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1531-1560

ria530 2012. 12. 21. 11:19

[1531] 用 錐 指 地 (용추지지)한자쓸 용 / 송곳 추 / 가리킬 지 / 땅 지의미송곳을 써서 땅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송곳을 대지에 꽂아 깊이를 재는 것처럼 견식이 아주 좁음을 이르는 말. 동의어】▶ 以錐刺地 (이추척지) : 송곳으로 땅을 찌르다.字意() 점을 친다는 의미의 ()’과 맞다는 의미의 ()’을 합한 글자로, 점을 쳐서 맞으면 반드시 시행했다는 의미에서 쓰다’,‘사용하다는 의미로 활용됨. () 쇠붙이로 된 구멍 뚫는 도구인 송곳의미. 혹 화살촉으로도 봄. () 손가락의 의미에서 가리키다’, ‘지시하다등의 뜻 파생. ()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를 결합해서 만듦.

[1532] 用 行 舍 藏 (용행사장)한자쓸 용 / 행할 행 / 버릴 사 / 감출 장의미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동의어】▶ 用舍行藏 (용사행장).字意()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와 가차로 사용됨. () 깊이 속에 감춘다는 의미에서 저장하다는 뜻을 생성함

[1533] 龍 虎 相 搏 (용호상박)한자용 룡 / 호랑이 호 / 서로 상 / 칠 박의미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두 강자가 서로 승패를 겨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龍虎之爭 (용호지쟁) : 용과 호랑이의 싸움.兩雄相鬪 (양웅상투) : 두 영웅이 서로 싸움.字意()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정승등의 의미 파생. () 손으로 잡는다는 의미에서 후에 가지다는 뜻과 치다등의 의미 확대.용추지지, 용행사장, 용호상박 - 교본파일(51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34] 愚 公 移 山 (우공이산)한자어리석을 우 / 공변될 공 / 옮길 이 / 산 산의미우공이 산을 옮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끊임없이 노력하면 마침내 성공함을 비유하는 말. 故事】▶ 愚公이 자기 집 앞의 큰 동산을 없애기 위해 날마다 노력하다 결국 하늘이 감동하여 두 산을 옮기게 된 우화. <列子>字意() 슬기롭지 못한 어리석다는 의미에서 후에 자기의 겸칭으로도 사용함. () 사사로움을 배반한다는 의미에서 공변되다는 생성. 후에 공적인 내용이나 임금, 높은 벼슬아치등의 의미 파생. () 곡물을 많이 생산해서 운반한다는 뜻으로 옮기다는 의미 생성. () 솟아 있는 산들의 모양의 형상화한 글자.

[1535] 牛 踏 不 破 (우답불파)한자소 우 / 밟을 답 / 아니 불 / 깨드릴 파의미소가 밟아도 깨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물건이 굳고 튼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牛遂不陷 (우수불함) : 소도 마침내 빠뜨리지 못함.字意() 뿔을 강조한 소의 머리 부분을 본뜬 글자. () 발로 밟거나 밟고 가다는 의미. ‘()’은 발음 요소. () 돌을 부수는 의미에서 깨다등의 의미 생성.

[1536] 牛 刀 割 鷄 (우도할계)한자소 우 / 칼 도 / 나눌 할 / 닭 계의미소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큰 일을 할 재능을 적은 일에 씀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見蚊拔劍 (견문발검) :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고사】▶ 割鷄 焉用牛刀 (할계언용우도): 닭을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리오.-논어(論語).字意() 칼날이 굽은 칼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주로 날카로움, 자르다, 나누다, 베다등의 의미로 사용됨. () 해로운 것[]을 칼로 자른다[]는 의미에서 나누나’,‘가르다등의 의미 생성. () 가금(家禽)의 대표 격인 의 의미. 왼쪽은 발음부호. ()도 동일한 글자임.우공이산, 우답불파, 우도할계 - 교본파일(51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37] 憂 國 之 士 (우국지사)한자근심 우 / 나라 국 / 어조사 지 / 선비 사의미나라를 걱정하는 선비라는 뜻으로 항상 나라의 일을 근심하는 기재가 높고 포부가 큰 사람의 의미. 관련어憂國之心 (우국지심) :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憂國奉公 (우국봉공) : 나라를 걱정하고 힘을 다해 받듦.字意() ‘()’의 변형에 마음이 근심스러움을 덮고 있어 느리게 걷고 있다는 의미에서 근심의 의미 생성. () 영역을 무기[]를 들고 지키는 상황을 표현해 영토를 지닌 국가의 개념을 만듦. ()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넓적한 날로 된 도끼의 모양에서 도끼를 다루는 남자의 상징으로 사용. 후에 신분의 계급으로 변화.

