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1] ◈ 如 足 如 手 (여족여수)【한자】 같을 여 / 발 족 / 같을 여 / 손 수【의미】 발과 같고 손과 같다는 뜻으로, 손발처럼 형제는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깊은 사이임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兄友弟恭 (형우제공) : 형제끼리 우애(友愛)가 깊음.【字意】◎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足(족) 발 모양의 ‘止’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ᄆ’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 手(수)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
[1412] ◈ 如 坐 針 席 (여좌침석)【한자】 같을 여 / 앉을 좌 / 바늘 침 / 자리 석【의미】 바늘 방석에 앉은 것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몹시 불안하고 초조함을 이르는 의미.【유의어】▶ 坐不安席 (좌불안석) :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못함.【字意】◎ 坐(좌) 사람이 서로 마주 앉은 모양에서 ‘앉다’는 의미 생성. ◎ 針(침) 바늘이나 바느질하다는 의미. 鍼(침)과 동자(同字)임. ◎ 席(석) 바닥에 까는 ‘자리’의 의미에서 ‘지위’까지 확대됨
[1413] ◈ 如 此 如 此 (여차여차)【한자】 같을 여 / 이 차 / 같을 여 / 이 차【의미】 이와 같고 이와 같다는 뜻으로, 이러이러하다는 의미.【동의어】▶ 如是如是 (여시여시) = ▶ 如斯如斯 (여사여사)【字意】◎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此(차) 멈춘다는 의미가 자신의 가장 가까운 곳의 의미에서 ‘이것’의 의미 생성.▣ 여족여수, 여좌침석, 여차여차 - 교본파일(47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14] ◈ 如 出 一 口 (여출일구)【한자】 같을 여 / 나갈 출 / 한 일 / 입 구【의미】 한 입에서 나오는 것 같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말이 모두 동일하게 표현되거나 일시에 같은 주장을 할 때를 이르는 말.【반의어】▶ 異口同聲 (이구동성) : 다른 입에서 같은 소리.【字意】◎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出(출)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 등의 의미 파생. ◎ 口(구)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 등의 의미도 파생.
[1415] ◈ 如 厠 二 心 (여측이심)【한자】 같을 여 / 뒷간 측 / 두 이 / 마음 심【의미】 뒷간의 두 마음 같다는 뜻으로, 귓간에 갈 적과 올 적 마음이 다른 것처럼 자기에게 긴할 때에는 다급하게 굴다가 그 일이 끝나면 마음이 변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厠(측) 곁에 둔 ‘변소’의 의미. 본래 ‘엄호’를 쓴 ‘廁’이 본자이고, 厠은 속자임.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사람의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1416] ◈ 如 風 過 耳 (여풍과이)【한자】 같을 여 / 바람 풍 / 지날 과 / 귀 이【의미】 귀에 스쳐 지나가는 바람 같다는 뜻으로, 아무런 관심도 흥미도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馬耳東風 (마이동풍) : 말귀에 동풍.【字意】◎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過(과)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뼈’의 의미에 ‘과거’나 ‘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 등의 의미를 파생함. ◎ 耳(이)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여출일구, 여측이심, 여풍과이 - 교본파일(47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17] ◈ 女 必 從 夫 (여필종부)【한자】 여자 녀 / 반드시 필 / 따를 종 / 남편 부【의미】 여자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시대의 가부장적 사회 구조 속에서 남성중심 관념으로 인해 생겨난 논리의 의미.【유의어】▶ 三從之道 (삼종지도) : 여자의 세 가지 따르는 도리.【관련어】▶ 七去之惡 (칠거지악) : 아내를 버리는 일곱 가지 악행【字意】◎ 女(녀) 얌전하게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으로 동양의 윤리 의식으로 인해 ‘여자’의 의미 생성. ◎ 必(필)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從(종) 두 사람이 서로 따라간다[人人]는 의미에서 후에 걸어갈 척[두인변]과 ‘止(지)’가 추가되어 움직임을 나타나게 됨. ◎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1418] ◈ 如 合 符 節 (여합부절)【한자】 같을 여 / 합할 합 / 부절 부 / 마디 절【의미】마치 부적을 합하는 것 같다는 뜻으로, 부절을 서로 맞추듯이 사물이 꼭 들어맞음을 이르는 말. [= 符合(부합)]【동의어】▶ 若合符節 (약합부절).【字意】◎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合(합) 밥그릇과 뚜껑이 합쳐져 있는 모양에서 ‘합하다’는 의미 생성. ◎ 符(부) 서로 믿을 수 있게 짝을 맞출 수 있는 ‘부절(符節)’, ‘부신(符信)’의 의미. ‘付(부)’는 발음. ◎ 節(절) 대나 초목의 마디의 의미에서 후에 ‘절개’, ‘규칙’ 등의 의미를 파생함.
