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성어1381-1410

ria530 2012. 12. 18. 15:33

[1381] 言 語 道 斷 (언어도단)한자말씀 언 / 말씀 어 / 도리 도 / 끊을 단의미말의 도가 끊어졌다는 뜻으로, 말로 나타낼 수가 없을 정도로 매우 심하거나 나쁜 일의 의미로 사용되거나, 불가(佛家)에서는 심오한 진리의 의미로 사용됨.관련어】▶ 語不成說 (어불성설) : 말이 사리에 맞지 않음.字意()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말과 이야기의 의미. ‘()’는 발음요소. () ()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의 의미 파생. () 도끼로 실타래를 자르는 의미에서 끊다는 의미 생성

[1382] 言 外 之 意 (언외지의)한자말씀 언 / 밖 외 / 어조사 지 / 뜻 의의미말 밖의 뜻이라는 뜻으로, 말에 나타난 뜻 이외의 숨은 뜻의 의미로 쓰이거나, 어떤 것을 암시(暗示)하는 의미로도 사용됨.字意() 외지에 나가면 두려움에 점을 많이 치게 된다는 것에 의해 저녁에 점을 친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마음 속의 생각을 겉으로 나타낸다는 의미로 주관적인 의미의 뜻을 지님. 는 객관적인 의미’.

[1383] 言 有 召 禍 (언유소화)한자말씀 언 / 있을 유 / 부를 소 / 재앙 화의미말은 화를 부름이 있다는 뜻으로, 말은 이따금 화단(禍端)을 불러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對句】▶ 行有召辱 (행유소욕) : 행동은 치욕을 부름이 있다. <荀子(순자)>字意()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의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오라고 부른다는 의미에서 부르다는 뜻 생성. () 는 초인간적인 하늘의 상징 표현이고, 오른쪽 모양은 ()’의 변형으로 잔해만 남았다는 의미에서 재앙의 뜻 생성.언어도단, 언외지의, 언유소화 - 교본파일(46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84] 言 者 不 知 (언자부지)한자말씀 언 / 놈 자 / 아니 불 / 알 지의미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안다고 자처하며 지껄이는 자는 사실상 알지 못한다는 도가(道家)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이치를 깨우치는 노자(老子)의 말.출전】▶ 知者不言 言者不知 (지자불언 --) :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老子>字意()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1385] 言 正 理 順 (언정이순)한자말씀 언 / 바를 정 / 이치 리 / 순할 순의미말이 바르고 이치가 순리에 따른다는 뜻으로, 말이나 이치가 사리에 맞고 옳다는 의미.동의어】▶ 言順理正 (언순이정).유의어】▶ 言則是也 (언즉시야) : 말인즉 옳음.字意() 어떤 특정 지역[]을 공격해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바로잡다는 뜻에서 바르다는 의미 생성. 혹은 하나의 원칙에 모든 행동을 그친다는 의미에서 바르다는 뜻으로 설명하기도 함. () []을 다듬는 기술로 인해 다스리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치’, ‘이론의 의미 파생. () 머리부터 발끝까지 시냇물의 흐름처럼 순리대로 이르다는 의미에서 순하다’, ‘따르다등의 의미 생성.

[1386] 言 中 有 骨 (언중유골)한자말씀 언 / 가운데 중 / 있을 유 / 뼈 골의미말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 예사로 들어 넘기기 어려운 깊은 뜻이 말속에 있다는 의미.유의어】▶ 言中有言 (언중유언) : 말 속에 말이 있다.字意()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의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언자부지, 언정이순, 언중유골 - 교본파일(46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87] 言 必 稱한자말씀 언 / 반드시 필 / 일컬을 칭의미말할 때 반드시 일컫는다는 뜻으로, 말을 할 때마 반드시, 혹은 말 할 때마다 무엇을 칭한다는 상투적 표현.유의어】▶ 言必稱堯舜(언필칭요순): 말할 때마다 반드시 요순을 말한다. 대책 없이 언제나 원칙만 말하거나 같은 말만 한다는 의미.字意()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무게를 재는 저울의 의미인데, ‘재서 헤아리다는 의미에서 일컫다로 확대됨

[1388] 言 行 一 致한자말씀 언 / 행할 행 / 한 일 / 이를 치의미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반의어】▶ 言行相反(언행상반): 말과 행동이 서로 반대됨. [= 言行相詭(언행상궤)]字意()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이르다[]와 가다[칠 복]의 결합으로 보낸다는 의미를 생성. 후에 이루었다는 의미에서 이르다는 뜻 파생.