[1538] 憂 來 無 方 (우래무방)한자근심 우 / 올 래 / 없을 무 / 방위 방의미근심이 오는 것은 방향이 없다는 뜻으로, 근심이란 언제 어디서 올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는 의미.연결어】▶ 有備無患 (유비무환) : 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다.字意() 본래 보리 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가차되어 오다는 뜻으로 사용됨. 보리는 별도 ()’을 만듦. ()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를 만듦. () 농기구 모양이나 벌판의 영역표시 등에서 방향이나 모서리 등의 의미를 생성함.

[1539] 右 文 左 武 (우문좌무)한자오른 우 / 글월 문 / 왼 좌 / 무력 무의미문을 우로 하고 무를 좌로 한다는 뜻으로, 문무(文武)의 양도(兩道)를 겸비해 천하를 다스림을 의미하는 말.字意() 오른손을 펴고 있는 모양. ‘()’와 모양이 유사함. 역시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후에 를 더함. ()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 ‘채색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의 의미로 변천. () 왼손을 펴고 있는 모양. 후에 오른손[]’과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을 더함. () 무기를 들고 걷는다는 의미로 보거나, 역설적으로 무기를 멈추게 한다는 의미로 를 사용해 무력으로 무력을 멈추게 하다는 의미를 도출함.우국지사, 우래무방, 우문좌무 - 교본파일(51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40] 愚 問 賢 答 (우문현답)한자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답할 답의미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답이라는 뜻으로, 현명(賢明)하고 기지(機智)를 발휘하는 대처(對處)를 일컫는 말로 사용됨.구별어】▶ 東問西答 (동문서답) : 물음에 대한 엉뚱한 대답.字意() 슬기롭지 못한 어리석다는 의미에서 후에 자기의 겸칭으로도 사용함. () 입으로 상대에게 묻는다는 의미에서 묻다생성. ‘()’은 발음 역할. () 재지(才智)와 덕행(德行)이 있는 성인(聖人)의 다음가는 능력을 지닌 것이나 그 사람의 의미. () ‘이 음식을 담는 그릇의 개념에서 갚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은 발음 요소로 작용함.

[1541] 愚 夫 愚 婦 (우부우부)한자어리석을 우 / 사내 부 / 어리석을 우 / 여자 부의미어리석은 남자와 어리석은 여자라는 뜻으로, 어리석은 남녀나 어리석은 백성들의 의미.유의어】▶ 愚夫愚氓 (우부우맹) : 어리석은 백성들.字意() 슬기롭지 못한 어리석다는 의미에서 후에 자기의 겸칭으로도 사용함. ()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여자가 손에 비를 들고 청소를 하는 모양에서 부녀자’, ‘며느리등의 의미 생성

[1542] 牛 溲 馬 勃 (우수마발)한자소 우 / 오줌 수 / 말 마 / 똥 발의미소 오줌과 말똥이라는 뜻으로, 천약(賤藥)의 종류들로 평소에 거의 쓰이지 않는 것에서 불필요하고 쓸모없는 물건 등의 의미로 사용됨.유의어】▶ 無用之物 (무용지물) : 쓸모 없는 물건.字意() 뿔을 강조한 의 머리 부분을 본뜬 글자. () 물에 적시다는 의미인데, 후에 오줌의 의미 파생함. () ‘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 갑자기 우쩍 일어나는 모양의 의미인데, 馬勃말불버섯의 의미에서 확대되어 말똥의 의미로도 사용됨.우문현답, 우부우부, 우수마발 - 교본파일(51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43] 迂 餘 曲 折 (우여곡절)한자멀 우 / 남을 여 / 굽을 곡 / 꺾을 절의미멀리까지 굽고 꺾였다는 뜻으로, 여러 가지로 뒤얽힌 복잡한 사정이나 변화.관련어】▶ 多事多難 (다사다난) : 여러 가지로 일도 많고 어려움도 많음.字意() 길이 돌아 멀다는 의미에서 어둡다’, ‘굽히다등으로 확대됨. ()는 발음. () 먹을 것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여유롭다’, ‘남다는 의미 생성. ()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자의 모양에서 굽다는 의미와 음률의 조화로 인해 노래의 뜻 생성. () 본래 풀 초[]’도기 근[]’의 결합으로 도끼로 풀을 벤다는 뜻에서 꺾다’, ‘휘어서 베다는 의미 생성. 손 수[] 부수는 후에 변화된 자형임.