[1419] ◈ 如 兄 若 弟 (여형약제)【한자】 같을 여 / 형 형 / 같을 약 / 아우 제【의미】 형 같고 동생 같다는 뜻으로, 서로 친밀함이 마치 형제와 같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呼兄呼弟 (호형호제) : 친형제처럼 가깝게 지냄.▶ 曰兄曰弟 (왕형왈제).【字意】◎ 兄(형) 머리부분을 크게 강조한 사람의 모양으로 머리가 큰 것으로 ‘형’의 의미를 표현함. ◎ 若(약) 손으로 나물을 따는 것인데, 후에 ‘너’나 ‘같다’의 의미 파생.◎ 弟(제) 본래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의 모양인데, 후에 아우나 제자의 의미로 변함. 사다리는 ‘竹’을 더해 ‘第’로 만들고 ‘순서’ 의미를 파생.▣ 여필종부, 여합부절, 여형여제 - 교본파일(47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20] ◈ 逆 旅 過 客 (역려과객)【한자】 거스릴 역 / 나그네 려 / 지날 과 / 손님 객【의미】 맞이하는 나그네와 지나가는 과객이라는 뜻으로, 세상은 여사(旅舍)와 같고 인생은 나그네와 같다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지나가는 나그네와 같이 아무 관계없는 사람의 의미로도 사용됨.【출전】▶ 天地者萬物之逆旅 光陰者百代之過客: 李白 春夜宴桃李園序.【字意】◎ 旅(려) 깃발을 앞세운 사람들의 무리라는 의미에서 ‘나그네’나 ‘군사’ 등의 의미를 생성함. ◎ 過(과)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뼈’의 의미에 ‘과거’나 ‘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 등의 의미를 파생함. ◎ 客(객) 각각의 사람[各]이 집으로 들어온다는 의미에서 ‘손님’의 의미 생성.
[1421] ◈ 逆 鱗 (역린)【한자】 거스릴 역 / 비닐 린【의미】 거꾸로 난 비늘이라는 뜻으로, 용의 턱밑에 거꾸로 난 비늘 한 장이 있는데 이것을 건드리면 성을 내서 사람을 죽인다고 함. 용이 임금의 상징이라 주로 임금의 진노(震怒)로 사용되었고, 현대에서는 상사의 노여움으로도 사용됨.【출전】<한비자(韓非子)>의 세난편(說難編).【字意】◎ 逆(역) 사람[大]을 거꾸로 표시하고 止(지)와 辶(착)을 더해 거꾸로 가다는 의미에서 상반되게 여겨진 상태를 의미하는 ‘거스르다’는 의미를 생성함. ◎ 鱗(린) 물고기의 비늘의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1422] ◈ 驛 馬 直 星 (역마직성)【한자】 역 역 / 말 마 / 곧을 직 / 별 성【의미】 역말과 직성이라는 뜻으로, 늘 분주하게 여행하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東奔西走 (동분서주) : 동서로 분주함.【참고】▶ 直星 : 사람의 나이에 따라 그의 운명을 맡아본다는 아홉 별로 순서대로 돌면서 1년 운명을 결정함.【字意】◎ 驛(역) 과거의 지역마다 둔 ‘驛站(역참)’의 의미에서 ‘역’이나 ‘잇다’는 의미를 생성함. 오른쪽 부분은 발음. ◎ 馬(마)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直(직) 곧은 막대를 자르고 나서 눈으로 재는 모양에서 ‘곧다’는 의미 생성 직선이 ‘十’으로 표현됨. ◎ 星(성) 하늘에서 별이 해의 분신처럼 밝게 비춘다는 의미에서 ‘별’의 의미를 생성함.▣ 역려과객, 역린, 역마직성 - 교본파일(47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23] ◈ 易 姓 革 命 (역성혁명)【한자】 바꿀 역 / 성 성 / 고칠 혁 / 운명 명【의미】 성을 바꾸는 혁명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덕이 없으면 천명(天命)이 딴 사람에게로 바뀐다는 고대 중국의 정치사상에서 유래된 왕조(王朝)의 바뀜을 의미함.