[1389]嚴 冬 雪 寒 (엄동설한)한자엄할 엄 / 겨울 동 / 눈 설 / 찰 한의미혹독한 겨울의 눈 내리는 추위라는 뜻으로, 눈보라가 휘날리는 추운 겨울의 의미.유의어北風寒雪 (북풍한설): 북풍과 차가운 눈.凍氷寒雪 (동빙한설): 혹독(酷毒)한 겨울철의 추위.字意() 산기슭에서 힘든 일을 하는 의미에서 혹독하다’, ‘엄하다등의 의미 파생. ()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의미 생성. () 빗자루 모양에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의미함.()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언필칭, 언행일치, 엄동설한 - 교본파일(46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90] 掩 目 捕 雀 (엄목포작)한자가릴 엄 / 눈 목 / 잡을 포 / 참새 작의미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아주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朝三暮四 (조삼모사) : 어리석은 사람을 간사한 꾀를 이용해 속인다는 의미.字意() 보이지 않게 가리다는 의미에서 숨기다’. ‘닫다등의 의미를 파생함. ()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등의 의미로 활용됨. ‘()’보는 행위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 사로잡아 붙잡는다는 의미. ‘()’는 발음 역할. () 참새가 작은 새라는 것으로 인해 를 더해서 만듦.

[1391] 掩 耳 盜 鈴 (엄이도령)한자가릴 엄 / 귀 이 / 도둑 도 / 방울 령의미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얕은 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런 성과가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掩耳偸鈴 (엄이투령)字意()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놓고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에서 훔치다는 의미인 도둑의 의미 생성. () 흔들어 소리나게 만든 종 모양의 물건인 방울의 의미. ‘()’은 발음.

[1392] 嚴 妻 侍 下 (엄처시하)한자엄할 엄 / 아내 처 / 모실 시 / 아래 하의미엄한 아내를 모시고 산다는 뜻으로, 아내에게 쥐여사는 공처가(恐妻家)를 농()으로 이르는 말.字意() 산기슭에서 힘든 일을 하는 의미에서 혹독하다’, ‘엄하다등의 의미 파생. () 손에 비를 들고 서있는 여자의 의미에서 집안의 아내라는 의미 생성함. () 받들어 모신다는 의미. ‘()’는 발음 역할.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엄목포작, 엄이도령, 엄처시하 - 교본파일(46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94] 如 恐 不 及 (여공불급)한자같을 여 / 두려워할 공 / 아니 불 / 미칠 급의미미치지 못할까 걱정하듯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킨 대로 되지 않을까 하여 마음 죄는 일을 이르는 말.字意() 두려워하고 겁낸다는 의미에서 두려워하다’, ‘염려하다파생. () 사람[]과 손[]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

[1395] 如 狂 如 醉 (여광여취)한자같을 여 / 미칠 광 / 같을 여 / 취할 취의미미친 것처럼 취한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너무 기뻐서 어찌할 줄을 몰라 함을 이르는 말.동의어】▶ 如醉如狂 (여취여광)字意() 진흙탕에서 날뛰는 미친개의 의미에서, 사리를 분별하지 못하는 정신이상의 상태인 미치다는 의미 생성. ()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은 깨다.여견심폐, 여공불급, 여광여취 - 교본파일(46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96] 如 狗 食 藥 果 (여구식약과)한자같을 여 / 개 구 / 먹을 식 / 약 약 / 실과 과의미개 약과 먹듯이 한다는 뜻으로, 개가 약과를 넣고 바로 삼켜 맛을 모르듯이 남의 말을 듣고도 뜻을 모르거나 뜻을 모르면서 글을 보는 것 같음 비유하여 이르는 속담의 한역(漢譯).관련어】▶ 牛耳讀經 (우이독경) : 소귀에 경 읽기.字意()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의미 생성. 중세 여성관 엿보임. () ‘()’이 주로 부수자로 사용되자 별도 의 의미로 만듦.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병을 고치고 치료하는 의 의미. ‘은 발음요소. () 나뭇가지에 달린 열매 모양에서 과실생성. 후에 맺어진 결과물의 의미에서 결과뜻 파생