1544] 右 往 左 往 (우왕좌왕)한자오른 우 / 갈 왕 / 왼 좌 / 갈 왕의미우로 갔다 좌로 갔다가 한다는 뜻으로, 이리저리 오락가락하며 일이나 나아갈 방향을 결정짓지 못하고 갈팡질팡 망설이는 모양이나 행위.[= 左往右往(좌왕우왕)]유의어】▶ 之東之西 (지동지서) : 동으로 갔다 서로 갔다한다.字意() 오른손을 펴고 있는 모양. ‘()’와 모양이 유사함. 역시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후에 를 더함. () 발의 의미인 ()에서 가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는 본래 ()’에서 변한 것임[발음 역할]. () 왼손을 펴고 있는 모양. 후에 오른손[]’과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을 더함.

[1545] 優 柔 不 斷 (우유부단)한자넉넉할 우 / 부드러울 유 / 아니 불 / 끊을 단의미부드럽고 유약해서 결단하지 못하다는 뜻으로, 유약해서 줏대 없이 어물거리기만 하고 딱 잘라 결단을 내리지 못함을 이르는 말.[ = 優游不斷(우유부단)]유의어】▶ 首鼠兩端 (수서양단) : 쥐가 머리를 양쪽 두 끝에서 내밀면서 망설임. 결정을 짓지 못하고 망설이거나 주저하는 일.字意() 넉넉하고 품위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뛰어나다는 뜻을 생성하고, ()에 가면의 성격이 있어 배우의 의미도 활용됨. ()는 발음 역할도 함. () {}의 자루로 쓰는 나무{}은 부드럽고 연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부드럽다’, ‘순하다는 의미 도출. () 도끼로 실타래를 자르는 의미에서 끊다는 의미 생성.우여곡절, 우왕좌왕, 우유부단 - 교본파일(51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46] 優 游 涵 泳 (우유함영)한자넉넉할 우 / 헤엄칠 유 / 적실 함 / 헤엄칠 영의미여유롭고 한가하게 자맥질하듯 깊이 잠긴다는 뜻으로, 한가롭게 학문이나 예술 등의 이치(理致)를 깊이 음미함을 이르는 말.字意() 넉넉하고 품위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뛰어나다는 뜻을 생성하고, ()에 가면의 성격이 있어 배우의 의미도 활용됨. ()는 발음 역할도 함. () 자맥질하는 헤엄치다는 의미에서 놀다’, ‘뜨다등의 의미 확대됨. () 상자[] 속에 물을 담아 적시다는 뜻 생성. ()은 발음 역할도 함. () 물 속을 헤엄치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1547] 牛 耳 讀 經 (우이독경)한자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경전 경의미쇠귀에 경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에게 아무리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하여 소용이 없다는 의미. [= 牛耳誦經(우이송경)]유의어對牛彈琴 (대우탄금) : 소를 상대로 거문고를 탄다.如狗食藥果 (여구식약과) : 개 약과 먹듯 한다.字意() 뿔을 강조한 소의 머리 부분을 본뜬 글자. ()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 () 소리내어 말로 글을 읽는 의미나, 설명하다는 의미 생성, ()발음은 구두(句讀)’이두(吏讀)’의 의미. () 본래 옷감을 짤 때 베틀의 세로로 엮는 날줄 의미. 후에 지나가다’, ‘세로’, ‘다스리다등 파생