【字意】◎ 易(역) 日과 月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이)발음은 ‘쉽다’는 의미. ◎ 姓(성) ‘女’를 사용해 같은 겨레의 혈족이라는 것을 표현함. 生(생)은 발음 요소. ◎ 革(혁) 짐승의 가죽을 손질하여 가공한 형태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가죽’의 뜻 지님. 후에 손질하여 가공한 것으로 인해 ‘고치다’ 등의 의미로 확대됨. 皮(피)는 가공 전의 가죽. ◎ 命(명) 신전에서 신의 계시를 받는 모양으로 설명하거나 왕이 명령[令]을 입[口]으로 한다는 것에서 ‘목숨’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으로 ‘목숨’이나 ‘명령’의 의미로 분석함
[1424] ◈ 易 衣 幷 食 (역의병식)【한자】 바꿀 역 / 옷 의 / 어우를 병 / 먹을 식【의미】 옷을 바꾸어 입고 음식을 쪼개 먹는다는 뜻으로, 한 벌 옷을 바꾸어 입고 하루치의 양식을 이틀 치로 나눈다는 의미에서 아주 가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출전】▶ 易衣而出 幷日而食 (역의이출병일이식) - <孔子家語(공자가어)>【유의어】▶ 三旬九食 (삼순구식) : 삼십일 동안 아홉 번 먹음.【字意】◎ 衣(의) 상의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웃옷’의 의미였는데, 후에 옷의 대표성으로 사용됨. 하의 ‘치마’는 裳(상). ◎ 幷(병) 두 사람이 각각 방패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나란히 따른다는 의미 생성. ◎ 食(식) 음식을 담는 그릇에 뚜껑까지 덮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음식물’, ‘먹다’, ‘밥’ 등의 뜻으로 사용되고, 부수로도 음식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1425] ◈ 逆 耳 之 言 (역이지언)【한자】 거스릴 역 / 귀 이 / 어조사 지 / 말씀 언【의미】 귀에 거슬리는 말이라는 뜻으로, 듣기에 거북한 말이나 충신의 간언인 충간(忠諫)의 의미.【출전】▶ 忠言逆於耳而利於行 (충언역어이이이어행): 충성스러운 말은 귀에는 거슬리지만, 행하는 것에는 이롭다. <史記(사기)>.【字意】◎ 逆(역) 사람[大]을 거꾸로 표시하고 止(지)와 ‘책받침’을 더해 ‘거꾸로 가다’는 의미에서 상반되게 여겨진 상태를 의미하는 ‘거스르다’는 의미를 생성함. ◎ 耳(이)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역성혁명, 역의병식, 역이지언 - 교본파일(47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26] ◈ 易 子 而 敎 之 (역자이교지)【한자】 바꿀 역 / 아들 자 / 말이을 이 / 가르칠 교 / 어조사 지【의미】 자식을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으로, 자기의 자식은 자기가 가르치기가 어렵다는 의미로 사용됨.【구별어】▶ 易子而食 (역자이식) : 식량이 없어 자식을 바꾸어 먹다는 말로 극심한 곤액(困厄)이나 기근(饑饉) 의미.【字意】◎ 易(역) 日과 月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이)발음은 ‘쉽다’는 의미.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敎(교) 아버지가 자식에게 글자를 가르치는 모양에서 ‘가르치다’는 의미 생성.
