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성어1111-1140

ria530 2012. 12. 15. 13:28

[1111] 率 性 之 謂 道 (솔성지위도)한자거느릴 솔 / 성품 성 / 어조사 지 / 이를 위 / 도리 도의미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중용(中庸)>의 가치.원문】▶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中庸>字意() 양쪽에서 줄을 당기는 의미에서 통제의 의미를 지닌 '거느리다'는 뜻 생성. () 타고난 마음의 성질의 의미. '()'은 발음부호면서 의미 내포. () 일컬어 말하다는 의미의 '말하다' 생성. () ()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의 의미 파생

 

[1112] 率 獸 食 人 (솔수식인)한자거느릴 솔 / 짐승 수 / 먹을 식 / 사람 인의미짐승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먹게 한다는 뜻으로, 패도(覇道)정치를 일삼는 위정자의 학정(虐政)의 비유.관련어塗炭之苦 (도탄지고) : 진흙탕과 숯불의 고통苛斂誅求 (가렴주구) : 貪官汚吏(탐관오리)의 학정.字意() 짐승을 사냥하는 개의 모양까지 더해 '길짐승'의 의미를 생성함.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1113] 率 土 之 濱 (솔토지빈)한자거느릴 솔 / 흙 토 / 어조사 지 / 물가 빈의미온 땅 안의 끝이라는 뜻으로, 하해(河海)와 접한 육지의 모두인 온 국토, 온 나라의 의미.관련어】▶ 率土之民 (솔토지민) : 온 나라 안의 백성字意()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물가'의 의미에서 ''의 뜻까지 파생함.솔성지위도, 솔수식인, 솔토지빈 - 교본파일(37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14] 送 舊 迎 新 (송구영신)한자보낼 송 / 예 구 / 맞이할 영 / 새 신의미옛 것을 보내고 새 것을 맞이한다는 뜻으로, 묵은해를 보내고 새 해를 맞는다고 쓰이거나, 전임자를 보내고 신임자를 맞는다[送故迎新]는 의미로도 사용됨.관련어】▶ 謹賀新年 (근하신년) : 삼가 새해를 축하합니다.유의어】▶ 送故迎新 (송고영신) : 전임자를 보내고 신임자를 맞음.字意() 사람을 떠나 보낸다는 의미에서 물건을 보내는 것까지 파생함. () 본래 야행성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오래 사는 것으로 인해 ''의 의미 생성. () 오는 것을 '맞아들이다'는 의미. () 나무를 도끼로 찍어 다듬은 모양에서 '새로운 재목'의 의미 생성.

 

[1115] 松 菊 主 人 (송국주인)한자소나무 송 / 국화 국 / 주인 주 / 사람 인의미소나무와 국화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자연 속에 은둔(隱遁)하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관련어】▶ 杜門不出 (두문불출) : 문을 닫고 나오지 않음.字意() 소나무의 의미를 지니고, '()'은 발음 기호 역할. ()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의미까지 살린 '국화'의 의미. () 촛대 위에서 타고 있는 촛불의 모양으로 밤에 집안을 밝히는 중심이라는 의미에서 '주인' 의미 생성.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1116] 松 都 三 絶 (송도삼절)한자소나무 송 / 도읍 도 / 석 삼 / 끊을 절의미송도[개경(開京)]의 세 가지 빼어남이라는 뜻으로, 개성(開城)의 유명한 빼어난 존재 세 가지로 서화담(徐花潭), 황진이(黃眞伊), 박연폭포(朴淵瀑布)라고 일컫는 말.字意() 천자가 살고 있는 도읍의 의미에서 도시, 행정구역 등의 의미를 생성함. () 실타래를 끊는다는 의미에서 '끊다'는 뜻 생성. 후에 '뛰어나다'는 의미 파생.송구영신, 송국주인, 송도삼절 - 교본파일(37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17] 松 茂 柏 悅 (송무백열)한자소나무 송 / 무성할 무 / 잣나무 백 / 기쁠 열의미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 벗이 잘되는 일을 기뻐한다는 의미.상대 의미 속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字意() 소나무의 의미를 지니고, '()'은 발음 기호 역할. () 풀이 우거지고 무성하다는 의미. () 측백나무의 의미나 우리나라에서 '잣나무'의 의미로 사용됨. () '()'가 형[]이 입을 벌려 기뻐하는 모양이고 ''을 더해 명확하게 표현함.

