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양기한자성어1471-1500

ria530 2012. 12. 18. 15:39

[1471] 嗚 呼 痛 哉 (오호통재)한자탄식할 오 / 부를 호 / 아플 통 / 어조사 재의미! 애통하도다라는 뜻으로, 원통하고 안타까운 슬픈 탄식의 심정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감탄(感歎) 표현의 의미.유의어】▶ 嗚呼哀哉 (오호애재) : ! 슬프구나.字意() 탄식하는 소리로 감탄사역할을 함. ()는 발음. () 오라고 부른다는 의미에서 호통치다숨쉬다’, 또 감탄사 !’ 등 파생. ‘()’는 발음. () ‘()’부수는 모두 질병과 관련된 글자. 疾病(질병). () 입으로 하는 말이 끊어지는데 사용하는 어조사의 의미로 쓰임. ()를 제외한 부분은 발음 ()창으로 끊는다의 의미까지 함께 포함하고 있음.

[1472] 玉 昆 金 友 (옥곤금우)한자구슬 옥 / 형 곤 / 쇠 금 / 벗 우의미옥 같은 형과 금 같은 아우라는 뜻으로, 남의 형제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태양 아래 여럿이 나란히 있다는 의미에서 함께의 의미를 생성 후에 자손의 의미에서 의 뜻을 파생함. () 땅 속에서 금속이 드러나 있는 모양에 발음 을 더함. 금속의 대표격으로 사용되고 성씨에서는 ()으로 발음됨. () 두 개의 손이 서로 맞잡고 있는 모양에서 가까운 친구 사이를 의미함.

[1473] 玉 骨 仙 風 (옥골선풍)한자구슬 옥 / 뼈 골 / 신선 선 / 바람 풍의미옥 같은 골격에 신선 같은 기풍이라는 뜻으로, 살갗이 희고 고결하여 신선과 같은 풍채를 지닌 사람을 의미함.유의어】▶ 仙風道骨 (선풍도골) : 신선의 기풍에 도인의 골격.字意()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 산에 살며 不老長生의 도를 닦는 사람의 의미로 신선이라 함.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오호통재, 옥곤금우, 옥골선풍 - 교본파일(49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74] 屋 上 架 屋 (옥상가옥)한자집 옥 / 위 상 / 시렁 가 / 집 옥의미지붕 위에 지붕을 더한다는 뜻으로, 물건이나 일을 부질없이 거듭함을 이르는 말. 유의어】▶ 屋下架屋 (옥하가옥) : 지붕 밑에 또 지붕을 더함. 흉내만 내고 발전이 없음.字意()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의 의미로 사용됨. ()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라는 의미 나타냄. () 물건을 걸어두거나 올려놓는 기구인 시렁의 의미에서 후에 얽어 만들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1475] 玉 石 俱 焚 (옥석구분)한자옥 옥 / 돌 석 / 함께 구 / 불사를 분의미옥과 돌이 함께 불탄다는 뜻으로, 좋고 나쁨의 구별 없이 함께 해를 입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유의어玉石俱碎 (옥석구쇄) : 옥과 돌이 함께 부서짐玉石同沈 (옥석동침) : 옥과 돌이 함께 가라앉음.字意() 구멍이 뚫린 옥 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함께 같아한다는 의미. ‘()’는 발음 역할. () 숲에 불을 놓아 사냥한다는 의미에서 불사르다는 의미 파생

[1476] 玉 石 混 淆 (옥석혼효)한자옥 옥 / 돌 석 / 섞일 혼 / 뒤섞일 효의미옥과 돌이 뒤섞여있다는 뜻으로, 선악의 구별 없이 뒤섞임을 비유하는 말.유의어玉石同匱 (옥석동궤) : 옥과 돌이 같이 함에 들어있음.魚目混珠 (어목혼주) : 물고기의 눈과 구슬이 섞여있음.字意() 물 속에 뒤섞여 혼란스러운 상태를 의미. () 뒤섞여 어지러워지고 흐리다는 의미 생성. ‘()’는 발음 역할.옥상가옥, 옥석구분, 옥석혼효 - 교본파일(49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77] 沃 野 千 里 (옥야천리)한자비옥할 옥 / 들 야 / 일천 천 / 거리 리의미비옥한 들이 천 리라는 뜻으로, 기름져 농사가 잘 되는 비옥한 평야가 한없이 넓게 펼쳐져 있다는 의미.관련어】▶ 門前沃畓 (문전옥답) : 문 앞의 비옥한 논.字意() 본래 논에 물을 대는 의미에서 후에 비옥하다는 의미를 파생함. () 밭 주변의 들판의 의미에서 후에 거칠다등의 의미 파생. () 사람[]에 하나[]를 그어 숫자 일천을 의미함. () 농사지을[] []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의미와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단위로 사용됨.