[1397] 汝 南 月 旦 (여남월단)한자너 여 / 남녘 남 / 달 월 / 아침 단의미여남지방의 매월 첫날 평이라는 뜻으로, 여남지방의 허소(許昭)와 그 종형 허정(許靖)이라는 사람이 매월 첫날에 향리의 인물들을 평가했는데, 아주 정확하여 후에 조조의 평까지 남길 정도로 유명해졌다는 고사에서 유래.<후한서>동의어】▶ 月旦評 (월단평). 人物月旦 (인물월단). 月旦評 (월단평).字意() 본래 물이름의 의미에서 강 건너편의 상대방의 의미로 의 의미 파생. 대등한 사이나 아랫사람에게만 사용. () 뿔 같은 장식을 단 북 종류의 악기의 모양인데, 중국 남방지방의 부족들이 사용해서 남쪽 방위부족의 의미를 지님. ()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도 표현. () 태양이 지평선 위에 올라왔음을 표시해 해가 뜬 아침의 의미 생성.

[1398] 如 斷 手 足 (여단수족)한자같을 여 / 끊을 단 / 손 수 / 발 족의미손과 발이 잘린 것 같다는 뜻으로, 요긴한 사람이나 물건이 없어져 아쉬움을 이르는 말.字意() 도끼로 실타래를 자르는 의미에서 끊다는 의미 생성. ()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발 모양의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를 함께 본뜬 글자로, ‘을 의미함. 여구식약과, 여남월단, 여단수족 - 교본파일(46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399] 如 得 千 金 (여득천금)한자같을 여 / 얻을 득 / 일천 천 / 쇠 금의미천금을 얻는 것 같다는 뜻으로, 천금을 얻은 것 같이 마음 속에 만족을 느낌을 이르는 말.字意()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 사람[]에 하나[]를 그어 숫자 일천을 의미함. () 땅 속에서 금속이 드러나 있는 모양에 발음 을 더함. 금속의 대표격으로 사용되고 성씨에서는 으로 발음됨.

[1400] 如 履 薄 氷 (여리박빙)한자같을 여 / 밟을 리 / 얇을 박 / 얼음 빙의미엷은 얼음을 밟는 것 같이 한다는 뜻으로, 살 얼음을 걷듯이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대처한다는 의미.유의어如臨深淵 (여임심연) : 깊은 연못에 임한 것 같이 한다.夜不踏白 (야불답백) : 밤에는 흰색을 밟지 않는다.字意() 신을 신을 수 있는 지위의 사람에 가다는 의미와 신 모양의 를 더해 의 의미 생성. ‘밟다파생. ()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등의 의미 파생. () 물이 변한 얼음의 의미에서 이수변[()]’을 만듦.

[1401] 與 民 同 樂 (여민동락)한자더불 여 / 백성 민 / 같을 동 즐거울 락의미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긴다는 뜻으로, 위정자가 항상 백성을 중심으로 하는 이상적 정치 태도를 일컫는 말.동의어與民偕樂 (여민해락).字意() 네 개의 손으로 가운데 물건을 들고 있는 모양에서 여럿이 함께 한다더불다의미 생성. 후에 주다는 뜻 파생. () 칼로 눈을 찌르는 모양인데, 고대 전쟁 포로를 노예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만듦. 낮은 계급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뜻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에서 한가지’, ‘같다등의 뜻 파생. ()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좋아한다()’는 의미 파생.

[1402] 如 反 掌 (여반장)한자같을 여 / 뒤집을 반 / 손바닥 장의미손바닥을 뒤집는 것 같다는 뜻으로, 일이 아주 쉬움을 이르는 말.[=易如反掌(이여반장)]유의어】▶ 囊中取物 (낭중취물) :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취하다.字意()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사람의 손으로 언덕을 기어올라가는 모양에서 평지가 아닌 반대되는 언덕을 올라간다는 의미에서 반대의 의미 파생. () 사람 손바닥의 의미. 위의 ()’은 변화된 발음.

[1403] 如 拔 痛 齒 (여발통치)한자같을 여 / 뽑을 발 / 아플 통 / 이 치의미아픈 이를 뽑는 것 같다는 뜻으로, 앓던 이가 빠진 것처럼 괴로운 일에서 벗어나 시원해 진 상황을 비유하는 말.字意() 손으로 어떤 물건을 뺀다는 의미에서 뽑다’, ‘빼앗다는 의미와 함께 무리 가운데에서 빼어나다[拔群(발군)]’는 의미까지 파생. () ‘()’부수는 모두 질병과 관련된 글자. 疾病(질병). () 치아의 모양을 본뜬 후에 ()를 더해 발음 역할을 함.