 

[1118] 松 柏 之 茂 (송백지무)한자소나무 송 / 잣나무 백 / 어조사 지 / 무성할 무의미소나무와 잣나무의 무성함이라는 뜻으로, 송백의 푸른빛이 변하지 않는 것처럼 오래도록 번영(繁榮)함을 비유하는 말.구별어】▶ 松柏操 (송백조) : 송백의 푸름과 같은 변치 않는 지조.字意() 소나무의 의미를 지니고, '()'은 발음 기호 역할. () 측백나무의 의미나 우리나라에서 '잣나무'의 의미로 사용됨.

 

[1119] 宋 襄 之 仁 (송양지인)한자송나라 송 / 도울 양 / 어조사 지 / 어질 인의미송나라 양공의 어짐이라는 뜻으로, 너무 착하기만 하여 쓸데없는 동정을 베풀어 낭패를 본다는 의미.고사】▶ 춘추시대 송의 양공이 초()와 싸울 때 적이 포진하기 전에 공격하자는 진언에 대해 '군자는 남이 곤경에 처했을 때 괴롭혀서는 안 된다'고 듣지 않다가 결국 초나라에 패망하고 말았다.字意() 춘추 열국의 하나로 은()의 귀족에게 봉해 준 나라. () 서로 조력하여 '돕는다'는 의미. () 사람이 둘[]이는 표현으로, 혼자가 아닌 사회 속에서의 사랑과 친밀함을 지녀야 한다는 의미에서 어질다는 의미 생성.송무백열, 송백지무, 송양지인 - 교본파일(37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20] 松 竹 梅 (송죽매)한자소나무 송 / 대나무 죽 / 매화 매의미소나무와 대나무, 매화나무라는 뜻으로, 추위에도 견디는 세 나무의 의미에서 겨울철 벗으로 기리고 완상(玩賞)할 세 벗으로 활용됨.동의어】▶ 歲寒三友 (세한삼우) : 해가 차가워진 후에 사귈 세 벗.字意() 소나무의 의미를 지니고, '()'은 발음 기호 역할. () 대나무의 잎사귀까지 상세하게 묘사한 모양임. () 매실, 매화의 의미. '()'는 발음.

 

 

 

[1121] 松 竹 之 節 (송죽지절)한자소나무 송 / 대나무 죽 / 어조사 지 / 마디 절의미소나무와 대나무의 절개라는 뜻으로, 四時를 변하지 않는 소나무나 곧은 줄기의 대나무처럼 굳게 변하지 않는 지조나 절개를 의미함.유의어松柏操 (송백조) : 송백의 푸름과 같은 변치 않는 지조霜風高節 (상풍고절) : 서릿발같은 높은 절개.字意() 대나 초목의 마디의 의미에서 후에 '절개', '규칙' 등의 의미를 파생함.

 