1478] 屋 烏 之 愛 (옥오지애)한자집 옥 / 까마귀 오 / 어조사 지 / 사랑 애의미지붕 위 까마귀의 사랑이라는 뜻으로, 그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도 귀엽게 보인다는 의미에서 편애(偏愛)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속담】▶ 아내가 예쁘면 처갓집 막뚝에도 절을 한다.字意()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의 의미로 사용됨. () 온 몸이 검은 까마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눈까지 새까맣게 표현해 눈을 생략함. ‘()’ 부수에 속한 것은 자형에 따른 분류임. () 위쪽과 아래쪽이 사람의 손 모양으로 두 손으로 마음을 전달해 준다는 의미에서 '마음으로 전해준다'는 의미로 확대되어 '아끼다', '사랑하다'는 의미 파생.

[1479] 屋 下 架 屋 (옥하가옥)한자집 옥 / 아래 하 / 시렁 가 / 집 옥의미지붕 아래에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흉내만 내고 발전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屋上架屋 (옥상가옥) : 지붕 위에 지붕을 더 만듦.字意()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의 의미로 사용됨.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물건을 걸어두거나 올려놓는 기구인 시렁의 의미에서 후에 얽어 만들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옥야천리, 옥오지애, 옥하가옥 - 교본파일(49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0] 溫 故 知 新 (온고지신)한자따뜻할 온 / 옛 고 / 알 지 / 새 신의미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안다는 뜻으로, 과거의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리와 가치를 발견하고 실현해 나간다는 의미. [論語(논어)]관련어】▶ 法古創新 (법고창신) : 옛 것을 법 삼아 새 것을 창조함字意()온천의 의미에서 따뜻하고 온화하다는 의미 파생함. () 지나간 옛날의 의미인데, 이유나 까닭이 있는 연고의 의미. ()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나무를 도끼로 찍어 다듬은 모양에서 새로운 재목의 의미 생성

[1481] 溫 恭 自 虛 (온공자허)한자따뜻할 온 / 공손할 공 / 스스로 자 / 빌 허의미온화하고 공손하며 스스로 겸허하다는 뜻으로, 안색을 부드럽게 하고 행실을 삼가고 겸허하게 스승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자기 고집을 하지 않는 일의 의미.유의어】▶ 溫恭直諒 (온공직량) : 온화 공경하며 정직 정성스러움.字意()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공손함의 의미. ‘()’은 발음. ‘()’은 본질적인 의미인 공경이고, ‘()’은 실천적인 의미의 공손. ()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범의 다리를 2개만 표현해서 비다, 없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1482] 溫 如 玉 (온여옥)한자따뜻할 온 / 같을 여 / 옥 옥의미온아(溫雅)하기가 옥과 같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의 덕의 아름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온고지신, 온공자허, 온여옥 - 교본파일(49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3] 溫柔敦厚 (온유돈후)한자따뜻할 온 / 부드러울 유 / 도타울 돈 / 두터울 후의미온화하고 부드럽고 도탑고 두텁다는 뜻으로, 성품이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두터워 유화하고 성실함을 의미. [= 溫厚(온후)]유의어】▶ 溫恭自虛 (온공자허) : 온화하고 공손하며 스스로 겸허함.字意()온천의 의미에서 따뜻하고 온화하다는 의미 파생함. () {}의 자루로 쓰는 나무{}은 부드럽고 연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부드럽다’, ‘순하다는 의미 도출. () ()으로 인위적인 힘을 가해 모든 일을 충실하게 처리한다는 의미에서 돈독하다는 의미 생성. () 두텁게 위에서 덮고 있는 의미에서 두텁다는 의미 생성