[1548] 偶 爾 得 中 (우이득중)한자짝 우 / 너 이 / 얻을 득 / 가운데 중의미우연히 적중함을 얻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우연히 들어맞음을 이르는 말.참고】▶ 偶爾 : 우연(偶然)관련어】▶ 多言或中 (다언혹중) : 말을 많이 하면 간혹 맞음.字意() 부부나 벗 등의 의 의미에서 후에 인형(人形)의 뜻과 뜻하지 않은’ ‘우연(偶然)’의 의미 파생. 오른쪽 부분은 ()발음 역할. () 2인칭의 라는 의미에서 지시대명사 나 형용하는 말 () 등의 의미로 확대됨. ()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여기서는 적중(的中)하다는 의미.우유함영, 우이독경, 우이득중 - 교본파일(51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49] 愚 者 一 得 (우자일득)한자어리석을 우 / 놈 자 / 한 일 / 얻을 득의미어리석은 자가 한 번 얻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여러 가지 일을 하거나 많은 생각을 하는 가운데에 때로는 옳거나 슬기로운 것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원문】▶ 愚者千慮 必有一得 (우자천려 필유일득)대칭구】▶ 知者千慮 必有一失 (지자천려 필유일실): 지혜로운 사람도 천 번을 생각하면 반드시 한 번의 실수는 있다.字意() 슬기롭지 못한 어리석다는 의미에서 후에 자기의 겸칭으로도 사용함. ()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1550] 羽 化 登 仙 (우화등선)한자깃 우 / 될 화 / 오를 등 / 신선 선의미깃이 생겨나 신선으로 올라간다는 뜻으로, 몸에 날개가 돋아 신선이 되어 하늘로 날아간다는 의미인데, 술에 취해 좋은 기분에 도취되거나 자연에 흠뻑 심취한 상태를 이르는 말. [蘇軾(소식)赤壁賦(적벽부)]字意() 새의 두 날개나 긴 깃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이나 날개를 의미함. () 변한다는 의미를 지닌 ()’에 사람을 변화시킨다는 의미를 결합함. () 제물을 담은 그릇을 가지고 오르는 모양에서 오르다는 의미 생성. () 산에 살며 不老長生의 도를 닦는 사람의 의미로 신선이라 함.

[1551] 雨 後 竹 筍 (우후죽순)한자비 우 / 뒤 후 / 대 죽 / 죽순 순의미비 온 뒤의 죽순이라는 뜻으로, 뒤가 내린 뒤에 돋아나는 어린 죽순처럼 많이 생겨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기후’,‘날씨등의 의미로 활용됨. () 작은 발걸음으로 천천히 걷는 다는 의미에서 의 뜻 생성. () 대나무의 잎사귀까지 상세하게 묘사한 모양임. () 어린 대나무인 죽순의 의미. ()은 발음.우자일득, 우화등선, 우후죽순 - 교본파일(51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52] 旭 日 昇 天 (욱일승천)한자아침해 욱 / 날 일 / 오를 승 / 하늘 천 의미아침에 돋는 해가 하늘로 오른다는 뜻으로, 왕성하게 일어나는 기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관련어乘勝長驅 (승승장구) : 승세를 타고 거침없이 몰아침.破竹之勢 (파죽지세) : 대나무를 쪼개는 형세.字意() ‘아침해의 의미에서 득의(得意)한 모양까지 확대됨.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의 흑점으로 설명 . () 해가 떠오르는 모양에서 오르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1553] 雲 開 見 日 (운개견일)한자구름 운 / 열 개 / 볼 견 / 날 일의미구름이 열려 해를 보게된다는 뜻으로, 오랫동안 막히고 갇혔던 것이 비로소 열리어 통하는 의미나, 의문 또는 불안하던 것이 해소되거나 불화(不和)한 사이가 화해를 하게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유의어】▶ 雲捲天晴 (운권천청) : 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갬. 근심해소.字意() 본래 ()’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와 결합해 만듦. ()말하다로 전용. () 양손으로 닫힌 문을 연다는 의미에서 열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닫다’. () 사람의 눈을 강조해 눈으로 보다는 의미 생성.

[1554] 運 斤 成 風 (운근성풍)한자움직일 운 / 도끼 근 / 이룰 성 / 바람 풍의미도끼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아주 교묘한 장인(匠人)의 최고 경지의 솜씨를 형용하는 말.고사영땅의 장인(匠人)이 콧등에 백토(白土)를 바르고 장석(匠石)에게 깎게 했는데, 도끼로 바람을 일으키며 다 깎았는데, 장인은 하나도 다치지 않았다는 이야기. <莊子(장자)>.字意() 움직여 옮겨 나른다는 의미에서 움직이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긴 자루 끝에 도끼날을 단 도끼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혹 현재 자형을 두 개의 도끼를 나란하게 포개어 놓은 모습으로도 설명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 의미 더함.욱일승천, 운개견일, 운근성풍 - 교본파일(51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55] 雲 泥 之 差 (운니지차)한자구름 운 / 진흙 니 / 어조사 지 / 차이 차의미구름과 진흙의 차이라는 뜻으로, 서로의 차이가 현격함을 이르는 말.관련어】▶ 天壤之差 (천양지차) : 宵壤之差 (소양지차) : 하늘과 땅 차.字意() 본래 ()’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와 결합해 만듦. ()말하다로 전용. () 질척질척한 흙인 진흙의 의미. ‘()’는 발음 요소. ()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왼손이 아래로 드리워져 있어 오른손과 맞지 않아 어긋나다는 의미 생성.