[1122] 松 風 水 月 (송풍수월)한자소나무 송 / 바람 풍 / 물 수 / 달 월의미소나무에 부는 바람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한 것을 비유하는 말.字意()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을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은 널리 퍼진다는 의미에서 공기가 널리 퍼져 움직인다는 '바람'의 의미 도출. 후에 상징적인 벌레()를 추가. ()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도 표현.송죽매, 송죽지절, 송풍수월 - 교본파일(37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23] 碎 骨 粉 身 (쇄골분신)한자부술 쇄 / 뼈 골 / 가루 분 / 몸 신의미뼈를 부수고 몸을 가루로 만든다는 뜻으로, 목숨을 내어놓고 있는 힘을 다해 자신을 다한다는 의미.동의어】▶ 粉骨碎身 (분골쇄신) / 碎身粉骨 (쇄신분골)관련어】▶ 犬馬之勞 (견마지로) : 개나 말을 수고로움. 곧 신하 입장.字意() 돌로 '깨뜨리고 부순다'는 의미. '()'은 발음 요소. ()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 쌀을 빻아 가루로 만든 것에서 '가루'의 뜻을 생성하고, 후에 '단장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1124] 殺 頭 便 冠 (쇄두편관)한자줄일 쇄 / 머리 두 / 편리할 편 / 갓 관의미머리를 깎아내서 관 쓰기에 편하도록 한다는 뜻으로, 본말(本末)이 전도(顚倒)된 상황을 이르는 말.유의어削足適履 (삭족적리) : 발을 깎아 신발을 맞춘다.主客顚倒 (주객전도) : 주인과 손님이 뒤바뀜.字意(,) 해를 끼치는 미상의 동물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의미의 글자. 부수가 '몽둥이()'. 여기서는 ()발음의 '덜다', '베다', '줄이다' 등의 의미. () '()'는 발음,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便() 사람이 불편함을 고쳐서[()] '편리하다' 한다는 의미. () '()''(:머리)'의 의미라서 머리를 덮어 가리는 ''의 의미 도출. 후에 갓을 신분에 따라 달리 쓰게 되어 '헤아리다'는 의미의 '()'을 더함.

 

[1125] 灑 掃 應 對 (쇄소응대)한자뿌릴 쇄 / 쓸 소 / 응할 응 / 대할 대의미물 뿌리고 쓸고 응하고 답한다는 뜻으로, 청소 잘 하고 심부름 등 어른을 받들어 모시는 일 등 어린 아이들이 잘 해야 하는 일의 의미.字意() 물을 '뿌린다'는 의미에서 '씻다', '청소하다''흩어지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빗자루로 쓸어 청소하는 의미. () 자신이 직접 '감당하다'는 의미에서 후에 '대답하다', '응답하다''승낙하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입으로 응대하되 법도[]에 맞게 한다는 의미에서 '대답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서로 대답한다는 의미에서 '상대하다'는 의미 파생.쇄골분신, 쇄두편관, 쇄소응대 - 교본파일(37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26] 數 間 茅 屋 (수간모옥)한자셀 수 / 사이 간 / 띠 모 / 집 옥의미몇 간이 안 되는 띠 집이라는 뜻으로, 두서너 간밖에 안 되는 작은 집의 의미.동의어數間斗屋 (수간두옥)數間草屋 (수간초옥)字意() 여자가 상자 안의 물건을 따져본다는 의미에서 '세다'는 의미 생성. ''의 의미로 확대됨. () 본래 '()'이 본자. 문 틈 사이로 달빛이 들어온다는 의미에서 '사이, ' 의미 생성 . () ''의 의미. '()'는 발음 역할. ()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의 의미로 사용됨.

 

[1127] 水 廣 則 魚 遊 (수광즉어유)한자물 수 / 넓을 광 / 곧 즉 / 물고기 어 놀 유의미물이 넓으면 물고기가 모여 논다는 뜻으로, 덕이 있으면 자연히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하는 말.동의어】▶ 水寬魚大(수관어대):물이 넓으면 큰고기가 깃듦.字意() 건축물의 의미인 ''과 발음인 ()을 더해 넓은 장소를 의미함. () 본래 화폐[]를 나눈다[]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으로 사용됨.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즐겁게 지내면서 '논다'는 의미.

 