[1484] 溫 凊 定 省 (온정정성)한자따뜻할 온 / 서늘할 정 / 정할 정 / 살필 성의미따뜻하고 서늘하게 해드리며, 정해드리고 살펴본다는 뜻으로,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리며, 밤에는 잠자리를 펴드리며 아침에는 문안을 드린다는 부모를 섬기는 자식의 기본적인 도리의 의미.원문】▶ 爲人子之禮 冬溫而夏凊 昏定而晨省. <禮記(예기)>字意() ‘서늘하고 신선하다는 의미. ‘()’은 발음 요소. () 집안의 물건들을 잘 정돈한다는 의미에서 정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 작은 것을 상세히 살펴본다는 의미에서 살피다는 뜻 생성. 작게 줄인다는 의미에서 덜다는 뜻도 파생.

[1485] 甕 算 畵 餠 (옹산화병)한자독 옹 / 셈 산 / 그림 화 / 떡 병의미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동의어】▶ 畵中之餠 (화중지병) : 그림의 떡.字意() 옹기그릇인 의 의미. ()은 발음 요소.() 계산에 사용하는 대나무 등으로 만든 산대의 의미에서 세다는 뜻을 생성함. 아랫부분은 발음 요소.() 밭의 경계를 긋다는 의미에서 사물의 경계나 한계를 정한다는 뜻 생성. 나중에 그림, ‘그리다의 뜻으로도 사용. ‘긋다는 의미는 ()과 통용. () 밀보리 등으로 만든 의 의미. ‘()’은 발음.온유돈후, 온정정성, 옹산화병 - 교본파일(49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6] 蝸 角 之 爭 (와각지쟁)한자달팽이 와 / 뿔 각 / 어조사 지 / 다툴 쟁의미달팽이 뿔의 싸움이라는 뜻으로, 달팽이 두 촉수 위에 있는 촉()과 만() 두 나라가 영토를 다툰다는 고사에서 보잘 것 없는 다툼의 의미로 사용됨. <莊子(장자)>유의어蠻觸之爭 (만촉지쟁) : 만과 촉의 싸움.自中之亂 (자중지란) : 한패 속에서 일어나는 싸움.字意() 달팽이나 고둥의 의미. () 뿔 모양을 본떠 모난 것’, ‘겨루다의 의미 파생. 角逐(각축) () 하나의 물건을 놓고 서로 다투는 모양을 의미함.

[1487] 臥 龍 鳳 雛 (와룡봉추)한자누울 와 / 용 룡 / 봉황 봉 / 병아리 추의미누워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영웅(英雄)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고 숨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伏龍鳳雛(복룡봉추)]반의어】▶ 飛龍乘雲 (비룡승운) : 용이 구름을 타고 하늘에 오름.字意()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과 합해서 만듦. ()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과 호응됨. () 병아리 같은 새의 새끼를 의미함. 왼쪽부분은 발음 역할.

[1488] 瓦 釜 雷 鳴 (와부뇌명)한자기와 와 / 가마 부 / 우레 뢰 / 울 명의미흙으로 만든 솥이 우레와 같은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현사(賢士)가 때를 얻지 못하고 우매(愚昧)한 자가 높은 지위에 앉아 큰 소리를 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기와가 서로 얽혀있는 모양이나 질그릇의 의미에서 기와’, ‘실패’, ‘방패의미 생성. () 발이 없는 큰솥의 의미에서 솥의 범칭으로 사용됨. () 본래 밭갈피()[세 개]’에서 현재의 하나로 변화되어 발음부호 역할. 기상현상 하나로 ()’부수에 속함. () 새가 입으로 지저귀는 의미를 나타내, 새가 운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우는 경우는 ()’이나 ()’을 사용함.와각지쟁, 와룡봉추, 와부뇌명 - 교본파일(49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9] 臥 薪 嘗 膽 (와신상담)한자누울 와 / 섶나무 신 / 맛볼 상 / 쓸개 담의미섶나무에 눕거나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 위해 온갖 괴로움을 참으면서 기다림을 비유하는 말.고사】▶ 오왕(吳王) 부차(夫差)臥薪과 월왕(越王) 구천(句踐)嘗膽 고사.유의어】▶ 切齒腐心 (절치부심) : 이를 갈고 마음을 썩힘.字意()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과 합해서 만듦. () 섶나무나 땔나무의 의미. ‘()’은 발음 역할.() 음식을 먹어본다는 맛보다에서 경험하다까지 파생함. () 쓸개의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1490] 臥 遊 江 山 (와유강산)한자누울 와 / 놀 유 / 강 강 / 산 산의미누워서 강산을 유람한다는 뜻으로, 산수를 그린 그림을 보고 즐김을 비유하는 것.참고】▶ 臥遊 (와유) : 집에서 명승이나 고적 그림을 감상함.字意()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과 합해서 만듦. () 즐겁게 지내면서 논다는 의미. () 물이 줄기를 이루어 흐르는 것. 주로 중국의 남쪽 지방의 물줄기를 ()이라 하고, 북방 쪽은 ()’로 표현함.

