비록 과와 불급이 같지 아니하나 그러나 마침내 폐하고 해이한 데로 똑같이 돌아가니라.

<제45장>

孟子ㅣ 曰君子之於物也에 愛之而弗仁하고 於民也에 仁之而弗親하나니 親親而仁民하며 仁民而愛物이니라

맹자 가라사대 군자가 물건에 대하여 아끼고 어질지 아니하고 백성에 대하여 어질고 친하지 아니하나니, 어버이를 친하고 백성을 어질게 하며, 백성을 어질게 하고 물건을 아끼느니라.

物은 謂禽獸草木이라 愛는 謂取之有時하고 用之有節이라 程子ㅣ 曰仁은 推己及人이니 如老吾老하야 以及人之老니 於民則可나 於物則不可라 統而言之則皆仁이오 分而言之則有序니라 楊氏ㅣ 曰其分이 不同故로 所施에 不能無差等하니 所謂理一而分殊者也ㅣ라 尹氏 曰何以有是差等고 一本故也ㅣ니 無僞也ㅣ니라

물은 금수초목을 이름이라. 애는 취함이 때가 있고 씀이 절도가 있음을 말함이라. 정자 가라사대 인은 내 몸을 미루어 다른 사람에 미침이니 늙은이를 내 늙은이같이 하여 써 다른 사람의 늙은이에 미침이니 백성에게라면 가하나 물건에게라면 불가라. 통틀어서 말한다면 다 인이오, 나누어서 말한다면 차례가 있느니라. 양씨 가로대 그 나뉨이 같지 아니한 까닭에 베푸는 자에 능히 차등이 없지 아니하니 이른바 이치는 하나이나 나뉨은 다른 것이라. 윤씨 가로대 어찌 써 이러한 차등이 있는고? 하나의 뿌리인 까닭이니 거짓이 없느니라.

<제46장>

孟子ㅣ 曰知者ㅣ 無不知也ㅣ나 當務之爲急이오 仁者ㅣ 無不愛也ㅣ나 急親賢之爲務ㅣ니 堯舜之知로 而不徧物은 急先務也ㅣ오 堯舜之仁으로 不徧愛人은 急親賢也ㅣ니라

맹자 가라사대 지혜로운 자가 알지 아니함이 없으나 마땅히 힘써야 할 것을 급히 여기고, 어진 자가 사랑하지 아니함이 없으나 어진 이를 친함을 급히 하여 힘쓸 것으로 여기니, 요순의 지혜로 물건을 두루 하지 아니함은 급선무요, 요순의 어짊으로 사람을 두루 사랑하지 아니함은 어진 이를 친함을 급히 함이니라.

知者는 固無不知나 然이나 常以所當務者爲急이면 則事無不治하야 而其爲知也ㅣ 大矣요 仁者는 固無不愛나 然이나 常急於親賢이면 則恩無不洽하야 而其爲仁也ㅣ 博矣니라

지혜로운 자는 진실로 아지 아니함이 없으나 그러나 항상 써 마땅히 힘써야 할 바를 급히 여기면 일이 다스려지지 아니함이 없어서 그 지혜됨이 크고, 어진 자는 진실로 사랑하지 아니함이 없으나 그러나 항상 어진 이를 친함에 급하면 은혜가 흡족하지 아니함이 없어서 그 어짊 됨이 넓으니라.

不能三年之喪而緦小功之察하며 放飯流歠而問無齒決이 是之謂不知務ㅣ니라

삼년의 상은 능하지 못하면서 시마와 소공을 살피며, 방만히 밥먹고 흘리며 마시면서 이빨로 끊음이 없음을 물음이, 이를 힘씀을 하지 못한다 이르니라.

歠 : 마실 철 * ‘放飯流歠而問無齒決’은 『예기』 곡례편에 나오는 글로 음식 먹을 때의 주의 사항이다. 본래는 ‘毋放飯 毋流歠 又曰濡肉齒決 乾肉不齒決’이란 문장이다. 곧 ‘밥먹으며 떨어뜨리지 말고, 마시면서 흘리지 말고 또 가로대 젖은 고기는 이빨로 뜯고, 마른 고기는 이빨로 뜯지 말라’고 하였다. 여기서 마른 고기는 이빨로 뜯지 말라는 것은 손으로 뜯어 먹으라는 뜻이다.

三年之喪은 服之重者也ㅣ라 緦麻는 三月이오 小功은 五月이니 服之輕者也ㅣ라 察은 致詳也ㅣ라 放飯은 大飯이오 流歠은 長歠이니 不敬之大者也ㅣ라 齒決은 齧斷乾肉이니 不敬之小者也ㅣ라 問은 講求之意라 ○此章은 言君子之於道에 識其全體면 則心不狹하고 知所先後면 則事有序니라 豐氏 曰智不急於先務면 雖徧知人之所知하고 徧能人之所能이라도 徒弊精神而無益於天下之治矣요 仁不急於親賢이면 雖有仁民愛物之心이라도 小人在位하야 無由下達하야 聰明이 日蔽於上하고 而惡政이 日加於下리니 此는 孟子所謂不知務也ㅣ니라

삼년의 상은 복의 중한 것이라. 시마는 3월이오 소공은 5월이니 복의 가벼움이라. 찰은 자세히 이르름이라. 방반은 크게 먹음이오, 유철은 길게 마심이니 불경이 큰 것이라. 치결은 마른 고기를 깨물어 끊음이니 불경의 작은 것이라. 문은 조사하여 구하는(따져 묻는) 뜻이라. ○이 장은 군자가 도에 대해 그 전체를 알면 마음이 좁아지지 않고, 선후를 알면 일이 질서가 있게 됨을 말씀함이라. 풍씨 가로대, 지혜가 먼저 힘써야 함을 급하게 하지 못하면 비록 다른 사람의 아는 바를 두루 알고 다른 사람의 능한 바를 두루 능하더라도, 한갓 정신을 피폐하게 하여 천하의 다스림에 무익함이오, 인이 어진 이를 친함을 급하게 하지 못하면 비록 백성을 어질게 하고 물건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더라도 소인들이 자리에 있어서 말미암음이 아래에 이름이 없어 총명이 날로 위에 가려지고 악정이 날로 아래에 더하리니, 이는 맹자의 이른바 힘씀(급선무)을 아지 못함이라.
출처 : 家苑 이윤숙의 庚衍學堂(한자와 유학경전)
글쓴이 : 家苑 이윤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