[1427] ◈ 易 地 思 之(역지사지)【한자】 바꿀역 / 땅 지 / 생각 사 / 어조사 지【의미】 처지를 바꾸어 생각하라는 뜻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판단에 앞서 상대의 입장을 염두에 두라는 의미.【연결어】▶ 他山之石 (타산지석) : 남의 다른 것이라도 자신의 수양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字意】◎ 地(지)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思(사) ‘田’은 사람 뇌(腦)의 모양이어서, 머리에서 생각하고 마음으로 느낀다는 의미에서 ‘생각하다’는 의미 생성. ◎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1428] ◈ 力 透 紙 背 (역투지배)【한자】 힘 력 / 뚫을 투 / 종이 지 / 등 배【의미】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구별어】▶ 眼透紙背 (안투지배) : 책을 정독하여 참뜻을 깨달음.【字意】◎ 力(력)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에서 ‘힘’의 의미를 생성했는데,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힘, 힘쓰다’ 등의 뜻으로 사용됨. ◎ 透(투) 뛰어서 ‘통하다’는 의미에서 ‘어떤 것을 통해서 안쪽을 들여다 보다’는 의미를 파생함. ◎ 紙(지) 처음에 실의 의미에서 ‘종이’ 개념을 생성. ‘氏(씨)’는 발음부호 역할. ◎ 背(배) 신체 부위인 ‘등’의 의미인데, 서로 등지고 있는 것으로 인해 ‘배반하다’는 의미 파생. ▣ 역자이교지, 역지사지, 역투지배 - 교본파일(47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29] ◈ 年 功 序 列 (연공서열)【한자】 해 년 / 공 공 / 차례 서 / 벌일 렬【의미】 여러 해의 공로로 서열을 매긴다는 뜻으로, 근속 연수나 나이가 늘어감에 따라 지위가 올라가는 일이나 그러한 체계를 의미.【관련어】▶ 長幼有序 (장유유서) : 어른과 어린 사람은 차례가 있다.【字意】◎ 年(년)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禾]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해’, ‘나이’ 등 생성. ◎ 功(공) 힘써 일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공적’의 의미. 工은 발음. ◎ 序(서) 담을 둘러싸고 있는 건물로 ‘학교’의 의미로 만들어진 글자가, 후에 緖(서)의 실마리와 연결되어 ‘차례’ 의미 파생. ◎ 列(렬) 칼로 뼈를 발려 다듬어 늘어놓다는 의미에서 ‘벌이다’는 의미 생성
[1430] ◈ 年 久 歲 深 (연구세심)【한자】 해 년 / 오랠 구 / 해 세 / 깊을 심【의미】 세월이 오래되고 깊어졌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이나 세월이 오램을 의미. [= 歲久年深(세구연심)]【동의어】▶ 年久月深 (연구월심)【字意】◎ 年(년)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禾]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해’, ‘나이’ 등 생. ◎ 久(구) 움직이는 사람을 뒤에서 잡는 모양에서 ‘머무르다’는 의미로 ‘오래되다’는 의미 생성. ◎ 歲(세) 발 모양으로 시간의 흘러감을 표현해 ‘세월’, ‘해’ 등의 의미를 생성함. ◎ 深(심) 깊이를 재기 좋은 물[水(수)]의 뜻을 더해 깊이가 ‘깊다’는 의미에서 강조하고, 후에 깊이가 있는 상황까지 확대됨. 오른쪽 부분이 발음 역할도 함.
[1431] ◈ 緣 木 求 魚 (연목구어)【한자】 인연 연 / 나무 목 / 구할 구 / 물고기 어【의미】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하거나, 허술한 계책으로 큰 일을 도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孟子> ]【유의어】▶ 射魚指天 (사어지천) : 고기를 잡으려고 하늘을 향해 쏜다.【字意】◎ 緣(연) 직물의 가장자리 선의 의미에서, 다른 천과 연결성 때문에 후에 ‘인연(因緣)’의 의미로 확대됨. ◎ 木(목)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과 爿(장)은 나무를 자른 양쪽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求(구) 본래 털가죽으로 만든 사람의 옷 모양인데, 후에 털가죽 옷을 조여 입어 ‘다잡다’는 의미에서 ‘구하다’는 의미로 변화되었고, 털옷은 衣(의)자를 아래에 붙여서 사용하고 ‘구제하다’는 의미는 ‘救(구)’를 별도로 만듦.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연공서열, 연구세심, 연목구어 - 교본파일(47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32] ◈ 燃 眉 之 急 (연미지급)【한자】 사를 연 / 눈썹 미 / 어조사 지 / 급할 급【의미】 눈썹이 타는 다급함이라는 뜻으로, 한시도 늦출 수 없는 급한 일을 비유하는 말.【동의어】▶ 焦眉之急 (초미지급)【유의어】▶ 燃眉之厄 (연미지액): 급박하게 닥치는 재액(災厄)[= 焦眉之厄(초미지액)]【字意】◎ 燃(연) 본래 개고기를 불에 굽는 모양인 然(연)이 ‘타다’는 의미인데, ‘그러하다’로 전환되자 火를 별도로 더해 ‘사르다’는 의미를 생성함. ◎ 眉(미) 눈 위의 눈썹의 모양을 본뜬 글자. ◎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急(급) 마음이 조급하게 재촉하는 의미에서 바빠 서두르고 ‘바쁘다’는 의미를 생성함. 윗부분은 及(급)으로 발음 역할.