[1491] 瓦 解 土 崩 (와해토붕)한자기와 와 / 풀 해 / 흙 토 / 무너질 붕의미기와가 깨지고 흙이 무너진다는 뜻으로, 모두 무너져 내리는 것처럼 대세(大勢)가 허무러짐을 이르는 말.동의어】▶ 土崩瓦解(토붕와해).字意() 기와가 서로 얽혀있는 모양이나 질그릇의 의미에서 기와’, ‘실패’, ‘방패의미 생성. () []로 소[]의 뿔[]을 발려내는 의미에서 '해체한다'의 의미 생성. 후에 '해결한다'는 의미 파생. ()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 언덕 따위가 무너지다는 의미에서 파괴되다, 흩어지다 등과 함께 천자(天子)나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을 의미함. ‘()’은 발음.와신상담, 와유강산, 와해토붕 - 교본파일(49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92] 完 璧 (완벽)한자완전할 완 / 구슬 벽의미구슬을 완전하게 보전한다는 뜻으로, 빌었던 물건을 온전히 반환하는 의미거나, 흠이 없는 완전함의 의미.고사전국시대(戰國時代) ()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구슬을 가지고 진()나라의 사신으로 갔다가 구슬을 빼앗기지 않고 무사히 가지고 돌아왔다는 고사.史記원문】▶ 完璧歸趙 (완벽귀조)字義() 건축물을 완전하게 수리해서 완전하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둥글 납작하고 중앙에 구멍이 있는 둥근 옥의 의미

[1493] 曰 可 曰 否 (왈가왈부)한자말할 왈 / 옳을 가 / 말할 왈 / 아닐 부의미옳다 말하고 아니다 말하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옳으니 그르니 하는 것처럼 옳다고 하는 이도 있고 그르다고 하는 이도 있어 이러쿵저러쿵한다는 의미.字意() 입의 모양에 말소리의 의미를 표시해 말하다는 의미 생성. () 옳고 찬성한다는 의미에서 옳다는 의미 생성. () 아니라고 말하다는 의미에서 아니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역할도 함

[1494] 曰 是 曰 非 (왈시왈비)한자말할 왈 / 옳을 시 / 말할 왈 / 아닐 비의미옳다 말하고 그르다 말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옳고 그름을 말하며 따진다는 의미.유의어】▶ 是也非也 (시야비야) : 옳고 그름을 따짐.字意() 태양을 가장 옳고 바른 것으로 인식해 옳다는 의미를 생성함. 후에 ’, ‘이것등의 지시대명사 의미를 파생함. ()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 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를 만듦.완벽, 왈가왈부, 왈시왈비 - 교본파일(49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95] 王 道 政 治 (왕도정치)한자임금 왕 / 도리 도 / 정사 정 / 다스릴 치의미왕의 도리를 다하는 정치라는 뜻으로, 인덕(人德)에 바탕을 둔 정치를 행하는 것을 의미함. 유가(儒家)의 맹자(孟子)에 의해 가치를 확립함. <孟子>반의어】▶ 覇道政治 (패도정치) : 패권만을 추구하는 과욕의 정치.字意() 가로 세 선은 천지인(天地人)을 상징하고 세로 선으로 천지인을 꿰뚫거나 연결해주는 하늘의 아들이라는 천자(天子)’의 의미를 생성함. () ()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의미 파생. () 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행위의 의미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정사(政事) 의미를 생성.()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1496] 往 生 極 樂 (왕생극락)한자갈 왕 / 날 생 / 다할 극 / 즐거울 락의미떠나서 극락에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죽어 극락의 세계로 가 다시 태어난다는 불가(佛家)의 축원 내포 말. [= 極樂往生]유의어】▶ 往生安樂 (왕생안락) : 왕생극락하여 안락한 생을 가짐.字意() 발의 의미인 ()에서 가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는 본래 ()’에서 변한 것임[발음 역할]. ()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집의 가장 높은 곳인 일종의 용마루 의미에서 최고의 의미로 인해 극한’, ‘다하다는 의미 파생. ()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좋아한다[]’는 의미 파생.