[1128] 守 口 如 甁 (수구여병)한자지킬 수 / 입 구 / 같을 여 / 병 병의미입을 막는 것을 병마개처럼 한다는 뜻으로, 병마개 막듯이 입을 봉하라는 것에서 비밀을 잘 지키어 누설하지 말 것을 경계하는 말의 의미.유의어】▶ 防意如城 (방의여성) : 뜻을 막는 것을 성 지키듯 한다.字意() [관청의 의미]에서 법도[]를 적용한다 뜻에서 파생하여 '지키다'는 의미 생성. ()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 파생.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병이나 단지, 항아리 등의 의미.수간모옥, 수광즉어유, 수구여병 - 교본파일(37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29] 首 邱 初 心 (수구초심)한자머리 수 / 언덕 구 / 처음 초 / 마음 심의미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 데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유의어】▶ 看雲步月 (간운보월) : 객지에서 고향 생각이 간절함.字意() 사람의 코[]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 공자의 이름자인 '()'를 대신한 '언덕' 의미. () 옷을 만들 때 옷감을 마름질하는 의미로 옷 만드는 첫 번째 과정이라는 의미에서 '처음'의 의미 생성.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사람의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1130] 修 己 治 人 (수기치인)한자닦을 수 / 몸 기 / 다스릴 치 / 사람 인의미자기를 수양하고 남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내 몸을 먼저 닦아 자기완성을 이루고, 타인을 교화(敎化)시켜 나간다는 儒家사상의 본질적 가치의 의미.관련어】▶ 忠恕 (충서) : 스스로 정성을 다하며 남의 사정을 헤아릴 줄 앎.字意() 도덕, 품행을 다스려 '닦는다'는 의미. () 만물이 자신을 숨기고 있는 개념에서 ''의 의미 도출. ()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을 생성함.

 

[1131] 水 到 渠 成 (수도거성)한자물 수 / 이를 도 / 도랑 거 / 이룰 성의미물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학문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 때가 되면 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사용됨.유의어】▶ 水到魚行 (수도어행) : 물이 흐르면 물고기가 다닌다는 뜻으로, 때가 오면 일이 이루어짐을 비유.字意() 물이 흘러가는 모양. '()얼음', '()길다' 등 구별에 유의. () 다다라 이르렀다는 의미. ''는 발음. () '개천'이나 '도랑'의 의미.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수구초심, 수기치인, 수도거성 - 교본파일(37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32] 垂 頭 塞 耳 (수두색이)한자드리울 수 / 머리 두 / 막을 색 / 귀 이의미머리를 숙이고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머리 숙여 아첨하며 귀를 막고 세간의 비난을 염두에 두지 않아 아첨만 일삼는다는 의미.유의어】▶ 巧言令色 (교언영색) :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색.字意() 나무의 가지들이 땅 쪽으로 축 늘어져있음을 표현해 '늘어지다', '드리우다'는 의미를 생성함. () '()'는 발음,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국경지대인 변방의 의미로 는 ()발음이고, 그 지역을 '막는다'는 의미는 ()으로 발음됨. ()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1133] 水 落 石 出 (수락석출)한자물 수 / 떨어질 락 / 돌 석 / 날 출의미물이 마르니 돌이 드러난다는 뜻으로, 겨울 날의 강의 경치를 의미하거나 드디어 사건의 진상이 밝혀져 정체가 드러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字意() 물이 흘러가는 모양. '()얼음', '()길다' 등 구별에 유의. ()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부호. ()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 등의 의미 파생.

 

[1134] 垂 簾 聽 政 (수렴청정)한자드리울 수 / 발 렴 / 들을 청 / 정사 정의미발을 드리우고 정사를 듣는다는 뜻으로, 천자(天子)가 어려서 태황(太皇), 태후(太后), 황태후(皇太后) 등이 대신 집정(執政)하는 일.동의어】▶ 垂簾之政 (수렴지정) : 垂簾하는 정치.字意() 나무의 가지들이 땅 쪽으로 축 늘어져있음을 표현해 '늘어지다', '드리우다'는 의미를 생성함. () 문이나 창 등에 드리우는 대나무로 만든 ''의 의미. '()'은 발음. () ()은 들은 것을 표현한다는 의미인데, 은 단순히 듣는 것만을 의미함. ()이나 ()의 첨가는 발음과 의미를 위해 첨가함. () 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행위의 의미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정사(政事)의 의미를 생성함.수두색이, 수락석출, 수렴청정 - 교본파일(37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35] 水 流 雲 空 (수류운공)한자물 수 / 흐를 류 / 구름 운 / 빌 공의미흐르는 물과 하늘에 뜬구름이라는 뜻으로 지난 일의 흔적이 없고 허무함을 비유하는 말.字意() 물이 흘러가는 모양. '()얼음', '()길다' 등 구별에 유의. ()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 () 본래 '()'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와 결합해 만듦. ()'말하다'로 전용. () 구멍[()]이 비어있다는 의미에서 '비다', '헛되다' 등의 의미 생성.