[1433] ◈ 連 戰 連 勝 (연전연승)【한자】 잇닿을 련 / 싸울 전 / 잇닿을 련 / 이길 승【의미】 연이어 싸움에 연이어 이긴다는 뜻으로, 싸울 때마다 번번이 이김을 의미.【반의어】▶ 連戰連敗 (연전연패) : 싸울 때마다 번번이 짐.【字意】◎ 連(연) 수레가 연이어 연결되듯 간다는 의미에서 ‘잇닿다’, ‘연결하다’ 등의 의미 생성. ◎ 戰(전) 單(단)과 戈(과) 모두 무기를 의미해 무기들이 충돌하는 ‘전쟁’의 의미 생성. 후에 ‘두려워하다’는 의미 파생. ◎ 勝(승) 힘[力]으로 ‘이기다’는 의미 생성. 力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발음부호. 후에 이기기 위해 ‘견디다’는 의미와 이겨서 ‘낫다’는 의미로 인해 ‘빼어난 경치’까지 확대됨. 상대어인 ‘지다’는 의미는 ‘敗(패)’와 ‘負(부)’.
[1434] ◈ 煙 塵 千 里 (연진천리)【한자】 연기 연 / 티끌 진 / 일천 천 / 거리 리【語義】 연기와 먼지가 천리에 이른다는 뜻으로, 군마(軍馬)의 발굽에서 일어나는 흙먼지가 천리까지 끊이지 않는 것처럼 온 세상이 전란으로 어지러움을 비유한 말.【관련어】▶ 屍山血海 (시산혈해) : 시체가 산을 이루고 피가 바다를 이룬다는 뜻으로, 전란의 폐해 비유.【字意】◎ 煙(연) 불땔 때 나는 ‘연기’의 의미에서 후에 ‘안개’, ‘기운’ 파생. ◎ 塵(진) 본래는 록(鹿)자 세 개와 아래 흙 토(土)를 결합한 것으로, 사슴무리가 달리면서 흙먼지를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먼지’, ‘티끌’의 뜻을 생성. 후에 속세나 속사(俗事)의 의미 파생. ◎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숫자 ‘일천’을 의미함. ◎ 里(리) 농사지을[田] 땅[土]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 의미를 생성했고,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의 단위로 사용됨.▣ 연미지급, 연전연승, 연진천리 -교본파일(47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35] ◈ 軟 着 陸 (연착륙)【한자】 부드러울 연 / 붙을 착 / 뭍 륙【의미】 부드러운 착륙이라는 뜻으로, 우주선이 천체(天體)에 착륙할 때 완전히 감속(減速)이 조절되어 사뿐히 착륙하는 일인데, 경제분야에서는 지나치게 과열된 경기를 안전하게 끌어내리는 것으로 표현하고, 다른 분야에서도 급격한 조치가 아닌 부드러운 정착의 의미로 사용됨.【字意】◎ 軟(연) 수레바퀴로 물건을 갈아 부드럽게 만드는 것에서 신체의 유연함으로 확대되어 ‘연하다’ 생성. ◎ 着(착) ‘드러내다’는 의미의 ‘著(저)’자의 속자(俗字). 하지만 동일하게 사용되지 않고, ‘붙다’, ‘입다’의 (착)경우만 사용됨. ◎ 陸(륙) 큰 의미의 ‘육지’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오른쪽 부분인 坴(륙)에 다시 언덕 의미인 ‘阜(부)’를 더해 명확하게 표현함. 坴(륙)은 발음 역할도 함.
[1436] ◈ 煙 霞 痼 疾 (연하고질)【한자】 연기 연 / 놀 하 / 고질 고 / 병 질【의미】 안개와 노을에 고질병이 걸린다는 뜻으로, 자연을 깊이 사랑하는 성벽(性癖)을 고치기 어려운 병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煙霞之癖(연하지벽)]【유의어】▶ 泉石膏肓 (천석고황) : 자연의 사랑이 명치끝 고황에 병이 들어가 난치병이 된 것 같음.【字意】◎ 煙(연) 불을 땔 때 나는 ‘연기’의 의미에서 후에 ‘안개’, ‘기운’의 의미 파생. ◎ 霞(하) 해질 무렵의 흐릿한 기운인 ‘노을’의 의미. ◎ 痼(고) 오래되어 고치기 어려운 병인 ‘고질’의 의미. ◎ 疾(질) 병[病]을 의미하는 의미. 失(실)은 발음 요소.