[1497] 往 者 勿 止 (왕자물지)한자갈 왕 / 놈 자 / 말 물 / 그칠 지의미가는 것은 그치게 하지 말라는 뜻으로, 가는 것은 그 자연에 맡겨 가게 할 것이요, 부질없이 잡아 두어서는 안 된다는 집착과 고집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의미. <莊子>연결어】▶ 來者勿禁 (내자물금) : 오는 것은 금하지 말라.字意()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본래 칼에 피가 묻은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단죄(斷罪)했다는 의미로 전용되어 금지의 의미인 하지 말라는 뜻으로 사용됨.[()와 동일한 의미]. () 사람의 한쪽 발이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멈추다’, ‘걷다는 의미나 시간의 변화와 관련된 의미로도 사용됨.왕도정치, 왕생극락, 왕자물지 - 교본파일(49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98] 枉 尺 直 尋 (왕척직심)한자굽을 왕 / 자 척 / 곧을 직 / 찾을 심의미자를 굽혀 심[:두 팔을 벌린 길이로 78정도]을 편다는 뜻으로, 짧은 것은 굽히고 긴 것을 펴듯이 작은 욕을 돌보지 않고 큰 일을 이룬다는 의미.<孟子>유의어大義滅親 (대의멸친) : 큰 의리를 위해 혈육의 친함도 버림滅私奉公 (멸사봉공) : 사사로움을 버리고 공적 일을 받듦.字意() 나무가 휜 것에서 굽다는 의미 생성. 후에 굽히다어긋나다등 파생함. () 사람의 등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 )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의미까지 확대함. () 곧은 막대를 자르고 나서 눈으로 재는 모양에서 곧다는 의미 생성 직선이 으로 표현됨. () 좌우의 양손을 벌려 길이를 잰다는 의미에서 길이의 단위와 확인해 찾다는 의미를 생성함.

[1499] 王 侯 將 相 (왕후장상)한자임금 왕 / 제후 후 / 장수 장 / 정승 상의미제왕과 제후와 장수와 재상이라는 뜻으로, ()의 진승(陳勝)이 봉기(蜂起)하며 내세운 기치에서 유래.출전】▶ 王侯將相 寧有種乎 (왕후장상 영유종호): 왕후장상이 어찌 종자가 있겠느냐?字意() 가로 세 선은 천지인(天地人)을 상징, 세로 선으로 천지인을 꿰뚫거나 연결해주는 하늘의 아들인 천자(天子)’의미 생성. () 본래 사람이 화살을 쏘는 것에서 과녁의 의미인데, 후에 봉토를 받은 오등작의 둘째 작위(爵位)로 활용. () 나무 위에 고기를 놓고 요리하려는 뜻에서 앞으로 일어날 상황장차생성. 후에 장수파생. () 나무에 올라가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뜻에서 보다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인 정승파생.

[1500] 矮 子 看 戱 (왜자간희)한자키작을 왜 / 아들 자 / 볼 간 / 유희 희의미난쟁이가 연극을 본다는 뜻으로, 난쟁이가 키 큰 사람 뒤에서 연극을 관람하는 것처럼 앞사람의 비평에 덩달아 비평하듯이 식견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동의어】▶ 矮子觀場 (왜자관장) : 矮子看場 (왜자간장).字意() 짧은 화살의 의미에서 키작은 사람의 뜻을 파생함. () 눈 위에 손을 얹고 본다는 의미로 보살핀다는 의미로 지켜보는 것. () 본래 ()’의 의미에서 군사의 훈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해 동작이나 놀이의 의미가 파생됨.왕척직심, 왕후장상, 왜자간희 - 교본파일(500)이 포함되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531-1560  (0) 2012.12.21
이야기한자성어1501-1530  (0) 2012.12.21
이야기한자성어1441-1470  (0) 2012.12.18
이야기한자성어1411-1440  (0) 2012.12.18
이야기한성어1381-1410  (0) 201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