 

[1136] 手 舞 足 蹈 (수무족도)한자손 수 / 춤출 무 / 발 족 / 뛸 도의미손이 춤추고 발이 뛴다는 뜻으로, 너무 기뻐서 어쩔 줄을 모름을 비유하는 말.字意()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본래 '()'가 사람이 소꼬리 같은 것을 양손에 들고 춤추는 모양인데,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의미로 변하자 두 발의 움직임을 표현한 '()'을 더해 '춤추다'는 별도의 글자를 만듦. () 발 모양의 ''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를 함께 본뜬 글자로, ''을 의미함.() 발로 디디고 밟는다는 의미.

[1137] 首 尾 相 應 (수미상응)한자머리 수 / 꼬리 미 / 서로 상 / 응할 응의미머리와 꼬리가 서로 응한다는 뜻으로, 처음과 끝이 서로 호응하며 서로 가락이 척척 맞아 돕는다는 의미.관련어】▶ 首尾相接 (수미상접): 서로 잇달아 끊어지지 않음.字意() 사람의 코[]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 사람이 사냥을 할 때 짐승처럼 분장을 하고 있는 모양으로, 사람[]이 꼬리털을 붙이고 있는 모양임. ()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정승' 의미 파생. () 자신이 직접 '감당하다'는 의미에서 후에 '대답하다', '응답하다''승낙하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수류운공, 수무족도, 수미상응 - 교본파일(37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38] 隨 病 投 藥 (수병투약)한자따를 수 / 병 병 / 던질 투 / 약 약의미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법(說法)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字意() 따라간다는 의미에서 '수행하다'는 의미 파생. '()'는 발음 역할. () 신에게 술단지 같은 제물을 바치는 모양에서 '복을 빈다'는 의미로 '행복'의 의미 생성. ()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치다'의 반의어. () 병을 고치고 치료하는 ''의 의미. ''은 발음요소

[1139] 壽 福 康 寧 (수복강녕)한자목숨 수 / 복 복 / 편안할 강 / 편안할 녕의미장수하고 행복하고 건강하고 평안하다는 뜻으로, 탈 없이 오래도록 건강과 행복을 누리도록 기원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말.유의어萬壽無疆 (만수무강) : 아무 탈 없이 오래 삶.壽山福海 (수산복해) : 수명이 산과 같고 행복이 바다 같다.字意() 오래 산 늙은 노인의 모양에서 사람이 살아 있는 연한인 '목숨'의 의미나 '장수'의 의미를 표현함. () 신에게 술단지 같은 제물을 바치는 모양에서 '복을 빈다'는 의미로 '행복'의 의미 생성. () 편안하고 건강하다는 의미. () 몸과 마음이 '편안하다'는 의미.

[1140] 手 不 釋 卷 (수불석권)한자손 수 / 아니 불 / 놓을 석 / 책 권의미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에 힘쓴다는 의미.유의어讀書三昧 (독서삼매) : 잡념 없이 독서에만 골몰한 경지.不恥下問 (불치하문) : 아랫사람에 물음을 부끄러워 안 함.韋編三絶 (위편삼절) : 책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짐.字意()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분별해 풀어내다는 의미에서 '풀다', '놓다' 등의 의미에서 '놓아주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 '두루마리'로 엮인 죽간을 두 손으로 잡은 형태에서 ''의 의미를 전용됨. 손으로 '말다''()'의 가차로도 사용됨.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양기한자성어1171-1200  (0) 2012.12.15
이야기한자성어1141-1170  (0) 2012.12.15
이야기한자성어1081-1120  (0) 2012.12.15
이야기한자성어1051-1080  (0) 2012.12.13
이야기한자성어1021-0150  (0) 201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