[1404] 如 臂 使 指 (여비사지)한자같을 여 / 팔 비 / 부릴 사 / 손가락 지의미팔이 손가락을 부리듯이 한다는 뜻으로, 마음대로 사람을 부림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左之右之 (좌지우지) : 제 마음대로 다루거나 휘두름字意()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의 의미. 使() 일을 하는 사람의 의미에서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는 의미 생성함. 사역(使役)의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됨. () 손가락의 의미에서 가리키다’, ‘지시하다등의 뜻 파생.여반장, 여발통치, 여비사지 - 교본파일(46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05] 與 世 推 移 (여세추이)한자더불 여 / 세상 세 / 옮을 추 / 옮길 이의미세상의 추이와 더불어 행한다는 뜻으로, 세속(世俗)을 좇음이나 세상에 거스르지 않는 다소 안일(安逸)한 행동을 의미함.유의어】▶ 與世浮沈 (여세부침): 세상의 성함과 쇠함과 더불어 행함.字意() 네 개의 손으로 가운데 물건을 들고 있는 모양에서 여럿이 함께 한다더불다의미 생성. 후에 주다는 뜻 파생. () ‘十十十의 결합으로 삼십년을 의미하는 세대의 뜻 생성. 후에 世上(세상)’의 의미 파생. () 손으로 밀어젖히다는 의미에서 옮기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 곡물을 많이 생산해서 운반한다는 뜻으로 옮기다는 의미 생성.

[1406] 如 水 投 水 (여수투수)한자같을 여 / 물 수 / 던질 투 / 물 수의미물에 물을 탄 것 같다는 뜻으로, 물에 물 탄 듯 아무 맛도 없이 아무런 더한 흔적이 없거나 흐리멍덩함을 비유하는 말.字意() 물이 흘러가는 모양. ‘()얼음’, ‘()길다등 구별에 유의. ()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치다의 반의어.

[1407] 如 蛾 赴 火 (여아부화)한자같을 여 / 나방 아 / 나아갈 부 / 불 화의미부나비가 불에 날아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탐욕으로 말미암아 몸을 망치거나 화를 차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飛蛾赴火 (비아부화) 飛蛾投火 (비아투화) 夜蛾赴火 (야아부화).字意() 나방 등 야간에 나는 곤충의 총칭으로 사용됨. () 방향을 향하여 나아가거나 이르다는 의미.() 불꽃이 위로 솟아오르는 모양을 본뜬 형태.여세추이, 여수투수, 여아부화 - 교본파일(46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08] 如 魚 失 水 (여어실수)한자같을 여 / 물고기 어 / 잃을 실 / 물 수의미물고기가 물을 잃음과 같다는 뜻으로, 곤궁한 사람이 의지할 곳이 없이 괴로워함을 비유하는 말.반의어】▶ 如魚得水 (여어득수) : 물고기가 물을 얻음과 같다.字意()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떨어뜨리거나 놓쳐 잃는다는 의미. 손해본다[반대는 ()]는 의미 파생. () 물이 흘러가는 모양. ‘()얼음’, ‘()길다등과 구별에 유의.

[1409] 餘 裕 滿 滿 (여유만만)한자남을 여 / 넉넉할 유 / 찰 만 / 찰 만의미여유가 가득하다는 뜻으로, 침착하고 느긋함이 가득하고 넉넉하다는 의미.유의어】▶ 餘裕綽綽 (여유작작) : 빠듯하지 않고 아주 넉넉함.字意() 먹을 것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여유롭다’, ‘남다는 의미 생성. () 옷가지를 넉넉하게 지니고 있다는 의미에서 넉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滿()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

[1410] 女 丈 夫 (여장부)한자여자 녀 / 어른 장 / 사나이 부의미남자 같이 헌걸차고 기개가 있는 여자.유의어】▶ 女傑 (여걸)字意() 얌전하게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으로 동양의 윤리 의식으로 인해 여자의 의미. () 에 손[]을 더해 한 뼘인 1척의 열배를 한 으로 표현하거나, 8으로 보아 성인의 키로 인해 어른표현. ()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여어실수, 여유만만, 대장부 - 교본파일(47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441-1470  (0) 2012.12.18
이야기한자성어1411-1440  (0) 2012.12.18
이양기한자성어1351-1380  (0) 2012.12.18
이야기한자성어1321-1350  (0) 2012.12.18
이야기한자성어1291-1320  (0) 201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