[1437] ◈ 蓮 花 世 界 (연화세계)【한자】 연꽃 련 / 꽃 화 / 세상 세 / 지경 계【의미】 불교에서 이르는, 아미타불이 살고 있다는 정토의 세계. 살아서 염불한 사람이 죽어서 불과(佛果)를 얻는 곳으로, 더없이 안락하여 즐거움만 있다고 함. 【유의어】▶ 極樂淨土 (극락정토) : 西方淨土(서방정토), 安樂淨土(안락정토), 安養淨土(안양정토)【字意】◎ 蓮(련) 연못 등에 자라는 풀의 일종인 연꽃의 의미. 連(련)이 발음으로 사용됨. ◎ 花(화) 식물의 꽃이 열리는 변화를 의미하기 위해 발음으로도 사용된 ‘변화하다’는 의미의 ‘化(화)’를 더해서 표현함. ◎ 世(세) ‘十十十’의 결합으로 삼십년을 의미하는 ‘세대’의 뜻 생성. 후에 ‘세상(世上)’의 의미를 파생함. ◎ 界(계) 구획이 정리된 농토의 사이를 표현해 ‘토지의 경계’를 의미함. 介는 발음 역할도 함.▣ 연착륙, 연하고질, 연화세계 - 교본파일(47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38] ◈ 悅 口 之 物 (열구지물)【한자】 기쁠 열 / 입 구 / 어조사 지 / 물건 물【의미】 입을 기쁘게 하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신선로 음식 같은 입에 맞는 음식을 이르는 말. 【유의어】▶ 悅口子湯 (열구자탕) : 신선로에 각종 어육과 채소, 과실까지 넣어 끓인 맛좋은 음식. [= 悅口子]【字意】◎ 悅(열) 兌(열)이 입을 벌려 기뻐하는 모양인데, 기쁘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心(심)을 더해 명확하게 표현함. ◎ 口(구)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까지 파생함. ◎ 物(물) 피 뭍은 칼[勿]로 소를 잡는 모양인데, 고대 희생으로 쓰인 소로 인해 모든 중요한 물건의 의미로 ‘만물’ 의미 생성.
[1439] ◈ 熱 血 男 兒 (열혈남아)【한자】 더울 열 / 피 혈 / 남자 남 / 아이 아【의미】 피끓는 정열을 지닌 남자라는 뜻으로, 열렬한 정신을 지닌 열정적인 남자를 의미함.【동의어】▶ 熱血男子(열혈남자)【字意】◎ 熱(열) 火(화)를 더해 ‘따뜻하다’는 의미에서 ‘덥다’는 의미를 생성함. 埶(예)는 발음 요소임. ◎ 血(혈) 희생물의 피를 그릇[皿(명)] 위에 핏방울의 형상 [`]을 더해 ‘희생의 피’를 의미해서 널리 피’의 의미로 사용됨. ◎ 男(남) 밭에서 힘을 쓰는 사람의 의미에서 고대 시절 땅을 개간하고 농사를 짓는 힘쓰는 일을 하는 남자의 의미로 표현. ◎ 兒(아) 머리가 큰 사람인 ‘형(兄)’과 구별해서, 머리가 아직 여물지 않아 천문이 열려있다는 의미로 표현된 ‘아이’의 의미.
[1440] ◈ 炎 凉 世 態(염량세태)【한자】 불꽃 염 / 서늘할 량 / 세상 세 / 모양 태【의미】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유의어】▶ 兎死狗烹 (토사구팽) : 토끼가 죽으니 개가 삶겨진다.▶ 甘呑苦吐 (감탄고토) : 달면 삼키고 쓰면 뱉음.【字意】◎ 炎(염) 불꽃이 겹겹이 위로 타올라 화려함 불꽃을 피게 하나는 의미에서 ‘화염’의 뜻 생성. ◎ 凉(량) 얼음 조각의 의미인 冫(빙)을 더해 ‘서늘하다’는 의미 생성. 京은 발음 요소. 본자는 涼(량)인데, 凉(량)을 주로 씀. ◎ 世(세) ‘十十十’의 결합으로 삼십년을 의미하는 ‘세대’의 뜻 생성. 후에 ‘세상(世上)’의 의미를 파생함. ◎ 態(태) 자신이 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든 것에서 겉으로 나타난 형상의 의미. ‘熊(웅:곰)’과 자형 구별에 유의.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양기한자성어1471-1500 (0) | 2012.12.18 |
---|---|
이야기한자성어1441-1470 (0) | 2012.12.18 |
이야기한성어1381-1410 (0) | 2012.12.18 |
이양기한자성어1351-1380 (0) | 2012.12.18 |
이야기한자성어1321-1350 (0) | 201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