[1556] 雲 龍 風 虎 (운룡풍호)한자구름 운 / 용 룡 / 바람 풍 / 범 호의미구름이 용을 따르고 바람이 호랑이를 따른다는 뜻으로, 기상(氣象)이 같은 것끼리 서로 감응(感應)하는 일인데, 주로 성군(聖君)이 현신(賢臣)을 얻을 때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본말】▶ 雲從龍風從虎 (운종룡풍종호) 字意()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널리 퍼진다는 의미가 있어 바람을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동물의 대표격으로 별도 글자가 만들어짐.

[1557] 雲 散 鳥 沒 (운산조몰)한자구름 운 / 흩어질 산 / 새 조 / 사라질 몰 의미구름처럼 흩어지고 새처럼 사라진다는 뜻으로, 형적(形迹)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雲消霧散 (운소무산) : 구름이 사라지고 안개가 흩어짐.字意() 쪼개서 나누어 놓은 고깃덩이라는 의미에서 흩어지다는 의미 생성. () 새의 눈과 날개, 다리 등을 강조한 모양. 다소 꽁지가 긴 큰 새의 의미로, 다소 작은 새인 ()’와 구별됨. () 물에 가라앉다는 의미에서 다하다’, ‘끝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운니지차, 운룡풍호, 운산조몰 - 교본파일(51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58] 雲 上 氣 稟 (운상기품)한자구름 운 / 윗 상 / 기운 기 / 품성 품의미구름 위의 기품이라는 뜻으로, 속세나 속됨을 벗어난 고상한 기질과 성품을 의미하는 말.관련어】▶ 仙風道骨 (선풍도골) : 남달리 뛰어나고 고아(高雅)한 풍채.字意() 본래 ()’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와 결합해 만듦. ()말하다로 전용. ()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라는 의미 나타냄. ()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는 발음 작용. () 녹으로 내려주는 쌀의 의미에서 주다와 타고난 성품의 의미 파생함.

[1559] 運 數 所 關 (운수소관)한자움직일 운 / 셀 수 / 바 소 / 관계 관의미운수가 관계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모든 일이 능력이나 노력에 상관없이 운수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다는 생각을 이르는 말.관련어】▶ 四柱八字 (사주팔자) : 사주로 정해진 피할 수 없는 운수.字意() 움직여 옮겨 나른다는 의미에서 움직이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여자가 상자 안의 물건을 따져본다는 의미에서 세다는 의미 생성. ‘의 의미로 확대됨. ()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하는 바의 뜻으로 쓰이거나 장소의 의미로 사용됨. () 문을 잠그는 빗장의 의미에서, 후에 지역을 경계하는 관문의 의미와 상관하다는 뜻으로 확대됨.

[1560] 雲 心 月 性 (운심월성)한자구름 운 / 마음 심 / 달 월 / 성품 성의미구름의 마음과 달의 심성이라는 뜻으로, 욕심이 없고 세속의 명예나 이익을 추구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출전】▶ 野客雲作心 高僧月爲性 (야객운작심 고승월위성): 야객은 구름이 마음이 되고 고승은 달로 성품을 삼네.<孟浩然 詩>字意()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사람의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 음()’도 표현. () 타고난 마음의 성질의 의미. ‘()’은 발음부호면서 의미 내포.운상기품, 운수소관, 운심월성 - 교본파일(52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591-1620  (0) 2012.12.21
이야기한자성어1561-1590  (0) 2012.12.21
이야기한자성어1501-1530  (0) 2012.12.21
이양기한자성어1471-1500  (0) 2012.12.18
이야기한자성어1441-1470  (0) 2012.12.18